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546Y1 -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546Y1
KR200464546Y1 KR20120004125U KR20120004125U KR200464546Y1 KR 200464546 Y1 KR200464546 Y1 KR 200464546Y1 KR 20120004125 U KR20120004125 U KR 20120004125U KR 20120004125 U KR20120004125 U KR 20120004125U KR 200464546 Y1 KR200464546 Y1 KR 200464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martphone
camera device
auxiliar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04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환 filed Critical 이승환
Priority to KR20120004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46Y1/ko
Priority to PCT/KR2013/000018 priority patent/WO201317253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내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과는 별도로 상기 스마트폰의 외부에서 연결하여 제어되는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는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부; 상기 카메라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압축하고 이미지 프로세싱하는 영상 압축부; 및 별도의 장치로 구비된 스마트폰과 통신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카메라 촬영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압축부를 통해 처리된 이미지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스마트폰 내부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과는 달리 스마트폰과 별도로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며 악세서리의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Sub-camer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 내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과는 별도로 상기 스마트폰의 외부에서 연결하여 제어되는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들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일반 휴대폰에서 스마트폰으로 사용자들이 많이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휴대폰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휴대폰으로서, 휴대폰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기능, 인터넷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이 추가되며, 다양한 입력 방식과 터치스크린 등이 구비되어 사용에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팩스, 뱅킹, 게임 등 단말기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의 수용을 위하여 표준화된 운영 체제(OS) 또는 전용 운영 체제를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스마트폰 내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전용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들과 콘텐츠(content)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 사용되기보다는 실외에서 용무를 보거나 이동중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상기 스마트폰은 카메라 및 송수신기가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스마트폰 본체를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소정 거리를 이탈시킬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사용자 주변에 있는 다른 사람 또는 사물 등의 영상을 카메라를 통해 전송하면서 통화를 하고자 할 때는 상호 통화 내용 송수신의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스마트폰은 송수신기로서 고감도 스피커 및 마이크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 송수신기가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일정 각도 및 소정 거리를 이탈하면 상호 통화 내용의 송수신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를 스마트폰 본체로부터 일정 부분 탈착시킬 수 있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6-0025363호의 "휴대용 단말기의 발출형 카메라 장치(엘지전자 주식회사)"에는 다양한 각도의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카메라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일정량만큼 발출되어 종래의 카메라 장치로 촬영하기 어려운 구석이나 좁은 틈과 같은 곳에서도 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발출형 카메라 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방법은 스마트폰 제조 단가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디자인 측면에서도 우수한 디자인의 스마트폰 제작을 어렵게 한다. 또한, 카메라 렌즈를 발출시키는 데에는 그 한계가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과의 별도 구동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내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과는 별도로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유무선 수단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폰 내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과는 별도로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는 이어폰과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는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보조 카메라 장치는,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부; 상기 카메라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압축하고 이미지 프로세싱하는 영상 압축부; 및 별도의 장치로 구비된 스마트폰과 통신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카메라 촬영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압축부를 통해 처리된 이미지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은 적어도 하나의 내장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선택 모드에 따라 상기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선택 모드를 듀얼 카메라 모드로 선택할 때, 상기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장 카메라 모듈을 동시에 구동시키고,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장 카메라 모듈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촬영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이어폰잭, 마이크로 USB(Micro USB), 30핀 커넥터, 표준 20핀 커넥터 등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는, 장치 외부 일측에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를 물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는, 이어폰의 좌측 이어 버드 및 우측 이어 버드로 분기하는 디바이더에 고정되며, 상기 이어폰의 케이블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스마트폰과 통신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카메라 활용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는 스마트폰 내부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과는 달리 스마트폰과 별도로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며 악세서리의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및 보조 카메라 장치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들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기능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카메라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수단을 구비한 보조 카메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결합된 보조 카메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태로 제작된 보조 카메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지 형태로 제작된 보조 카메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 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고안은 스마트폰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카메라 모듈과는 별도로 보조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와 스마트폰이 유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함으로써 스마트폰에 의해 보조 카메라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를 개시한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예컨대, 이어폰과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특정 캐릭터를 형상화한 하우징 내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반지 등에 구현될 경우 스마트폰과는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가 스마트폰과 유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통신할 경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이어폰잭(통상적으로 3.5인치)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으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스마트폰과 연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마이크로 USB(Micro USB), 30핀 커넥터, 표준 20핀 커넥터 등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가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통신할 경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및 보조 카메라 장치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라 스마트폰(100)에는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102)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102)에 의해 스마트폰 외부의 보조 카메라 장치(11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100)은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카메라 장치(110)와 유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102)은 보조 카메라 장치(110)로 카메라 촬영, 저장, 전송 등과 같은 카메라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11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102)은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110)와 스마트폰(100) 내에 구비된 내장 카메라 모듈(101)을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102)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카메라 촬영 수단(즉, 내장 카메라 모듈(101) 및 보조 카메라 장치(110)) 중 하나의 카메라 촬영 수단을 선택하여 제어하도록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카메라 촬영 수단이 동시에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는 스마트폰(100) 내부에 하나의 내장 카메라 모듈(101)이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둘 이상의 내장 카메라 모듈(101)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컨대, 최근 스마트폰(100)은 스마트폰(100)의 전면부와 배면부에 각각 다른 사양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폰(100)에 둘 이상의 내장 카메라 모듈(101)이 내장될 경우, 상기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102)에서는 상기 둘 이상의 내장 카메라 모듈(101) 및 보조 카메라 장치(110)를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102) 및 보조 카메라 장치(110)의 세부 구조를 각각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들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기능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102)은 카메라 모드 선택부(210), 촬영 기능 제어부(220), 촬영 데이터 처리부(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과 관련된 기능을 주로 하여 도시하였으며, 다른 카메라 관련 기능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 모드 선택부(210)는 본 고안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 촬영 수단들(예컨대, 내장 카메라 모듈(101), 보조 카메라 장치(110)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촬영 수단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내장 카메라 모드(211)를 선택하면 내장 카메라 모듈(101)을 제어하여 촬영하는 모드가 선택된다. 또한, 보조 카메라 모드(212)를 선택하면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스마트폰(100) 외부의 보조 카메라 장치(101)를 제어하여 촬영하는 모드가 선택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듀얼 카메라 모드(213)를 선택하면, 상기 내장 카메라 모듈(101) 및 보조 카메라 장치(110)를 동시에 구동시켜, 함께 촬영하도록 제어하거나, 순차적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모드가 선택된다.
촬영 기능 제어부(212)는 상기 카메라 모드 선택부(210)의 모드 선택에 따라 개별 카메라 촬영 수단 또는 복수의 카메라 촬영 수단에 대한 각종 기능을 제어한다. 예컨대, 내장 카메라 모드(211) 또는 보조 카메라 모드(212)가 선택되면, 개별 촬영 기능 제어부(221)가 동작하며, 상기 내장 카메라 모듈(101) 또는 보조 카메라 장치(110) 중 선택된 촬영 수단의 촬영 기능이 제어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카메라 모드(212)가 선택되면, 개별 촬영 기능 제어부(221)에서는 보조 카메라 장치(110)로 각종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보조 카메라 장치(110)를 구동하고 촬영을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카메라 구동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보조 카메라 장치(110)의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키고, 보조 카메라 장치(110)의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스마트폰(100)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102)에서 보조 카메라 장치(110)를 통한 촬영을 선택하면, 촬영 명령 신호가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보조 카메라 장치(110)로 전송되고, 보조 카메라 장치(110)에서는 상기 촬영 명령 신호에 따라 촬영을 한다. 이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는 각종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코딩 및 압축 처리된 후, 다시 스마트폰(100)으로 전송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동시 촬영 기능 제어부(222)에서는 내장 카메라 모듈(102)과 보조 카메라 장치(110)를 동시에 구동시키고,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촬영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폰(100)의 내장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와 보조 카메라 장치(110)의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를 동시에 촬영하고 저장할 수 있다.
촬영 데이터 처리부(230)는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110)를 제어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110)를 통해 촬영되어 수신된 이미지는 내장 카메라 모듈(101)과는 다른 폴더에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보조 카메라 장치(110)에서 촬영된 이미지임을 알 수 있도록 자동으로 부여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카메라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카메라 장치(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10), 영상 압축부(320), 제어부(330), 카메라 촬영부(340), 저장부(350), 근거리 무선 통신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는 스마트폰(100)과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보조 카메라 장치(110)가 이어폰잭을 통해 스마트폰(100)과 연결될 경우, 이어폰 케이블을 통한 신호의 송수신을 처리한다. 또한, 마이크로 USB(Micro USB), 30핀 커넥터, 표준 20핀 커넥터 등을 통해 연결될 경우, 해당 규약에 맞는 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하게 된다.
제어부(330)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촬영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 촬영부(340)의 카메라 모듈을 제어한다. 예컨대,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촬영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330)에서는 카메라 촬영부(340)를 제어하여 촬영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촬영된 이미지는 영상 압축부(320)를 통해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이미지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촬영된 이미지는 저장부(350)에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11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0)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없을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부(360)를 더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60)를 통해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촬영된 이미지를 스마트폰(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보조 카메라 장치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수단을 구비한 보조 카메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카메라 장치(430)는 카메라 렌즈(431)가 외부로 노출되며, 스마트폰(100)의 이어폰 연결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보조 카메라 장치(430)에 케이블(420) 및 이어폰잭(410)을 연결하고, 상기 이어폰잭(410)을 스마트폰(100)의 이어폰 연결구에 삽입함으로써 스마트폰(100)과 보조 카메라 장치(430)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43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고정 수단(432)(예컨대, 클립, 집게 등)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430)가 옷, 가방 등 각종 물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카메라 장치(430)가 스마트폰(10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이어폰잭(410)을 통해 연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조 카메라 장치(430)를 따로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에도 동일한 보조 카메라 장치(43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과 결합된 보조 카메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카메라 장치(530)가 이어폰과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의 좌측 이어 버드(510) 및 우측 이어버드(530)가 만나는 디바이더 부분에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카메라 장치(5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530)의 카메라 렌즈(531)는 사용자가 이어폰을 착용하였을 때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어폰을 착용하여 음악을 들으면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어폰 케이블(540)에 이어폰 음악 제어를 위한 리모콘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리모콘을 통해 보조 카메라 장치(530)의 촬영을 제어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100)을 꺼내거나 들지 않고서도 보조 카메라 장치(530)를 제어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어폰은 케이블(540) 및 이어폰잭(550)을 통해 스마트폰(1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잭(550)을 통해 보조 카메라 장치(530)와 스마트폰(100) 간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 형태로 제작된 보조 카메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 카메라 장치(600)는 특정 캐릭터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캐릭터 모양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카메라 모듈을 실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의 카메라 렌즈(610)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600)는 케이블(620) 및 이어폰잭(630)을 통해 스마트폰(100)에 연결할 수도 있으며,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케이블 없이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지 형태로 제작된 보조 카메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반지(700)의 일측에 보조 카메라 장치(710)를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710)의 카메라 렌즈(711)는 반지 둘레의 외부를 향하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710)가 반지의 일부로 구현될 경우,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7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스마트폰(100)과 통신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스마트폰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스마트폰 이외에, MP3 플레이어나 휴대용 게임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스마트폰 101 : 내장 카메라 모듈
102 : 카메라 제어 앱 110 : 보조 카메라 장치
210 : 카메라 모드 선택부 211 : 내장 카메라 모드
212 : 보조 카메라 모드 213 : 듀얼 카메라 모드
220 : 촬영 기능 제어부 221 : 개별 촬영 기능 제어부
222 : 동시 촬영 기능 제어부 230 : 촬영 데이터 처리부
310 : 통신 인터페이스부 320 : 영상 압축부
330 : 제어부 340 : 카메라 촬영부
350 : 저장부 36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410 : 이어폰잭 420 : 케이블
430 : 보조 카메라 장치 431 : 카메라 렌즈
432 : 고정 수단 510, 520 : 이어 버드
530 : 보조 카메라 장치 531 : 카메라 렌즈
540 : 케이블 550 : 이어폰잭
600 : 보조 카메라 장치 610 : 카메라 렌즈
620 : 케이블 630 : 이어폰잭
700 : 반지 710 : 보조 카메라 장치
711 : 카메라 렌즈

Claims (6)

  1. 보조 카메라 장치는,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부;
    상기 카메라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압축하고 이미지 프로세싱하는 영상 압축부; 및
    별도의 장치로 구비된 스마트폰과 통신하며,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카메라 촬영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압축부를 통해 처리된 이미지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스마트폰은 적어도 하나의 내장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카메라 촬영 수단으로서 상기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개별 선택하거나 동시에 선택하도록 하여 구동되고 촬영이 제어되도록 하는 카메라 모드 선택부;
    상기 카메라 모드 선택부의 모드 선택에 따라 개별 카메라 촬영 수단 또는 복수의 카메라 촬영 수단을 이용한 촬영에 대한 기능을 제어하는 촬영 기능 제어부;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되어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내장 카메라 모듈과는 다른 폴더에 저장하고 해당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임을 알 수 있도록 자동으로 부여하는 촬영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선택된 선택 모드에 따라 상기 내장 카메라 모듈 또는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를 선택적으로 개별 또는 동시 제어하고,
    상기 선택 모드를 듀얼 카메라 모드로 선택할 때, 상기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장 카메라 모듈을 동시에 구동시키고,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장 카메라 모듈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촬영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이어폰잭, 마이크로 USB(Micro USB), 30핀 커넥터, 표준 20핀 커넥터 등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과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는,
    장치 외부 일측에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를 물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카메라 장치는,
    이어폰의 좌측 이어 버드 및 우측 이어 버드로 분기하는 디바이더에 고정되며, 상기 이어폰의 케이블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KR20120004125U 2012-05-17 2012-05-17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KR200464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4125U KR200464546Y1 (ko) 2012-05-17 2012-05-17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PCT/KR2013/000018 WO2013172532A1 (ko) 2012-05-17 2013-01-03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4125U KR200464546Y1 (ko) 2012-05-17 2012-05-17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546Y1 true KR200464546Y1 (ko) 2013-01-21

Family

ID=4958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04125U KR200464546Y1 (ko) 2012-05-17 2012-05-17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4546Y1 (ko)
WO (1) WO20131725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795A1 (ko) * 2013-09-27 2015-04-02 주식회사 코아리버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WO2017119575A1 (ko) * 2016-01-08 2017-07-13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US9813629B2 (en) 2014-08-14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image photographing system for performing photographing by using multipl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image photographing method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788A1 (ko) * 2015-06-26 2016-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558538B2 (en) 2016-03-18 2023-01-17 Opkix, Inc. Portable camera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266A (ko) * 2002-07-02 2004-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
KR20040024657A (ko) * 2002-09-16 2004-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외장형 카메라 장치
KR20100003603U (ko) * 2008-09-26 2010-04-05 한원흠 외장형 카메라 및 이와 결합되는 카메라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081B1 (ko) * 2011-01-06 2012-04-13 세영정보통신(주)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를 이용한 usb 분실 방지 시스템
KR101113730B1 (ko) * 2011-09-09 2012-03-05 김영준 교환 렌즈를 장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 착탈 가능한 외장형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266A (ko) * 2002-07-02 2004-0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외장 카메라
KR20040024657A (ko) * 2002-09-16 2004-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외장형 카메라 장치
KR20100003603U (ko) * 2008-09-26 2010-04-05 한원흠 외장형 카메라 및 이와 결합되는 카메라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795A1 (ko) * 2013-09-27 2015-04-02 주식회사 코아리버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529465B1 (ko) * 2013-09-27 2015-06-17 주식회사 코아리버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US9813629B2 (en) 2014-08-14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image photographing system for performing photographing by using multipl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image photographing methods thereof
WO2017119575A1 (ko) * 2016-01-08 2017-07-13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72532A1 (ko)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91241B (zh) 一种语音通信方法及相关装置
CN108401124B (zh) 视频录制的方法和装置
CN109729266A (zh) 一种图像拍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01199A (zh) 无线耳机盒及系统
KR200464546Y1 (ko)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CN105379243A (zh) 便携式相机扩展坞
CN110198362B (zh) 一种在联系人中添加智能家居设备的方法及系统
CN112911566B (zh) 蓝牙通信方法和装置
CN114489533A (zh) 投屏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342516A1 (en) Display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1741511B (zh) 快速匹配方法及头戴电子设备
CN108063859B (zh) 一种自动拍照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351156A (zh) 一种镜头切换方法及装置
WO2022116930A1 (zh) 内容共享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795187A (zh) 一种图像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9729246A (zh) 一种多摄像头电路结构、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889027A (zh) 自动分屏的方法、图形用户界面及电子设备
CN112272191B (zh) 数据转移方法及相关装置
CN111837381A (zh) 增强现实的通信方法及电子设备
CN114222020B (zh) 位置关系识别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852755A (zh) 拍摄方法、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程序产品
EP4187535A1 (en) Audio recording method and device
KR20140010805A (ko) 촬영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113923351B (zh) 多路视频拍摄的退出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13596320B (zh) 视频拍摄变速录制方法、设备、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