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798Y1 -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 Google Patents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7798Y1 KR200477798Y1 KR2020140009372U KR20140009372U KR200477798Y1 KR 200477798 Y1 KR200477798 Y1 KR 200477798Y1 KR 2020140009372 U KR2020140009372 U KR 2020140009372U KR 20140009372 U KR20140009372 U KR 20140009372U KR 200477798 Y1 KR200477798 Y1 KR 20047779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ng band
- holder
- fixed
- stick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8—Interlock mechanisms; Means for avoiding unauthorised use or function, e.g. tamper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는, 전자기기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 홈을 가지는 몸체를 가지며 상기 수용 홈들의 개구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본체 및 제2 본체,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막대형상의 연결밴드 및, 말단에 피봇브라켓과, 스틱의 말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진 수용관으로 구성된 수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상기 몸체에는 상기 연결밴드가 관통되어 연결하도록 된 관통 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관통 공을 관통하는 연결밴드의 일 부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본체 또는 제2 본체에는 상기 피봇브라켓에 힌지 결합하도록 피봇암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수용관의 외주면에 돌출된 가압브라켓을 관통하여 가압볼트가 가압너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마트폰, 테블릿 피씨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고정하는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전자기기들에 적합하도록, 고정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크기가 다르더라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익을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등산용 지팡이 등 각종 스틱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스마트폰, 피엠피, 피디에이(PDA) 및 스마트 패드(테블릿 피씨)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일반인들의 필수품이라 할 정도로 그 보급이 대중화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모바일(mobile)의 특성상 개별 소지자가 자기 편한 위치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향이 크다.
즉, 모바일 특성을 가진 휴대기기를 고정시켜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자기가 원하는 장소에서 탈부착하여 편안한 자세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촬영기기용 삼각거치대에 고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나아가 최근에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찍을 수 있는 셀프카메라가 대유행인데, 팔의 길이와 줌 아웃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한 화면에 많은 사물이나 인물을 담아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셀프카메라를 보다 먼 거리에서 스스로 찍을 수 있도록 보조하는 봉이 출현하였다. 소위 '셀카봉'이다.
즉 셀카봉은 긴 막대기 끝에 스마트기기를 고정해 마치 남이 찍어준 듯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 악세사리이다.
그런데 야외 스포츠 활동이 늘면서 등산 지팡이 등에 삼각거치대 기능 또는 셀카봉의 기능을 추가하는 고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종래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9634호의 "카메라 삼각대 겸용 등산 스틱"에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손잡이부에 카메라가 고정하고, 봉 부재의 하측 내부에 삼각대 다리를 구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9634호는 일반 카메라에 적용되도록 제작한 등산 스틱에 관한 발명으로서, 스마트폰 등 휴대용 기기를 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나아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상기한 대로 셀카봉의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등산 스틱에는 전혀 적용할 수 없고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707호의 "전자기기용 홀더"에서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전자기기들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폭 조절이 가능한 홀더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는 등산용 스틱 등에 고정시킬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등산 등 야외 활동시 등산용 스틱, 지팡이, 라켓 손잡이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없는 용도상의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전자기기들에 적합하도록 고정되는 폭을 조절하되 탄력적인 밴드를 이용하여 더욱 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크기가 다르더라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익을 누릴 수 있으며, 등산용 지팡이 등 각종 스틱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전자기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는, 전자기기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 홈을 가지는 몸체를 가지며 상기 수용 홈들의 개구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본체 및 제2 본체,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막대형상의 연결밴드 및, 말단에 피봇브라켓과, 스틱의 말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진 수용관으로 구성된 수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상기 몸체에는 상기 연결밴드가 관통되어 연결하도록 된 관통 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관통 공을 관통하는 연결밴드의 일 부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본체 또는 제2 본체에는 상기 피봇브라켓에 힌지 결합하도록 피봇암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수용관의 외주면에 돌출된 가압브라켓을 관통하여 가압볼트가 가압너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연결밴드의 단부에는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가 외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된 상기 관통 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를 가지는 스톱 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축을 중심으로 접혀질 경우, 단부가 상기 관통 공에 위치된 연결밴드의 일 측면을 가압하도록 된 고정 링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크의 단부에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접혀질 경우, 상기 연결밴드의 일 측면을 가압하도록 된 가압 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몸체의 수용 홈에는, 수용되는 전자기기의 단부를 탄성 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탄성 재질의 지지홀더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지지홀더의 표면은 마찰계수가 높은 논슬립 처리된 패드형태로서 전자기기가 미끄러지지 않고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밴드에서 상기 고정링크와 대면하는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탄성 돌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연결밴드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사이 간격을 인지할 수 있도록 된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밴드에는, 벽면에 구비된 걸 고리에 걸림 고정되는 걸이 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전자기기용 홀더는, 상기 연결밴드 상에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사이 간격을 원하는 폭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본체 및 제2 본체의 사이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전자기기들이 다양한 크기를 가진다 하더라도, 맞춤 되게 그 폭을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고, 특히 탄력적인 밴드를 이용하여 더욱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크기가 다르더라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사용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스틱에 결합할 수 있는 수용체가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하여 등산지팡이 등 각종 스틱에 적용되어 셀카봉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며, 힌지 결합에 의해 상하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각도로 촬영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히 사출 성형공정을 통해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익을 누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를 보인 사시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의 사용 예를 보인 사용 상태 개략 사시 예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의 또 다른 사용 예를 보인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의 사용 예를 보인 사용 상태 개략 사시 예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의 또 다른 사용 예를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된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1)는,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피엠피, 피디에이(PDA) 및 스마트 패드(테블릿 피씨)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들을 못 등과 같은 체결요소를 통해 벽에 걸어 고정하거나, 등산용 지팡이에 삽입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1)는, 전자기기의 단 부가 수용되는 수용 홈(2)을 가지는 몸체(3)를 가지며 상기 수용 홈(2)들의 개구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본체(4) 및 제2 본체(5)와, 상기 제1 본체(4)와 상기 제2 본체(5)를 서로 연결하는 막대형상의 연결밴드(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밴드(6) 상에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상기 제1 본체(4) 및 제2 본체(5)의 상기 수용 홈(2)에 전자기기의 양단부가 끼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1)에서, 상기 제1 본체(4) 및 제2 본체(5)를 구성하는 상기 몸체(3)에는, 상기 연결밴드(6)가 관통되어 연결하도록 된 관통 공(7)이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관통 공(7)은 상기 제1 본체(4)에만 형성되고, 상기 연결밴드(6)가 상기 제2 본체(5)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 공(7)을 관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관통 공(7)을 통해 상기 연결밴드(6)에 상기 제1 본체(4) 및 제2 본체(5)가 결합 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1)에서는, 상기 제1 본체(4) 및 제2 본체(5)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관통 공(7)을 관통하는 연결밴드(6)의 일 부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본체(4) 및 제2 본체(5) 중 하나는 상기 연결밴드(6)의 종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 본체가 상기 연결밴드(6) 상에서 그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전자기기의 양단을 상기 몸체(3)의 수용 홈(2)에 끼워 지지하도록 한 후, 상기 연결밴드(6) 상에서 그 위치가 조절되는 본체에 구비된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몸체(3)가 상기 연결밴드(6) 상에서 이동이 제한되어 확고히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본체(4) 및 제2 본체(5)가 무단으로 벌어지지 않아, 전자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1)에서, 상기 연결밴드(6)의 단 부에는, 상기 제1 본체(4) 및 제2 본체(5)가 외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 공(7)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를 가지는 스톱 돌기(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본체(4) 및 제2 본체(5)들 중 하나는, 상기 스톱 돌기(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상기 연결밴드(6)의 종단에 위치되고, 타 본체를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위치를 조절하여 사이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관통 공(7)은 상기 제1 본체(4)에만 형성되고, 상기 연결밴드(6)의 하단이 상기 제2 본체(5)에 형성된 삽입홈(7-1)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구(7-2)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 후 상기 관통 공(7)을 관통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톱 돌기(미도시)는 불필요하다.
상기에서, 상기 연결밴드(6)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1 본체(4)와 제2 본체(5)의 사이 간격을 인지할 수 있도록 된 눈금(9)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규격에 정해진 전자기기의 폭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어, 더욱 용이하게 간격 조절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1)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축을 중심으로 접혀질 경우, 단부가 상기 관통 공에 위치된 연결밴드(6)의 일 측면을 가압하도록 된 고정링크(10)를 가진다.
즉, 상기 고정링크(10)를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연결밴드(6)를 확고히 고정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몸체(3)를 상기 연결밴드(6) 상에서 그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고정링크(10)의 단부에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접혀질 경우, 상기 연결밴드(6)의 일 측면을 가압하도록 된 가압 돌기(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압 돌기(11)에 의해, 상기 연결밴드(6)와의 결합력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1)에서, 상기 몸체(3)의 수용 홈(2)에는, 수용되는 전자기기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탄성 재질의 지지홀더(12)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지지홀더(12)는 마찰계수가 높도록 표면에 논슬립 처리가 되어 전자기기를 미끄러지지 않고 단단히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 홈(2)에 전자기기의 단부를 수용할 때, 수용 홈(2)과 전자기기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하지 않고 완전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확고히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홀더(12)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단부가 수용되는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의 내 측면에는 상기 전자기기 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전자기기의 단부를 상기 돌부를 통해 3면에서 밀착 고정하도록 되어 고정력을 더욱 증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무단으로 전자기기가 분리되는 것을 더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1)는, 상기 연결밴드(6)에서 상기 고정링크(10)와 대면하는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탄성 돌부(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 돌부(13)들의 사이 간격에 상기 가압 돌기(11)가 위치되도록 되어, 그 결합력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1)에서, 상기 제2 본체(5)에는 수용체(20)의 말단에 형성된 피봇브라켓(22)에 힌지 결합하도록 피봇암(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 결합은 피봇볼트(24)와 피봇너트(2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수용체(20)는 말단에 피봇브라켓(22)과, 스틱의 말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개구부(28-1)를 가진 수용관(28)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개구부(28-1)를 사이에 두고 수용관(28)의 외주면에 돌출된 가압브라켓(28-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브라켓(28-2)을 관통하여 가압볼트(29)가 가압너트(30)에 체결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갖는 스틱을 유연하게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부(28-1)는 스틱의 다양한 직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외주의 길이를 보상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관(28)에 등산 지팡이 등 스틱(40)이 삽치되어, 간편하게 셀카봉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상기 연결밴드(6)에는, 벽면에 구비된 걸 고리(또는 못)등과 같은 체결요소에 걸림 고정되는 걸이 공(15)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 공(15)을 통해 벽면에 고정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전자기기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밴드(6)가 가요성의 재질인 경우, 상기 연결밴드의 걸이 공(15)이 상기 제2 본체(5)의 정면에 형성된 걸개돌기(5-1)에 걸릴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밴드(6)의 걸이 공(15)이 상기 제2 본체(5)의 정면에 형성된 걸개돌기(5-1)에 걸릴 때, 내부에 공간(5-2)을 형성하도록 느슨한 길이로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내부의 공간(5-2)에 가방 고리(미도시)나 등산 배낭의 고리(미도시) 등에 끼워넣어 보관이 용이하도록 함이다.
여기서 상기 가요성의 재질은 실리콘 또는 TPU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TPU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을 말하는데, 우수한 탄성 기억, 가수 분해 안정성, 절단 및 인열 저항, 마모 저항, 충격 저항, 찢어짐 및 비틀림 저항, 오일 및 그리스 저항, 높은 파괴 압력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소재이다. 본 고안에 TPU를 적용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전자기기를 더욱 더 완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쉽게 찢어지지 않으며, 가요성이 좋아 상기 걸개돌기(5-1)에 용이하게 걸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고안의 홀더(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거추장스럽지 않게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밴드(6)를 구부려 상기 걸개돌기(5-1)에 걸어서 부피를 줄임과 동시에, 느슨하게 걸리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공간(5-2)을 형성하여 다른 기구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1)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연결밴드(6)의 종단위치에 상기 제2 본체(5)를 위치시킨 후,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본체(4)에 구비된 상기 고정링크(10)를 축 회전시켜 상기 가압 돌기(11)가 상기 연결밴드(6)에서 해제시키고,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수용 홈(2)들에 전자기기의 단 부를 끼운 후, 전자기기가 상기 제1 본체(4) 및 제2 본체(5)의 사이에 확고히 지지 고정되도록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본체(4)와 제2 본체(5)의 사이에 전자기기가 게재된 상태로 지지 되면,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크(10)를 축 회전시켜 상기 가압 돌기(11)가 상기 연결밴드(6)의 탄성 돌부(13)들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밴드(6)를 가압하여 전자기기의 고정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전자기기의 고정이 완료되면,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 공(15) 및 수용체(20)를 통해 벽면이나 별도의 등산용 지팡이 등 스틱(40)에 고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거나 손으로 스틱(40)을 들고 셀카봉처럼 사용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1)는, 상기 제1 본체(4)와 상기 제2 본체(5)의 사이 간격에 전자기기를 고정함은 물론, 그 폭으로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스틱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체(20)에 형성된 피봇브라켓(22)과 상기 제2 본체(5)에 형성된 피봇암(14)이 힌지 결합함으로써, 등산 지팡이 등과 결합하여 셀카봉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고, 상하로 각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각도의 촬영이 가능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홀더 2 : 수용 홈
3 : 몸체 4 : 제1 본체
5 : 제2 본체 5-1: 걸개돌기
6 : 연결밴드 7 : 관통 공
9 : 눈금 10 : 고정링크
11 : 가압 돌기 12 : 지지홀더
13 : 탄성 돌 부 14 : 피봇암
15 : 걸이 공 20: 수용체
22: 피봇브라켓 24: 피봇볼트
26: 피봇너트 28: 수용관
28-1: 개구부 28-2: 가압브라켓
29: 가압볼트 30: 가압너트
40: 스틱
3 : 몸체 4 : 제1 본체
5 : 제2 본체 5-1: 걸개돌기
6 : 연결밴드 7 : 관통 공
9 : 눈금 10 : 고정링크
11 : 가압 돌기 12 : 지지홀더
13 : 탄성 돌 부 14 : 피봇암
15 : 걸이 공 20: 수용체
22: 피봇브라켓 24: 피봇볼트
26: 피봇너트 28: 수용관
28-1: 개구부 28-2: 가압브라켓
29: 가압볼트 30: 가압너트
40: 스틱
Claims (8)
- 전자기기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 홈(2)을 가지는 몸체(3)를 가지며 상기 수용 홈(2)들의 개구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본체(4) 및 제2 본체(5);
상기 제1 본체(4)와 상기 제2 본체(5)를 서로 연결하는 막대형상의 연결밴드(6); 및,
말단에 피봇브라켓(22)과, 스틱(40)의 말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개구부(28-1)를 가진 수용관(28)으로 구성된 수용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본체(4) 및 제2 본체(5)의 상기 몸체(3)에는 상기 연결밴드(6)가 관통하는 관통 공(7)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본체(4) 및 제2 본체(5)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관통 공(7)을 관통하는 연결밴드(6)의 일 부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본체(4) 또는 제2 본체(5)에는 상기 피봇브라켓(22)에 힌지 결합하도록 피봇암(14)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8-1)를 사이에 두고 수용관(28)의 외주면에 돌출된 가압브라켓(28-2)을 관통하여 가압볼트(29)가 가압너트(30)에 체결되되,
상기한 몸체(3)의 수용 홈(2)에는,
수용되는 전자기기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탄성 재질의 지지홀더(12)가 수용되어 고정되되, 상기 지지홀더(12)의 표면은 논슬립 처리되고,
상기 연결밴드(6)의 일 측면에는,
상기 제1 본체(4)와 상기 제2 본체(5)의 사이 간격을 인지할 수 있도록 된 눈금(9)이 표시되며,
상기 연결밴드(6)에는,
벽면에 구비된 걸 고리에 걸림 고정되는 걸이 공(15)이 구비되되,
상기 연결밴드(6)는 가요성의 재질로서 실리콘 또는 TPU이고,
상기 연결밴드(6)의 걸이 공(15)이 상기 제2 본체(5)의 정면에 형성된 걸개돌기(5-1)에 걸리되, 내부에 공간(5-2)을 형성하도록 느슨한 길이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3)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축을 중심으로 접혀질 경우, 단부가 상기 관통 공(7)에 위치된 연결밴드(6)의 일 측면을 가압하도록 된 고정 링크(1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크(10)의 단부에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접혀질 경우, 상기 연결밴드(6)의 일 측면을 가압하도록 된 가압 돌기(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372U KR200477798Y1 (ko) | 2014-12-18 | 2014-12-18 |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9372U KR200477798Y1 (ko) | 2014-12-18 | 2014-12-18 |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7798Y1 true KR200477798Y1 (ko) | 2015-07-24 |
Family
ID=5387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9372U KR200477798Y1 (ko) | 2014-12-18 | 2014-12-18 |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7798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6539B1 (ko) * | 2016-01-08 | 2017-11-10 |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
KR101944380B1 (ko) * | 2017-12-31 | 2019-04-17 |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 스마트폰 홀더 |
KR20200076895A (ko) * | 2018-12-20 | 2020-06-30 | 한상철 | 회전용 양방향 줄자 거치대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3207B2 (ja) * | 1994-02-17 | 2001-02-0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モータ制御装置 |
US20140209777A1 (en) * | 2013-01-25 | 2014-07-31 | Informericials, Inc. | Trigger actuated clamp for smart phone camera |
KR200474707Y1 (ko) * | 2014-07-12 | 2014-10-07 | 권순근 | 전자기기용 홀더 |
CN203963420U (zh) * | 2014-01-15 | 2014-11-26 | 中山日高精密工业有限公司 | 一种多功能独脚架 |
-
2014
- 2014-12-18 KR KR2020140009372U patent/KR20047779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33207B2 (ja) * | 1994-02-17 | 2001-02-0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モータ制御装置 |
US20140209777A1 (en) * | 2013-01-25 | 2014-07-31 | Informericials, Inc. | Trigger actuated clamp for smart phone camera |
CN203963420U (zh) * | 2014-01-15 | 2014-11-26 | 中山日高精密工业有限公司 | 一种多功能独脚架 |
KR200474707Y1 (ko) * | 2014-07-12 | 2014-10-07 | 권순근 | 전자기기용 홀더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6539B1 (ko) * | 2016-01-08 | 2017-11-10 |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
KR101944380B1 (ko) * | 2017-12-31 | 2019-04-17 |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 스마트폰 홀더 |
KR20200076895A (ko) * | 2018-12-20 | 2020-06-30 | 한상철 | 회전용 양방향 줄자 거치대 |
KR102138984B1 (ko) | 2018-12-20 | 2020-07-28 | 한상철 | 회전용 양방향 줄자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26635B2 (en) | Adjustable mounting clip and system using same | |
US9332170B1 (en) | Telescoping extension | |
KR200477798Y1 (ko) |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 |
US20150102074A1 (en) | Protective handheld electronics case with integrated extension device | |
US20130221169A1 (en) | Portable Platform for Imaging Device | |
KR101022872B1 (ko) | 카메라 거치대 | |
US20100006611A1 (en) | Support apparatus | |
US8869998B2 (en) | Equipment support system for vessels | |
TWI701936B (zh) | 用於可攜裝置之折疊裝置架 | |
US20160021955A1 (en) | Pant Strap | |
WO2014110112A1 (en) | Holster assembly | |
KR20170110253A (ko) | 셀프 촬영용 스마트폰 삼각대 | |
US20140231600A1 (en) | Adjustable support stand for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 |
US9487153B2 (en) | Equipment support system for vessels | |
KR20180001704U (ko) |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셀카봉 | |
WO2018126500A1 (zh) | 自拍杆 | |
FR3026295A1 (fr) | Bretelles souples de maintien de bequilles | |
KR101899251B1 (ko) |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 | |
CA2815072A1 (en) | Adjustable support stand for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 |
KR20160001285U (ko) | 카메라 고정용 연결장치 | |
KR20220154983A (ko) |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 |
KR200471070Y1 (ko) | 스마트폰 지지장치 | |
KR101308042B1 (ko) | 레저용 스틱 | |
US20140267188A1 (en) | Combined touch pen for smartphones | |
CN104055315A (zh) | 拍摄设备的脚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