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298B1 - 휴대기기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298B1
KR101693298B1 KR1020150031579A KR20150031579A KR101693298B1 KR 101693298 B1 KR101693298 B1 KR 101693298B1 KR 1020150031579 A KR1020150031579 A KR 1020150031579A KR 20150031579 A KR20150031579 A KR 20150031579A KR 101693298 B1 KR101693298 B1 KR 101693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er
fixing
adapter
protrusion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950A (ko
Inventor
장구덕
Original Assignee
장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구덕 filed Critical 장구덕
Priority to KR1020150031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298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기기를 파지하는 그리퍼부; 상기 그리퍼부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스탠드부; 및 상기 그리퍼부를 상기 스탠드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스탠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그리퍼부에 삽입되는 결합돌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및 일단이 상기 어댑터를 관통하여 상기 그리퍼부에 결합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어댑터를 가압하는 노브(knob)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홀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기기 홀더{HODER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기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기기를 회전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기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PMP(portable media player)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플레이어,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전화 등과 같은 장치가 소형화되면서 동시에 기능이 통합되어가는 추세이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기기가 상기와 같은 장치들의 기능을 통합하게 되면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던 것을 야외나 자동차에서도 사용하는 경우가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가 영상 및 동영상 촬영 등을 위해 야외에서 사용되는 경우 휴대기기를 삼각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또한, 휴대기기가 자동차에서 네비게이션 또는 DMB 시청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휴대기기를 자동차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35830호(2006. 04. 27 공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기기를 회전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기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기기를 파지하는 그리퍼(gripper)부; 상기 그리퍼부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스탠드부; 및 상기 그리퍼부를 상기 스탠드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스탠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그리퍼부에 삽입되는 결합돌부를 포함하는 어댑터(adapter); 및 일단이 상기 어댑터를 관통하여 상기 그리퍼부에 결합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어댑터를 가압하는 노브(knob)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홀더가 제공된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결합돌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스탠드부에 접촉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부의 외주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그리퍼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를 관통한 상기 고정돌부의 단부에 외주를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며, 상기 어댑터를 지지하여 상기 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리퍼부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합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부에는 상기 결합 리브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리퍼부는, 제1 그리퍼; 및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향하여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리퍼부는, 상기 제1 그리퍼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그리퍼의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 상기 제2 그리퍼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제2 그리퍼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과 나사 결합되며, 나사 결합에 따라 상기 제2 그리퍼의 이동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기기를 회전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의 절단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의 그리퍼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의 결합 단계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의 그리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A-A' 방향을 따라 취한 절단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의 그리퍼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의 결합 단계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고,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의 그리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는, 그리퍼부(10), 스탠드부(30), 스탠드 홀(31), 고정홀(33), 연결부(50), 제1 그리퍼(110), 제1 안착부(111), 가이드 블록(113), 가이드 홈(115), 제2 그리퍼(120), 제2 안착부(121), 가이드 바(123), 조절볼트(130), 조절볼트 헤드(131), 조절볼트 나사(133), 수용부(140), 수용부 홈(141), 결합 리브(143), 어댑터(510), 지지 플레이트(513), 결합돌부(515), 어댑터 홀(517), 결합홈(519), 고정부(530), 고정돌부(531), 노브(535), 고정홈(537), 고정링(55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는, 휴대기기를 파지하는 그리퍼부(10)와; 그리퍼부(10)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스탠드(stand)부(30); 및 그리퍼부(10)를 스탠드부(3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부(50)를 포함하며, 연결부(50)는, 일단부가 스탠드부(30)를 관통하여 그리퍼부(10)에 삽입되는 결합돌부(515)를 포함하는 어댑터(510); 및 일단이 어댑터(510)를 관통하여 그리퍼부(10)에 결합되는 고정돌부(531)와, 고정돌부(531)의 타단에 결합되며 어댑터(510)를 가압하는 노브(knob, 535)를 포함하는 고정부(530)를 포함하여,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기기를 회전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퍼부(10)는 휴대기기를 파지한다. 그리퍼부(10)는 제1 그리퍼(110) 및 제2 그리퍼(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그리퍼(120)가 제1 그리퍼(11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기기의 크기에 따라 폭을 조절하여 휴대기기를 파지한다. 그리퍼부(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관계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스탠드부(30)는 그리퍼부(10)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킨다. 스탠드부(30)는 수평부(35) 및 수직부(37)를 포함하여 대략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35)에는 고정홀(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홀(33)을 통해 삼각대(미도시)에 고정되거나, 자동차의 내부에 볼트, 나사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수직부(37)는 수평부(35)의 단부에 수직하도록 형성되며, 후술할 연결부(50)를 통해 그리퍼부(1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부(50)는, 그리퍼부(10)를 스탠드부(3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부품으로서, 일단부가 스탠드부(30)를 관통하여 그리퍼부(10)에 삽입되는 결합돌부(515)를 포함하는 어댑터(510); 및 일단이 어댑터(510)를 관통하여 스탠드부(30)에 결합되는 고정돌부(531)와, 고정돌부(531)의 타단에 결합되며 어댑터(510)를 가압하는 노브(535)를 고정하는 고정부(530)를 포함한다.
어댑터(510)는 결합돌부(515) 및 지지 플레이트(513)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513)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고정부(530)에 의해 가압되어 스탠드부(30)에 접촉됨으로써 어댑터(510)의 회전을 제어한다. 결합돌부(515)는 지지 플레이트(513)에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되며, 일단부가 스탠드부(30)의 스탠드 홀(31)을 관통하여 그리퍼부(10)에 삽입되어 그리퍼부(10)와 체결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그리퍼부(10)에는 결합돌부(515)가 수용되는 수용부(140)가 형성되고, 수용부(140)의 내측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합 리브(143)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돌부(515)에는 결합 리브(143)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결합홈(519)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퍼부(10)에는 결합돌부(515)에 대향하여 수용부가(140)가 형성되며, 수결합돌부(515)가 수용부(140)에 삽입된다. 수용부(140)는 내측의 중앙에 수용부 홈(141)이 형성되고 수용부 홈(14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합 리브(143)가 형성된다.
어댑터(510)의 결합돌부(515)에는 결합 리브(143)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결합홈(519)이 형성되며, 결합 리브(143)가 결합홈(519)에 삽입되어 어댑터(510)가 그리퍼부(10)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어댑터(510)의 회전시 어댑터(510)에 체결되는 그리퍼부(10)가 어댑터(510)와 함께 회전된다.
고정부(530)는, 어댑터(510)를 관통하여 그리퍼부(10)에 결합되는 고정돌부(531)와, 고정돌부(531)의 타단에 결합되며 어댑터(510)를 가압하는 노브(535)를 포함한다. 고정돌부(531)는 노브(535)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어댑터(510)의 어댑터 홀(517)을 관통하여 그리퍼부(10)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부(530)를 그리퍼부(10)에 고정시킨다. 노브(535)는 고정돌부(531)의 타단에 결합되며 어댑터(510)를 가압하여 어댑터(510)를 스탠드부(30)에 밀착시켜 어댑터(510)의 회전을 조절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어댑터(510)를 관통한 고정돌부(531)의 단부의 외주에는 고정홈(537)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530)는 고정홈(537)에 삽입되며 어댑터(510)를 지지하여 고정부(5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550)은 "C"형 링일 수 있다. 고정링(550)은 고정부(530)의 고정돌부(531)가 어댑터(510)의 어댑터 홀(517)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홈(537)에 삽입되고 지지 플레이트(513)에 접촉 지지되어 고정부(530)와 어댑터(5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를 참조하여 그리퍼부(10)가 스탠드부(30)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의 <a>는 그리퍼부(10), 스탠드부(30), 어댑터(510), 고정부(53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고정부(530)와 어댑터(51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의 <c>는 고정부(530)와 어댑터(5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탠드부(30)에 삽입되어 고정부(530)가 그리퍼부(10)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고정부(530)의 고정돌부(531)가 어댑터 홀(517)을 관통하여 어댑터(510)와 고정부(530)가 결합된다.
도 5의 <b> 및 <c>를 참조하면, 고정부(530)와 어댑터(5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어댑터(510)의 결합돌부(515)가 스탠드부(30)의 스탠드 홀(31)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어댑터(510)가 스탠드부(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결합돌부(515)의 결합홈(519)에 그리퍼부(10)의 수용부(140)에 형성되는 결합 리브(143)가 삽입되어 어댑터(510)가 그리퍼부(10)에 체결된다. 한편, 고정부(530)의 고정돌부(531)의 외주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고정돌부(531)는 그리퍼부(10)에 결합된다. 그리퍼부(10)의 수용부(140)의 중심에는 수용부 홈(14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수용부 홈(141)의 내측에는 고정돌부(531)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부(530)가 그리퍼부(10)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고정부(530)의 노브(535)가 어댑터(510)의 지지 플레이트(513)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513)를 스탠드부(30)에 밀착시켜 어댑터(510)를 고정하거나 지지 플레이트(513)를 스탠드부(30)로부터 밀착을 완화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530)가 어댑터(510)에 결합되고 어댑터(510)가 스탠드부(30)에 결합되어 어댑터(510)가 그리퍼부(10)에 결합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예의 고정부(530), 어댑터(510), 스탠드부(30), 그리퍼부(10)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그리퍼부(10)가 스탠드부(30)에 대하여 회전되어 고정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노브(535)에 의해 어댑터(510)의 지지 플레이트(513)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도록 고정부(530)의 노브(535)를 회전시킨다. 노브(535)의 회전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513)와 스탠드부(30)의 밀착이 완화되어 지지 플레이트(513)와 스탠드부(30) 사이의 마찰력이 약화되고, 스탠드부(30)와 수용부(140)의 접촉면 사이의 마찰력 또한 약화된다. 스탠드부(30)와 지지 플레이트(513)의 마찰력 및 스탠드부(30)와 수용부(140)의 접촉면의 마찰력이 약화되면 어댑터(51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어댑터(510)와 체결된 그리퍼부(10)의 회전도 가능해진다. 이후, 사용자는 그리퍼부(10)를 파지한 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그리퍼부(10)를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노브(53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돌부(531)와 수용부(140)의 나사 결합에 의해 노브(535)가 지지 플레이트(513) 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노브(535)가 어댑터(510)의 지지 플레이트(513)를 가압한다. 지지 플레이트(513)가 가압됨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513)가 스탠드부(30)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스탠드부(30)가 수용부(140)에 밀착된다. 밀착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513)와 스탠드부(30) 사이의 마찰력 및 스탠드부(30)와 수용부(140)의 접촉면 사이의 마찰력이 강화되어 어댑터(510)가 고정되고, 어댑터(510)가 고정됨에 따라 어댑터(510)에 체결된 그리퍼부(10)가 스탠드부(3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로 휴대기기를 회전시키면서 휴대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홀더의 그리퍼부(10)는, 제1 그리퍼(110); 및 제1 그리퍼(110)에 대향하여 제1 그리퍼(11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그리퍼(120)를 포함한다.
그리퍼부(10)는 휴대기기를 파지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 그리퍼(110) 및 제2 그리퍼(120)를 포함한다. 제1 그리퍼(110)는 수용부(140)가 형성되어 스탠드부(30)에 고정되며, 일단에는 절곡 형성되는 제1 안착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그리퍼(120)는 제1 그리퍼(11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제1 안착부(111)와 대향하는 제2 안착부(121)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11) 및 제2 안착부(121)는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한다. 또한, 제2 그리퍼(120)의 이동에 따라 제1 그리퍼(110)와 제2 그리퍼(120)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휴대기기를 파지할 수 있다.
한편, 그리퍼부(10)는, 제1 그리퍼(110)에 형성되며 제2 그리퍼(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15)이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113); 제2 그리퍼(120)에 형성되며 가이드 홈(115)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바(123); 및 제2 그리퍼(120)를 관통하여 가이드 블록(113)과 나사 결합되며, 나사 결합에 따라 제2 그리퍼(120)의 이동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볼트(13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 블록(113)은 내부에 제2 그리퍼(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115)이 형성되며, 제1 그리퍼(110)에 결합된다. 가이드 바(123)는 제2 그리퍼(120)에 제1 그리퍼(110)의 가이드 홈(115)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며, 가이드 홈(115)에 삽입된다. 가이드 바(123)가 가이드 홈(115)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대기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1 그리퍼(110)와 제2 그리퍼(12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바(123)와 가이드 홈(115)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볼트(130)는 제2 그리퍼(120)를 관통하여 가이드 블록(113)과 나사 결합되며, 나사 결합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제2 그리퍼(120)의 이동 길이를 조절하여 제1 그리퍼(110)와 제2 그리퍼(120)의 폭을 조절한다. 조절볼트(130)는 조절볼트 헤드(131)와 조절볼트 나사(1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절볼트 나사(133)는 외주에는 가이드 홈(115)에 형성되는 나사홈과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조절볼트 헤드(131)는 제2 그리퍼(120)의 상면에 위치하며,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조절볼트 헤드(131)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볼트 나사(133)를 이동시켜 제2 그리퍼(120)의 이동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볼트(130)와 가이드 블록(113)의 나사 결합에 의해 그리퍼부(10)는 더욱 안정적으로 휴대기기를 파지할 수 있다. 한편, 조절볼트 헤드(131)는 노브(knob) 형태일 수 있으며, 조절볼트 헤드(131)와 조절볼트 나사(133)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제작되어 나사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그리퍼(gripper)부 30: 스탠드(stand)부
31: 스탠드 홀 33: 고정홀
35: 수평부 37: 수직부
50: 연결부 110: 제1 그리퍼
111: 제1 안착부 113: 가이드 블록
115: 가이드 홈 120: 제2 그리퍼
121: 제2 안착부 123: 가이드 바
130: 조절볼트 131: 조절볼트 헤드
133: 조절볼트 나사 140: 수용부
141: 수용부 홈 143: 결합 리브(rib)
510: 어댑터(adapter) 513: 지지 플레이트
515: 결합돌부 517: 어댑터 홀
519: 결합홈 530: 고정부
531: 고정돌부 535: 노브(knob)
537: 고정홈 550: 고정링

Claims (7)

  1. 휴대기기를 파지하는 그리퍼(gripper)부;
    상기 그리퍼부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스탠드(stand)부; 및
    상기 그리퍼부를 상기 스탠드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스탠드부를 관통하여 상기 그리퍼부에 삽입되는 결합돌부를 포함하는 어댑터(adapter); 및
    일단이 상기 어댑터를 관통하여 상기 그리퍼부에 결합되는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돌부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어댑터를 가압하는 노브(knob)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결합돌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스탠드부에 접촉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부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결합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부에는 상기 결합 리브가 삽입되도록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의 외주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그리퍼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홀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를 관통한 상기 고정돌부의 단부에 외주를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며, 상기 어댑터를 지지하여 상기 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홀더.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부는,
    제1 그리퍼; 및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향하여 상기 제1 그리퍼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부는,
    상기 제1 그리퍼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그리퍼의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블록;
    상기 제2 그리퍼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제2 그리퍼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과 나사 결합되며, 나사 결합에 따라 상기 제2 그리퍼의 이동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더 포함하는, 휴대기기 홀더.
KR1020150031579A 2015-03-06 2015-03-06 휴대기기 홀더 KR101693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579A KR101693298B1 (ko) 2015-03-06 2015-03-06 휴대기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579A KR101693298B1 (ko) 2015-03-06 2015-03-06 휴대기기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950A KR20160107950A (ko) 2016-09-19
KR101693298B1 true KR101693298B1 (ko) 2017-01-05

Family

ID=5710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579A KR101693298B1 (ko) 2015-03-06 2015-03-06 휴대기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380B1 (ko) 2017-12-31 2019-04-17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스마트폰 홀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7345A1 (en) * 2011-04-05 2012-10-11 Hulet Kelvin G Tripod adapter or stan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101319100B1 (ko) * 2012-09-24 2013-10-17 장대규 회전이 용이한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탈부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830A (ko) 2004-10-20 2006-04-27 주식회사 팬택 광학 장치 구비 휴대폰을 삼각대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7345A1 (en) * 2011-04-05 2012-10-11 Hulet Kelvin G Tripod adapter or stan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101319100B1 (ko) * 2012-09-24 2013-10-17 장대규 회전이 용이한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탈부착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검색, "엑소기어 스마트폰 거치대", http://m.blog.daum.net/_blog/_m/articleView.do?blogid=0Q1KO&articleno=13882#, 2014.12.08.*
인터넷 검색, "회전가능한 휴대 단말 마운트", http://holdersandmounts.co.uk/full-swivel-htc-one-x-console-dash-mount-by-herbert-richter-universal.html", 2012.05.2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380B1 (ko) 2017-12-31 2019-04-17 주식회사 에스360브이알 스마트폰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950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6487B2 (en) Portable electronics case with support stand
US7611109B2 (en) Electronic device hanging mechanism
US8136780B2 (en) Auxiliary securely holding device for electronic appliance
US8720837B2 (en) Support frame for electronic device
US7572073B2 (en) Camera support mechanism
US7441981B2 (en) Coupler for a mount system
US7669816B2 (en) Clamp for mount system
US7384021B2 (en) Rotation mechanism for televisions
US20130148951A1 (en) Holding device for camera and camera device having the same
US9445512B2 (en) Holder having adjustable clamping orientation
US20130270850A1 (en) Holder and support apparatus
US20160230921A1 (en) Structure for cradle head
US20150351531A1 (en) Smartphone or tablet mounting device and method
US8282057B2 (en) Sucker attachment device having direction adjustable function
US20050092873A1 (en) Pivotal shaft assembly for a plane display
US20170188123A1 (en) Articulating, self retained on-wall bracket mounting system
US8294815B2 (en) Camera support device
US10428997B2 (en) Mounting member
TWI536681B (zh) 夾持結構、電子裝置及夾持件
US20130017034A1 (en) Screw assembly
KR101693298B1 (ko) 휴대기기 홀더
US20150184797A1 (en) Connecting structure
US20120032041A1 (en) Supporting bracket with positioning column and telescopic post with positioning column
WO2017113891A1 (zh) 转接结构及手持拍摄设备
KR101543606B1 (ko) 파라솔용 각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