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736B1 -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736B1
KR102096736B1 KR1020190001559A KR20190001559A KR102096736B1 KR 102096736 B1 KR102096736 B1 KR 102096736B1 KR 1020190001559 A KR1020190001559 A KR 1020190001559A KR 20190001559 A KR20190001559 A KR 20190001559A KR 102096736 B1 KR102096736 B1 KR 102096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hinge
cover
filter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이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영 filed Critical 이지영
Priority to KR1020190001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는 클립 구조로 탈착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탈착되는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부를 덮은 상태에서 보조 렌즈가 장착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을 둘러싼 둘레부를 구비한 제1 바디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상기 촬영부의 대향 측면에 접촉한 제2 바디와, 상기 제1,2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로 이루어진 클립; 힌지를 매개로 상기 제1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부를 향한 면에 반사경을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PHOTOGRAPHING ASSISTANCE DEVICE OF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촬영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에 장착되어 접사, 어안, 광각 등의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면 카메라 대비 높은 화소수와 높은 화질을 가진 후면 카메라를 이용해서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경우 앞면 카메라의 화소(대략 2백만~4백만 화소)보다 후면에 부착되어있는 카메라의 화소(대략 1천2백만~1천6백만 화소)가 월등하게 높으나, 스마트폰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어 화면을 보면서 셀프 촬영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셀프 카메라로의 활용은 전혀 할 수 없는 실정이다.
한편, 스마트폰을 이용한 셀프 촬영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은 상태에서만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만 촬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먼 거리에서 사용자의 전신을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있는 일명 '셀카봉'이 젊은 층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셀카봉'은 샤프트와 거치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대에 핸드폰을 안착한 후 샤프트를 인출하여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리모콘을 통해 촬영하거나 휴대폰의 타이머 기능을 통해 촬영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717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12209호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셀카봉'의 경우, 샤트프의 일단이 거치대에 고정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이므로 휴대 및 운반 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샤프트가 인입출된다고 하더라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바, 아무리 컴팩트하게 제작된다고 하더라도 셀프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휴대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카메라에 장착되어 접사, 어안, 광각 등의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면 카메라 대비 높은 화소수와 높은 화질을 가진 후면 카메라를 이용해서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는 클립 구조로 탈착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탈착되는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부를 덮은 상태에서 보조 렌즈가 장착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을 둘러싼 둘레부를 구비한 제1 바디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상기 촬영부의 대향 측면에 접촉한 제2 바디와, 상기 제1,2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로 이루어진 클립; 힌지를 매개로 상기 제1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부를 향한 면에 반사경을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회동부와의 경계 부위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일정 면적을 차지한 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중공과 둘레부가 상기 베이스의 외측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가 베이스의 단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는, 필름 형상의 필터가 롤러 축에 권취된 롤러와, 외측으로 노출 연장된 상기 롤러 축의 단부에 상기 롤러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된 레버 및, 상기 롤러 축에서 상기 중공을 향한 면까지 내통되어 상기 필터가 출입되는 슬릿으로 이루어진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의 내측 단에는, 상기 슬릿으로 인출된 상기 필터가 결합되는 결합 파트가 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단말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고화소 카메라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후면을 바라보면서도 자신의 사진 및 영상을 광각의 고화질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중공에 광각 렌즈, 접사 렌즈 및 어안 렌즈 중 어느 하나를 장착함으로써, 카메라 렌즈를 통한 촬영 시 광각 촬영, 접사 촬영 및 어안 촬영 중 어느 하나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반사경이 장착된 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반사경에 사용자의 모습이 비춰지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사경에 비치는 자신의 모습 그대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높은 품질의 셀프 사진 또는 셀프 동영상을 제작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1 봉에 권취되며 반사층이 코팅된 반사 시트의 일단을 제2 봉에 결합시키거나, 커버와 보조힌지를 통해 회동하는 반사패널에 반사층을 구비시킴으로써, 반사층을 다양한 각도로 형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촬영 시 다양한 각도에서 조사되는 빛을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스트로보 시트를 제1 및 제2 바들 사이에 접철 가능하게 형성함에 따라, 외부의 빛을 확산시켜 피사체에 부드럽게 조사하거나 입사되는 빛의 각도조절을 하여 피사체에 조사할 수 있으며, 커버의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들을 통해 다양한 각도로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촬영 연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촬영 보조 장치가 휴대용 기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촬영 보조 장치가 휴대용 기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10)는, 클립(100) 및 커버(200)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100)은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회동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10)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단말, 휴대용 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1)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고화소 카메라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의 후면을 바라보면서도 자신의 영상(셀프 카메라, 영상 통화 등)을 광각의 고화질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 중 모바일 단말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모바일 단말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대표하는 것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촬영 보조 장치(10)를 모바일 단말(1)에 결합 또는 체결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1)의 전면을 바라보면서도 상기 모바일 단말(1)의 고화소의 후면 카메라를 통해 자신의 영상(셀프 카메라, 영상 통화 등)을 광각의 고화질로 촬영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촬영 보조 장치(10)가 상기 모바일 단말(1)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클립(100)이 상기 모바일 단말(1)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클립(100)의 상기 제1 바디(11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부(3)를 커버하며, 상기 클립(100)의 상기 제2 바디(120)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상기 촬영부(3)의 대향 측면에 접촉된다.
여기서, 촬영부(3)라 함은 모바일 단말에서 카메라 렌즈와 플래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립(100)은 상기 모바일 단말(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바디(120)들은, 상기 회동부(130)를 통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110)는 상기 촬영부(3)를 덮고 상기 제2 바디(120)는 상기 촬영부(3)의 대향면에 접촉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ㄷ’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부(130)는 상기 제1, 2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바디(110)가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바디(120)가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바디(120)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회동부(130)를 통해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바디(120)들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형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1)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회동부(130)는 상기 제1, 2 바디 사이에서 절곡된 구조 또는 힌지로 이루어져 상기 제1, 2 바디 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바디(110)는 중공(112), 상기 중공(112)을 둘러싼 둘레부(114), 및 상기 둘레부(114)와 연결된 베이스(11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110)의 상기 중공(112)은 상기 모바일 단말(1)의 상기 카메라부의 카메라 렌즈(2)를 노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중공(112)을 통해 상기 제1 바디(110)가 상기 카메라부를 덮은 경우에도 상기 카메라 렌즈(2)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바디(110)가 상기 촬영부(3)를 커버하는 경우, 상기 중공(112)이 상기 카메라 렌즈(2)와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상기 둘레부(114)가 상기 카메라 렌즈(2)를 가리지 않는 정도에서 위치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제1 바디(11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카메라 렌즈(2)를 통한 촬영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중공(112)이 상기 카메라 렌즈(2)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중공(112)의 크기가 상기 카메라 렌즈(2)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나아가, 상기 중공(112)에는 보조 렌즈(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보조 렌즈와 상기 카메라 렌즈(2)가 서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렌즈(2)가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보조 렌즈가 다양한 기능을 통해 상기 카메라 렌즈(2)의 촬영을 보조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렌즈는 광각렌즈(wide-angle lens), 어안렌즈(fish-eye lens), 접사렌즈(close-up lens)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의 렌즈가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중공(112)부에 탈부착됨으로써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보조렌즈는 상기 카메라 렌즈(2)와 중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2)를 통해 촬영하는 경우, 광각 촬영, 어안 촬영, 접사 촬영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공(112)에 끼워지는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어 휴대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중공(112)에는 마운트가 구비되어 상기 마운트를 매개로 상기 중공(112)에 보조렌즈를 안정적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16)는 상기 회동부(130)와의 경계 부위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된 것으로 일정 면적을 차지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116)는 상기 회동부(130)와의 경계 부위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둘레부(114)는 상기 베이스(116)와 힌지(150)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116)의 외측 방향에 위치된다.
즉, 상기 힌지(150)는 상기 베이스(116)의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둘레부(114)가 상기 힌지(15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둘레부(114) 및 상기 중공(112)이 상기 베이스(116)의 외측 방향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116)는 커버(200)가 회동되었을 때 클립(100)이 모바일 단말(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리적 체적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중공(112)을 커버하는 상기 커버(200)는 상기 힌지(150)를 매개로 상기 제1 바디(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200)는 상기 힌지(150)를 통해 회동함으로써 상기 중공(112)을 개구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112)을 개구시키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부(3)를 향하는 면에 반사경(210)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반사경(210)은 거울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사체의 상을 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반사경(210)은 평면 형상일 수도 있고 볼록 형상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1)을 이용하여 셀프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 셀카봉이나 셀카렌즈 사용 시 상기 모바일 단말(1)의 전면 카메라(저해상도)만 사용해야 하므로 저해상도 촬영밖에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단말(1)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고화소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 이러한 셀카봉이나 셀카렌즈를 결합시킬 수 없어 정확하게 촬영 구도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커버(200)를 회동시켜 상기 커버(200)에서 상기 반사경(210)이 장착된 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반사경에 사용자의 모습이 비춰지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반사경에 비치는 자신의 모습 그대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높은 품질의 셀프 사진 또는 셀프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셀프 촬영 시 상기 모바일 단말(1)의 후면(고해상도)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클립(100)이 상기 모바일 단말(1)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고화소 카메라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커버(200)가 상기 클립(100)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기 반사경을 상기 사용자와 마주보게 위치시킴으로써, 고화질로 셀프 촬영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11)는 상기 베이스(116)가 필터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촬영 보조 장치(1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116)의 내부에 필터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베이스(116)의 내부에서 상기 중공(112)을 향하는 방향으로 필터(301)를 인출하는 것으로, 상기 필터(301)가 상기 중공(112)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2)를 통한 촬영 시 상기 카메라 렌즈(2)와 상기 필터(301)가 서로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촬영 시 사진 또는 동영상에 필터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301)는 광각 필터, 왜곡 필터, 편광 필터, 다중분할 필터, 컬러 필터 및 부분 컬러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필터일 수 있다.
상기 광각 필터는 일반 렌즈보다 보다 넓은 시야각을 촬영이 가능하게 하여 한 화면에 더 많은 그림, 넓은 풍경, 및 제한되어 있는 실내에서 많은 사람들을 찍을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왜곡 필터는 렌즈의 방향에 따라 피사체를 길쭉하게 늘리거나 또는 납작하게 눌려 피사체가 왜곡되어 보이게 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터는 여러 방향으로 들어오는 빛 중 한 방향의 빛만 투과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필터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예컨대 유리창 건너편에 있는 사람을 찍는 경우에도 선명한 피사체를 얻게 할 수 있다.
상기 다중분할 필터는 하나의 피사체를 여러 개로 분할하여 다중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컬러 필터는 피사체 전체에 다양한 컬러를 입혀 촬영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부분 컬러 필터는 컬러필터 중앙부분에 별 또는 하트 모양 같은 특정한 모양을 넣어 촬영 시 그 특정 모양 이외의 부분에 컬러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필터 외에도 UV(Ultra Violet) 필터, ND(Netural Density) 필터, 스카이라이트 필터, 원편광 필터, 소프트 포커스 필터, 크로스 필 터, 센터 포커스 필터, 미라주 필터, 선세트 필터 및 포트레이트 필터 등과 같은 필터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필터부(300)는 보다 구체적으로, 롤러(310), 레버(320) 및 슬릿(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롤러(310)는 롤러 축(311)을 구비하며, 필름 형상의 상기 필터(301)가 상기 롤러 축(311)에 권취되도록 한다.
상기 레버(320)는 상기 롤러 축(311)의 단부에 상기 롤러 축(31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16)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 연장되어 상기 사용자가 이를 조작토록 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상기 롤러 축(311)에서 상기 중공(112)을 향하는 면까지 내통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310)에 권취된 상기 필터가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중공(112) 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공(112)의 내측 단에는 상기 슬릿으로 인출된 상기 필터가 결합되는 결합 파트(119)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사용자는 상기 레버(320)를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으로 조작하여 상기 롤러(310)에 권취된 상기 필터(301)를 상기 슬릿으로 인출되도록 한 후, 상기 필터(301)의 끝단(302)을 상기 결합 파트(119)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필터가 상기 중공(112)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촬영 시 상기 카메라 렌즈(2)에 상기 필터에 의한 필터 효과를 부가하여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파트(119)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되어 상기 필터의 끝단도 상기 결합 파트(119)와 다른 극성을 가진 자석으로 이루어져, 자력 결합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결합 파트(119)는 이 외에 공지의 결합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 축(311)에 판 스프링(350)을 장착하여 상기 필터(301)를 탄성적으로 권출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350)은 탄성력이 구비된 직사각형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그 양측단부에는 상향 절곡되며 구멍(351)이 형성된 고정부(35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롤러(310)의 상기 롤러(310) 축은 상기 고정부(352)의 상기 구멍(35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판 스프링(35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보다 더 탄성적으로 상기 중공(1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12)는 상기 베이스(116)가 스페이스(370) 및 프레임(38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촬영 보조 장치(1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116)는 스페이스(370) 및 상기 스페이스(370)를 둘러싼 프레임(3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스(370)는 상기 베이스(116) 상에서 소정 폭을 갖는 홈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프레임(380)은 상기 베이스(116) 상에서 상기 스페이스(370)가 차지한 면적 외 부분을 차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는 상기 힌지(150)와 결합되어 상기 힌지(150)를 매개로 회동될 수 있는 것으로, 회동을 통해 상기 스페이스(370)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버(200)가 상기 스페이스(370) 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바디(110)와 평면을 이루고, 도 1과 같이 상기 촬영 보조 장치(10)가 상기 모바일 단말(1)에 결합된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2)와 평행하게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촬영 시 상기 커버(200)에 형성된 상기 반사경을 보다 용이하게 마주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13)는 상기 커버(200)가 패널 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촬영 보조 장치(1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200)는 패널 수용체(400)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수용체(400)는 패널 수용부(410) 및 보조 패널(42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및 일측 단부에 상기 패널 수용부(410)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 패널(420)이 상기 패널 수용부(410)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널 수용부(410)는 상기 커버(200)의 내부에 구비된 수용 공간(411)과, 상기 커버(200)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411)까지 내통된 인출 홈(412)과, 상기 수용 공간(411)의 내측 면에서 상기 인출 홈(412)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레일(413)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패널(420)은 상기 수용 공간(4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413)을 따라 상기 인출 홈(412)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으로, 슬라이딩을 통해 상기 커버(200)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이동 및 상기 외부에서 상기 내부로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패널(420)은 일 면에, 즉, 상기 커버(200)부가 상기 힌지(150)를 매개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부(3)를 향하는 면에 보조 거울(42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보조 패널(420)이 상기 커버(200)부의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한 경우, 사용자가 셀카 촬영 시 상기 보조 거울(421)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며 셀카 촬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14)는 상기 커버(200)가 반사 패널(50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촬영 보조 장치(1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200)의 일 측면에 보조 힌지(50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힌지(501)를 매개로 일 측에서 상기 촬영부(3)를 향한 면으로 회동이 가능한 반사 패널(5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패널(500)은 촬영 목적이나 환경 등에 따라 상기 보조 힌지(501)를 통한 회동을 통해 상기 커버(200)부와의 간격 등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부(3)를 향하는 면에 조명부(510) 및 반사층(52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510)는 다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LED의 빛이 피사체에 도달하게 함으로써 피사체에 LED 빛에 의한 촬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부는 LED 빛을 피사체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피사체에 알맞은 조도(照度)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명부(510)는 도 6의 실시예 이외의 다른 도면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반사층(520)은 거울, 금속과 같이 빛을 반사하는 소재나, 섬유재나 반투명소재의 플라스틱판재와 같이 광량을 저감시키는 소재 중 사진 촬영지의 빛 상태나 피사체의 빛 반사성질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520)은 외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피사체에 도달토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피사체가 상기 빛을 직광으로 받을 때 보다 월등하게 자연스러운 사진을 얻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15)는 상기 커버(200)가 제1 봉(610) 및 제2 봉(62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촬영 보조 장치(1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봉(610)은 상기 커버(200)의 어느 하나의 측면, 즉, 제1 측면에 제1 서브 힌지(612)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봉(620)은 상기 커버(200)의 같거나 다른 하나의 측면, 즉, 제2 측면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봉(610)에는 반사층이 코팅된 반사 시트(630)가 감겨지며, 상기 제2 봉(620)에는 상기 반사 시트의 일단을 결합하는 결합 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봉(620)은 공지의 자동차용 접철식 안테나와 같은 구조로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접철될 수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봉(610)의 일 측이 상기 제1 서브 힌지(612)를 매개로 회동되고, 상기 제1 봉(620)의 타 측이 상기 제1 봉(610)의 일 측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서브 힌지(614)를 매개로 회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봉(610)에 감겨진 반사 시트(630)를 권출하여 상기 반사 시트(630)의 일 끝단을 상기 제2 봉(620)의 상기 결합 수단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외부의 빛이 상기 반사 시트(630)를 통해 굴절되어 상기 피사체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창의적인 사진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봉(610)의 적어도 일 측에는 제2 서브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서브 힌지(614)의 외측 부위가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봉(610)에 권취된 상기 반사 시트(630)는 상기 제2 봉(620)을 향하여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2 서브 힌지(614)를 기준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봉(610)에서, 상기 제1 서브 힌지(612)와 상기 제2 서브 힌지(614) 사이의 부위에 감겨진 상기 반사 시트(631)와, 상기 제2 서브 힌지(614)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된 부위에 감겨진 상기 반사 시트(632)는 서로 다른 재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된 반사 시트(630) 각각의 상기 반사층은, 서로 다른 광 굴절률을 가질 수 있어, 외부의 환경, 촬영 목적 등에 따라 상기 피사체에 광을 적절하게 굴절시켜 조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촬영 보조 장치(16)는 상기 커버(200)가 스트로보 보조체(70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촬영 보조 장치(1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200)가 제1 바(710), 제2 바(720), 스트로보 시트(730) 및 캡(미도시)을 구비하는 스트로보 보조체(7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바(710)는 일정 길이 연장된 상태로 상기 커버(200)의 일 측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바(720)는 마찬가지로 일정 길이 연장된 것으로 상기 제1 바(710)의 일 측에 장착된 애드 힌지(미도시)를 매개로 상기 제1 바(710)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트로보 시트(730)는 상기 제1 및 제2 바들(710, 720) 사이에서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촬영부(3)를 향한 면에 반사층이 코팅된다.
상기 캡은 상기 제1 및 2 바들(710, 720)의 양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스트로보 시트(730)가 상기 제1 및 제2 바들(710, 720) 사이에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바들(710, 720)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스트로보 시트(730)가 상기 제1 및 제2 바들(710, 720) 사이에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바들(710, 720)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들(710, 7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로보 시트(730)는 외부의 빛을 확산시켜 피사체에 부드럽게 조사하거나 입사되는 빛의 각도조절을 하여 피사체에 조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200)의 측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바들(710, 720)을 통해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어 다양한 촬영 연출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모바일 단말 3: 촬영부
10: 촬영 보조 장치 100: 클립
110: 제 1 바디 120: 제 2 바디
130: 회동부 150: 힌지
200: 커버 300: 필터부
310: 롤러 320: 레버

Claims (11)

  1. 클립 구조로 탈착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탈착되는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부를 덮은 상태에서 보조 렌즈가 장착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을 둘러싼 둘레부를 구비한 제1 바디 및,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상기 촬영부의 대향 측면에 접촉한 제2 바디와, 상기 제1, 2 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로 이루어진 클립;
    힌지를 매개로 상기 제1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부를 향한 면에 반사경을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보조 힌지를 매개로 일 측에서 상기 촬영부를 향한 면으로 회동 가능한 것으로서, 조명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반사층이 코팅된 반사 패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회동부와의 경계 부위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일정 면적을 차지한 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중공과 둘레부가 상기 베이스의 외측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가 베이스의 단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보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필름 형상의 필터가 롤러 축에 권취된 롤러와, 외측으로 노출 연장된 상기 롤러 축의 단부에 상기 롤러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된 레버 및, 상기 롤러 축에서 상기 중공을 향한 면까지 내통되어 상기 필터가 출입되는 슬릿으로 이루어진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의 내측 단에는,
    상기 슬릿으로 인출된 상기 필터가 결합되는 결합 파트가 추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보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축에는,
    판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필터를 탄성적으로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보조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스페이스와, 상기 스페이스를 둘러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힌지를 매개로 회동되어 상기 스페이스 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보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부에 구비된 수용 공간과,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까지 내통된 인출 홈 및,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 면에서 상기 인출 홈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패널 수용부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인출 홈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기 촬영부를 향한 면에 보조 거울을 장착한 보조 패널
    로 이루어진 패널 수용체;를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보조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제1 측면에서 제1 서브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부를 향한 부위에 반사층이 코팅된 반사 시트가 감겨진 제1 봉과,
    상기 커버의 제2 측면에서 접철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반사 시트의 일 단을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구비한 제2 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보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의 적어도 일 측에는,
    제2 서브 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서브 힌지의 외측 부위가 각도 조절 가능하고,
    상기 반사 시트는,
    상기 제2 서브 힌지를 기준으로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보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반사 시트 각각의 상기 반사층은,
    서로 다른 광 굴절률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보조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정 길이 연장된 상태로 상기 커버의 일 측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바와,
    일정 길이 연장된 것으로, 상기 제1 바의 일 측에 장착된 애드 힌지를 매개로 상기 제1 바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 바 및,
    상기 제1, 2 바 사이에서 접철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촬영부를 향한 면에 반사층이 코팅된 스트로보 시트와,
    상기 제1, 2 바의 양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을 구비한 스트로보 보조체;를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보조 장치.
KR1020190001559A 2019-01-07 2019-01-07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 KR102096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559A KR102096736B1 (ko) 2019-01-07 2019-01-07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559A KR102096736B1 (ko) 2019-01-07 2019-01-07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736B1 true KR102096736B1 (ko) 2020-04-02

Family

ID=7028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559A KR102096736B1 (ko) 2019-01-07 2019-01-07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675A (ko) * 2021-05-04 2022-11-11 주식회사 에코플레이 카메라 결합용 반사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48Y1 (ko) * 2016-02-24 2016-06-20 전명수 휴대 조명 케이스
KR20160129632A (ko) * 2015-04-30 2016-11-09 박건철 영상 촬영 보조 장치
KR20170083376A (ko) * 2016-01-08 2017-07-18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JP6227339B2 (ja) * 2013-09-11 2017-11-08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装置および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カメラシステム
US20180140196A1 (en) * 2015-06-23 2018-05-24 Metaoptima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imaging ski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7339B2 (ja) * 2013-09-11 2017-11-08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装置および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カメラシステム
KR20160129632A (ko) * 2015-04-30 2016-11-09 박건철 영상 촬영 보조 장치
US20180140196A1 (en) * 2015-06-23 2018-05-24 Metaoptima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imaging skin
KR20170083376A (ko) * 2016-01-08 2017-07-18 주식회사 날비컴퍼니 영상촬영장치 및 영상촬영방법
KR200480648Y1 (ko) * 2016-02-24 2016-06-20 전명수 휴대 조명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675A (ko) * 2021-05-04 2022-11-11 주식회사 에코플레이 카메라 결합용 반사경
KR102518438B1 (ko) * 2021-05-04 2023-04-05 주식회사 에코플레이 카메라 결합용 반사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75848B (en) Portable electron apparatus having an image capture unit
CN105549305B (zh) 便携式电子设备,及其中的摄像结构与获取影像的方法
US2015017252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lose-up imaging with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10012888B1 (en) Optical lighting accessory for handheld mobile devices in selfie mode
WO2006094245A2 (en) Camera flash diffuser for macro photography
Stroebel View camera technique
KR10209673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촬영 보조 장치
US20210247665A1 (en) Easily foldable soft box
US4183644A (en) Photographic background device
KR200462189Y1 (ko) 듀얼 카메라가 설치된 실물 화상기
Hedgecoe New manual of photography
JP2001092016A (ja) プリント機能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
US3774992A (en) Optical framing device for photographic cameras
JP6883796B2 (ja) 携帯型反射板
CN214504091U (zh) 一种摄影自拍装置
KR200424192Y1 (ko) 회전식 다기능 필터가 구비된 카메라용 플래쉬
KR200353705Y1 (ko) 뷰 카메라
Dietz Digital camera obscuras
Bellamy Analog Photography
JPH06202252A (ja) 立体写真撮影補助具
KR200259362Y1 (ko) 소형카메라망원렌즈(일부분확대망원렌즈)
KR20190000824U (ko) 휴대폰용 사진장치
TWI421623B (zh) 相機模組及使用該相機模組的可攜式電子裝置
TWI386009B (zh) 具有照相功能之便攜式電子裝置
JP2004020849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