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169B1 - 거치대겸 셀카봉 - Google Patents

거치대겸 셀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169B1
KR102082169B1 KR1020180152266A KR20180152266A KR102082169B1 KR 102082169 B1 KR102082169 B1 KR 102082169B1 KR 1020180152266 A KR1020180152266 A KR 1020180152266A KR 20180152266 A KR20180152266 A KR 20180152266A KR 102082169 B1 KR102082169 B1 KR 102082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se body
folding
attachment disc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상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상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상해
Priority to KR1020180152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169B1/ko
Priority to JP2020502164A priority patent/JP2021510208A/ja
Priority to PCT/KR2019/005048 priority patent/WO2020111406A1/ko
Priority to US16/631,695 priority patent/US110994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10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horizontal axis being the roll axis, e.g.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6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also serviceable for other purposes, e.g. to be used as spade, chair, ski-stic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은,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본체(2); 케이스본체(2)의 배면에 부착되고, 원판으로 된 부착원판(10);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부착원판결합부(21)와, 부착원판결합부(21)로부터 케이스본체(2)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본체 지지부(20); 케이스본체 지지부(20)와 접하거나 케이스본체 지지부(20)로부터 이격가능하게 접철되도록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연장부(22) 단부에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를 지지하는 판상으로 된 접철부(30);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접철부(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접철부(30)를 지지하는 판상으로 되며, 후방면이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고, 스마트폰(1)의 셀프 카메라 촬영시에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접철부 지지부(40);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와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 양쪽을 각각 연결하되, 접철부(30)의 타측단부가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가 접하도록 하여 접철부 지지부(40)의 지지를 보조하거나, 접철부(30)로부터 접철부 지지부(40)를 이격시켜 접철부(30) 및 접철부 지지부(40)와 함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신축봉(51) 및 제 2 신축봉(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거치대겸 셀카봉{Smart Phone Cradle Case for Self Camera}
본 발명은 변형에 의해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혼자서 멀리 이격시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셀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셀카봉의 역할 수행 및 스마트폰을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셀카봉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타인의 도움없이 자신의 모습과 배경을 적합하게 촬영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고안된 장치이다.
셀카봉의 일반적인 구성은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 거치부와, 거치부 하단에 연결되고 휴대시에는 길이를 짧게 유지하고 사용시에는 길이를 길게 연장시켜 사용하는 연장대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대는 신축이 가능한 봉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셀카봉은 스마트폰과 별개로 구비되는 부가장치이고 연장대가 신축가능한 봉형태로 되어 있어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스마트폰의 손상방지를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과 거의 동등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게 통상적이므로 스마트폰 휴대시 스마트폰 케이스에 스마트폰이 수용된 상태로 휴대하게 된다.
하지만, 셀카봉은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셀카봉을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셀카봉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거치되도록 하여 스마트폰을 손으로 들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스마트폰 거치대는 셀카봉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과 별개로 구비되는 부가장치이고, 대부분은 고정식으로 되어 있어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도 있지만, 스마트폰의 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에 그치고 있다. 스마트폰의 거치높이 조절하는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는 휴대성이 떨어져 사용자가 휴대하기를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구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은 전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 제10-1792412호(발명의 명칭: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가 있다.
상기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거치시 거치하는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셀카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즉, 스마트폰만 가지고 다닐 경우에는 케이스를 스마트폰과 분리시켜야 하는데, 이때, 케이스본체를 스마트폰으로부터 완전히 제거시켜야 하므로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거치시 거치하는 과정이 간단하고, 셀카용 및 거치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분리시켜 스마트폰의 휴대를 용이하도록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의 거치대용 및 셀카용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은,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본체(2)의 배면에 부착되고, 원판으로 된 부착원판(10);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부착원판결합부(21)와,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로부터 상기 케이스본체(2)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본체 지지부(20);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와 접하거나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로부터 이격가능하게 접철되도록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상기 연장부(22) 단부에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를 지지하는 판상으로 된 접철부(30); 상기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접철부(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철부(30)를 지지하는 판상으로 되며, 후방면이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고, 스마트폰(1)의 셀프 카메라 촬영시에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접철부 지지부(40); 상기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 양쪽을 각각 연결하되, 상기 접철부(30)의 타측단부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가 접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지지를 보조하거나,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상기 접철부 지지부(40)를 이격시켜 상기 접철부(30) 및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함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신축봉(51) 및 제 2 신축봉(5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상기 부착원판(10)의 두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턱(11)이 형성되며,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는 상기 부착원판(1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21a)가 형성된 C자형을 이루며, 상기 연장부(22)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와 인접하는 부위에 상기 부착원판(10)과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결합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상기 개구부(21a)가 벌어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절개부(2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중앙부위에 수용 구비되고,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수용되거나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접철되도록 상기 접철부(30)와 근접하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접철부 지지부(40)가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자형태로 이루도록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접철부 지지부(40) 후방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함께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에 결합된 부착원판(10)에 부착된 상기 케이스본체(2)에 수용된 스마트폰(1)을 지지하도록 하고, 접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거치대 및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는, 상부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상부부위와 힌지결합되며, 하부부위에 삽입부(61a)가 구비된 상부 후방지지부(61)와,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하부에 구비되고, 양쪽에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삽입부(61a)가 삽입결합되며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쌍의 삽입부 결합가이드(62a)가 구비된 하부 후방지지부(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는 상기 한쌍의 삽입부 결합가이드(62a) 내측에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출 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홈(62b)이 이격형성되고,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삽입부(61a)는, 하부부위에 상기 걸림홈(62b)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를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에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걸림돌기(61b)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기(61b)가 포함되도록 "
Figure 112018120152903-pat00001
"자형으로 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출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의 누름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61b)가 상기 걸림홈(62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편(61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
Figure 112018120152903-pat00002
"형상으로 되며 내측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하단부위 외측에 힌지결합되며 회동되어 바닥에 접하여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지지를 보조하는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6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보조배터리(70)가 내부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은 거치대 및 셀카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고, 거치대 및 셀카봉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분리시켜 스마트폰 케이스만 휴대하게 되므로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의 거치시 거치하는 과정이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경우에 스마트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낙하에 의한 스마트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부착원판으로부터 케이스본체 지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부착원판에 케이스본체 지지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스마트폰을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하부 후방지지부와 상부 후방지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이 셀카용으로 사용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거치대겸 셀카봉이 충전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부착원판으로부터 케이스본체 지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b는 부착원판에 케이스본체 지지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스마트폰을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a 및 도 4b는 하부 후방지지부와 상부 후방지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이 셀카용으로 사용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a 및 도 6b는 거치대겸 셀카봉이 충전에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겸 셀카봉은, 부착원판(10); 케이스본체 지지부(20); 접철부(30); 접철부 지지부(40); 제 1 신축봉(51) 및 제 2 신축봉(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본체(2)는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본체(2)는 전면으로 스마트폰(1)을 삽입하여 스마트폰의 테두리를 고정하며 스마트폰(1)의 배면을 커버하는 일반적인 케이스이다.
상기 부착원판(10)은 상기 케이스본체(2)의 배면에 부착되고, 원판으로 된다. 상기 부착원판(10)과 케이스본체(2)와의 부착은 리벳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양면테이프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는 부착원판결합부(21)와, 연장부(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는,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부착원판(10)으로부터 회전가능하다.
상기 연장부(22)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로부터 상기 케이스본체(2)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22)의 단부부위에는 접철부(30)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접철부(30)는,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와 접하거나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로부터 이격가능하게 접철되도록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상기 연장부(22) 단부에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를 지지하는 판상으로 된다.
상기 접철부 지지부(40)는, 상기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접철부(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철부(30)를 지지하는 판상으로 된다. 상기 접철부 지지부(40)는 후방면이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고, 스마트폰(1)의 셀프 카메라 촬영시에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신축봉(51) 및 제 2 신축봉(52)은, 상기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 양쪽을 각각 연결하되, 상기 접철부(30)의 타측단부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가 접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지지를 보조하거나,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상기 접철부 지지부(40)를 이격시켜 상기 접철부(30) 및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함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거치대겸 셀카봉은 다음과 같이 사용되게 된다.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본체(2)를 회전시키면 도 1a의 상태가 된다. 도 1a의 상태에서 케이스본체(2)를 예각으로 회동시키면,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가 부착원판(10)에 결합되어 있고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연장부(22)는 접철부(30)에 힌지결합되므로, 접철부(30)로부터 케이스본체 지지부(20)가 회동되게 되며, 도 1b의 상태가 되게 된다. 도 1b의 상태에서 케이스본체(2)를 더 회동시켜 케이스본체(2)가 접철부(30)와 둔각을 이루게 되면 도 1c의 상태가 된다. 도 1c는 후술할 도 5a와 동일한 상태이다. 후술하겠지만, 도 5a의 상태에서는 스마트폰이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부착원판(10)으로부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b는 부착원판(10)에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부착원판(10)으로부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를 분리시키면 케이스본체(2)는 부착원판(10)이 부착된 상태로 휴대할 수 있게 되며 케이스본체(2)는 스마트폰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케이스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분리된 장치는 케이스본체(2)와 별도로 휴대하도록 하며 스마트폰 거치대 및 셀카봉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를 부착원판(10)에 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상기 부착원판(10)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는 개구부(21a)가 형성된 C자형으로 되고, 상기 연장부(22)는 절개부(22a)가 구비되도록 한다(도 2a 참조).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는 상기 부착원판(1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21a)가 형성된 C자형을 이룬다.
상기 연장부(22)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와 인접하는 부위에 상기 부착원판(10)과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결합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상기 개구부(21a)가 벌어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절개부(22a)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22)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상기 부착원판(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원판(10)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 절개부(22a)에 의해 벌어진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상기 개구부(21a)가 결합전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상기 부착원판(10)의 두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턱(11)이 형성되도록 한다(도 3a 참조).
또한,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는 상기 부착원판(10)에 결합되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상기 베어링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는, 상기 연장부(22)의 연장방향과 케이스본체(10)의 가로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도가 되는 위치에서, 딸깍하고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상응하는 위치에 걸림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 및 걸림홈에 의해 스마트폰을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거나 셀프 촬영을 위한 스마트폰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케이스본체(2)를 회동시켜 케이스본체(2)가 접철부(30)와 둔각을 이루게 되는 도 1c의 상태(도 5a와 동일한 상태임)에서는 접철부(30)와 접철부 지지부(40)를 바닥에 접한 상태로 두면 그 자체만으로 스마트폰(1)을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게 된다.
도 1c 및 도 5a의 상태는 스마트폰(1)이 거치된 상태의 위치가 낮은 상태가 이다.
도 1c 및 도 5a의 상태보다 스마트폰(1)이 거치된 상태의 위치가 높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은 접철부 지지부(40)에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중앙부위에 수용 구비되고,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수용되거나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접철되도록 상기 접철부(30)와 근접하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힌지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가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자형태로 이루도록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접철부 지지부(40) 후방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함께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에 결합된 부착원판(10)에 부착된 상기 케이스본체(2)에 수용된 스마트폰(1)을 지지하도록 하고, 접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거치대 및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는, 상부 후방지지부(61)와, 하부 후방지지부(6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는 상부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상부부위와 힌지결합되며, 하부부위에 삽입부(61a)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는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하부에 구비되고, 양쪽에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삽입부(61a)가 삽입결합되며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쌍의 삽입부 결합가이드(62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는 상기 한쌍의 삽입부 결합가이드(62a) 내측에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출 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홈(62b)이 이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삽입부(61a)는, 하부부위에 상기 걸림홈(62b)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를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에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걸림돌기(61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삽입부(61a)는, 상기 걸림돌기(61b)가 포함되도록 "
Figure 112018120152903-pat00003
"자형으로 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출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의 누름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61b)가 상기 걸림홈(62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편(61c)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가 상부 후방지지부(61)와, 하부 후방지지부(62)로 이루어져 하부 후방지지부(62)의 삽입부(61a)의 인입 및 입출이 가능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거치높이 및 세움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지지면적을 넓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하단부위에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63)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63)는, "
Figure 112018120152903-pat00004
"형상으로 되며 내측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하단부위 외측에 힌지결합되며 회동되어 바닥에 접하여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지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63)의 하단은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보다 낮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가 바닥에 접하게 되면 상기 하부 후방 지지부 보조지지부(63)는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회동되어 바닥에 접하게 되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지지면적을 넓혀지도록 하게 되어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는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가 후방으로 회동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하부 후방 지지부 보조지지부(63)가 안착되는 안착부(41)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41)에는 자석(41a)이 구비되며(도 4a 및 도 4b 참조), 상기 하부 후방 지지부 보조지지부(63)에는 상기 자석(41a)에 부착될 수 있는 자성체(63a)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자석(41a) 및 자성체(63a)를 구비함으로써, 거치대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가 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스마트폰을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c 및 도 5a의 상태보다 스마트폰(1)이 거치된 상태의 위치가 높도록 하기 위한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1a의 상태에서 케이스본체(2)를 회동시켜 케이스본체(2)가 접철부(30)와 둔각을 이루는 도 1c에서와 같은 도 3a의 상태에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중앙부위에 수용 구비된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자형태로 이루도록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 후방을 지지하도록 하면 도 3b의 상태가 된다. 도 3b의 상태에서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하단부위 외측에 힌지결합되는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63)를 회동시켜 바닥에 접하도록 하게 되면 도 3c의 상태가 되게 된다. 스마트폰의 거치높이 및 세움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삽입부(61a)의 인출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면 도 3d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4a 및 도 4b는 하부 후방지지부(62)와 상부 후방지지부(61)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에 걸림홈(62b)이 구비되며, 삽입부 결합가이드(62a)에 삽입부(61a)가 삽입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에 "
Figure 112018120152903-pat00005
"자형으로 절개된 탄성편(61c)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편(61c)에는 도 4a에 도시된 걸림홈(62b)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61b)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홈(62b)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61b)가 이격되게 되면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걸림홈(62b)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61b)가 이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편(61c)을 눌러 이격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접철부(30) 및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는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가 수용되도록 하는 케이스본체 지지부 수용홈(8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 수용홈(80)에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가 수용되게 되면 상기 접철부(30) 및 상기 접철부 지지부(40)가 접철된 상태에서 케이스본체(2)의 배면에 접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노출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어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접철부(30) 및 상기 접철부 지지부(40)는, 두께가 서로 동일하며, 동일평면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는 스마트폰(1)을 가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하는 상태를 나타내지만, 셀카봉으로 사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의 상태에서 접철부 지지부(40)를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이격되도록 잡아 빼면 상기 제 1 신축봉(51) 및 제 2 신축봉(52)이 동시에 신장되게 되며, 상기 접철부 지지부(40)가 셀카봉의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셀프 촬영을 하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보조배터리(70)가 내부에 탑재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4a 및 도 4b 참조).
도 6a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0)를 충전하도록 하는 충전포트(42)가 구비되며, 보조배터리(70)로부터 스마트폰을 충전하도록 할 수 있는 충전용포트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구비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는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를 부착원판(10)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 또는 다른 사람의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도 6b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탑재된 보조배터리(70)로부터 거치된 스마트폰에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을 수행하면서 스마트폰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스마트폰 2 : 케이스본체
10 : 부착원판 20 : 케이스본체 지지부
21 : 부착원판결합부 21a : 개구부
22 : 연장부 22 : 절개부
30 : 접철부 40 : 접철부 지지부
51 : 제 1 신축봉 52 : 제 2 신축봉
60 :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 61 : 상부 후방지지부
61a : 삽입부 61b : 걸림돌기
62 : 하부 후방지지부 62a : 삽입부 결합가이드
62b : 걸림홈 61c : 탄성편
63 :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 70 : 보조배터리
80 : 케이스본체 지지부 수용홈

Claims (7)

  1. 스마트폰(1)이 뉘어지도록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된 케이스본체(2)의 배면에 부착되고, 원판으로 된 부착원판(10);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부착원판결합부(21)와,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로부터 상기 케이스본체(2)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본체 지지부(20);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와 접하거나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로부터 이격가능하게 접철되도록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상기 연장부(22) 단부에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를 지지하는 판상으로 된 접철부(30);
    상기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접철부(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철부(30)를 지지하는 판상으로 되며, 후방면이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행하고, 스마트폰(1)의 셀프 카메라 촬영시에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접철부 지지부(40);
    상기 접철부(30)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 양쪽을 각각 연결하되, 상기 접철부(30)의 타측단부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일측단부가 접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지지를 보조하거나,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상기 접철부 지지부(40)를 이격시켜 상기 접철부(30) 및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함께 셀카봉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신축봉(51) 및 제 2 신축봉(52); 및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중앙부위에 수용 구비되고,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 수용되거나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접철되도록 상기 접철부(30)와 근접하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상부부위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접철부 지지부(40)가 상기 접철부(30)로부터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자형태로 이루도록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접철부 지지부(40) 후방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함께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본체 지지부(20)의 부착원판결합부(21)에 결합된 부착원판(10)에 부착된 상기 케이스본체(2)에 수용된 스마트폰(1)을 지지하도록 하고, 접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와 거치대 및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는 상기 부착원판(1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부(21a)가 형성된 C자형을 이루며,
    상기 부착원판(10)이 상기 개구부(21a)에 삽입되어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는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가능하고,
    상기 연장부(22)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와 인접하는 부위에 상기 부착원판(10)과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결합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의 상기 개구부(21a)가 벌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2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원판(10)의 외주연에는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원판결합부(21)가 상기 부착원판(10)의 두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턱(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용 후방지지부(60)는,
    상부가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의 상부부위와 힌지결합되며, 하부부위에 삽입부(61a)가 구비된 상부 후방지지부(61)와,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하부에 구비되고, 양쪽에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삽입부(61a)가 삽입결합되며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쌍의 삽입부 결합가이드(62a)가 구비된 하부 후방지지부(6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는 상기 한쌍의 삽입부 결합가이드(62a) 내측에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출 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홈(62b)이 이격형성되고,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의 삽입부(61a)는,
    하부부위에 상기 걸림홈(62b)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를 상기 상부 후방지지부(61)에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돌기(61b)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기(61b)가 포함되도록 "
    Figure 112020012009390-pat00006
    "자형으로 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출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의 누름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61b)가 상기 걸림홈(62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삽입부(61a)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편(61c)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6. 제 5 항에 있어서,
    "
    Figure 112018120152903-pat00007
    "형상으로 되며 내측이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하단부위 외측에 힌지결합되며 회동되어 바닥에 접하여 상기 하부 후방지지부(62)의 지지를 보조하는 하부 후방지지부 보조지지부(6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 지지부(40)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한 보조배터리(70)가 내부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겸 셀카봉.
KR1020180152266A 2018-11-30 2018-11-30 거치대겸 셀카봉 KR102082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266A KR102082169B1 (ko) 2018-11-30 2018-11-30 거치대겸 셀카봉
JP2020502164A JP2021510208A (ja) 2018-11-30 2019-04-26 スタンドを兼ねた自撮り棒
PCT/KR2019/005048 WO2020111406A1 (ko) 2018-11-30 2019-04-26 거치대겸 셀카봉
US16/631,695 US11099462B1 (en) 2018-11-30 2019-04-26 Combination of holder and selfie 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266A KR102082169B1 (ko) 2018-11-30 2018-11-30 거치대겸 셀카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652A Division KR102128755B1 (ko) 2020-02-05 2020-02-05 거치대겸 셀카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169B1 true KR102082169B1 (ko) 2020-02-27

Family

ID=6964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266A KR102082169B1 (ko) 2018-11-30 2018-11-30 거치대겸 셀카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99462B1 (ko)
JP (1) JP2021510208A (ko)
KR (1) KR102082169B1 (ko)
WO (1) WO20201114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28811A (zh) * 2023-09-08 2023-11-10 顺德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人工智能的监控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593534U (zh) * 2019-04-24 2019-11-05 田鹏 一种多轴手机折叠支架
US11522987B2 (en) * 2020-06-11 2022-12-06 Oxti Corporation Mobile device with adjustable supporting mechanism
JP2023535852A (ja) * 2020-06-23 2023-08-22 深▲せん▼市智達偉科技有限公司 ホルダー装置
US11778081B2 (en) * 2021-02-02 2023-10-03 Sean Wilinski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230037461A1 (en) * 2021-08-09 2023-02-09 Sam Salemnia Case for a cellular phone configured to enable the cellular phone to capture 360-degree field-of-view imag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325A (ko) * 2015-05-22 2016-11-30 이재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KR20170025723A (ko) * 2015-08-31 2017-03-08 권도형 휴대폰 어셈블리 케이스
KR20170112209A (ko) * 2016-03-31 2017-10-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
KR101792412B1 (ko) * 2016-05-03 2017-11-02 이상순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39789A (ko) * 2016-10-10 2018-04-19 이상순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153A (ja) * 1993-08-20 1995-02-28 Sony Corp 撮影用スタンド
JP4017950B2 (ja) * 2002-09-25 2007-1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探知システム
KR100792412B1 (ko) * 2006-12-27 2008-01-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서로 반대되는 성질의 응력을 갖는 다중 하드마스크를구비한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9799436B2 (en) * 2014-11-05 2017-10-24 Bing-Zhang LEE Magnetic attraction-fixing assembly, two-piece apparatus, and rotating support structure for a portable device having the magnetic attraction-fixing assembly
KR101656988B1 (ko) * 2015-02-26 2016-09-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셀카 케이스
KR20170098413A (ko) * 2016-02-20 2017-08-30 김영기 조명장치가 구비된 셀카스틱을 부착한 휴대폰케이스
KR101832625B1 (ko) 2016-05-20 2018-04-04 신윤철 휴대 전자기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CA3032342A1 (en) * 2016-08-07 2018-02-15 Stikbox Technologies Limited Mobile phone and back panel therefor, transformable into retractable selfie stick
CN207080781U (zh) * 2017-07-25 2018-03-09 杜少坚 一种数码产品夹持支架
CN209084303U (zh) * 2018-06-27 2019-07-09 深圳市豪华联合科技有限公司 锁止环、支架及自拍杆
WO2020041924A1 (zh) * 2018-08-27 2020-03-0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手持装置及拍摄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325A (ko) * 2015-05-22 2016-11-30 이재호 셀카봉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KR20170025723A (ko) * 2015-08-31 2017-03-08 권도형 휴대폰 어셈블리 케이스
KR20170112209A (ko) * 2016-03-31 2017-10-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용 셀카봉
KR101792412B1 (ko) * 2016-05-03 2017-11-02 이상순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39789A (ko) * 2016-10-10 2018-04-19 이상순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28811A (zh) * 2023-09-08 2023-11-10 顺德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人工智能的监控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40058A1 (en) 2021-08-05
JP2021510208A (ja) 2021-04-15
US11099462B1 (en) 2021-08-24
WO2020111406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169B1 (ko) 거치대겸 셀카봉
KR100696601B1 (ko) 만능 독서대
US9071902B1 (en) Mobile phone case with retractable headset
US20170207587A1 (en) Portable universal serial bus (usb) cable keychain assembly with carabiner clip
US11140958B1 (en) Travel suitcase
US20120238132A1 (en) Portable universal serial bus (usb) cable keychain assembly with carabiner clip
CN211046986U (zh) 云台
WO2013044145A1 (en) Vessel for scanning documents
KR20180011042A (ko) 핸드헬드 디지털 기기에 대한 일체형 범위 연장기 및 기계 보호기 시스템
CN113556958A (zh) 形成支架的行李箱
US20160342072A1 (en) Integral range extender and mechanical protector system for a handheld digital device
CN105530346A (zh) 一种手机壳
US20070140684A1 (en) Case for digital camera
KR101423474B1 (ko) 접이식 고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CN105407192A (zh) 一种手机壳
KR200466178Y1 (ko)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KR101909340B1 (ko)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102128755B1 (ko) 거치대겸 셀카봉
KR20190034643A (ko) 모바일 폰 및 신축 가능 셀카봉으로 변환 가능한 그 후방 패널
KR20170025723A (ko) 휴대폰 어셈블리 케이스
KR101792412B1 (ko) 거치대 겸용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CN206364865U (zh) 便携式自拍装置
KR20180001717U (ko) 휴대폰 케이스
KR20170003319U (ko) 보조 배터리팩 수납을 겸용한 휴대폰 단말기 수납 케이스
CN221307478U (zh) 一种可折叠四轮拉杆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