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539B1 -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539B1
KR101796539B1 KR1020160002764A KR20160002764A KR101796539B1 KR 101796539 B1 KR101796539 B1 KR 101796539B1 KR 1020160002764 A KR1020160002764 A KR 1020160002764A KR 20160002764 A KR20160002764 A KR 20160002764A KR 101796539 B1 KR101796539 B1 KR 101796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mobile terminal
camera unit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376A (ko
Inventor
이용수
진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Priority to KR102016000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539B1/ko
Priority to PCT/KR2016/011211 priority patent/WO2017119575A1/ko
Publication of KR20170083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5/2258
    • H04N5/23238
    • H04N5/23277
    • H04N5/23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에 별도의 외장카메라를 장착하여 모바일 단말의 내장카메라부와 함께 이용함으로써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에 별도의 외장카메라를 장착하여 모바일 단말의 내장카메라와 함께 이용함으로써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 내장 카메라는 고급 카메라 못지 않은 성능을 발휘하고 있어 사용자들은 별도의 카메라를 소지하기보다는 모바일 단말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충분한 만족감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의 내장 카메라를 활용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 장착하는 별도의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나 기 존재하는 장치로서는 셀카렌즈나 셀카봉(셀카스틱)(등록실용신안 20-0475741)이 있을 뿐이다. 즉, 모바일 단말의 내장 카메라의 성능이 크게 향상된 데에 비하여 이를 이용하는 방식은 기존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채 약간의 편리함을 주는데 그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서 모바일 단말 내장 카메라의 활용 영역을 새롭게 확장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자 한다.
최근 IOT 분야의 성장과 함께 관련 산업의 성장도 가속화되고 있다. 일례로 HMD(Head Mounted Display), 즉, 안경처럼 눈에 장착되어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VR영상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주변의 파노라마 영상이나, 3차원 리컨스트럭션 영상(3D Reconstruction)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파노라마 영상이나, 3차원 리컨스트럭션 영상의 촬영 장치는 다수 개의 이미지 센서가 포함되는 고가의 장비로서 일반적으로 보급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의 내장 카메라를 활용하여 파노라마 영상 또는 3차원 리컨스트럭션 영상 등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과 단말에 부착할 수 있는 별도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싱크로율이 높은 파노라마 영상을 얻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과 단말에 부착할 수 있는 별도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의 프로세싱 상의 부담을 줄이고자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데 있어서, 모바일 단말의 내장 카메라를 비롯한 통신장치, 프로세서, 터치스크린, 배터리 등을 이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크기를 작게 만들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데 있어서, 영상촬영장치의 소지가 간편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장치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내장카메라부가 촬영하는 제1영상과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촬영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는 영상촬영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내장카메라부가 구비된 제1면에 접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면의 이면인 제2면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를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영상촬영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에는 상기 내장카메라부의 촬영 영역을 확장하는 제1렌즈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부에는 제2영상을 촬영하는 외장카메라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장치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내장카메라부가 촬영하는 제1영상과 합성되어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제2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제2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이 수행하는 영상촬영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영상촬영방법은, 영상촬영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내장카메라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영상촬영장치로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내장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제2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제2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제2영상과 상기 제1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의한 영상촬영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에 선택적으로 탈착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내장카메라부가 촬영하는 제1영상과 합성되어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이 수행하는 영상촬영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의 내장 카메라를 활용하여 파노라마 영상 또는 3차원 리컨스트럭션 영상 등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과 단말에 부착할 수 있는 별도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싱크로율이 높은 파노라마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과 단말에 부착할 수 있는 별도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의 프로세싱 상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데 있어서, 모바일 단말의 내장 카메라를 비롯한 통신장치, 프로세서, 터치스크린, 배터리 등을 이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데 있어서, 영상촬영장치의 소지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의 일면과 그 이면 및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를 두 각도에서 바라본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 및 모바일 단말의 일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카메라부 및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000)를 설명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400)의 일면과 그 이면 및 영상촬영장치(1000)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장치(1000)는 모바일 단말(400)에 선택적으로 탈착되어, 모바일 단말(400)에 구비된 내장카메라부(410)가 촬영하는 제1영상과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장치(1000)와 모바일 단말(400)은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의 네트워크 또는 무선데이터통신모듈을 이용한 무선의 네트워크 등 유무선의 네트워크(N)를 통해 제1영상 또는 제2영상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400)이 내장하는 카메라를 내장카메라부(410)라고 하며, 내장카메라부(410)가 촬영하는 영상을 제1영상이라 한다. 모바일 단말(400)의 각 면 중 내장카메라부(410)가 구비된 일면을 제1면(420)이라 하고, 그 이면을 제2면(430)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400)은 내장카메라부(410)를 포함하는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통신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400)은 카메라를 내장하는 디지털 카메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기타 카메라를 내장하는 모든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앞서 예로 든 스마트폰(Smart Phone)뿐만 아니라,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나열된 모바일 단말(400)의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수행하기에 바람직한 단말의 예시이나, 반드시 상기 예시에 국한될 것은 아니며, 데스크톱, PC 모니터, TV 등 내장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는 다른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000)를 설명하기 위해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000)를 두 각도에서 바라본 외관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장치(1000)는 제1몸체부(310), 제2몸체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를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모바일 단말(400)에 영상촬영장치(10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몸체부(310)에는 제1렌즈부(1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몸체부(320)에는 외장카메라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외장카메라부(200)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성이 제2몸체부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몸체부(310)보다 제2몸체부(320)의 두께가 두껍거나 부피가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렌즈부(100)는 제1몸체부(31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거나, 투명한 물체와 함께 제1몸체부(310)에 구비됨으로써 피사체로부터 받아들인 빛이 내장카메라부(410)를 향해 투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외장카메라부(200)는 빛을 투과시키지 않아 제2몸체부(320)의 일면 중 모바일 단말(400)과 접촉되는 면이 막혀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몸체부(310)는 모바일 단말(400)의 내장카메라부(410)가 구비된 제1면(420)에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몸체부(310)에 구비된 제1렌즈부(100)가 내장카메라부(410)의 촬영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이 때, 제1렌즈부(100)는 내장카메라부(410)의 렌즈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렌즈부(100)의 중심과 내장카메라부(410)의 렌즈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제2영상을 촬영하는 외장카메라부(200)를 구비하는 제2몸체부(320)는 선택적으로 모바일 단말(400)의 제2면(430)에 접할 수 있다.
제2몸체부(320)가 모바일 단말(400)의 제2면(430)에 접할 때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2몸체부(320)에 구비된 외장카메라부(200)는 내장카메라부(410)가 촬영하는 제1영상의 촬영 영역의 이면을 촬영하여 제2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이면을 촬영한다는 것은, 더 정확히는, 외장카메라부(200)의 촬영 영역이 제1영상의 촬영 영역과 다른 영역을 포함하도록 제2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는 뜻이며, 제2영상의 촬영 영역과 제1영상의 촬영 영역에 겹치는 영역이 없다는 뜻은 아니다. 제1영상과 그 이면을 촬영한 제2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330)는 외장카메라부(200)가 구비하는 제2렌즈부(210)와 내장카메라부(410)에 접하는 제1렌즈부(100)가 서로 동축을 갖도록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제1몸체부(310)가 모바일 단말(400)의 제1면(420)에 접하며 제2몸체부(320)가 모바일 단말(400)의 제2면(430)에 접할 때,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10)는 동축을 가지며 서로 상반된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10)가 서로 동축을 가질 때, 제2렌즈부(210)와 내장카메라부(410)의 렌즈가 동축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얻은 제1영상과 제2영상은 방향이 180도 상반된 동축의 영상으로서, 두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함에 있어서, 싱크로율을 높일 수 있으며, 영상 생성 프로세싱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렌즈부(100)는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2렌즈부(210)는 광각렌즈 또는 어안렌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1렌즈부(100)의 촬영각과 제2렌즈부(210)의 촬영각의 합이 360도 이상 720도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렌즈부(100)의 촬영각이 180도 이상이고, 제2렌즈부(210)의 촬영각이 235도 이상이어서 두 렌즈의 촬영각의 합이 360도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렌즈부(100)를 이용하여 획득한 내장카메라부(410)의 제1영상 데이터 및 제2렌즈부(210)를 이용하여 획득한 외장카메라부(200)의 제2영상 데이터의 합성은 영상촬영장치(100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단말(400)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000)를 도시한 예시도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도 2에 도시된 형태대로 본 발명이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2에서는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가 고정부(33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가 서로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ㄷ(디귿)자 형태가 아닌 고리형, I형, 기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몸체부(310) 및 제2몸체부(320)는 판형이 아닌 원통형, 사각기둥형, 기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때, 제1몸체부(310)가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으며, 제1몸체부(310)가 탈거될 경우, 제2몸체부(320)만으로 촬영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몸체부(320)는 와이파이 등 무선 통신이나 유선의 통신으로 모바일 단말(400)과 촬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 영상촬영장치(1000)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촬영장치(1000)는 도3과 같이 모바일 단말(400)에 탈착할 수 있다. 제1몸체부(310)가 모바일 단말(400)의 제1면(420)에 접할 수 있고, 제1렌즈부(100)가 내장카메라부(410)의 렌즈에 인접하여 내장카메라부(410)의 촬영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부(320)는 모바일 단말(400)의 제2면(430)에 접할 수 있고, 제2몸체부(320)에 구비된 외장카메라부(200)가 내장카메라부(410)의 촬영 영역의 이면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제1렌즈부(100)의 중심과 내장카메라부(41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렌즈부(100)가 내장카메라부(410)의 촬영 영역을 확장하기 위하여 빛을 투과시키는 경우, 사용자로서는 제1렌즈부(100)를 통해 내장카메라부(410) 렌즈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제1렌즈부(100)의 중심과 내장카메라부(410)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330)는 제1몸체부(310) 및 제2몸체부(320)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여 양 몸체부 사이에 위치한 모바일 단말(40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영상촬영장치(1000)를 모바일 단말(4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여러 실시예에 따라 제1몸체부(310), 제2몸체부(320) 및 고정부(330)의 형태와 재질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000)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4의 (a)에 따르면, 제1렌즈부(100)와 외장카메라부(200)가 구비하는 제2렌즈부(210)가 서로 동축을 가질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도 4의 (b)와 같이, 고정부(330)의 재질과 형태에 따라 영상촬영장치의 전체적인 형태가 I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4의 (b)에 따르면, 고정부(330)는, 제 1 렌즈부(100) 및 제 2 렌즈부(210)가 서로 평행하되 소정 거리 떨어져있는 축을 갖도록 제2몸체부(320)를 제1몸체부(310)와 같은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330)는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를 연결하며, 영상촬영장치(1000)를 모바일 단말(4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고정부(330)는 연질의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으나, 연질의 재질 부분이 힌지로 대체되어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렌즈부(100)와 제 2 렌즈부(210)가 서로 평행하되 소정 거리 떨어져있는 축을 가짐으로써 얻은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리컨스트럭션(3D Reconstruction)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소정 거리는 10cm 미만의 거리로 충분하다. 이때, 제 1 렌즈부(100)와 제 2 렌즈부(210)의 렌즈는 리컨스트럭션 영상에 적합한 렌즈로 교체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카메라부(200) 및 모바일 단말(40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외장카메라부(200)는 제2렌즈부(210), 촬상부(220), 입력부(230), 제어부(240), 통신부(250), 전력수급부(260) 및 저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400)은 내장카메라부(410), 단말입력부(440), 단말제어부(450), 단말통신부(460), 영상편집부(470), 영상출력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장카메라부(200) 또는 모바일 단말(400)은 본 구성 모두를 반드시 동시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만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외장카메라부(200) 또는 모바일 단말(400)은 위와 같은 구성들을 반드시 물리적으로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위와 같은 구성들은 외장카메라부(200) 또는 모바일 단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 구성으로 작동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외장카메라부(200)는 제2렌즈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부(210)는 피사체로부터 빛을 수집하여 제2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외장카메라부(200)는 촬상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부(220)는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촬상부(220)는 셔터, 조리개 및 이미지 센서 및 ADC(Analog/Digital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께 제2렌즈부(210)가 외부 광원으로부터 받아들이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이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직 동기 신호에 맞추어 출력할 수 있다.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센서 또는 CMOS 센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비용의 절감을 위해 CMOS센서(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외장카메라부(200)는 녹음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영상의 촬영과 함께 소리를 녹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외장카메라부(200)는 영상촬영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촬영의 요청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미리 짜여진 알고리즘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또는, 단말입력부(440)가 수신한 영상촬영의 요청을 송신받음으로써 입력될 수도 있다. 외장카메라부(200)는 입력부(230)를 통해 수신된 영상촬영의 요청에 따라 구동함으로써 제2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외장카메라부(200)는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내장카메라부(410) 및 외장카메라부(200)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외장카메라부(200) 및 내장카메라부(41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400)이 내장카메라부(410)를 제어하는 단말제어부(450)를 포함할 때, 제어부(240)는 단말제어부(450)와 함께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내장카메라부(410) 및 외장카메라부(200)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내장카메라부(410)와 외장카메라부(200)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한다는 것은 시간적으로 동시에 촬영이 이루어짐을 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장카메라부(410)와 외장카메라부(200)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면,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할 때 싱크로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영상 생성 프로세싱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외장카메라부(200)는 통신부(250)를 통해 모바일 단말(400) 및 기타 기기와 유무선의 네트워크(N)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50)가 송수신하는 데이터에는 제1영상 데이터 및 제2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 데이터는 정지 영상 데이터이거나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으며, 소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장카메라부(410)와 외장카메라부(200)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면 소리 데이터를 포함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할 때, 싱크로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통신부(250)는 케이블 및 무선데이터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케이블은 USB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모바일 단말(400)에 포함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통신부(460)는 USB 연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무선데이터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 저에너지블루투스(BLE), 블루투스(Bluetooth) 및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단말통신부(460)는 외장카메라부(200)가 포함한 무선데이터통신모듈과 같은 종류의 무선데이터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외장카메라부(200)는 외장카메라부(200)를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수급하는 전력수급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전력수급부(260)는 외장카메라부(200)에 포함된 전력저장장치 즉,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수급받을 수 있으며, 또는 모바일 단말(400)에 포함된 전력저장장치(미도시)로부터 전력을 수급받을 수 있다. 모바일 단말(400)에 포함된 전력저장장치로부터 전력을 수급받는 데에는 통신이 가능한 케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외장카메라부(2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70)가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외장카메라부(200)가 촬영한 제2영상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저장부(270)는 영상촬영장치(1000)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촬영장치(1000)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는 외장카메라부(20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또는 외장카메라부(200)와 모바일 단말(400)이 연동하여 작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저장부(27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는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로서 외장카메라부(200)에 설치되거나 모바일 단말(400)에 설치될 수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400)은 내장카메라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카메라부(410)는 합성 영상의 생성에 이용되는 제1영상을 촬영하는 단말촬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카메라부(410)는, 일 실시예로서, 단말녹음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영상의 촬영과 함께 소리를 녹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400)은 영상촬영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말입력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촬영의 요청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미리 짜여진 알고리즘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또는, 외장카메라부(200)의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영상촬영의 요청을 수신함으로써 입력될 수도 있다. 내장카메라부(410)는 단말입력부(440)를 통해 수신된 영상촬영의 요청에 따라 구동함으로써 제1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400)은 단말제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450)는 내장카메라부(410) 및 외장카메라부(200)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외장카메라부(200) 및 내장카메라부(41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450)는 외장카메라부(200)의 제어부(240)와 함께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내장카메라부(410) 및 외장카메라부(200)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400)은 단말통신부(460)를 통해 외장카메라부(200) 및 기타 기기와 유무선의 네트워크(N)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460)가 송수신하는 데이터에는 제1영상 데이터 및 제2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 데이터는 정지 영상 데이터이거나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으며, 소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460)는 케이블 및 무선데이터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400)은 내장카메라부(410)의 영상 데이터와 외장카메라부(200)의 영상 데이터를 편집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편집부(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편집부(470)는 제1영상의 데이터와 제2영상의 데이터가 동축의 이면을 촬영한 영상일 때, 이를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파노라마 영상은 원통형 파노라마 영상 및 구형 파노라마 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원통형 파노라마 영상은 360도 파노라마 영상, 360도 미만의 파노라마 영상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바닥 방향이나 천장 방향의 일부가 포함되지 않는(즉, 촬영 세로각이 180도 미만) 파노라마 영상이거나 바닥 방향과 천장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즉, 촬영 세로각이 180도 이상) 구면 파노라마 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360도 파노라마 영상이란, 촬영 가로각이 360도인 영상을 말한다. 또한, 구형 파노라마 영상은 바닥 방향과 천장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즉, 촬영 세로각 180도 이상) 촬영 영상을 원형의 둥근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파노라마 영상은 파노라마 이미지(정지 파노라마 영상) 및 파노라마 동영상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편집부(470)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두 영상들에서 유사한 에지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영상편집부(470)는 검출된 유사한 에지 영역을 기초로 하여 두 영상들의 합성 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합성 위치에 따라 두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편집부(470)는 제1영상데이터와 제2영상 데이터가 평행하되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축을 가지고 있을 때, 이를 합성하여 3차원 리컨스트럭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영상 데이터 및 제2영상 데이터에 소리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소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두 영상의 합성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장카메라부(410) 및 외장카메라부(200)가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제1영상 데이터 및 제2영상 데이터의 생성 시점을 두 영상의 합성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위에 기재된 영상편집부(470)가 수행하는 합성 영상의 생성 방법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위에 기재된 방법에 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편집부(470)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장카메라부(20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400)은 영상출력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출력부(480)는 외장카메라부(20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바일 단말(400)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단말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저장부(270)가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1영상의 데이터 또는 제2영상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단말저장부는 영상촬영장치(1000)를 이용한 영상촬영방법을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촬영장치(1000)를 이용한 영상촬영방법을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는 내장카메라부(41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또는 외장카메라부(200)와 내장카메라부(410)를 연동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말저장부(27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는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영상편집부(470)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몸체부(310), 제2몸체부(320) 및 고정부(330)의 형태와 재질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은 제1몸체부(310), 제2몸체부(320) 및 고정부(330)의 형태와 재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몸체부(310), 제2몸체부(320) 및 고정부(330)가 서로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고정부(330)는 분리된 제1몸체부(310)와 분리된 제2몸체부(320)를 평행하게 고정하며 양 분리된 몸체부(310, 320)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장치일 수 있다. 분리된 고정부(330)는 영상촬영장치(1000)를 모바일 단말(400)에 끼울 수 있도록, 분리된 제1몸체부(310)와 분리된 제2몸체부(320) 사이의 간극을 모바일 단말(400)의 두께에 맞춰 좁힐 수 있다.
이때, 양 몸체부가 서로 평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분리된 고정부(330)의 형태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실시예로서, 분리된 고정부(330)가 원통형일 경우 단면의 지름을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분리된 고정부(330)는 나사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분리된 양 몸체부(310, 320)가 평행을 유지함으로써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10)가 서로 동축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10)가 서로 동축을 가짐으로써 합성 영상 생성 시 싱크로율을 높이고, 프로세싱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330)는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를 연결하는 클립 형태의 장치일 수 있다. 클립 형태의 고정부(330)의 형태는 도6에 도시된 형태에 국한될 것이 아니며, 둥근 형태이거나 모서리가 더 많은, 이를 테면 별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 형태의 고정부(330)는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는 클립 형태의 고정부(33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안쪽을 향해 있다가 모바일 단말(400)에 장착되었을 때 모바일 단말(400)의 두께에 맞춰 벌어짐으로써 평행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고정부(330)에서 일어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형을 위해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는 연질 재질이거나 연질의 부분(312, 32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양 몸체부(310, 320)가 평행을 유지함으로써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10)가 서로 동축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10)가 서로 동축을 가짐으로써 합성 영상 생성 시 싱크로율을 높이고, 프로세싱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330)는 제1몸체부(310) 및 제2몸체부(320)와 함께 집게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330)는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가 연결되는 힌지(333)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3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는 스프링(334)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안쪽을 향해 있다가 모바일 단말(400)에 장착되었을 때 모바일 단말(400)의 두께에 맞춰 벌어짐으로써 평행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형을 위해 제1몸체부(310)와 제2몸체부(320)는 연질 재질이거나 연질의 부분(313, 3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양 몸체부(310, 320)가 평행을 유지함으로써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10)가 서로 동축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10)가 서로 동축을 가짐으로써 합성 영상 생성 시 싱크로율을 높이고, 프로세싱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000)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영상촬영장치(1000)는, 1단 이상으로 이루어진 길이조절이 가능한 막대형태의 손잡이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고정부(330) 및 손잡이부(340)에 연결되고, 고정부(330)에 대한 손잡이부(340)의 상대적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3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30)는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를 연결하되, 손잡이부(340)와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모바일 단말(400)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부(340)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상촬영장치(1000)는 손잡이부(340)에 포함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장치(1000)는 마운트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활용 영역을 넓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면에 접착면을 갖는 마운트 장치를 더 포함하여 헬맷, 자전거, 자동차 등에 부착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방수 케이스를 이용하여 수중 촬영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방법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영상촬영장치(1000)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4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영상촬영장치(10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방법은 모바일 단말(400)에 선택적으로 탈착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400)에 구비된 내장카메라부(410)가 촬영하는 제1영상과 합성되어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촬영장치(1000)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영상촬영방법의 일 실시예는 영상촬영장치(1000)가 획득한 제2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400)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방법은 영상의 촬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01)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의 촬영 요청은 모바일 단말(400)이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S101단계는 영상촬영장치(1000)가 입력받은 영상의 촬영 요청을 모바일 단말(400)이 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방법은 영상의 촬영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내장카메라부(410)를 구동시키고, 상기 영상촬영장치(1000)로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S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장카메라부(410)와 외장카메라부(200)는 서로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다. 내장카메라부(410)와 외장카메라부(200)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내장카메라부(410)와 외장카메라부(200)가 동시에 촬영을 함을 뜻할 수 있다. 내장카메라부(410)와 외장카메라부(200)가 동시에 촬영을 함으로써 이후 단계에서 합성 영상을 생성함에 있어서, 싱크로율을 높이고 프로세싱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S102단계에서 내장카메라부(410)와 외장카메라부(200)는 서로 동축의 이면을 촬영할 수 있다. 즉, 내장카메라부(410)가 촬영한 제1영상과 외장카메라부(200)가 촬영한 제2영상이 서로 동축의 이면을 촬영한 영상일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이후 단계에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S102단계에서 획득한 제1영상 및 제2영상, 두 영상의 촬영각의 합이 360도 이상 720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S102단계에서 내장카메라부(410)와 외장카메라부(200)가 같은 방향을 바라봄으로써 서로 평행하되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있는 축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내장카메라부(410)가 촬영한 제1영상과 외장카메라부(200)가 촬영한 제2영상은 서로 같은 일면을 촬영하되 소정의 거리가 차이 나는 평행한 축을 갖는 영상일 수 있으며, 이후 단계에서 두 영상을 합성하여 3차원 리컨스트럭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수평거리는 10cm 이하의 근소한 거리 차이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방법은 S102단계에서 획득한 내장카메라부(410)의 촬영 영상, 즉, 제1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방법은 영상촬영장치(1000)로부터 제2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상의 데이터의 수신은 케이블 및 무선데이터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방법은 획득한 제1영상 데이터 및 수신한 제2영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S105단계는, 제1영상의 데이터와 제2영상의 데이터가 동축의 이면을 촬영한 영상일 때, 이를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파노라마 영상은 원통형 파노라마 영상 및 구형 파노라마 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원통형 파노라마 영상은 360도 파노라마 영상, 360도 미만의 파노라마 영상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바닥 방향이나 천장 방향의 일부가 포함되지 않는(즉, 촬영 세로각이 180도 미만) 파노라마 영상이거나 바닥 방향과 천장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즉, 촬영 세로각이 180도 이상) 구면 파노라마 영상일 수 있다. 또한, 구형 파노라마 영상은 바닥 방향과 천장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즉, 촬영 세로각 180도 이상) 촬영 영상을 원형의 둥근 이미지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360도 파노라마 영상이란, 촬영 가로각이 360도인 영상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파노라마 영상은 파노라마 이미지(정지 파노라마 영상) 및 파노라마 동영상 중 어느 하나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S105단계는 내장카메라부(410)와 외장카메라부(200)의 배치에 따라 3차원 리컨스트럭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방법은 생성한 합성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S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영상촬영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영상촬영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영상촬영장치
400: 모바일 단말 410: 내장카메라부 420: 제1면 430: 제2면
100: 제1렌즈부 200: 외장카메라부 210: 제2렌즈부
310: 제1몸체부 320: 제2몸체부 330: 고정부
220: 촬상부 230: 입력부 240: 제어부 250: 통신부 260: 전력수급부
270: 저장부
440: 단말입력부 450: 단말제어부 460: 단말통신부
470: 영상편집부 480: 영상출력부
312, 322, 313, 323: 연질의 부분 333: 힌지 334: 스프링
340: 손잡이부 350: 각도조절부

Claims (14)

  1. 모바일 단말에 선택적으로 탈착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내장카메라부가 촬영하는 제1영상과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내장카메라부가 구비된 제1면에 접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면의 이면인 제2면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 중 적어도 하나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영상촬영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에는 상기 내장카메라부의 촬영 영역을 확장하는 제1렌즈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부에는 제2영상을 촬영하는 외장카메라부가 구비되며,
    상기 외장카메라부는,
    제2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피사체로부터 빛을 수집하는 제2렌즈부와,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는 촬상부 및 영상촬영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부의 촬영각과 상기 제2렌즈부의 촬영각의 합이 360도 이상720도 이하이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영상촬영장치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가 서로 동축을 갖도록 하는, 영상촬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 상기 제2영상을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외장카메라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은,
    원통형 파노라마 영상 및 구형 파노라마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인, 영상촬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여 양 몸체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영상촬영장치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고정시키는, 영상촬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1단 이상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막대형태의 손잡이부; 및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손잡이부를 연결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손잡이부의 상대적인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촬영장치.
  9. 삭제
  10. 삭제
  11. 모바일 단말에 선택적으로 탈착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내장카메라부가 촬영하는 제1영상과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이 수행하는 영상촬영방법에 있어서,
    영상촬영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내장카메라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영상촬영장치로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내장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제2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상기 제2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제2영상과 상기 제1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촬영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내장카메라부가 구비된 제1면에 접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면의 이면인 제2면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 중 적어도 하나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영상촬영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에는 상기 내장카메라부의 촬영 영역을 확장하는 제1렌즈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부에는 제2영상을 촬영하는 외장카메라부가 구비되며, 상기 외장카메라부는, 제2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피사체로부터 빛을 수집하는 제2렌즈부와,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는 촬상부 및 영상촬영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부의 촬영각과 상기 제2렌즈부의 촬영각의 합이 360도 이상720도 이하이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영상촬영장치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가 서로 동축을 갖도록 하는 영상촬영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촬영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방법은,
    생성된 상기 합성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촬영방법.
  13. 모바일 단말에 선택적으로 탈착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내장카메라부가 촬영하는 제1영상과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영상촬영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말입력부;
    상기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내장카메라부를 구동시키는 단말제어부;
    상기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영상촬영장치로 구동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제2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통신부; 및
    수신한 상기 제2영상의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제2영상과 제1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편집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촬영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내장카메라부가 구비된 제1면에 접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면의 이면인 제2면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 중 적어도 하나와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영상촬영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에는 상기 내장카메라부의 촬영 영역을 확장하는 제1렌즈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부에는 제2영상을 촬영하는 외장카메라부가 구비되며, 상기 외장카메라부는, 제2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피사체로부터 빛을 수집하는 제2렌즈부와,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는 촬상부 및 영상촬영을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부의 촬영각과 상기 제2렌즈부의 촬영각의 합이 360도 이상720도 이하이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 상기 영상촬영장치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가 서로 동축을 갖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14. 모바일 단말에 선택적으로 탈착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구비된 내장카메라부가 촬영하는 제1영상과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상기 제2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제 9 항에 기재된 영상촬영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002764A 2016-01-08 2016-01-08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KR101796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764A KR101796539B1 (ko) 2016-01-08 2016-01-08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PCT/KR2016/011211 WO2017119575A1 (ko) 2016-01-08 2016-10-06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764A KR101796539B1 (ko) 2016-01-08 2016-01-08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376A KR20170083376A (ko) 2017-07-18
KR101796539B1 true KR101796539B1 (ko) 2017-11-10

Family

ID=5927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764A KR101796539B1 (ko) 2016-01-08 2016-01-08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6539B1 (ko)
WO (1) WO2017119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0732A (zh) * 2018-10-31 2018-12-18 胡超 一种利用智能终端实现图像拍摄及播放处理的方法及其装置
KR102096736B1 (ko) * 2019-01-07 2020-04-02 이지영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
KR102068924B1 (ko) 2019-02-26 2020-01-21 김용묵 포토존드론을 이용한 포토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4125186B (zh) * 2020-08-25 2024-04-09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及图像采集系统
CN112351209B (zh) * 2020-11-05 2023-08-2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外置镜头、控制镜头的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2471A (ja) * 2011-04-05 2012-11-12 Sharp Corp 多眼撮像装置および多眼撮像方法、携帯情報端末装置
KR200477798Y1 (ko) * 2014-12-18 2015-07-24 권순근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7138A1 (en) * 2005-05-10 2006-11-16 Fromm Wayne G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KR200464546Y1 (ko) * 2012-05-17 2013-01-21 이승환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KR20130141993A (ko) * 2012-06-18 2013-12-27 더크랙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부착용 확대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측정 방법
KR20150058867A (ko) * 2013-11-21 2015-05-29 차삼수 모바일기기 카메라용 렌즈 부착장치
KR101583646B1 (ko) * 2014-05-12 2016-01-19 (주)헥스하이브 전 방위 평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2471A (ja) * 2011-04-05 2012-11-12 Sharp Corp 多眼撮像装置および多眼撮像方法、携帯情報端末装置
KR200477798Y1 (ko) * 2014-12-18 2015-07-24 권순근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9575A1 (ko) 2017-07-13
KR20170083376A (ko)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5220B1 (en) Enabling the integration of a three hundred and sixty degree panoramic camera within a mobile device case
US11228749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video content
US116472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atially selective video coding
KR101796539B1 (ko)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US104846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ressing video content
US9639935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amera alignment model calibration
US10958820B2 (en) Intelligent interface for interchangeable sensors
US1147553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resolution image stitching
TWI503786B (zh) 用於生成全景視頻的移動設備和系統
KR101888470B1 (ko) 촬상 시스템, 촬상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US113980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image distortion (curvature) for viewing distance in post capture
KR102327160B1 (ko)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75567B1 (ko) 파노라마 촬영장치, 파노라마 촬영 시스템, 이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S10165182B1 (en) Panoramic imaging systems based on two laterally-offset and vertically-overlap camera modules
KR102324702B1 (ko)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323628B2 (en) Field of view adjustment
WO2018121401A1 (zh) 一种全景视频图像的拼接方法及全景相机
CN111263037B (zh) 图像处理装置、拍摄装置、视频播放系统、方法以及程序
US20180211413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using sub-three-dimensional look-up tables
JP2014107836A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