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932B1 - 받침틀 - Google Patents

받침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932B1
KR101513932B1 KR1020140022797A KR20140022797A KR101513932B1 KR 101513932 B1 KR101513932 B1 KR 101513932B1 KR 1020140022797 A KR1020140022797 A KR 1020140022797A KR 20140022797 A KR20140022797 A KR 20140022797A KR 101513932 B1 KR101513932 B1 KR 101513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xing member
fixing
interference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755A (ko
Inventor
황선호
조경호
Original Assignee
황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호 filed Critical 황선호
Publication of KR2015002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44Article supports adapted to be stuck into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84Means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post or p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6Details concerning attachment of head-supporting legs, with or without actuation of locking member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12Ground supported umbrellas or sunshades on a single post, e.g. resting in or on a surface there be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받침틀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고정부재를 상승시켜 다양한 각도에 위치된 각 레그들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지면이 불규칙한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받침틀{prop}
본 발명은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이 불규칙한 지형, 경사진 지형과 같이 중심을 잡기 어려운 지형에서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중인 파라솔의 받침틀을 예로 비교하면, 하단에 무게를 형성하기 위해 시멘트나 주물(철)로 무게를 형성하고, 중앙에 파라솔의 지지대를 결합하여 지지하는 받침틀과, 지지면이 흙/ 지형 등에 꽂아서 그 위에 파라솔의 지지대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받침틀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기존의 받침틀들은 각각의 사용환경과 기능에 맞게 사용되어야하고, 사용자는 각각의 기능의 받침틀을 구비하여 사용해야하는 불편초래하고, 또한 무게형식의 받침틀은 이동이 불편하고 지지면에 꽂아서 사용하는 받침틀은 지지면이 지주핀을 꽂을 수 있는 흙 등으로 한정된 장소여야만 한다.
즉, 기존의 받침틀들은 중앙의 지지대식의 파라솔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틀이여서 발명이 바라는 한쪽으로 쏠리는 무게의 중심의 파라솔이나 물건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불안전한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의 받침틀과 같이 삼각대 형태의 지지대를 구성하여 거치하는 받침틀의 경우도 지원할 수 있도록 발명의 발이 상하의 180도로 움직여 고정할 수 있어 삼각대의 형태로 지지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지형의 형태가 평행한면/ 굴곡진면/ 비탈진면/ 아스팔트나 시멘트 등의 지지면에 구애받지 않고 지지할 수 있으며 한쪽으로 쏠리는 무게의 중심의 파라솔과 지면에 지지대가 밀착하는 받침틀의 경우와 카메가 거치대등의 삼각대 형태로 지지할 수 있는 물건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틀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89-0012188
본 발명은 지면이 불규칙한 지형, 경사진 지형과 같이 중심을 잡기 어려운 지형에서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받침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홈(12)이 형성된 하우징(10); 상단이 상기 하우징(10)의 회전홈(12)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고,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레그(20); 상기 하우징(1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복수개의 레그(20)의 상단에 동시에 밀착되어 상기 레그(20)들을 동시에 고정시키는 고정모듈(30)을 포함하는 받침틀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모듈(30)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복수개의 레그(20)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그(20)는 상기 회전홈(12)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고정모듈(30)과 상호 간섭되어 고정되는 회전부(22); 상기 회전부(22)에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모듈(30)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조작부재;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재와 상호 간섭되며,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을 상하 방향으로 변환시켜 상기 복수개의 레그(20)와 동시에 상호 간섭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고정부재(50)가 삽입되는 간섭홈(33); 상기 간섭홈(33)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부재(50)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간섭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바디(52); 상기 고정바디(52)에 형성되어 상기 간섭부(35)와 결합되어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간섭치형(54); 상기 고정바디(52)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레그(20)와 동시에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고정치형(56); 상기 고정바디(52)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가이드(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고정부재(50)의 회전에 대해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고, 상기 고정부재(50)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는 하우징가이드(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지면에 삽입되는 고정핀(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는 레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50) 레버축(38)을 통해 연결되며, 회전 시, 상기 하우징(10)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부재(5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0) 및 레그(20)는 마찰 또는 치합에 의해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틀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고정부재를 상승시켜 다양한 각도에 위치된 각 레그들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지면이 불규칙한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가해진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여 고정부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개의 레그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시1도
도 3은 도 1의 작동 예시2도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고정모듈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예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고정모듈이 도시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 예시1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작동 예시2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고정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예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틀은 회전홈(12)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단이 상기 하우징(10)의 회전홈(12)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고,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20)와, 상기 하우징(1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레그(20)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레그(20)를 고정시키는 고정모듈(30)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핀(4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하방향으로 상기 레그(20)의 상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홈(12)이 복수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홈(12)은 90도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되며,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회전홈(12)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고정부재(50)의 상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하우징가이드(16)가 더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가이드(16)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측 내부에 고정핀(40)이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고정핀(40)의 결합구조와 하우징가이드(16)의 형상을 한 부분에 집적하여 설계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그(20)는 상기 회전홈(12)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180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레그(20)는 상기 회전홈(12)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에 힌지연결되는 회전부(22)와, 상기 회전부(22)에 연결되는 레그부(2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22)는 힌지핀(23)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힌지핀(23)은 상기 회전부(22)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에 힌지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22)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의 디스크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고정모듈(30)과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기 위한 레그치형(25)이 형성된다.
상기 레그부(24)는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하기 위해, 다단이 수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단의 수납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고정모듈(30)은 복수개의 상기 레그(20)를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조작부재(32)와, 상기 조작부재(32)의 작동에 상호 간섭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재(32)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조작부재(32)와의 상호 간섭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부재(32)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50)와 상호 간섭되어 사용자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을 변환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부재(32)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재(50)가 삽입되는 간섭홈(33)이 형성되고, 상기 간섭홈(33)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부재(50)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간섭부(35)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재(32)의 회전 시 상기 고정부재(50)는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갑섭홈(33)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바디(52)와, 상기 고정바디(52)에 형성되어 상기 간섭부(35)와 결합되어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간섭치형(54)과, 상기 고정바디(52)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22)의 레그치형(25)과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고정치형(56)과, 상기 고정바디(52)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가이드(16)를 따라 이동되는 고정가이드(58)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디(52)는 상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원뿔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디(52)의 축 중심에 상기 간섭치형(54)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고정치형(5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디(52)의 저면에 상기 고정가이드(58)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58)가 상기 하우징가이드(16)와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5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사익 고정가이드(58) 및 상기 하우징가이드(16)의 결합은 상기 고정부재(5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재(50)가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간섭부(35) 및 간섭치형(54)이 상대회전될 때 이를 직선운동을 변환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가이드(16)는 평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가이드(58)는 상기 하우징가이드(16)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가이드(58) 내부로 상기 하우징가이드(16)가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본 실시예와 반대로 상기 하우징가이드에 고정가이드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간섭치형(54)은 상기 고정바디(52)의 축 중심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간섭부(35)와 상호 치합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재(32)를 회전시키면, 상기 간섭부(35) 및 간섭치형(54)이 상호 간섭되면서 상기 하우징가이드(16)를 따라 상기 고정부재(5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5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고정부재(50)의 외측에 형성된 고정치형(56)과 상기 레그(20)의 레그치형(25)이 밀착되어 상기 레그(20)를 고정시킨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50)의 상승 시 복수개의 레그치형(25)이 모두 고정치형(56)에 밀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레그(20)가 한번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레그(20)는 힌지핀(23)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레그(20)를 이용하여 경사진 지면이나 바위나 자갈이 많은 지형에서도 상기 하우징(10)의 수평상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고정부재(50)를 상승시켜 상기 회전부(22)에 밀착시키면, 상기 고정치형(56)과 레그치형(25)의 상호 치합을 통해 상기 회전부(22)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그(20)는 상기 회전홈(12)에서 상하 방향으로 180도 회전가능하고, 지면에 지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측으로 들어올려 지면과의 접촉을 해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하측에는 고정핀(40)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고정핀(40)을 지면에 삽입하여 상기 하우징(1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핀(40)의 설치여부는 필수사항이 아니라 설치조건에 따른 선택사항이고, 상기 고정핀(40)은 상기 하우징(10)에서 탈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에는 미도시된 수평계 등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수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파라솔 등을 설치할 경우, 상기 조작부재(32) 또는 하우징(10)에 파라솔을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브래킷의 결합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더불어 카메라 등을 고정하는 경우, 상기 조작부재(32) 또는 하우징(10)에 카메라바디와 결합되는 브래킷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50) 및 회전부(22)는 상호 치합을 통해 간섭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마찰에 의해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회전부(22)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대신 마찰력이 높은 재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50)의 고정치형 대신 마찰력이 높은 재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50)의 상승 시 서로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복수개의 레그(20)를 동시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고정모듈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상기 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재(32)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력을 변환시켜 상기 고정부재(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하였으나, 이와 달리 사용자의 조작력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50)가 직접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0)의 상측에 레버(37)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37)를 회전시켜 고정부재(50)에 형성된 레버 형태의 조작부재(38)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재(50)를 상승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된 레버(37)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하우징 12 : 회전홈
20 : 레그 22 : 회전부
23 : 힌지핀 24 : 레그부
30 : 고정모듈 32 : 조작부재
33 : 조작부 35 : 간섭부
50 : 고정부재 52 : 고정바디
54 : 간섭치형 56 : 고정치형
58 : 고정가이드

Claims (10)

  1. 회전홈(12)이 형성된 하우징(10);
    상단이 상기 하우징(10)의 회전홈(12)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고,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레그(20);
    상기 하우징(1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복수개의 레그(20)의 상단에 동시에 밀착되어 상기 레그(20)들을 동시에 고정시키는 고정모듈(3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30)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조작부재;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재와 상호 간섭되며,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을 상하 방향으로 변환시켜 상기 복수개의 레그(20)와 동시에 상호 간섭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는 받침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그(20)는
    상기 회전홈(12)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고정모듈(30)과 상호 간섭되어 고정되는 회전부(22);
    상기 회전부(22)에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부(24)를 포함하는 받침틀.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고정부재(50)가 삽입되는 간섭홈(33);
    상기 간섭홈(33)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부재(50)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간섭부(35)를 포함하는 받침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바디(52);
    상기 고정바디(52)에 형성되어 상기 간섭부(35)와 결합되어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간섭치형(54);
    상기 고정바디(52)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레그(20)와 동시에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고정치형(56);
    상기 고정바디(52)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가이드(58)를 포함하는 받침틀.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고정부재(50)의 회전에 대해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고, 상기 고정부재(50)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는 하우징가이드(16)를 포함하는 받침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지면에 삽입되는 고정핀(40)을 더 포함하는 받침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레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50) 레버축(38)을 통해 연결되며, 회전 시, 상기 하우징(10)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부재(5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받침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0) 및 레그(20)는 마찰 또는 치합에 의해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받침틀.
KR1020140022797A 2013-08-28 2014-02-26 받침틀 KR101513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758A KR20130106801A (ko) 2013-08-28 2013-08-28 받침틀
KR1020130102758 2013-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755A KR20150026755A (ko) 2015-03-11
KR101513932B1 true KR101513932B1 (ko) 2015-04-21

Family

ID=494545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758A KR20130106801A (ko) 2013-08-28 2013-08-28 받침틀
KR1020140022797A KR101513932B1 (ko) 2013-08-28 2014-02-26 받침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758A KR20130106801A (ko) 2013-08-28 2013-08-28 받침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87065B2 (ko)
KR (2) KR20130106801A (ko)
CN (1) CN104703500B (ko)
WO (1) WO201503030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140A (ko) 2018-06-20 2019-12-30 황선호 볼 부재를 이용한 받침틀
KR20210002165U (ko) * 2020-03-20 2021-09-29 이승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801A (ko) * 2013-08-28 2013-09-30 황선호 받침틀
KR101513933B1 (ko) * 2014-03-25 2015-04-21 황선호 라쳇이 설치된 받침틀
KR101513934B1 (ko) * 2014-05-26 2015-04-21 황선호 받침틀
WO2016114449A1 (ko) * 2015-01-12 2016-07-21 황선호 받침대
CN107883064A (zh) * 2017-10-27 2018-04-06 安徽微威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多条橡胶水管支撑装置
US11402059B2 (en) * 2018-10-03 2022-08-02 Gary Yeomans Base having concentric anchor
US10718997B2 (en) 2019-01-17 2020-07-21 John Kiernan-Lewis Modular tripod-arm
CN112097058A (zh) * 2019-06-18 2020-12-18 深圳市马小路科技有限公司 一种三脚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459B1 (ko) 2005-01-28 2005-10-18 니오비전(주) 보강된 삼각대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052A (en) * 1905-09-06 1906-05-22 Alexander Mcleod Tripod-stand for cameras.
US957419A (en) * 1909-07-14 1910-05-10 Charles K Gurley Baby-jumper.
US1646064A (en) * 1926-08-09 1927-10-18 Jr George J Obermeyer Mail-box post
US2166258A (en) * 1937-01-14 1939-07-18 Matrat Gabriel Reversible top for camera stands
US2229473A (en) * 1939-03-04 1941-01-21 Norman W Redmer Tripod
US2467567A (en) * 1946-12-17 1949-04-19 Price Jerry Tripod for cameras and other objects
US2630289A (en) * 1949-10-05 1953-03-03 Clifford B R Selig Bass violin folding stand
US3881675A (en) * 1974-01-04 1975-05-06 John C Matchett Camera tripod
US3921947A (en) * 1974-09-24 1975-11-25 Alistair Peter Adam Adjustable tripod
US4317552A (en) * 1979-12-26 1982-03-02 Weidler Charles H Universal tripod for supporting a camera or the like
US4438896A (en) * 1981-09-28 1984-03-27 Hall George W Segmented collar tripod for holding surveyor's stake
US5025715A (en) * 1990-11-30 1991-06-25 John Sir Cooking apparatus
US5267712A (en) 1990-12-27 1993-12-07 Shen Woei Horng Adjustable camera stand
US5614918A (en) * 1994-06-21 1997-03-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Global positioning system antenna fixed height tripod adapter
GB2298570B (en) * 1995-03-10 1998-05-13 Vinten Group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preader unit for multi-legged stands
US5749549A (en) * 1995-12-29 1998-05-12 Javad Positioning, Llc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supporting tripod
US5769370A (en) * 1995-12-29 1998-06-23 Javad Positioning, Llc Knock-down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supporting tripod
KR19990067074A (ko) * 1996-08-27 1999-08-16 겐고 호리우치 카메라 지지다리
CN2347476Y (zh) * 1998-07-30 1999-11-10 中村昌史 支架
US6604844B2 (en) * 1999-06-20 2003-08-12 Richard Hussey Reconfigurable reflective apparatus
US7207534B2 (en) * 2002-04-19 2007-04-24 Crain Enterprises, Inc. Geomatic pole support and foot therefor
US20050056739A1 (en) * 2003-09-17 2005-03-17 Alfred Koning Retractable support stand
US6951326B2 (en) * 2003-12-05 2005-10-04 Scott Vanover Mast support
US7669813B2 (en) * 2004-01-13 2010-03-02 Seco Manufacturing Company, Inc. Multiple function geomatics pole support device
US20060086869A1 (en) * 2004-10-26 2006-04-27 Wu-Hong Hsieh Tripod for a musical instrument
CN100565325C (zh) 2005-09-20 2009-12-02 杨永坚 一种相机三脚架
US7827936B1 (en) * 2005-12-07 2010-11-09 Droll Yankees, Inc. Bird feeder
USD607037S1 (en) * 2009-01-09 2009-12-29 Lihwa Lee Tripod
WO2010111544A1 (en) * 2009-03-25 2010-09-30 Brunson Instrument Company Metrology grade light weight tripod
US8047481B2 (en) * 2009-05-11 2011-11-01 Suzhou Synta Optical Technology Co., Ltd. Continuously angle-adjustable multifunction tripod
CN103456285B (zh) * 2012-06-01 2016-02-24 Rks投资有限责任公司 一种乐器支架
KR20130106801A (ko) * 2013-08-28 2013-09-30 황선호 받침틀
KR20150104612A (ko) * 2014-01-22 2015-09-15 베루본 가부시키가이샤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459B1 (ko) 2005-01-28 2005-10-18 니오비전(주) 보강된 삼각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140A (ko) 2018-06-20 2019-12-30 황선호 볼 부재를 이용한 받침틀
KR20210002165U (ko) * 2020-03-20 2021-09-29 이승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KR200494865Y1 (ko) 2020-03-20 2022-01-11 이승범 셀카봉 구조체 고정용 고정 유닛 및 결합/분리가 가능한 고정용 유닛을 포함한 셀카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801A (ko) 2013-09-30
US9687065B2 (en) 2017-06-27
WO2015030300A1 (ko) 2015-03-05
CN104703500A (zh) 2015-06-10
CN104703500B (zh) 2016-08-24
US20160166049A1 (en) 2016-06-16
KR20150026755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932B1 (ko) 받침틀
CN101555977B (zh) 支撑装置
JP3148195U (ja) モニター支持装置
KR101504241B1 (ko) 캐스터 및 캐스터를 포함하는 화이트 보드
KR101949726B1 (ko) 측지측량용 삼각대 장치
CN103069471B (zh) 显示设备用升降支架
EP2851489A2 (en) Rotation base for umbrella
JP2015129390A (ja) 水門開閉装置
JP2016202048A (ja) 施設ハウス用の高設栽培装置
CN201870867U (zh) 随停式医用床头杆装置
CN209263972U (zh) 一种全站仪支架
JP2010185211A (ja) 枠組み足場
KR100990238B1 (ko)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TW200712836A (en) Notebook computer capable of adjusting a screen via a telescopic element
KR101513933B1 (ko) 라쳇이 설치된 받침틀
CN214843336U (zh) 一种建筑工程测量装置支撑机构
JP4834586B2 (ja) 携帯用アンテナ支持装置
CN108209319B (zh) 一种快速原地垂直升降床围栏
CN210950623U (zh) 一种摄影三脚架
CN208968517U (zh) 一种高效弹簧高度弧面检测设备
KR100761708B1 (ko) 엑스레이촬영장치용 다기능스탠드
JP2008095306A (ja) 引戸の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CN211812762U (zh) 一种纱线筒绕线支架
TW201335526A (zh) 兩用型支撐結構
CN211203537U (zh) 显示设备壁挂结构及壁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