KR200471070Y1 - 스마트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070Y1
KR200471070Y1 KR2020110006452U KR20110006452U KR200471070Y1 KR 200471070 Y1 KR200471070 Y1 KR 200471070Y1 KR 2020110006452 U KR2020110006452 U KR 2020110006452U KR 20110006452 U KR20110006452 U KR 20110006452U KR 200471070 Y1 KR200471070 Y1 KR 200471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plate
holder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575U (ko
Inventor
안문환
안재원
Original Assignee
안재원
안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원, 안문환 filed Critical 안재원
Priority to KR2020110006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07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5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5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스마트폰 지지장치는,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홀더부(10)와, 상기 홀더부(10)를 연결하여 홀더부(10)의 지면에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부(30) 및 상기 홀더부(10)를 피봇가능하게 상기 지지부(30)에 연결하는 피봇 연결부(2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10)는, 1쌍의 판형 클립부재(11,12)들이 탄성적으로 오무러들게 서로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피봇 연결부(20)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지지대(40)와, 상기 상부 지지대(40)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대(50)와, 상기 하부 지지대(50)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다리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지지장치{ SMART PHONE MOUNTING DEVICE}
본 고안은 스마트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촬영할 때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휴대폰의 전화통화기능, 디지털카메라의 사진 및 동영상 촬영기능 등 여러가지 전자/광학기계의 기능을 모두 갖고 있으면서도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얇은 두께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광학기술의 발달로 고화질의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으로 사용자가 직접 다른 피사체를 촬상하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촬상할 수도 있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두께가 얇아서 종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없다. 이러한 구조의 특성때문에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현재의 스마트폰은 거치대에 조립할 수 있는 나사조립구를 만들수가 없어 거치대에 설치한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상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나사조립구와 같은 별도의 조립구에 연결하지 않고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평탄한 지면에는 물론 평탄하지 않는 지면에서도 안정되게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부피를 줄여서 휴대하기가 간편한 스마트폰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홀더부와,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다수개의 파이프들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다리부재를 가지고, 상단에 상기 홀더부를 연결하여 홀더부의 지면에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부 및 상기 홀더부를 피봇가능하게 상기 지지부에 연결하는 피봇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피봇 운동가능하게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을 전후에서 집어서 고정하는 1쌍의 판형 클립부재와, 상기 판형 클립부재들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토션스프링과, 1쌍의 판형 클립부재들이 일정한 폭 이하로 오무러들지 않도록 1쌍의 판형 클립부재 사이에 설치된 스페이서와, 상기 판평 클립부재의 내측면에 부착된 연질의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 클립부재는 스마트폰의 조작부가 가려지지 않도록 상단에 개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피봇 연결부의 케이싱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다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부 지지대를 탈착가능하게 끼워서 결합하는 상단 결합부와, 상기 상단 결합부의 저면에는 결합되고, 중심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상단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나사구멍을 구비한 고정판과, 각각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파이프부재들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다수개의 하부 파이프부재들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고정판의 외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피봇운동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하부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다리부재는 한쪽 선단에 첨단부를 구비하고, 다른 쪽 선단에는 상기 고정판의 나사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상부 나사부와 하부 나사부가 선단에서 순차적으로 구비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피봇 연결부는 상기 홀더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볼 조인트부와, 상기 볼 조인트부가 관절운동할 수 있도록 볼 조인트부를 수용하고 하부에 상부 지지대의 상단을 끼워 상부 지지대와 연결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의 볼 조인트부를 압착고정하여 볼 조인트부의 관절운동을 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된다.
상기 본 고안의 스마트폰 지지장치는 측벽에 나사체결구멍과 같은 별도의 조립수단을 구비할 수 없는 박형의 스마트폰을 손상없이 지지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피사체를 촬상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스마트폰 지지장치는 홀더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로 분리 구성되되 서로 탈착이 용이하게 결합되므로 높이 조절이 편리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로 되어 휴대하기가 편리하다.
더구나, 본 고안은 관절 연결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간편하다. 그리고, 지면이 평판하지 않은 장소에서도 보조 다리부재를 지면에 꽂아서 안정되게 직립설치할 수 있으므로 장소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보조 다리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지부의 내부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시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아니라 분실할 염려가 없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지지장치의 피봇 연결부에 대한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지지장치의 하부 지지대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지지장치의 하부 지지대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지지장치의 하부 지지대를 전개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지지장치를 평탄하지 않은 지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도,
도 7은 휴대시 접어서 보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지지장치는, 스마트폰(1)을 탄성적으로 집어서 고정하는 홀더부(10)와, 상기 홀더부(10)를 관절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 연결부(20),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전개 또는 수축가능하고, 상단에 상기 피봇 연결부(20)를 탈착가능하게 연결하여 홀더부(10)의 지면에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부(10)는 스마트폰(1)을 전후에서 집어서 고정하는 1쌍의 판형 클립부재(11,12)를 구비한다. 상기 판형 클립부재(11, 12)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피봇 운동가능하게 힌지핀(13)으로 연결된다. 상기 판형 클립부재(11,12)들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편향되게 상기 판형 클립부재(11,12)들의 사이에는 토션스프링(14)이 설치된다.
그리고 힌지핀(13)의 위쪽 1쌍의 판형 클립부재(11, 12) 사이에는 스페이서(15)가 설치되어 판형 클립부재(11,12)들이 일정한 간격 이하로 좁혀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판형 클립부재(11,12)는 지지하는 스마트폰(1)의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단에 일정한 폭의 개방부(11a, 12a)를 구비하고, 스마트폰(1)과 맞닿는 내측면에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패드부재(11c,12c)가 구비되어 스마트폰(1)을 지지할 때 스마트폰의 손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홀더부(10)는 피봇 연결부(20)와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16)를 구비한다. 이 결합부(16)는 나사구멍으로 되어 피봇 연결부(20)에 구비된 결합나사부가 결합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결합부(16)는 나사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탈착가능한 구조의 다른 결합수단으로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홀더부(10)와 피봇 연결부(20)의 결합 구조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피봇 연결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부(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볼 조인트부(23)와, 상기 볼 조인트부(23)가 관절운동할 수 있도록 볼 조인트부(23)를 수용하고 하부에 상부 지지대(40)의 상단을 끼워 상부 지지대(40)와 연결되는 케이싱(25)을 포함한다.
상기 볼 조인트부(23)는 구형의 관절부(21)와, 상기 구형의 관절부(21)에서 연장되게 구비되고 끝단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홀더부(10)의 결합부(16)에 나사결합되어 연결되는 스템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25)은 볼 조인트부(23)의 구형 관절부(21)을 아래쪽에서 끼워 수용하는 수용홈(24)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24)의 상단에는 상기 구형 관절부(21)와 면접촉하도록 오목한 구면 시트부(24b)를 구비하며, 측벽에는 구멍(24b)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스템부(22)가 통과하도록 구멍(24b)의 직경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절개홈(24c)을 구비한다. 이 스템부(22)는 절개홈(24c)을 따라 측편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형 관절부(21)는 케이싱(25)의 수용홈(24)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아래쪽에 배치된 받침판(27)의 구면 접촉시트(27a)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고, 이 받침판(27)의 아래쪽에는 커버판(28)이 삽입설치되며, 이 커버판(28)은 아래쪽 수용홈(24)의 내벽에 고정되는 스냅링(29)에 의해 지지되어 구형 관절부(21)가 케이싱(25)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고정나사(27b)는 상기 케이싱(25)의 측벽을 관통하여 선단이 받침판(27)과 커버판(28) 사이의 간극안으로 삽입하면서 받침판(27)을 구형 관절부(21)에 밀착시킴으로써 구형 관절부(21)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나사(27b)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후진시키면 구형 관절부(21)는 받침판(27)과의 압착상태에서 해제되어 수용홈(24)안에서 자유롭게 회전운동하게 된다.
상기 케이싱(25)의 수용홈(24)의 하단은 직경이 확대되어 상부 지지대(40)의 상단을 끼워서 결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는 상단에 구비된 볼 플런저(41)로써 상기 피봇 연결부(20)의 케이싱(25)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지지대(40)와, 상기 상부 지지대(40)의 하부에 볼 플런저(51a)로써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대(50)와, 상기 하부 지지대(50)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다리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지지대(40)는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다수개의 파이프들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소위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신축하는 다수개의 상부 파이프부재로 구성된다. 하부 지지대(50)는 상부 지지대(40)의 파이프부재들중 최외측 파이프부재를 탈착가능하게 끼워서 결합하는 상단 결합부(51)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 결합부(51)의 저면에는 고정판(52)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판(52)은 중심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상단 결합부(51)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대(5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여 나사구멍(5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52)의 저면에는 상기 상부 지지대(40)의 파이프부재들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다수개의 하부 다리(56)들이 원주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균등배치되고, 각각의 하부 다리(56)는 상단이 고정판(52)의 저면에 구비된 힌지부(54)에 피봇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텔레스코픽 구조로 신축하는 다수개의 하부 파이프부재들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마트폰 지지장치를 평탄한 지면에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대(40)를 신장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연장하고 하부 지지대(50)의 하부 다리(56)도 전개한 후 지면에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홀더부(10)에 스마트폰을 끼워 설치하고, 피봇 연결부(20)를 회전하여 스마트폰이 피사체를 향하도록 홀더부(10)의 위치와 방향을 조정한 후 고정나사(27b)를 조여서 그 위치에 고정하고 홀더부(10)에 지지된 스마트폰을 조작하여 피사체를 촬상한다.
또, 지지부(30)는 단일의 보조 다리부재(60)를 더 포함한다. 보조 다리부재(60)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대(50)의 상단 결합부(51)의 내부에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판(52)의 중심축방향으로 구비된 나사구멍(53)을 관통하여 상부 지지대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부 나사부(62)를 나사구멍(53)에 결합함으로써 보관된다.
보조 다리부재(60)를 사용할 경우에는 하부 나사부(62)를 나사구멍(53)에서 분리하여 보조 다리부재(60)를 상부 지지대(40)에서 인출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첨단부를 지면으로 향하도록 역전시킨 다음, 상부 나사부(61)를 고정판(52)의 나사구멍(53)에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렇게 보조 다리부재(60)를 사용상태로 설치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규칙한 지면에 보조 다리부재(60)의 하부 첨단부를 꽂아서 본 고안의 스마트폰 지지장치를 지면에서 고정한다.
1: 스마트폰
10: 홀더부 11, 12: 클립부재
11a, 12a: 개방부 11c,12c: 패드부재
13: 힌지핀 14: 토션스프링
15: 스페이서 16: 결합부
20: 피봇 연결부 21: 구형 관절부
22: 스템부 23: 볼 조인트부
24: 수용홈 24a: 구면 시트부
24b: 구멍 24c: 절개홈
25: 케이싱 27: 받침판
27a: 구면 접촉시트 27b: 고정나사
28: 커버판 29: 스냅링
30: 지지부
40: 상부 지지대 41: 볼 플런저
50: 하부 지지대 51a: 볼 플런저
51: 상단 결합부 52: 고정판
53: 나사구멍 54: 힌지부
56: 하부 다리 60: 보조 다리부재
61: 상부 나사부 62: 하부 나사부

Claims (3)

  1.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홀더부(10)와,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다수개의 파이프들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다리부재를 가지고, 상단에 상기 홀더부(10)를 연결하여 홀더부(10)의 지면에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부(30) 및 상기 홀더부(10)를 피봇가능하게 상기 지지부(30)에 연결하는 피봇 연결부(2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1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피봇 운동가능하게 힌지핀(13)으로 연결되어 스마트폰(1)을 전후에서 집어서 고정하는 1쌍의 판형 클립부재(11,12)와, 상기 판형 클립부재(11,12)들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토션스프링(14)과, 1쌍의 판형 클립부재(11,12)들이 일정한 폭 이하로 오무러들지 않도록 1쌍의 판형 클립부재(11,12) 사이에 설치된 스페이서(15)와, 상기 판형 클립부재(11,12)의 내측면에 부착된 연질의 패드부재(11c,12c)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 클립부재(12,13)는 스마트폰의 조작부가 가려지지 않도록 상단에 개방부(11a,12a)를 구비한 스마트폰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피봇 연결부(20)의 케이싱(25)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지지대(40)와, 상기 상부 지지대(40)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지지대(50)와, 상기 하부 지지대(50)의 저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다리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대(50)는, 상부 지지대(40)를 탈착가능하게 끼워서 결합하는 상단 결합부(51)와, 상기 상단 결합부(51)의 저면에는 결합되고, 중심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상단 결합부(51)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대(5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나사구멍(52)을 구비한 고정판(52)과, 각각은, 상기 상부 지지대(40)의 파이프부재들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다수개의 하부 파이프부재들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고정판(52)의 외측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피봇운동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하부 다리(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다리부재(60)는 한쪽 선단에 첨단부를 구비하고, 다른 쪽 선단에는 상기 고정판(52)의 나사구멍(53)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상부 나사부(61)와 하부 나사부(62)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연결부(20)는 상기 홀더부(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볼 조인트부(23)와, 상기 볼 조인트부(23)가 관절운동할 수 있도록 볼 조인트부(23)를 수용하고 하부에 상부 지지대(40)의 상단을 끼워 상부 지지대(40)와 연결되는 케이싱(25)과, 상기 케이싱(25)의 내부의 볼 조인트부(23)를 압착고정하여 볼 조인트부(23)의 관절운동을 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지지장치.
KR2020110006452U 2011-07-15 2011-07-15 스마트폰 지지장치 KR200471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452U KR200471070Y1 (ko) 2011-07-15 2011-07-15 스마트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452U KR200471070Y1 (ko) 2011-07-15 2011-07-15 스마트폰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75U KR20130000575U (ko) 2013-01-23
KR200471070Y1 true KR200471070Y1 (ko) 2014-02-11

Family

ID=5141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452U KR200471070Y1 (ko) 2011-07-15 2011-07-15 스마트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0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944Y1 (ko) * 2016-06-24 2017-07-11 김근형 헤어 드라이어 거치기구
KR20210002165U (ko) * 2020-03-20 2021-09-29 이승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1700A (ja) * 1998-09-22 2000-04-07 Nobutaka Miura 電話受話器保持具
JP2003264618A (ja) * 2002-03-06 2003-09-19 Tadashi Saito ヘッドアーム付携帯電話機用器具
KR200362415Y1 (ko) * 2004-07-01 2004-09-18 박은진 카메라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1700A (ja) * 1998-09-22 2000-04-07 Nobutaka Miura 電話受話器保持具
JP2003264618A (ja) * 2002-03-06 2003-09-19 Tadashi Saito ヘッドアーム付携帯電話機用器具
KR200362415Y1 (ko) * 2004-07-01 2004-09-18 박은진 카메라폰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944Y1 (ko) * 2016-06-24 2017-07-11 김근형 헤어 드라이어 거치기구
KR20210002165U (ko) * 2020-03-20 2021-09-29 이승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KR200494865Y1 (ko) 2020-03-20 2022-01-11 이승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75U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424431U (zh) 手持装置及拍摄设备
US20130005401A1 (en) Ergonomic handle for smartphone video recording
KR101022872B1 (ko) 카메라 거치대
WO2015192207A1 (en) Telescoping extension
US20160044227A1 (en) Image capturing device support with remote controller
KR101176301B1 (ko)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
KR200475741Y1 (ko) 셀카 스틱
JP3196962U (ja) 支持装置
KR20170110253A (ko)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삼각대
US20160248962A1 (en) Handle-Type Photo Shooting Remote Control Device
KR200471070Y1 (ko) 스마트폰 지지장치
KR20180001704U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셀카봉
KR102005981B1 (ko) 지지 프레임 및 휴대폰 케이스
KR101423474B1 (ko) 접이식 고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76796Y1 (ko)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
WO2018126500A1 (zh) 自拍杆
US7661535B2 (en) Multi-functional storage apparatus
KR200362415Y1 (ko) 카메라폰 거치대
KR200477798Y1 (ko)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KR20180083007A (ko)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
KR200365083Y1 (ko) 충전기가 구비된 카메라폰용 삼각대
KR101564541B1 (ko) 이동단말기용 커버장치
KR200353724Y1 (ko) 휴대폰 카메라 고정용 삼각대
KR20210079686A (ko) 핸드폰 거치대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