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083Y1 - 충전기가 구비된 카메라폰용 삼각대 - Google Patents

충전기가 구비된 카메라폰용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083Y1
KR200365083Y1 KR20-2004-0021293U KR20040021293U KR200365083Y1 KR 200365083 Y1 KR200365083 Y1 KR 200365083Y1 KR 20040021293 U KR20040021293 U KR 20040021293U KR 200365083 Y1 KR200365083 Y1 KR 200365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hone
support
tripod
camera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형
우강석
정연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2004-0021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0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0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가 구비된 카메라폰용 삼각대는 카메라폰을 거치시킬 수 있는 삼각대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폰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폰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소정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몸체와 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카메라폰을 직접 손으로 들고 촬영해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되며, 원거리 촬영의 어려움, 손으로 촬영함으로써 발생하는 사진의 흔들림 등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평소에는 카메라폰 충전 삼각대를 이용하여 카메라폰을 충전함으로써 그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기가 구비된 카메라폰용 삼각대{Tripod with charger for camera phone}
본 고안은 카메라폰을 거치시킬 수 있는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카메라폰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가 구비된 카메라폰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기능이 포함된 휴대폰(이하에서는 '카메라폰'이라 함)이 200만 화소 이상으로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기능과 더불어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중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 카메라 삼각대는 일반 카메라 또는 디지털 카메라 삼각대로 제작된 것으로 카메라폰에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종래 카메라폰으로는 자기 자신 또는 자동 촬영시 손에 올려놓고 직접 찍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고화소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탑재된 카메라폰으로 촬영시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기본 악세서리인 카메라폰 전용 삼각대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카메라폰 전용 삼각대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휴대폰 카메라 고정용 삼각대(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3724호)'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을 이용하여 촬영할 때, 사용자가 휴대폰의 원격 조작을 통해 카메라 촬영을 하거나 또는 고정된 영상을 얻기 위해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휴대폰을 고정하는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카메라폰을 삼각대에 고정시키는 기능만이 있을 뿐이며 충전기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휴대성이 떨어지며 추가적인 비용부담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기본적인 카메라 악세서리인 삼각대를 카메라폰에 맞게 제작하여 평상시에는 카메라폰 충전기로 이용하고 촬영시에는 삼각대로 이용할 수 있는 충전기가 구비된 카메라폰용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해 카메라폰의 촬영이 용이해지며, 이로 인해 카메라폰의 이용이 확대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 카메라 고정용 삼각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부, 충전부, 지지부로 구성된 카메라폰용 삼각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부가 지지부의 측면에 결합된 카메라폰용 삼각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거치부, 충전부, 자세조절부, 지지부로 구성된 카메라폰용 삼각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삼각대의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삼각대가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삼각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삼각대의 거치부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삼각대에 세로형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삼각대에 가로형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삼각대에 측면에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삼각대
130 : 거치부
136 : 충전부
160 : 지지부
180 : 자세조절부
200 : 카메라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폰을 거치시킬 수 있는 삼각대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폰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폰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소정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몸체와 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카메라폰용 삼각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폰용 삼각대는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조절수단 또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거치부를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자세조절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세조절부는 고정쇠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쇠는 상기 조절수단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의 신축을 구속하거나 또는 상기 회동수단에 연결되어 회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세조절부는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여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는 받침면과 받침면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날개를 포함하며, 받침면의 일부에는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자세조절부에 대응하여 자석이 결합되거나 고정용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날개는 상기 카메라폰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고정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는 카메라폰을 거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서 받침부와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와 상기 결속부는 탄성체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카메라폰의 폭보다 넓은 폭을 집을 수 있는 집게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자세조절부는 상기 거치부가 전면을 향한 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세조절부와 상기 거치부의 연결부위에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다리 중 하나 이상은 2이상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서로 힌지결합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는 몸체와 힌지결합 또는 볼조인트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에는 지지다리에 대응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다리를 접어서 몸체에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다리의 부분의 일부는 내측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나의 부분이 다른 부분에 삽입되고, 삽입되는 부분의 단부에는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된 부분을 인출할 경우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폰용 삼각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부, 충전부, 지지부로 구성된 카메라폰용 삼각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부가 지지부의 측면에 결합된 카메라폰용 삼각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도 2b를 참조하면, 삼각대(100), 거치부(130), 하우징(132), 충전부(136), 지지부(160), 전원공급부(137), 전원플러그(138), 전원공급용 컨넥터(139), 전원공급단자(148), 카메라폰(2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폰용 삼각대(100)는 카메라폰(200)이 거치되며, 충전 전원을 제공하는 거치부(130)와 상기 카메라폰(200)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일정 위치 및 일정 방향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60)로 구성된다. 카메라폰(200)은 거치부(130)의 일면에 부착되거나 거치부(130)에 포함되어 고정되며(도 4 내지 도 6 참조), 거치부(130)에 포함된 전원 공급부(137) 또는 전원공급용 컨넥터(139)를 통해 충전 전원을 공급받는다.
충전부(136)는 전원플러그(138)를 통해 인입되는 외부 전원(한국의 경우 통상적으로 110V 내지 220V)을 카메라폰의 충전에 적합한 전압 및 전류를 갖는 충전 전원(통상적으로 3.6V 내외)으로 변환하여 전원공급용 컨넥터(139)를 통해 출력한다. 충전 전원은 하우징(132)에 포함된 전원공급단자(148)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단자(148)는 카메라폰(200)의 전극 단자에 상응하는 상기 거치부의(130)의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극 단자를 통해 상기 카메라폰에 충전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단자(148)는 카메라폰(200)의 배터리에 구비된 전극 단자 또는 카메라폰(200)의 일측면에 구비된 24핀형 직렬 통신 포트에 결합 가능한 전극 단자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전원공급용 컨텍터(139)는 카메라폰(200)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수단으로서, 카메라폰(200)의 하부에 형성된 외부 연결 단자에 탈착이 가능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카메라폰(200)의 하부에 형성된 외부 연결 단자로는 직렬 통신 포트(예를 들어, RS-232C 등) 및 USB 포트 등이 있다.
지지부(160)는 3개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며, 각 다리는 서로 다른 구경을 가지는 적어도 2 이상의 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경이 작은 관은 구경이 큰 관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평소에는 지지대를 모두 접은 상태로 카메라폰을 충전하기 위해 이용되며, 촬영시에는 지지대를 모두 펴거나 또는 일부만을 펴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0)는 거치부(13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거치부(130)의 측면에도 결합가능하다. 거치부(13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회동가능한 조인트와 같은 연결 부재를 통해 거치부(130)와 지지부(160)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거치부, 충전부, 자세조절부, 지지부로 구성된 카메라폰용 삼각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거치부(130), 지지부(160), 전원공급부(137), 전원플러그(138), 전원공급단자(148), 자세조절부(180), 카메라폰(2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자세조절부(180)는 상기 거치부(130)와 상기 지지부(160) 사이에 결합되며, 회동축과 볼조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회동축 또는 볼조인트는 일반적으로 카메라용 삼각대에서 카메라의 자세를 조절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회동수단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카메라폰이 향하는 방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자세조절부(180)는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130)는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여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거치부(130)는 일정 각도로 단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거치부(130)와 상기 자세조절부(180)의 결합부위에 30도 간격으로 스토퍼가 형성될 경우 상기 거치부(130)는 30도씩 단속적으로 회동되게 된다.
상기 자세조절부(180)와 상기 거치부(130)의 결합은 스크류 방식, 삽입홈과 고정돌기를 이용하는 방식, 자석을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자세조절부에 수직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조절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시킬 경우 카메라폰의 수직위치도 조절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 조절수단 또는 회동수단에 추가적으로 조임 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조절된 자세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세조절부는 고정쇠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쇠는 상기 조절수단에 연결되어 거치대가 수직방향으로 신축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고, 이와 병행하여 또는 이와는 별도로 상기 회동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거치부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본 고안 삼각대에 있어서 충전부는 거치부와 연결되며, 반드시 거치부와 결합되어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충전부의 일부는 자세조절부, 지지부 등에도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부의 구성에 따라 삼각대의 어느 위치에도 전원공급부가 결합될 수 있으며 다만, 거치부에는 카메라폰에 대응하여 전원공급단자(148)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삼각대의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거치부(130), 받침면(132), 가이드날개(133), 전원공급단자(148), 고정홈(170), 카메라폰(2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는 받침면(132)과 받침면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날개(133)를 포함하며, 받침면의 중앙에는 상기 자세조절부에 대응하여 고정홈(17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은 일반 카메라의 밑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삼각대 고정용 암나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세조절부 또는 지지부와의 결합을 고려하여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날개(133)는 상기 카메라폰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거치부에 거치된 카메라폰은 가이드날개(133)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그 움직임이 구속된다. 그러나 카메라폰의 고정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날개(133)의 표면에 고정용 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키킬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날개(133) 또는 고정용 돌기에 의한 마찰로 인해 카메라폰의 표면에 기스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날개 또는 고정용 돌기에 고무나 스폰지와 같은 완충성 재질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날개의 형상은 카메라폰의 렌즈, 조작부 등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좋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거치부(130a), 받침부(132a), 결속부(133a), 전원공급부(137a),전원플러그(138a), 전원공급용 컨넥터(139a), 전원공급단자(148a), 고정홈(170a), 카메라폰(200a)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는 카메라폰을 거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서 받침부(132a)와 결속부(133a)를 포함한다. 결속부(133a)는 받침부(132a)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에는 탄성체가 개재되어 결속부(133a)를 회전시켜 카메라폰(200a)을 받침부(132a)에 거치시킨 후 결속부(133a)를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결속부(133a)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되며, 결속부(133a) 및 받침부(132a)가 카메라폰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거치된 카메라폰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거치부는 도 5에 나타낸 구성요소의 구성방식 및 탄성체의 개재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 홈과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2 이상의 구성요소를 탄성체를 개재하여 결합시키는(도 6참조) 등 당업자에게 자명한 구성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거치부(130b), 받침부(132b), 결속부(133b), 전원공급부(137b), 전원플러그(138b), 전원공급용 컨넥터(139b), 전원공급단자(148b), 고정홈(170b), 카메라폰(200b)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거치부는 카메라폰을 거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서 받침부(132b)와 결속부(133b)를 포함한다. 받침부(132b)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결속부(133b)에는 받침부(132b)의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결속부(133b)는 책상의 서랍과 같이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받침부에결합되어 있다. 상기 결합위치에 탄성체가 개재되어 결속부(133b)를 인출시켜 카메라폰(200a)을 받침부(132a)에 거치시킨 후 결속부(133b)를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결속부(133b)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되며, 결속부(133b) 및 받침부(132b)가 카메라폰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거치된 카메라폰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삼각대가 접혀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160), 몸체(162), 제1지지다리 삽입홀(163a), 제2지지다리 삽입홀(163b), 제1지지다리(164), 제2지지다리의 제1부분(166), 제2지지다리의 제2부분(167), 자세조절부(18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지다리 중 제2지지다리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서로 힌지결합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다리는 몸체와 힌지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에는 지지다리에 대응하는 삽입홀(163a,163b)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지지다리(164)는 몸체(162)쪽으로 밀어서, 제2지지다리는 제2부분(167)을 제1부분(166)과 겹치도록 접은 후 몸체(162)쪽으로 회전시켜 몸체에 삽입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삼각대는 카메라폰 충전기로도 사용되므로, 도 7에서와 같이 지지다리를 몸체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면 평소에는 지지다리가 삽입되어 있는 몸체를 충전기로 사용하고 촬영시에는 지지다리를 인출하여 삼각대로 사용할 수 있어 휴대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지지부를 구성하는 방법 및 각 구성요소의 연결방식, 접철방식 등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하기 용이한 종래의 삼각대 지지부의 구성방식(도 8 참조)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삼각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거치부(130), 지지부(160), 충전부(136), 전원공급부(137), 전원공급단자(148), 자세조절부(180), 카메라폰(2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본 고안 삼각대는 종래의 자세조절부(180) 및 지지부(160)로 구성된 접철식 삼각대 구조에 카메라폰 거치부(130), 충전부(136), 전원공급부(137), 전원공급단자(148)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삼각대의 거치부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b는 상기 거치부에 세로형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c는 상기 거치부에 가로형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d는 상기 거치부에 측면에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 도 9b, 도 9c, 도 9d를 참조하면, 거치부(130), 지지부(160), 자세조절부(180), 카메라폰(200)이 도시되어 있다.
카메라폰의 촬영방식은, 전면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고 세로로 세워 촬영하는 '세로형' 방식, 가로로 눕혀 촬영하는 '가로형' 방식, 측면에 카메라가 장착된 방식 등 다양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촬영방식의 카메라폰을 거치시키기 위해 상기 거치부는 도 5, 도 6에서와 같이 카메라폰을 집을 수 있는 집게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조절부는 '세로형' 및 '가로형' 카메라폰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깊이방향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에 카메라가 장착된 방식의 카메라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세로방향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거치부는 카메라폰을 거치시키지 않고 지지부쪽으로 회전시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가로방향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삼각대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자세조절부는 가로, 세로, 깊이의 모든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부와 연결되거나,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폰이 결합된 카메라폰이 대중화되고 카메라 기능이 휴대폰의 부가적인 기능에서 기존 디지털 카메라 수준으로 높아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휴대폰으로 디지털 카메라의 기본 기능인 자동 촬영시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폰용 삼각대를 이용하면 카메라폰을 직접 손으로 들고 촬영해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된다. 아울러, 원거리 촬영의 어려움, 손으로 촬영함으로써 발생하는 사진의 흔들림 등이 제거될 수 있다.
둘째, 평소에는 본 고안 삼각대를 이용하여 카메라폰을 충전함으로써 그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여행시에는 충전기와 삼각대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 없이 충전기가 구비된 카메라폰용 삼각대만을 휴대하여도 카메라폰 충전과 자동 촬영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삼각대에 고정된 카메라폰을 개인용 컴퓨터, 화상전화 등에 연결하면 별도의 거치대 없이 카메라폰을 화상카메라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카메라폰을 거치시킬 수 있는 삼각대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폰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폰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소정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몸체와 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카메라폰용 삼각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조절수단 또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거치부를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자세조절부를 포함하는 카메라폰용 삼각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조절부는 고정쇠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쇠는 상기 조절수단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의 신축을 구속하거나 또는 상기 회동수단에 연결되어 회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삼각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조절부는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여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삼각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받침면과 받침면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면의 일부에는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자세조절부에 대응하여 자석이 결합되거나 고정용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날개는 상기 카메라폰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되거나 고정용 돌기를 포함하는 카메라폰용 삼각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카메라폰을 거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서 받침부와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와 상기 결속부는 탄성체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삼각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카메라폰의 폭보다 넓은 폭을 집을 수 있는 집게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자세조절부는 상기 거치부가 전면을 향한 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세조절부와 상기 거치부의 연결부위에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폰용 삼각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 중 하나 이상은 2이상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서로 힌지결합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폰용 삼각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몸체와 힌지결합 또는 볼조인트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에는 지지다리에 대응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다리를 접어서 몸체에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카메라폰용 삼각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의 부분의 일부는 내측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나의 부분이 다른 부분에 삽입되고, 삽입되는 부분의 단부에는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된 부분을 인출할 경우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포함하는 카메라폰용 삼각대.
KR20-2004-0021293U 2004-07-26 2004-07-26 충전기가 구비된 카메라폰용 삼각대 KR200365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293U KR200365083Y1 (ko) 2004-07-26 2004-07-26 충전기가 구비된 카메라폰용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293U KR200365083Y1 (ko) 2004-07-26 2004-07-26 충전기가 구비된 카메라폰용 삼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083Y1 true KR200365083Y1 (ko) 2004-10-15

Family

ID=4943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293U KR200365083Y1 (ko) 2004-07-26 2004-07-26 충전기가 구비된 카메라폰용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08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524B1 (ko) * 2011-02-23 2013-08-23 박인정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13183812A1 (ko) * 2012-06-07 2013-12-12 Lee Jonghun 다기능 핸드폰 렌즈 및 카메라 삼각대 복합 고정장치 기능을 가진 핸드폰 거치대
KR101812582B1 (ko) * 2016-02-19 2017-12-27 주식회사 아이리버 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형 빔 프로젝터
KR102305709B1 (ko) * 2021-04-19 2021-09-28 주식회사 엔에이치 재사용이 가능한 살균가스 발생장치
KR102498700B1 (ko) * 2021-09-28 2023-02-10 이종협 Ai 기반의 원거리 물품 배송 드라이버 맞춤형 픽업 공유배송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524B1 (ko) * 2011-02-23 2013-08-23 박인정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13183812A1 (ko) * 2012-06-07 2013-12-12 Lee Jonghun 다기능 핸드폰 렌즈 및 카메라 삼각대 복합 고정장치 기능을 가진 핸드폰 거치대
KR101812582B1 (ko) * 2016-02-19 2017-12-27 주식회사 아이리버 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모듈형 빔 프로젝터
KR102305709B1 (ko) * 2021-04-19 2021-09-28 주식회사 엔에이치 재사용이 가능한 살균가스 발생장치
KR102498700B1 (ko) * 2021-09-28 2023-02-10 이종협 Ai 기반의 원거리 물품 배송 드라이버 맞춤형 픽업 공유배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42698A1 (zh) 手持装置及拍摄设备
US9128668B2 (en) Multiple suction cup attachment platform: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on a vertical surface
JP6656542B1 (ja) ブレ防止自撮り棒
KR100713495B1 (ko) 휴대용 거치대
CN208779087U (zh) 手持装置及拍摄设备
KR200365083Y1 (ko) 충전기가 구비된 카메라폰용 삼각대
WO2018101538A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셀카봉
US11112055B2 (en) Stabilizer and stick grip for electronic devices
WO2020103750A1 (zh) 一种手持防抖稳定装置及拍摄稳定器
KR101423474B1 (ko) 접이식 고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CN106764350B (zh) 一种可组合式稳定云台
CN206948415U (zh) 一种自拍杆
KR20180083007A (ko) 안전거치대를 일체로 형성한 셀카봉
KR200471070Y1 (ko) 스마트폰 지지장치
KR100977404B1 (ko) 휴대용 충전장치
KR200356039Y1 (ko) 카메라폰 충전 삼각대
CN209991187U (zh) 自拍杆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CN206626370U (zh) 一种可组合式稳定云台
KR20210079686A (ko) 핸드폰 거치대
CN218603510U (zh) 一种新型三角手机支架
KR200454927Y1 (ko) 안테나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220749525U (zh) 一种自拍杆三脚架组合式结构
CN205792827U (zh) 一种手机壳
CN219478009U (zh) 一种用于手机的自拍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