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325A -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325A
KR20160137325A KR1020150160427A KR20150160427A KR20160137325A KR 20160137325 A KR20160137325 A KR 20160137325A KR 1020150160427 A KR1020150160427 A KR 1020150160427A KR 20150160427 A KR20150160427 A KR 20150160427A KR 20160137325 A KR20160137325 A KR 20160137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lide
tube
slide groove
termi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최원길
이승배
Original Assignee
이재호
최원길
이승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호, 최원길, 이승배 filed Critical 이재호
Publication of KR2016013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는 전면, 배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부를 적어도 일 영역에 포함하는 셀카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 상에서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셀카봉부가 상기 커버부에 착탈될 수 있다.

Description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MOBILE TERMINAL CASE COMPRISING SELFIE STICK}
본 발명은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에 셀카봉을 착탈시킴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셀카봉 및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셀카란 셀프 카메라(self camera)를 줄인 신조어로서, 자신의 모습을 스스로 촬영하는 것을 말한다. 셀카는 스마트폰 등의 고화질 카메라가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카메라 대신에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자기 자신을 촬영하는 일이 일상화 되었다.
종래에는 셀카를 찍기 위하여, 스마트폰을 파지한 후 팔을 앞으로 뻗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였다. 그러나 팔의 길이와 카메라의 줌 아웃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한 화면에 많은 사물이나 인물을 담아내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셀카봉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셀카봉은 셀카 용도 외에는 아무런 용도가 없어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지 않아서 활용성이 떨어지고, 휴대폰과 독립적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구현되어, 휴대의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에 셀카봉을 착탈시킴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동시에, 다양한 길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는, 전면, 배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부를 적어도 일 영역에 포함하는 셀카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 상에서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셀카봉부가 상기 커버부에 착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카봉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 단부와 결합되는 손잡이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는, 고정관 및 길이 조절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길이 조절관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관체들이 다단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관체들이 상기 길이 조절관에 인입되거나 상기 길이 조절관에서 인출됨으로써, 상기 연장부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관과 상기 길이 조절관 사이에 형성되고, 회전 운동하여 상기 고정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셀카봉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고 촬영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는 전면, 배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부를 적어도 일 영역에 포함하는 액세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 상에서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액세서리부가 상기 커버부에 착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세서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돌기부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거치대, 손가락 링 손걸이, 카드수납부, 클립, 보조배터리, 암밴드, 충전기, 이어폰 수납부, 신용카드 결제기, 미니스피커, 삼각대 및 조이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와 셀카봉을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셀카봉의 휴대가 편리하며, 셀카봉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액세서리(예: 카드수납부, 미니스피커)도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액세서리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의 셀카봉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의 셀카봉부가 연장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의 연장부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0)는 커버부(100) 및 셀카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00)는 스마트폰이나 휴대폰과 같은 형태의 모바일 단말기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크기를 달리하여 태블릿 PC나 PDA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100)는 전면, 배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셀카봉부(20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셀카봉부(200)와 착탈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셀카봉부(200)는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커버부(100)의 전면, 배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착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카봉부(20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부(100)의 배면에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커버부(100)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셀카봉부(200)를 사용하는 경우, 셀카봉부(200)를 커버부(100)에 결합시켜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셀카봉부(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셀카봉부(200)를 커버부(10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커버부(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커버부(100) 및 셀카봉부(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의 셀카봉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0)는 커버부(100) 및 셀카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00)는 셀카봉부(200)와의 결합을 위해, 정면, 배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공간(11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00)의 일 영역에는 셀카봉부(200)와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드 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 공간(111)의 양 측면에는 슬라이드 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공간(1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 홈(112)은 셀카봉부(200)의 슬라이드 돌기부(21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상기 슬라이드 공간(111)이 커버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공간(111)은 커버부(100)에 다양한 방향 및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셀카봉부(200)는 커버부(100)의 슬라이드 홈(112)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부(211)를 적어도 일 영역에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돌기부(211)가 형성된 부분은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돌기부(211)가 슬라이드 홈(112) 상에서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셀카봉부(200)가 커버부(100)의 슬라이드 공간(111) 상을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셀카봉부(200)를 슬라이드 공간(11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커버부(100)로부터 셀카봉부(200)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의 셀카봉부가 연장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셀카봉부(200)는 몸체부(210), 연장부(220) 및 손잡이부(230)를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 영역이 커버부(100)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210)는 셀카 촬영이 없는 경우 연장부(220)를 보관하는 곳이며, 일례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말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20)는 몸체부(2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장부(220)는 고정관(221) 및 길이 조절관(222)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관(221)은, 몸체부(210) 내부에서 몸체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으며, 일정 영역만 몸체부(21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일정 영역이 토출되었을 경우, 고정관(221)이 더 이상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출방지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관(221)이 일정 영역 토출된 경우, 고정관(22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관(221)은, 몸체부(210) 외부로 토출되지 않는 적어도 일 영역이 몸체부(2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장부(220)가 임의로 몸체부(21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길이 조절관(222)은 고정관(221)과 연결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길이 조절관(222)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관체(223_1, 223_2, 223_3)들이 다단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관체(223_1, 223_2, 223_3)들이 길이 조절관(222)에 인입되거나 길이 조절관(222)에서 인출됨으로써, 연장부(22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관체(223_1, 223_2, 223_3)들은 다단의 안테나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관체(223_1, 223_2, 223_3)들은 서로 간에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되며, 인출입을 통한 길이의 신장과 단축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장부(220)의 길이를 신장하거나 단축시켜서 사용하거나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길이 조절관(222)으로부터 마지막으로 인출되는 관체(223_3)는 손잡이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3개의 관체(223_1, 223_2, 223_3)가 인출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관체(223_1, 223_2, 223_3)가 포함될 수 있고, 이를 길이 조절관(222)으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반대로, 길이 조절관(222)이 손잡이부(230)와 결합될 수 있으며, 길이 조절관(222)으로부터 마지막으로 인출되는 관체(223_3)와 고정관(221)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장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관(221)과 직경이 제일 작은 관체(223_3)와 결합될 수 있으며, 연장부(220)의 연장시 손잡이부(230)로 갈수록 관체(223_1, 223_2, 223_3)들의 직경이 커질 수도 있다.
손잡이부(230)는 연장부(220)의 일 단부와 결합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에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손잡이부(230)는 몸체부(210) 외부에 형성됨으로써, 연장부(220)를 몸체부(21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손잡이부(230)는 외주면이 고무나 실리콘 등의 파지가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파지가 용이하도록 굴곡 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의 연장부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0)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미도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면서 편리하게 셀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0)는, 고정관(221)과 길이 조절관(222) 사이에 형성되고, 회전 운동하여 고정관(22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부재(240)는 고정관(221)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커버부(100) 및 커버부(100)에 수용된 모바일 단말기(미도시)의 각도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회전부재(240)는 힌지(241), 돌출부재(242) 및 수용부재(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241)를 중심으로 고정관(221)이 회전 운동하여,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100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관(221)의 일 단부에는 돌출부재(2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241)를 수용하기 위하여, 돌출부재(242)의 일 영역에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하여, 길이 조절부(222)의 일 단부에는 돌출부재(242) 및 힌지(24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재(24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부재(243)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힌지(241)의 직경이 돌출부재(242) 및 수용부재(243)에 형성된 통공보다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커버부(100) 및 고정관(221)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돌출부재(242) 및 수용부재(243)와 힌지(241)에 나사홈 및 나사산을 형성시킴으로써, 커버부(100) 및 고정관(221)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부재(240)의 회전 운동 반경을 외부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각도로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의 정면에 형성된 카메라와 스마트폰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로 형성되며, 양 카메라의 성능에는 차이가 있다. 즉, 도 4에는 모바일 단말기의 정면에 형성된 카메라로 셀카를 촬영하는 상태가 도시되고 있으나, 이와 반대로 모바일 단말기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의 성능이 더 좋은 경우,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240)의 회전반경을 더욱 폭넓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100)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촬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거울 등의 반사체(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는 사용자 입력부(300), 통신부(400) 및 전원공급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00)는 촬영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00)는 셀카봉부(도 1의 200) 전원의 on/off 및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의 작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00)는, 예를 들어 푸쉬 버튼, 터치식 버튼 등의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하드웨어 스위치 또는 버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400)는 사용자 입력부(300)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은 동일한 프로토콜을 가진 기기 간에는 스스로 통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300)로부터 생성된 신호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통신부는 예를 들어, 이어잭(ear jack),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등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당해 기술 분야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되어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500)는 사용자 입력부(300) 및 통신부(4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공급부(500)는 1차 전지 및 2차 전지(예: 리튬 폴리머 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500)는 충전용 단자(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공급부(500)의 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부(도 3의 230)에 사용자 입력부(300), 통신부(400) 및 전원공급부(500)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손잡이부(230)는 연장부(도 3의 220)와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2000)는 커버부(2100) 및 액세서리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100)는 전면, 배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211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100)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설명을 참조한다.
액세서리부(2200)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2112)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부(2211)를 적어도 일 영역에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부(2200)의 슬라이드 돌기부(2211)가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2112) 상에서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액세서리부(2200)가 커버부(2100)에 착탈될 수 있다.
액세서리부(2200)는 결합부(2210) 및 본체부(22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210)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돌기부(22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기부(2211)가 슬라이드 홈(2112) 상에서 슬라이딩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액세서리부(2200)를 커버부(2100)에 착탈시킬 수 있다.
본체부(2220)는 결합부(221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체부(2220)가 카드수납부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서, 본체부(2220)는 거치대, 손가락 링 손걸이, 클립, 보조배터리, 암밴드, 충전기, 이어폰 수납부, 신용카드 결제기, 미니스피커, 삼각대 및 조이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셀카봉부(200)를 커버부(2100)에 끼워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로 구현된 본체부(2220)를 커버부(2100)에 바꿔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100 커버부 200 셀카봉부
210 몸체부 220 연장부
221 고정관 222 길이 조절관
223_1, 223_2, 223_3 관체 230 손잡이부
240 회전부재 241 힌지
242 돌출부재 243 수용부재
300 사용자 입력부 400 통신부
500 전원 공급부

Claims (7)

  1. 전면, 배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부를 적어도 일 영역에 포함하는 셀카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 상에서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셀카봉부가 상기 커버부에 착탈되는,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카봉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 단부와 결합되는 손잡이부로 형성되는,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고정관 및 길이 조절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길이 조절관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관체들이 다단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관체들이 상기 길이 조절관에 인입되거나 상기 길이 조절관에서 인출됨으로써, 상기 연장부의 길이가 조절되는,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관과 상기 길이 조절관 사이에 형성되고, 회전 운동하여 상기 고정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셀카봉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고 촬영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6. 전면, 배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부를 적어도 일 영역에 포함하는 액세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홈 상에서 직선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액세서리부가 상기 커버부에 착탈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 돌기부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거치대, 손가락 링 손걸이, 카드수납부, 클립, 보조배터리, 암밴드, 충전기, 이어폰 수납부, 신용카드 결제기, 미니스피커, 삼각대 및 조이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KR1020150160427A 2015-05-22 2015-11-16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KR201601373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3294 2015-05-22
KR2020150003294 2015-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325A true KR20160137325A (ko) 2016-11-30

Family

ID=5770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427A KR20160137325A (ko) 2015-05-22 2015-11-16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73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169B1 (ko) * 2018-11-30 2020-02-27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KR20200066267A (ko) * 2020-02-05 2020-06-09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KR20220170235A (ko) 2021-06-22 2022-12-29 김승한 탈부착형 무선충전 셀카봉과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169B1 (ko) * 2018-11-30 2020-02-27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WO2020111406A1 (ko) * 2018-11-30 2020-06-04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JP2021510208A (ja) * 2018-11-30 2021-04-15 イマジン シー スタンドを兼ねた自撮り棒
US11099462B1 (en) 2018-11-30 2021-08-24 Imagine Sea Combination of holder and selfie stick
KR20200066267A (ko) * 2020-02-05 2020-06-09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KR20220170235A (ko) 2021-06-22 2022-12-29 김승한 탈부착형 무선충전 셀카봉과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1610A1 (en) Handheld device, photograp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US9571716B2 (en) Handle for handheld terminal
US9473190B1 (en) Phone case with built-in holder
EP2829151B1 (en) Adjustable mounting clip and system using same
US10415748B2 (en) Portable selfie stick
CN106878499B (zh) 用于手持数码装置的整合范围扩展器及机械式保护器系统
WO2015192207A1 (en) Telescoping extension
US20180088445A1 (en) Cell Phone Case with Extendable Remote Camera Control
US20130005401A1 (en) Ergonomic handle for smartphone video recording
CN106287174B (zh) 用于手持数码装置的整合范围扩展器及机械式保护器系统
KR20160129507A (ko) 셀프 촬영용 보조 장치
KR20160137325A (ko)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KR101616542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107027078B (zh) 可穿戴式的耳机配件、无线耳机以及耳机产品
KR200476796Y1 (ko)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
KR101605098B1 (ko)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KR20170056162A (ko) 모바일 단말기용 셀카봉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US20160381192A1 (en) Transformable Accessory For A Handheld Digital Device
CN106483662A (zh) 用于后置式穿戴的多媒体智能眼镜
KR101633865B1 (ko) 스마트폰용 셀프 카메라 촬영장치
KR101792412B1 (ko)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20190034643A (ko) 모바일 폰 및 신축 가능 셀카봉으로 변환 가능한 그 후방 패널
KR101564541B1 (ko) 이동단말기용 커버장치
CN108204494B (zh) 手持云台
KR102155673B1 (ko) 길이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휴대폰용 셀카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