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717U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717U
KR20180001717U KR2020160006990U KR20160006990U KR20180001717U KR 20180001717 U KR20180001717 U KR 20180001717U KR 2020160006990 U KR2020160006990 U KR 2020160006990U KR 20160006990 U KR20160006990 U KR 20160006990U KR 20180001717 U KR20180001717 U KR 201800017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groove
pedestal
cas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설아
Original Assignee
김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설아 filed Critical 김설아
Priority to KR2020160006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717U/ko
Publication of KR201800017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휴대폰을 지면에 간단하게 지지 설치가능하며, 휴대폰 케이스에 사용자의 카드를 보관하되, 휴대폰 케이스에서 사용자가 카드를 꺼내기 쉽게 카드의 일부를 인출시키는 구조를 마련하여 카드의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하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수납이 가능하면서 휴대폰 거치가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기술의 발달에 따라 동영상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이 휴대폰에 융합된 스마트 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폰에서의 상기와 같은 동영상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화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지면에 고정설치되어야 함이 바람직함에도,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 및 휴대폰 케이스에는 이와 같은 기능이 지원되지 않고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흡착 또는 파지한 상태에서 유리창 또는 주면물에 고정 설치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는 사용자가 항상 별도의 휴대폰 거치대를 소지하고 다녀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 케이스 자체에서 바(bar)형태의 지지대를 조작하여 지지하는 방식도 지지하는 각도가 고정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맞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의 휴대 및 이동 또는 사용, 그리고 휴대폰을 이용한 TV나 동영상 등의 시청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휴대폰을 지면에 간단하게 지지 설치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 케이스에 사용자의 카드를 보관하되, 휴대폰 케이스에서 사용자가 카드를 꺼내기 쉽게 카드의 일부를 인출시키는 구조를 마련하여 카드의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폰 본체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내측케이스, 내측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며 일측에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외측케이스, 외측케이스의 하측에 폭방향으로 결합되되 일측 끝단이 외측케이스에 힌지로 결합되어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외측케이스와 마주보는 정면에 작동홈이 형성되고 배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받침대, 작동홈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작동부와,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카드슬릿의 반대쪽 끝단에 외측케이스를 관통하여 내측케이스에 맞닿으며 카드를 인출시키는 인출부가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카드인출버튼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폰의 휴대 및 이동 또는 사용, 그리고 휴대폰을 이용한 TV나 동영상 등의 시청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휴대폰을 지면에 간단하게 지지 설치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 케이스에 사용자의 카드를 보관하되, 휴대폰 케이스에서 사용자가 카드를 꺼내기 쉽게 카드의 일부를 인출시키는 구조를 마련하여 카드의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받침대와 카드인출버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받침대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카드인출버튼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카드인출버튼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받침대와 카드인출버튼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받침대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카드인출버튼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카드인출버튼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100)는, 휴대폰 본체(101)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내측케이스(110), 내측케이스(110)의 외측에 위치되며 일측에 카드(703)가 삽입되는 카드슬릿(1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외측케이스(130), 외측케이스(130)의 하측에 폭방향으로 결합되되 일측 끝단이 외측케이스(130)에 힌지로 결합되어 힌지축(355a)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외측케이스(130)와 마주보는 정면에 작동홈(151)이 형성되고 배면에 가이드홈(353)이 형성되는 받침대(150), 작동홈(151)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작동부(171)와, 가이드홈(353)에 삽입되며 카드슬릿(131)의 반대쪽 끝단에 외측케이스(130)를 관통하여 내측케이스(110)에 맞닿으며 카드(703)를 인출시키는 인출부(375)가 형성된 가이드부(373)가 구비되는 카드인출버튼(170)을 포함한다.
내측케이스(110)는 휴대폰 본체(101)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외측에 외측케이스(130)가 감싸도록 결합된다.
외측케이스(130)는 내측케이스(110)의 외측에 위치되며 일측에 카드(703)가 삽입되는 카드슬릿(1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카드슬릿(131)을 통해 카드(703)가 내측케이스(110)와 외측케이스(130) 사이에 삽입되어 보관된다.
또한, 외측케이스(130)에는 상측 또는 하측에 후술할 받침대(15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133)이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측케이스(130)의 하측에 결합홈(133)이 형성되는 예로 도시하였다.
받침대(150)는 외측케이스(1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폭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는데 일측 끝단이 외측케이스(130)에 힌지로 결합되어 힌지축(355a)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외측케이스(130)와 마주보는 정면에 작동홈(151)이 형성되고 배면에 가이드홈(353)이 형성되어 후술할 카드인출버튼(170)이 결합된다.
이러한 받침대(150)의 일측 끝단이 결합홈(133)에 힌지로 결합되어 타측이 힌지축(355a)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펼쳐지고, 다시 힌지축(355a)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결합홈(133)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카드인출버튼(170)은 작동홈(151)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작동부(171)와, 가이드홈(353)에 삽입되어 외측케이스(130)를 관통하여 내측케이스(110)에 맞닿으며 카드(703)를 인출시키는 인출부(375)가 형성된 가이드부(37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카드인출버튼(170)은 사용자가 작동부(171)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동홈(151)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작동부(171)와 함께 가이드부(373)가 슬라이딩되며 인출부(375)가 카드(703)를 밀어 카드(703)가 카드슬릿(131)으로 인출된다.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100)에 대해 먼저, 휴대폰(101)을 거치시키는 받침대(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대(150)는 일측 끝단의 양측에서 돌출되는 힌지돌기(355)가 형성되며, 결합홈(133)의 마주보는 양측벽 중 일측 끝단에 힌지돌기(355)가 삽입되는 힌지홈(335)이 형성되어 받침대(150)가 결합홈(133)에 힌지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받침대(150)는 타측이 일측의 힌지축(355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각도로 펼쳐지고, 받침대(150)가 소정의 각도로 펼쳐지면 휴대폰(101)의 화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지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받침대(15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다시 받침대(150)의 힌지축(355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받침대(150)를 결합홈(133)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받침대(150)가 결합홈(133)에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대(150)는 타측의 양측에서 돌출되는 고정돌기(356)가 형성되며, 결합홈(133)은 마주보는 양측벽에 고정돌기(356)가 삽입되는 고정홈(336)이 형성되어 고정돌기(356)를 고정홈(336)에 삽입시켜 받침대(150)가 결합홈(13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결합홈(133)에 삽입된 받침대(150)를 다시 펼치기 용이하도록, 받침대(150)의 타측 끝단에는 파지홈부(457)가 형성되어 받침대(150)의 타측이 끝단으로 갈수록 외측케이스(130)와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파지홈부(457)는 둥근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루브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홈(133)에 삽입된 받침대(150)를 다시 펼치기 용이하도록, 결합홈(133)의 타측 끝단에는 손잡이홈부(137)가 형성되어 결합홈(133)의 타측이 끝단으로 갈수록 받침대(150)와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타측 끝단으로 갈수록 결합홈(133)과 받침대(150) 사이가 이격됨에 따라 사용자는 이격된 결합홈(133)과 받침대(150) 사이로 손가락을 보다 쉽게 안착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격된 결합홈(133)과 받침대(150) 사이에 손가락을 안착시켜 받침대(150)의 타측 끝단을 밀어 결합홈(133)으로부터 받침대(150)의 타측 끝단을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받침대(150)의 각도가 소정 각도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대(150)는 일측단에서 배면으로 연결되는 모서리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각도제한부(159)가 구비된다.
각도제한부(159)는 결합홈(133)의 일측 끝단에 지지되어 받침대(150)의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각도제한부(159)의 테이퍼 각도에 따라 받침대(150)의 각도가 조정된다.
즉, 받침대(150)의 타측을 힌지축(355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다가 각도제한부(159)가 결합홈(133)의 일측 단부에 지지되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소정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폰(101)을 거치시키는 받침대(150)의 작동 구조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6의 (a)는 받침대(150)가 결합홈(133)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로 받침대(15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사용자가 휴대폰 케이스(100)를 사용할 때 걸림감을 없애며 휴대폰 케이스(100)가 차지하는 부피가 작도록 받침대(150)를 결합홈(133)에 결합시킨 상태로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휴대폰(101)의 화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지면에 고정설치할 때는 받침대(150)를 힌지축(355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각도제한부(159)가 결합홈(133)의 일측 단부에 지지되며 휴대폰 케이스(100)와 받침대(150)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손가락을 손잡이홈부(137)와 파지홈부(457) 사이에 넣고 고정홈(336)에서 고정돌기(356)를 이탈시키면 각도제한부(159)와 결함홈의 일측 단부가 맞닿아 받침대(150)가 소정의 각도로 펼쳐지게 된다.
한편, 보관된 카드(703)를 휴대폰 케이스(100)로부터 꺼내기 쉽도록 카드인출버튼(170)을 이용하여 카드(703)의 일부를 휴대폰 케이스(100)에서 인출시키는 구조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카드인출버튼(170)은 크게 사용자가 슬라이딩시키는 작동부(171)와 슬라이딩되어 카드(703)를 인출시키는 가이드부(37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카드인출버튼(170)은 받침대(150)에 결합되어 작동되는데, 받침대(150)의 정면에 작동홈(151)이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작동부(171)가 결합되며, 받침대(150)의 배면에 가이드홈(353)이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가이드부(373)가 결합된다.
작동부(171)는 받침대(150)의 작동홈(151)에 결합되어 휴대폰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작동부(171)를 지지한 상태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켜 카드인출버튼(170)을 슬라이딩시킨다.
이러한 작동부(171)가 결합되는 작동홈(151)은 작동부(171)가 슬라이딩되도록, 폭방향으로 긴 장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동부(171)가 작동홈(151)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가이드부(373)는 받침대(150)의 가이드홈(353)에 결합되어 외측케이스(130)와 받침대(150) 사이에 구비되며, 가이드부(373)의 끝단에서 돌출되는 후술할 인출부(375)는 외측케이스(130)를 관통하여 내측케이스(110)의 배면에 안착된다.
이러한 가이드홈(353)에는 카드인출버튼(17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홈(353)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슬라이딩 방향으로 가이드레일(452)이 돌출 형성되며, 가이드부(373)의 양측면에서 레일지지부(479)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레일지지부(479)와 작동부(171) 사이에 가이드레일(452)이 위치되어 카드인출버튼(170)이 가이드레일(452)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되고, 받침대(150)로부터 카드인출버튼(17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이드부(373)는 끝단에 외측케이스(130)를 관통하여 내측케이스(110)쪽으로 돌출되는 인출부(375)가 형성되며, 인출부(375)가 인입된 카드(703)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인출부(375)를 슬라이딩시키면 카드(703)도 슬라이딩되어 카드슬릿(131)을 통해 일부 인출된다.
즉, 인출부(375)는 카드(703)의 카드슬릿(131) 반대편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결합되며, 가이드부(373)가 슬라이딩되면 인출부(375)가 카드(703)의 카드슬릿(131) 반대편면을 지지한 상태로 슬라이딩되면서 카드(703)를 일부 인출시키게 된다.
외측케이스(130)에는 이러한 인출부(375)가 관통하는 관통홀(339)이 형성되며, 인출부(375)가 관통홀(339)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카드(703)도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이때, 인출부(375)가 카드(703)를 지지한 상태로 슬라이딩될 때 카드(703)가 카드슬릿(131) 내로 유도되도록, 내측케이스(110)에는 카드안착부(311)가 형성된다.
카드안착부(311)는 내측케이스(110)의 배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카드(703)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카드(703)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지지해주어 카드(703)가 폭방향으로 인출되게 한다.
또한, 카드안착부(311)는 카드슬릿(131)으로 투입되는 카드(703)가 걸림감 없이 투입되고 인출될 수 있도록 카드슬릿(131)이 형성되는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카드안착부(311)의 상측면과 하측면이 카드(703)의 슬라이딩 방향을 가이드해준다.
또한, 내측케이스(110)에는 외측케이스(130)를 관통하여 맞닿는 인출부(375)가 위치되는 곳에 함몰 형성되는 보조안착부(313)가 형성되며, 보조안착부(313)는 카드안착부(311)와 연결되고, 인출부(375)가 안착되어 폭방향으로 이동된다.
보조안착부(313)에는 인출부(375)가 안착되며, 보조안착부(313)와 카드안착부(311)가 하나의 평면에 위치되어 카드인출버튼(170)이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부(375)가 카드(703)를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보조안착부(313)에는 카드(703)의 일부가 돌출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인출부(375)가 보조안착부(313)로 돌출된 카드(703)의 일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카드(703)를 카드슬릿(131)으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보조안착부(313)는 내측케이스(110)의 배면에서 함몰되는 깊이가 카드안착부(311)의 함몰되는 깊이보다 깊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카드인출버튼(170)은 사용자가 카드(703)를 인출시키도록 폭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사용자가 다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지 않아도 자동으로 원래 위치까지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홈(353)과 가이드부(373) 사이에는 스프링(390)이 구비된다.
스프링(390)은 가이드홈(353)과 가이드부(373) 사이를 각각 탄성지지하며, 사용자가 카드인출버튼(170)을 슬라이딩시켜 가이드홈(353)과 가이드부(373) 사이에서 스프링(390)이 압축되고, 사용자가 카드인출버튼(170)을 놓으면 스프링(390)의 복원력으로 가이드홈(353)과 가이드부(373) 사이가 멀어지면서 카드인출버튼(170)이 원래 위치로 슬라이딩 된다.
이러한 스프링(390)은 일예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홈(353)과 가이드부(373) 사이에 구비되되, 일측이 가이드홈(353)에서 돌출되어 가이드레일(452)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봉(354)에 감겨 구비되며 타측이 가이드부(373)의 정면에서 둥근홈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스프링홈(577)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말해서, 스프링(390)은 일측이 돌출봉(354)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홈(353)의 카드슬릿(131)쪽 끝단과 스프링홈(577)의 카드슬릿(131) 반대쪽 끝단 사이에 구비되어 각각을 탄성지지하며, 카드인출버튼(170)을 카드슬릿(131)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스프링(390)이 압축되었다가, 스프링(390)의 복원력으로 카드인출버튼(170)이 다시 카드슬릿(131)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사용자가 카드인출버튼(170)을 원래 위치로 슬라이딩시키는 번거로움을 없앤다.
또한, 외측케이스(130)의 결합홈(133)에도 스프링(390)의 타측 일부가 안착되는 스프링홈(33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돌출봉(354)의 돌출된 끝단과 스프링홈(577)의 카드슬릿(131) 반대쪽 끝단 사이의 거리는 작동부(171)가 작동홈(15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거리보다 같거나 멀게 형성된다.
또한, 돌출봉(354)은 스프링(390)이 감겨 구비되어 스프링(390)이 슬라이딩방향으로만 압축되거나 복원되도록 가이드역할을 한다.
또한, 스프링홈(577)에는 스프링(390)의 타측이 안착되어 구비되되, 스프링(390)이 스프링홈(57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프링홈(577) 내측으로 돌출되어 스프링(390)을 감싸는 지지리브(577a)가 형성된다.
즉, 지지리브(577a)가 형성된 스프링홈(577)은 마주보는 양측면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며, 스프링홈(577)의 오목하게 형성된 양측면에 스프링(390)이 안착되면서 스프링홈(57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보관된 카드(703)를 휴대폰 케이스(100)로부터 꺼내기 쉽도록 카드(703)의 일부를 휴대폰 케이스(100)에서 인출시키는 작동 구조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7의 (a)는 카드(703)가 카드슬릿(131)을 통해 내측케이스(110)와 외측케이스(130) 사이에 삽입되어 카드안착부(311)에 안착된 상태이며, 도 7의 (b)는 카드인출버튼(170)을 슬라이딩시켜 카드(703)의 일부를 휴대폰 케이스(100)에서 인출시킨 상태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인출부(375)는 보조안착부(313)에 안착되며, 카드(703)가 카드슬릿(131)으로 투입되어 카드안착부(311)에 안착되되 카드(703)의 일부가 보조안착부(313)에 안착되며 인출부(375)에 지지된 상태로 보관된다.
이 상태에서 카드인출버튼(170)을 카드슬릿(131)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도 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인출부(375)가 카드(703)를 카드슬릿(131)방향으로 밀면서 슬라이딩되어 카드(703)의 일부가 카드슬릿(131)으로부터 인출되고, 사용자는 인출된 카드(703)를 잡고 카드(703)를 꺼낼 수 있어서 휴대용 케이스(100)로부터 카드(703)를 보다 수월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스프링(390)은 가이드홈(353)과 가이드부(373) 사이에서 압축된다.
그리고, 카드인출버튼(170)을 카드슬릿(131)방향으로 미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390)의 복원력으로 카드인출버튼(170)이 원래 자리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사용자가 작동부(171)의 배면을 지지한 상태로 슬라이딩시킬 때 슬립을 방지하도록, 도 8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작동부(171)는 배면에 수개의 돌기(171a)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수개의 돌기(171a)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작동부(171)의 마찰을 높여 작동부(171)로부터 슬립되지 않고 카드인출버튼(170)을 쉽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작동부(171)는 배면에 널링부(171b)가 형성된다.
널링부(171b)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작동부(171)의 마찰을 높여 작동부(171)로부터 슬립되지 않고 카드인출버튼(170)을 쉽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작동부(171)는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걸림부(171c)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걸림부(171c)는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부(171c)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작동부(171)의 마찰을 높여 작동부(171)로부터 슬립되지 않고 카드인출버튼(170)을 쉽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인출부(375)에는 돌출부(375a) 또는 경사부(375b)가 형성되어 카드인출버튼(170)의 슬라이딩시 돌출부(375a)와 경사부(375b)가 카드(703)를 지지하여 카드(703)가 쉽게 인출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인출부(375)에는 내측케이스(110)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75a)가 형성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조안착부(313)에도 돌출부(375a)가 안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안착홈은 보조안착부(313)에서 함몰되어 형성되어 돌출부(375a)가 안착되어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돌출부(375a)는 카드(703)가 인출부(375)와 내측케이스(110) 사이에 있어서 카드인출버튼(170)을 이용하여 인출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돌출부(375a)는 인출부(375)에서 돌출되어서 카드(703)가 인출부(375)와 내측케이스(110) 사이에 있더라도 카드(703)를 밀어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의 (b)를 참조하면, 인출부(375)에는 카드(703)가 투입되는 쪽으로 돌출되되 돌출되는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좁아지며 돌출되는 경사부(375b)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부(375b)는 카드(703)가 인출부(375)와 내측케이스(110) 사이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카드(703)는 경사부(375b)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투입되어 경사면에 안착됨에 따라 카드인출버튼(170)을 슬라이딩시키면 카드(703)가 카드슬릿(131)으로부터 인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폰의 휴대 및 이동 또는 사용, 그리고 휴대폰을 이용한 TV나 동영상 등의 시청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휴대폰을 지면에 간단하게 지지 설치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 케이스에 사용자의 카드를 보관하되, 휴대폰 케이스에서 사용자가 카드를 꺼내기 쉽게 카드의 일부를 인출시키는 구조를 마련하여 카드의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휴대폰 케이스 101: 휴대폰
110: 내측케이스 130: 외측케이스
131: 카드슬릿 133: 결합홈
150: 받침대 151: 작동홈
159: 각도제한부 170: 카드인출버튼
171: 작동부 311: 카드안착부
313: 보조안착부 577: 스프링홈
335: 힌지홈 336: 고정홈
339: 관통홀 353: 가이드홈
354: 돌출봉 355: 힌지돌기
356: 고정돌기 373: 가이드부
375: 인출부 390: 스프링
577: 스프링홈

Claims (11)

  1. 휴대폰 본체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내측케이스;
    상기 내측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며 일측에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외측케이스;
    상기 외측케이스의 하측에 폭방향으로 결합되되 일측 끝단이 상기 외측케이스에 힌지로 결합되어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외측케이스와 마주보는 정면에 작동홈이 형성되고 배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받침대; 및
    상기 작동홈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작동부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카드슬릿의 반대쪽 끝단에 상기 외측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내측케이스에 맞닿으며 상기 카드를 인출시키는 인출부가 형성된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카드인출버튼;
    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케이스는 하측에 상기 받침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는 일측 끝단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의 마주보는 양측벽에 결합되는 힌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타측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의 마주보는 양측벽의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타측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외측케이스와 이격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타측 끝단에는 파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타측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받침대와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홈의 타측 끝단에는 손잡이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일측단에서 배면으로 연결되는 모서리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각도제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케이스에는 상기 카드슬릿으로 인입된 카드가 안착되는 카드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케이스에는 상기 외측케이스를 관통하여 맞닿는 상기 인출부가 위치되는 곳에 상기 인출부가 폭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카드안착부와 연결되는 보조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작동부의 배면을 지지한 상태로 슬라이딩시킬 때 슬립을 방지하도록, 상기 작동부는 배면에 널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작동부의 배면을 지지한 상태로 슬라이딩시킬 때 슬립을 방지하도록, 상기 작동부는 배면에 수개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가이드홈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각각을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KR2020160006990U 2016-12-01 2016-12-01 휴대폰 케이스 KR201800017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90U KR20180001717U (ko) 2016-12-01 2016-12-01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90U KR20180001717U (ko) 2016-12-01 2016-12-01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17U true KR20180001717U (ko) 2018-06-11

Family

ID=6259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990U KR20180001717U (ko) 2016-12-01 2016-12-01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71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582B1 (ko) * 2019-04-01 2020-04-08 김현재 휴대폰 케이스
KR102109505B1 (ko) * 2018-11-05 2020-05-26 최정욱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678U (ko) * 2009-12-28 2011-07-06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지지대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130092891A (ko) * 2012-02-13 2013-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0473421Y1 (ko) * 2013-02-07 2014-07-07 박선기 미러 부착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78280Y1 (ko) * 2015-02-10 2015-09-16 주식회사 비투엠 카드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588222B1 (ko) * 2015-02-02 2016-01-25 주식회사아리움 휴대폰 케이스
KR20160129503A (ko) *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678U (ko) * 2009-12-28 2011-07-06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지지대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130092891A (ko) * 2012-02-13 2013-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0473421Y1 (ko) * 2013-02-07 2014-07-07 박선기 미러 부착형 휴대폰 케이스
KR101588222B1 (ko) * 2015-02-02 2016-01-25 주식회사아리움 휴대폰 케이스
KR200478280Y1 (ko) * 2015-02-10 2015-09-16 주식회사 비투엠 카드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60129503A (ko) * 2015-04-30 2016-11-09 에이스그룹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505B1 (ko) * 2018-11-05 2020-05-26 최정욱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2098582B1 (ko) * 2019-04-01 2020-04-08 김현재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6719B2 (en) Holder for mobile device and vehicle seat employing same
US8672229B2 (en) Electronic module holder with sliding door
US20120326003A1 (en) Multi-function tablet computer grip with 360-degree rotating finger ringlet
KR19990022405U (ko) 휴대폰홀더
KR101426915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WO2012067029A1 (ja) 電子機器保持具
US8214000B2 (en) Locking device for internal battery pack cover of mobile phone
KR20180001717U (ko) 휴대폰 케이스
KR20160019273A (ko)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CN111459238B (zh) 机箱
JP2004058812A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JP5494768B2 (ja) カード収納用トレイ、カード収納構造およびカード収納構造を利用した電子機器
JP5454818B1 (ja) カード収納用トレイ、カード収納構造およびカード収納構造を利用した電子機器
KR200487412Y1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JP5660089B2 (ja) カード収納構造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電子機器
JP2003188968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KR101500899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US8757497B2 (en) Wireless data card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146466A (ko) 시트형 휴대폰 거치대
KR101459357B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JP2000236970A (ja) スライドレールのロック構造
KR20160150582A (ko) 전자기기의 수납식 홀딩장치
US20120170181A1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orientation
KR101938258B1 (ko) 핸드폰 케이스
CN215499527U (zh) 一种耳机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