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380B1 - 스마트폰 홀더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380B1
KR101944380B1 KR1020180112372A KR20180112372A KR101944380B1 KR 101944380 B1 KR101944380 B1 KR 101944380B1 KR 1020180112372 A KR1020180112372 A KR 1020180112372A KR 20180112372 A KR20180112372 A KR 20180112372A KR 101944380 B1 KR101944380 B1 KR 101944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smartphone
smartphone holder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스마트폰 홀더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 두께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압박부재와, 상기 몸체의 상면 두께방향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압박부재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어 제1 압박부재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촬영장치를 압박 고정하는 제2 압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몸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측에 일정 깊이 만큼 함몰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서 연직 하방으로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가장자리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중심에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을 관통하는 체결돌기로 구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홀더{Smartphone holder}
본 발명은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이나 전방위 영상 또는 입체 전방위 영상 등을 찍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파지하는 홀더(holder)에 관한 것이다.
요즘 출시되는 스마트폰에는 거의 대부분 2개의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으며, 일부 고급 기종은 3개의 카메라가 내장되기도 한다. 한편, 스마트폰에 내장되는 카메라의 성능은 점점 좋아져서 이제는 디지털 카메라의 영역을 위협하는 수준이며, 일부 전문가를 제외하고는 굳이 스마트폰과 별도로 카메라를 휴대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 특히 일명 '똑딱이 카메라(point and shoot camera)'라고 불리는 콤팩트 카메라(compact camera)는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하여 존재의 의미마저 위협받고 있다.
이와 더불어 필름 카메라의 시대에는 삼각대의 사용이 일반적이었으나 디지털 카메라가 등장하면서 사진을 찍는데 필요한 변동비가 사실상 0원이 되었고, 삼각대 사용 빈도도 자연스럽게 줄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입체 영상(3D image, stereoscopic image)이나 전방위 영상(panoramic image), 입체 전방위 영상(stereoscopic panoramic image) 등의 전문적인 사진을 찍으려면 삼각대 등 액세서리(accessory)가 필수적이다.
참고 문헌 [특 1]에는 휴대폰 전용의 삼각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참고문헌 [특 2]에는 스마트폰을 일반적인 삼각대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은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 상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와 이동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 및 상기 고정 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고정 수단을 삼각대의 일측에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참고 문헌 [특 3]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기기를 회전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기기 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전방위 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카메라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이 필요한데, 정확한 전방위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가 상기 스마트폰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야 한다. 정확하게는 카메라 렌즈의 마디점(Nodal Point)이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카메라의 마디점이란 카메라를 바늘구멍 사진기로 간주하였을 때 바늘구멍의 위치에 해당하는 점을 의미한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가 작기는 하지만 크기가 0은 아니다. 그런데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의 렌즈가 왜곡이 없는 렌즈, 즉 직선수차보정 렌즈(rectilinear lens)라고 하면, 이 렌즈의 투사 방식은 바늘구멍 사진기(pinhole camera)의 투사 방식과 동일하다고 간주된다. 따라서, 이 마디점이 회전축 상에 위치하도록 스마트폰을 장착시키면 이론적으로 정확한 전방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마디점의 위치는 피사체가 포착된 카메라의 영상으로부터 실험적으로 찾아낼 수도 있으며, 렌즈의 설계도가 있다면 이론적으로 계산하거나 렌즈 설계 프로그램으로도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위 영상이나 입체 전방위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렌즈의 마디점이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야 한다. 또한, 하나의 카메라로 입체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시차 조정을 위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여 두 번의 영상을 촬영하여야 한다. 성인의 두 눈 사이의 간격은 평균적으로 6.4cm라고 간주된다. 따라서 성인이 가장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는 입체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카메라로 먼저 영상을 촬영한 이후에, 가로 방향으로 6.4cm 정도를 이동한 후 두번째 사진을 촬영한 뒤 두 영상을 합성하여야 한다.
좀 더 입체감이 두드러지는 입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대응하여 카메라의 가로 방향의 이동 거리를 조정하여야 한다. 통상 피사체까지의 거리의 30분의 1에 해당하는 만큼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가장 입체감이 뛰어나다고 한다.
즉 전방위 영상이나 입체 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카메라의 위치를 가로 방향이나 세로 방향으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전방위 영상을 촬영하는 동안에 카메라의 렌즈의 광축이 항상 수평면에 위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선행 기술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장치들은 이와 같은 요구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폰 홀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 1] 권상현, "휴대폰 카메라 고정용 삼각대",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0353724호, 등록일 2004년 6월 8일. [특 2] 김재용, "광학 장치 구비 휴대폰을 삼각대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장치",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6-0035830호, 공개일 2006년 4월 27일. [특 3] 장구덕, "휴대기기 홀더", 대한민국 특허 제10-1693298호, 등록일 2016년 12월 30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위 영상이나 입체 영상 또는 입체 전방위 영상을 획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는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스마트폰 홀더에 있어서, 몸체와, 몸체의 상면 두께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압박부재와, 몸체의 상면 두께방향 타측에 위치되며 제1 압박부재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어 제1 압박부재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촬영장치를 압박 고정하는 제2 압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몸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측에 일정 깊이 만큼 함몰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에서 연직 하방으로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결합부; 및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가장자리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결합부와 결합되는 디스크와, 디스크의 중심에서 디스크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통홀을 관통하는 체결돌기로 구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이나 전방위 영상 또는 입체 전방위 영상 등을 찍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를 나타낸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에 스마트폰이 장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에 두 개의 스마트폰이 장착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에서 회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에서 선회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에서 선회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10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를 나타낸 저면측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에 스마트폰이 장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에 두 개의 스마트폰이 장착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1000)는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1)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이나 전방위 영상 또는 입체 전방위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고정부(100), 결합부(200) 및 체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전방위 영상은 고정된 회전 축 상에 카메라의 마디점(nodal point)을 위치시킨 후 카메라를 360도 회전시켜 얻어진 영상을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체 영상은 하나의 카메라로 첫 번째 영상을 촬영한 후, 카메라를 최초 촬영 위치에서 성인의 눈 사이 간격만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두 번째 영상을 촬영하여 합성하는 방법과, 성인의 눈 사이 간격만큼 가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카메라로 동시에 영상을 촬영 후 합성하는 방법을 통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체 전방위 영상은 카메라 방향이 항상 원주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카메라 마디점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지고 회전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고정부(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부(100)는 스마트폰(1)을 압박 고정하여 지정된 임의의 위치에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몸체(110), 제1 압박부재(120), 제2 압박부재(130), 위치조절나사(140) 및 고정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0)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술되는 제1 압박부재(120)와 제2 압박부재(13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슬라이드 홈(111), 결합 단차홈(112), 간격유지 단차홈(113) 및 돌출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몸체(110)는 제1 압박부재(120)가 상기 몸체(110)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제2 압박부재(130)가 몸체(110)의 두께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제1 압박부재(120)와 제2 압박부재(13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다.
슬라이드 홈(11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몸체(110)의 상면에 타측 단부 끝단에서 두께 방향 일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압박부재(130)가 끼워져 상기 슬라이드 홈(1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드 홈(111)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측은 좁고 하측은 넓은 상협하광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 단차홈(112)은 몸체(110)의 두께방향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제1 압박부재(120)가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 단차홈(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측면측 단면이 전체적인 '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과 상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결합 단차홈(112)의 형태적 특성에 의해 제1 압박부재(120)의 하측면과 타측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몸체(110)에 제1 압박부재(120)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 단차홈(112)에 지지된 제1 압박부재(120)의 결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측에 하나 이상의 볼트 홀(도면에 미표시)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홀을 제1 압박부재(120)에 형성함으로써, 결합 단차홈(112)에 지지된 제1 압박부재(120)는 볼트 결합에 의해 몸체(11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결합 단차홈(112)의 형태적 특성에 의해 상기 결합 단차홈(112)에 제1 압박부재(120)가 지지되어 결합이 완료되면, 제1 압박부재(120)와 제2 압박부재(130) 사이에 구비된 스마트폰(1)은 제1 압박부재(120)의 타측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스마트폰(1)의 카메라 마디점이 체결부(300)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간격유지 단차홈(113)은 디스크(310)와 마주보는 몸체(110)의 두께 방향 타측 하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유지 단차홈(113)은 디스크(310)의 상면과 몸체(110)의 하면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결합부(200)의 수용공간(210)에 체결부(300)가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200)가 몸체(11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경우, 몸체(110)의 하면과 체결부(300)의 디스크(310) 상면이 서로 인접하게 되어 사용자가 디스크(310)를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유지 단차홈(113)을 통해 디스크(310)와 마주보는 몸체(110)의 하면과 디스크(310)의 상면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돌출부(114)는 몸체(110)의 두께 방향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슬라이드 홈(111)이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제1 압박부재(120)는 몸체(110)의 상면 두께 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나사홀(121), 눈금 표시부(122) 및 간격유지 돌기(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사홀(121)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압박부재(120)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형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위치조절나사(140)가 체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나사홀(1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나사(140)가 볼트 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볼트 결합은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서로 체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홀에 체결된 볼트가 회전되면, 상기 볼트 결합에 의해 홀은 고정된 상태에서 볼트가 이동되도록 하거나 또는 볼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홀이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눈금 표시부(122)는 제1 압박부재(120)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눈금 표시부(12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0'으로 표시되어 중심을 표시하는 부분이 체결부(300)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스마트폰(1)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위 영상 촬영 시, 카메라의 마디점을 스마트폰 홀더(1000)가 회전되는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위치시켜야 하므로, 사용자가 눈금 표시부(122)를 참고하여 제2 압박부재(130)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카메라가 눈금 표시부(122)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체결부(300)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체 영상 촬영 시, 눈금 표시부(122)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위치를 첫 번째 영상을 촬영하였던 위치에서 성인의 두 눈 사이의 간격인 약 6.4cm 정도를 좌우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두 번째 영상을 촬영한 뒤, 두 영상을 합성하여 성인이 가장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는 입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간격유지 돌기(123)는 제1 압박부재(120)의 하측에 타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몸체(110)의 결합 단차홈(112)에 지지된다.
이러한 간격유지 돌기(123)는 제1 압박부재(120)와 후술되는 제2 압박부재(130) 사이에 스마트폰(1)이 끼워져 고정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1)의 하측면이 밀접하게 되는 바닥면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간격유지 돌기(123)는 제2 압박부재(130) 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제1 압박부재(120)와 제2 압박부재(130) 사이에 스마트폰(1)이 끼워져 고정되면, 스마트폰(1)의 하측면은 상기 간격유지 돌기(123)의 상측면에 밀접하게 되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마트폰(1)에 내장된 카메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박부재(120)의 타측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스마트폰(1)의 카메라 마디점이 체결부(300)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영상의 생성을 위한 입체영상 촬영 또는 전방위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질 수 있도록 한다.
제2 압박부재(130)는 몸체(110)의 상면 두께 방향 타측에 위치되며, 제1 압박부재(120)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되어 제1 압박부재(120)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스마트폰(1)을 압박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슬라이드 결합부재(131) 및 수평 표시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드 결합부재(131)는 제2 압박부재(130)의 하부에 형성되며, 몸체(110)의 슬라이드 홈(111)에 끼워져 상기 제2 압박부재(130)가 몸체(110)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슬라이드 결합부재(131)는 슬라이드 홈(111)에 대응되도록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슬라이드 결합부재(131)가 슬라이드 홈(111)에 끼워진 후, 몸체(110)로부터 제2 압박부재(1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사다리꼴 단면 형상에 의해 편심이 발생되거나 회전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되게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결합부재(131)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형태의 관통홀(13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31-1)은 제1 압박부재(120)에 형성된 나사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위치조절나사(140)가 상기 관통홀(131-1)에 끼워져 관통된 후, 나사홀(121)에 체결된다.
수평 표시부(132)는 제2 압박부재(130)의 상면에 형성되어 기울임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수평 표시부(132)는 수평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수평계는 스마트폰 홀더(1000)의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도와주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물방울의 위치로 수평을 맞추는 아날로그 방식 또는 LED의 표시로 수평을 맞추는 디지털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홀더(1000)가 기울게 설치될 경우, 스마트폰(1)을 회전시켜서 전방위 영상이나 입체 전방위 영상을 획득하더라도, 완벽한 전방위 영상이나 입체 전방위 영상이 얻어지지 못하고, 특히, 수직선이 수직선으로 포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제2 압박부재(130)의 상면에 사용자가 육안으로 스마트폰 홀더(1000)의 기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수평 표시부(132)를 형성함으로써, 지면이 기울어진 곳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보정하여 스마트폰(1) 카메라의 광축이 수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위치조절나사(140)는 제2 압박부재(1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제1 압박부재(120)와 제2 압박부재(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체결 나사부(141), 관통 나사부(142) 및 조절 나사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위치조절나사(140)가 제2 압박부재(130)에 형성된 관통홀(131-1)을 관통한 후, 제1 압박부재(120)에 형성된 나사홀(12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위치조절나사(140)를 회전시키면 제1 압박부재(120)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압박부재(1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압박부재(120)와 제2 압박부재(130)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도록 한다.
체결 나사부(141)는 일측에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홀(12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나사홀(121)에 볼트 결합에 의해 체결된다.
관통 나사부(142)는 체결 나사부(141)의 타측에 형성되고, 관통홀(131-1)에 끼워지며, 외주면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관통 나사부(142)가 관통홀(131-1)에 끼워지면,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위치조절나사(14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관통 나사부(142)의 외주면에는 고정링(150)이 체결되는 고정링 체결 홈(14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링 체결 홈(14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나사부(142) 외주면 일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나사(140)를 관통홀(131-1)에 끼워 관통 나사부(142)가 관통홀(131-1)에 위치되게 한 후, 고정링 체결 홈(142-1)에 고정링(150)이 체결되어 고정되면, 위치조절나사(140)가 슬라이드 결합부재(131)에 자유 회전, 즉 공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절 나사부(143)를 파지한 후 회전시키면, 위치조절나사(14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공회전만 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 나사부(143)를 이용하여 위치조절나사(140)를 회전시키면, 위치조절나사(140)의 회전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결합부재(131)는 슬라이드 홈(111)을 따라 몸체(1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위치조절나사(140)를 이용하여 제1 압박부재(120)와 제2 압박부재(130)의 이격 거리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조절 나사부(143)는 체결 나사부(141)의 타측에 형성되며,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위치조절나사(140)를 조절하는 핸들로 사용된다.
이때, 조절 나사부(143)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하여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마찰을 증가시키는 주름(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링(150)은 위치조절나사(140)의 관통 나사부(142)에 형성된 고정링 체결 홈(142-1)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관통홀(131-1)을 관통한 위치조절나사(140)가 슬라이드 결합부재(13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고정링(150)은 관통홀(131-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 체결 홈(142-1)에 끼워지면, 관통홀(131-1)에 끼워진 위치조절나사(14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 압박부재(120) 및 제2 압박부재(130)는 설계조건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내측 가장자리에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부재가 장착되는 쿠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등의 원료로 사출 제작되어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가지는 제1 압박부재(120) 및 제2 압박부재(130)가 스마트폰(1)과 직접 접촉 시, 스마트폰(1)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스마트폰(1)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져 스마트폰(1)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결합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결합부(200)는 고정부(100)의 하측에 결합되며, 후술되는 체결부(3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수용공간(210), 연통홀(220) 및 위치 가이드 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결합부(200)는 고정부(100)의 몸체(110) 하면에 결합된다.
수용공간(210)은 결합부(200)의 상측에 하측으로 일정 깊이만큼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후술되는 체결부(300)가 수용공간(210)으로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체결부(300)가 수용공간(210)에 삽입되면, 체결부(300) 일부분이 수용공간(210)의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연통홀(220)은 수용공간(210)에서 연직 하방으로 연통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통홀(220)은 수용공간(210)으로 삽입된 체결부(300)의 체결돌기(320)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체결부(300)가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가이드 돌기(23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결합부(200)의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연통홀(220)을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가이드 돌기(230)는 스마트폰 홀더(1000)가 후술되는 회전부(400) 또는 선회부(500)와 결합되는 경우, 십자 형태로 배치된 위치 가이드 돌기(230)가 회전부(400) 또는 선회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 홀더(1000)와 회전부(400) 또는 선회부(500)가 결합되는 각도를 90도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회전부(400)를 통해 스마트폰 홀더(1000)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선회부(500)를 통해 스마트폰 홀더(1000)가 회전과 선회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1)에 내장된 카메라가 회전부(400) 또는 선회부(500)에 대한 상대적 회전변위를 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스마트폰 홀더(1000)는 회전부(400) 또는 선회부(500)와 볼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마트폰(1)이 장착된 스마트폰 홀더(1000)를 회전시키거나 선회시킬 경우, 볼트 결합이 풀리거나 스마트폰 홀더(1000)가 겉도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십자 형태의 위치 가이드 돌기(230)가 십자 형태로 이루어져 대응되는 형태의 홈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볼트 결합이 풀리거나 또는 스마트폰 홀더(1000)가 겉도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체결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체결부(300)는 결합부(200)에 형성된 수용공간(210)에 위치되며, 스마트폰 홀더(10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400) 또는 스마트폰 홀더(1000)를 선회시키거나 회전과 선회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선회부(50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디스크(310) 및 체결돌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크(310)는 원형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용공간(210)에 위치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00)의 전후 방향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디스크(31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하여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마찰을 증가시키는 주름(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320)는 디스크(310)의 중심에서 상기 디스크(310)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부(200)의 하측에 형성된 연통홀(2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돌기(320)의 바닥면이 위치되는 높이는 위치 가이드 돌기(230)의 바닥면이 위치되는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거나 또는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결합부(200)의 하면이 지면과 접하게 놓여질 경우, 지면에 위치 가이드 돌기(230)의 바닥면이 접촉되거나 또는 위치 가이드 돌기(230)와 체결돌기(320)의 바닥면이 함께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스마트폰 홀더(100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체결돌기(320)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연통된 체결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홀(321)은 후술되는 회전부(400) 또는 선회부(500)가 스마트폰 홀더(100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 결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압박부재(120)와 제2 압박부재(130) 사이에 스마트폰(1)을 끼운 후, 위치조절나사(140)를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박부재(130)가 제1 압박부재(120) 측으로 이동되어 스마트폰(1)의 겉면을 압박함으로써, 스마트폰 홀더(1000)에 스마트폰(1)이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홀더(1000)는 제1 압박부재(120)와 제2 압박부재(130)의 높이(H) 및 제1 압박부재(120)와 제2 압박부재(130)의 너비(W)가 적당한 값을 가지므로, 제1 압박부재(120)와 제2 압박부재(130)를 이용하여 2개의 스마트폰(1)을 동시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적당한 값은 높이(H)와 너비(W)가 약 1:1.8 ~ 1:2.2의 비율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비율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박부재(120)와 제2 압박부재(130)가 높이(H)이 비해 상대적으로 너비(W)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일반적인 스마트폰(1)의 형태가 상,하측 길이가 좌,우측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압박부재(120)의 상단 위쪽에 스마트폰(1)의 카메라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압박부재(120) 및 제2 압박부재(13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비어있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비어있는 공간에 스마트폰(1)의 카메라만 위치시키게 되면, 스마트폰(1)을 가로로 뉘어서 촬영이 가능하며, 이에, 인물 사진 모드(portrait mode)뿐만 아니라 풍경 사진 모드(landscape mode)로 장착을 하더라도 프레임 중간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용이하게 촬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회전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에서 회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회전부(400)는 스마트폰 홀더(100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지지부재(410) 및 회전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부(400)는 후술되는 회전부재(420)의 체결볼트(421)가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볼트(421)가 체결부(300)의 체결돌기(320)에 형성된 체결홀(321)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회전부(400) 상측에 스마트폰 홀더(100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체결볼트(421)는 체결홀(321)에 체결됨에 따라, 회전부(400)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스마트폰 홀더(1000)의 회전축은 상기 체결홀(321)의 중심축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스마트폰 홀더(1000)에 고정된 스마트폰(1)의 카메라와도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전방위 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재(410)는 회전부(400)가 지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회전부재(4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지지부재(410)는 모터가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부재(420)가 회전되도록 한다.
회전부재(420)는 지지부재(4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체결볼트(421) 및 위치 가이드 홈(4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볼트(421)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부재(420)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체결부(300)의 체결돌기(320)에 형성된 체결홀(321)에 끼워져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볼트(421)는 중심축이 지지부재(410)로부터 회전부재(420)가 회전되는 회전축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 가이드 홈(422)은 회전부재(420) 상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체결볼트(421)를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가이드 홈(42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00) 하단에 형성된 위치 가이드 돌기(230)에 대응되도록 십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위치 가이드 돌기(230)와 위치 가이드 홈(422)은 십자 형태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결합부(200)와 회전부(400)가 결합되는 각도를 90도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위치 가이드 돌기(230)는 십자형으로 배치된 4개의 돌기로 구성되기 때문에, 위치 가이드 홈(4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삼각대에도 문제없이 장착이 가능하여 일반적인 입체 영상(3d image, stereoscopic image)을 획득이 가능함으로써, 스마트폰 홀더(1000)의 활용 범위가 매우 넓은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회전부(400)는 회전축이 스마트폰 홀더(1000)에 고정된 스마트폰(1)의 카메라 마디점(nodal point)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고정된 회전 축 상에서 스마트폰 홀더(1000)에 고정된 스마트폰(1)의 카메라를 360도 회전시켜 얻은 영상을 기반으로 전방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폰 홀더(1000)에 고정된 스마트폰(1)을 통해 첫 번째 영상을 촬영한 이후, 눈금 표시부(122)를 이용하여 성인의 눈 사이 간격만큼 스마트폰(1)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켜 두 번째 영상을 촬영한 후, 촬영된 두 영상을 합성하는 방법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홀더(1000)에 2개의 스마트폰(1)을 성인의 눈 사이 간격만큼 가로 방향으로 이격시켜 고정한 이후, 2개의 카메라로 동시에 영상을 촬영한 후, 촬영된 두 영상을 합성하는 방법을 통해 입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선회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에서 선회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스마트폰 홀더에서 선회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선회부(500)는 입체 전방위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스마트폰(1)의 카메라 방향이 항상 원주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카메라 마디점이 회전부(4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을 갖고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부(400)와 스마트폰 홀더(1000) 사이를 연결하는 선회암(circling arm, 5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선회암(510)은 선회암 체결홀(511), 선회암 체결볼트(512) 및 선회암 위치 가이드 홈(5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회암 체결홀(511)은 선회암(510)의 타측에 연직 하방으로 연통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회암 체결홀(511)은 선회부(500)가 회전부(400) 상측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부(400)의 회전부재(420)에 구비된 체결볼트(421)와 볼트 결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선회암 체결홀(51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암(5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라운드 처리된 긴 직사각형(rounded long rectangle) 형태로 이루어진 선회암 체결홀(511)에 회전부(400)의 체결볼트(421)가 삽입되어 상기 선회암 체결홀(5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 후, 고정부재(423)를 통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부(400)의 체결볼트(421)와 스마트폰 홀더(10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회전축이 되는 체결볼트(421)와 스마트폰 홀더(1000) 사이의 반경(R)을 조절할 수 있어, 회전반경의 조절에 따른 다양한 입체 전방위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반경(R)은 회전부(400)의 체결볼트(421) 중심과 선회부(500)의 선회부 체결볼트(512)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상기 체결볼트(421)와 선회부 체결볼트(512)는 평행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선회암 체결홀(511)의 길이를 표시하는 눈금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눈금은 라운드 처리된 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선회암 체결홀(511)에 회전부(400)의 체결볼트(42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볼트(421), 즉 회전축과 선회암(510) 일측에 결합되는 스마트폰 홀더(1000)와의 거리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회전부(400)의 체결볼트(421)를 회전축으로 하여 스마트폰 홀더(1000)가 선회되는 반경(R)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선회암 체결볼트(512)는 회전부(400)의 체결볼트(42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선회암(510)의 일측 상단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회암 체결볼트(512)는 체결부(300)의 체결돌기(320)에 형성된 체결홀(321)에 끼워져 체결된다.
선회암 위치 가이드 홈(513)은 회전부(400)의 위치 가이드 홈(42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선회암(510)의 일측 상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선회암 체결볼트(512)를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선회암 위치 가이드 홈(51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00) 하단에 형성된 위치 가이드 돌기(230)에 대응되도록 십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선회암 체결볼트(512)에 스마트폰 홀더(1000)가 결합되는 경우, 위치 가이드 돌기(230)가 상기 선회암 위치 가이드 홈(513)에 끼워짐으로써, 안정된 결합이 가능하다.
이때, 십자 형태로 이루어진 선회암 위치 가이드 홈(513)은 90도 간격을 가지는 4개의 개별 홈으로 구성되되, 4개의 개별 홈 중 2개의 홈은 선회암(510)의 길이 방향, 즉 반경(R)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나머지 2개의 홈은 반경(R)과 수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회전부(400) 및 선회부(500)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마트폰(1)이 고정된 스마트폰 홀더(1000)가 선회부(500)의 타측에 고정되어 스마트폰(1)의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촬영하는 방향)이 선회암(510)의 반경(R)과 평행하도록 고정되고, 회전부(400)에 선회부(500)의 타측이 선회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이에, 회전부(400)의 체결볼트(421))를 회전축으로 스마트폰 홀더(1000)에 고정된 스마트폰(1)의 카메라 마디점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경(R)을 유지하는 동시에,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촬영하는 방향)이 반경(R)과 평행한 상태에서 회전부(400)가 회전됨으로써, 입체 전방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 스마트폰 1000 : 스마트폰 홀더
100 : 고정부 110 : 몸체
111 : 슬라이드 홈 112 : 결합 단차홈
113 : 간격유지 단차홈 114 : 돌출부
120 : 제1 압박부재 121 : 나사홀
122 : 눈금 표시부 123 : 간격유지 돌기
130 : 제2 압박부재 131 : 슬라이드 결합부재
131-1 : 관통홀 132 : 수평 표시부
140 : 위치조절나사 141 : 체결 나사부
142 : 관통 나사부 142-1 : 고정링 체결 홈
143 : 조절 나사부 150 : 고정링
200 : 결합부 210 : 수용공간
220 : 연통홀 230 : 위치 가이드 돌기
300 : 체결부 310 : 디스크
320 : 체결돌기 321 : 체결홀
400 : 회전부 410 : 지지부재
420 : 회전부재 421 : 체결볼트
422 : 위치 가이드 홈 423 : 고정부재
500 : 선회부 510 : 선회암
511 : 선회암 체결홀 512 : 선회암 체결볼트
513 : 선회암 위치 가이드 홈

Claims (13)

  1.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1)을 고정하는 스마트폰 홀더(1000)에 있어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면 두께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압박부재(120)와, 상기 몸체(110)의 상면 두께방향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압박부재(120)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어 제1 압박부재(120)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촬영장치를 압박 고정하는 제2 압박부재(130)를 포함하는 고정부(100);
    상기 몸체(110)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측에 일정 깊이 만큼 함몰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10)에서 연직 하방으로 연통하는 연통홀(220)이 형성되는 결합부(200); 및
    상기 수용공간(210)에 위치되고, 가장자리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200)와 결합되는 디스크(310)와, 상기 디스크(310)의 중심에서 상기 디스크(310)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220)을 관통하는 체결돌기(320)로 구성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110)는 상면에 두께 방향 타측 단부 끝단에서 두께 방향 일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압박부재(130)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111)에 대응되는 슬라이드 결합부재(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111)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수평방향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재(131)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홀(131-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재(131)와 마주보는 상기 제1 압박부재(120)에 나사홀(12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31-1)을 통과하여 상기 나사홀(121)과 체결되는 위치조절나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두께방향 일측 상부에 상기 제1 압박부재(120)가 고정 결합되는 결합 단차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310)와 마주보는 두께방향 타측 하부에 간격유지 단차홈(113)이 형성되며, 두께방향 타측 상부에 위치된 돌출부(114)에 슬라이드 홈(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부재(120)의 두께 방향 타측면 중심과, 상기 체결부(300)의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0)는 하면에 상기 연통홀(220)을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배치되는 위치 가이드 돌기(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가이드 돌기(230)의 높이가, 상기 연통홀(220) 외부로 돌출된 상기 체결돌기(320)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부재(120)의 상면에, 상기 체결부(300)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 압박부재(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눈금 표시부(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박부재(130)의 상면에 기울임을 표시하는 수평 표시부(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홀더(100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 홀더(10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부(400)는
    지지부재(410); 및
    상기 지지부재(410)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체결돌기(320)와 결합되는 체결볼트(421)가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볼트(421)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홀더(1000)와 회전부(400)를 연결하는 선회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선회부(500)는
    일측 상단에 스마트폰 홀더(1000)가 결합되고, 타측 하단에 회전부(400)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4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스마트폰 홀더(1000)을 일정 반경(R)으로 선회시키는 선회암(5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선회암(510)은
    상기 선회암(510)의 타측에 연직 하방으로 연통되는 선회암 체결홀(511);
    상기 선회암(510)의 일측 상단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선회암 체결볼트(512); 및
    상기 선회암(510)의 일측 상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회암 체결볼트(512)를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배치되는 선회암 위치 가이드 홈(5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홀더.
KR1020180112372A 2017-12-31 2018-09-19 스마트폰 홀더 KR101944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5023 2017-12-31
KR20170185023 2017-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380B1 true KR101944380B1 (ko) 2019-04-17

Family

ID=6628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372A KR101944380B1 (ko) 2017-12-31 2018-09-19 스마트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38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211A (ja) * 2002-11-05 2004-06-03 Kihara Takahiko カメラ付き携帯電話の三脚装置
KR20060035830A (ko) 2004-10-20 2006-04-27 주식회사 팬택 광학 장치 구비 휴대폰을 삼각대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장치
KR20110076303A (ko) * 2009-12-29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어셈블리
KR200477798Y1 (ko) * 2014-12-18 2015-07-24 권순근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US20160165025A1 (en) * 2014-12-08 2016-06-09 Ortek Technology, Inc. Holder for clamping and wirelessly triggering mobile terminal device
KR101693298B1 (ko) 2015-03-06 2017-01-05 장구덕 휴대기기 홀더
WO2017118838A1 (en) * 2016-01-04 2017-07-13 Pejman Tajvand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211A (ja) * 2002-11-05 2004-06-03 Kihara Takahiko カメラ付き携帯電話の三脚装置
KR20060035830A (ko) 2004-10-20 2006-04-27 주식회사 팬택 광학 장치 구비 휴대폰을 삼각대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장치
KR20110076303A (ko) * 2009-12-29 201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어셈블리
US20160165025A1 (en) * 2014-12-08 2016-06-09 Ortek Technology, Inc. Holder for clamping and wirelessly triggering mobile terminal device
KR200477798Y1 (ko) * 2014-12-18 2015-07-24 권순근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KR101693298B1 (ko) 2015-03-06 2017-01-05 장구덕 휴대기기 홀더
WO2017118838A1 (en) * 2016-01-04 2017-07-13 Pejman Tajvand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 1] 권상현, "휴대폰 카메라 고정용 삼각대",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0353724호, 등록일 2004년 6월 8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7717B2 (ja) 携帯用折り畳み式仮想現実機器
US10718464B2 (en) Tripod head
CA2912709C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 tablet device used with a camera
KR101297835B1 (ko) 입체영상 촬영용 카메라 장착리그
JP2021508069A (ja) イメージング装置
TWM521202U (zh) 以線性及旋轉同步連動之攝影旋轉調校裝置
KR20170004532A (ko) 광각 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KR101944380B1 (ko) 스마트폰 홀더
US9354492B2 (en) Camera mount assembly,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s thereof
TWI649610B (zh) 鏡頭傳動機構及其攝影裝置
US20080310834A1 (en) Camera Holding Device
KR20030096205A (ko) 아크레일 파노라마 헤드 회전 슬라이드 촬영 장치
KR101297836B1 (ko) 입체영상 촬영용 휴대폰 장착리그
US7409153B2 (en) Stereoscopic universal digital camera adapter
US20200387053A1 (en) Foldable camera stand
KR20160001330A (ko)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KR102596490B1 (ko) 촬상 장치
CN201298136Y (zh) 全景水平竖拍接片仪
US11042036B2 (en) Device mount for mixed-reality capture
KR20110006501U (ko) 휴대폰의 셀프동영상 기능을 보조하는 휴대폰거치대
WO1998027457A1 (en) Method and mechanism for automatic opposing alignment of photographic image capture
US9609186B2 (en) Receptacle for an image capture computing device and a stabilization device
JP5784922B2 (ja) 撮像装置取付器具
CN109210326A (zh) 智能手机用微距拍摄仪
JP3163052B2 (ja) 立体顕微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