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273A -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9273A KR20160019273A KR1020140103821A KR20140103821A KR20160019273A KR 20160019273 A KR20160019273 A KR 20160019273A KR 1020140103821 A KR1020140103821 A KR 1020140103821A KR 20140103821 A KR20140103821 A KR 20140103821A KR 20160019273 A KR20160019273 A KR 201600192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d
- stopper
- insertion port
- main body
- elastic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는, 휴대기기가 오목한 전면에 결합되며, 측면에 슬릿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슬릿과 연결되도록 측면에 삽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카드 삽입부 및, 상기 삽입구 방향에 누름 동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카드의 일단을 걸림 또는 걸림 해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 삽입시 스토퍼의 걸림 동작에 의해 카드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스토퍼의 걸림 해지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의 일부분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카드의 삽입과 인출이 쉬워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 기기는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한번 파손되면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기기 사용자들은 해당 기종에 적합한 보호용 케이스를 휴대 기기에 결합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기기 케이스는 실리콘, 플라스틱, 메탈 등의 재질을 이용해 제작되며, 휴대기기의 외관을 꾸밀 수 있도록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휴대기기 케이스는 휴대 기기의 배면이나 테두리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과 사이즈로 제작되며, 휴대기기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일정 두께를 형성한다.
최근에는, 휴대기기 케이스에 카드 등의 물품을 수납하는 기능을 부가한 물품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물품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는 카드 등의 물품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는데, 사용자가 카드를 삽입홈에 밀어넣고 강제적으로 빼내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종래의 물품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는 카드를 수납홈에 밀어넣거나 빼내는 경우, 카드와 수납홈 간의 밀착력에 의해 카드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종래의 물품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는 카드와 휴대기기 간의 밀착력 작용과 외부 충격에 의한 유동에 의해 카드가 손상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3145호(2014년 04월 30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 삽입시 스토퍼의 걸림 동작에 의해 카드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스토퍼의 걸림 해지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의 일부분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카드의 삽입과 인출이 쉬워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의 두께와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공간 내에 카드를 흔들림 없이 위치시킴으로써, 휴대기기와의 접촉과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카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는, 휴대기기가 오목한 전면에 결합되며, 측면에 슬릿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슬릿과 연결되도록 측면에 삽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카드 삽입부 및, 상기 삽입구 방향에 누름 동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카드의 일단을 걸림 또는 걸림 해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드 삽입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하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카드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들 간의 대응면에는 상기 삽입구 방향에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에는 내부에 삽입된 카드의 일단을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카드의 일단과 걸림 해지시 상기 카드의 일단을 상기 삽입구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삽입구 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고정단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단과 반대되는 지지단이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위치되는 판 스프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단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카드의 일단에 걸림 위치시 상기 삽입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하 방향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카드의 일단을 양 방향에서 다 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단은 상기 카드의 일단과 접하는 반향에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삽입구 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고정단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단과 반대되는 지지단이 상기 삽입구 방향을 향하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단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카드의 일단에 걸림 위치시 상기 삽입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의 지지단에는 상기 카드의 일단을 대응되게 지지하기 위한 접촉부재가 더 결합되며,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카드의 일단에 걸림 위치시 상기 삽입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삽입구 방향에 위치된 상기 카드 삽입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누름 동작된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의 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카드의 일단을 걸림 위치시키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의 양측에는 누름 동작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분할선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구의 출구 방향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며, 누름 동작시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휘어진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의 일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카드의 일단을 측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의 일부분은 상기 본체의 중심 방향을 따라 더 넓게 개방된 확장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드 삽입시 스토퍼의 걸림 동작에 의해 카드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스토퍼의 걸림 해지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의 일부분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카드의 삽입과 인출이 쉬워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카드의 두께와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공간 내에 카드를 흔들림 없이 위치시킴으로써, 휴대기기와의 접촉과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카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에서 탄성부재를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에서 스토퍼를 설치공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에서 탄성부재를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에서 스토퍼를 설치공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는 본체(100)와, 카드 삽입부(200)와, 스토퍼(300, 300') 및, 탄성부재(400, 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휴대기기(스마트폰 등, 10)가 오목한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슬릿(110)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휴대기기(10)의 테두리 부위를 일정 압력으로 파지하기 위한 결합 단부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단부는, 휴대기기(10)의 테두리 폭과 형상에 따라 돌출되는 길이와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슬릿(110)의 일부분에는 본체(100)의 중심 방향을 따라 더 넓게 개방된 확장부(1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111)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후술 될 스토퍼(300)의 제1누름부재(310)를 누르거나 카드(1)의 일단을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몸체(100)와 결합 단부 상에는 휴대기기(10)의 단자 결합부와 조작 버튼과 카메라와 스피커 등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본체(100)는, 직사각 형상으로 도시 하였으나, 상기 본체(100)의 형상은 휴대기기(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카드 삽입부(200)는, 본체(100)에 카드(1)를 결합시키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로 휴대기기(10)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 삽입부(200)는 카드(1)를 보호하기 위해 일정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 삽입부(200)는 본체(100)의 전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카드 삽입부(200)의 테두리 부위가 본체(10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드 삽입부(200)와 본체(100)의 사이에는 카드(1)를 삽입시키기 위한 수용공간(21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210)은 카드(1)를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해, 카드(1)의 두께와 카드(1)의 테두리 형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 삽입부(200)의 일측에는 본체(100)의 슬릿(110)과 연결되도록 측면에 삽입구(220)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220)는, 카드(1)가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수용공간(210)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카드 삽입부(200)는 수용공간(210)의 상하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삽입구(220)를 통해 삽입되는 카드(1)를 수용공간(210)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30)는, 삽입구(220)의 삽입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230)들 간의 대응면에는 삽입구(220) 방향에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삽입구(220)의 양 방향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삽입구(220)를 통해 삽입되는 카드(1)의 양단을 각각 가이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드(1)를 삽입구(220)를 통해 삽입시키는 경우, 카드(1)의 양단은 가이드부재(230)들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면서 수용공간(210)으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300)는, 삽입구(220) 방향에 누름 동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구(220)를 통해 수용공간(210)에 삽입된 카드(1)의 일단을 걸림 또는 걸림 해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300)는 카드 삽입부(200)의 삽입구(220) 방향측 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300)는 후술 될 분할선(311) 없이 제1걸림돌기(320) 만이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300)는 카드 삽입부(200)의 삽입구(220) 방향측 일단의 중심 위치에 구비되어, 카드(1)의 중심 부위를 걸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스토퍼(300)는 카드 삽입부(200)의 카드 삽입부(200)의 삽입구(220) 방향측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카드(1)의 일단을 다 점으로 걸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스토퍼(300)는, 도 2와 도 3에서처럼 제1누름부재(310) 및, 제1걸림돌기(3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누름부재(310)는, 삽입구(220) 방향에 위치된 카드 삽입부(20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누름부재(31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시 본체(100)의 전방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누름 동작이 해지될 때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제1누름부재(310)의 양측는 누름 동작시 본체(100)의 전방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분할선(31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할선(311)은, 상기 제1누름부재(310)가 본체(100)의 전방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카드 삽입부(200)의 일단과 상기 제1누름부재(310)를 이격시킨다.
제1걸림돌기(320)는, 제1누름부재(310)의 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용공간(210)에 삽입된 카드(1)의 일단을 걸림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걸림돌기(320)의 일단에는 삽입구(220)의 출구 방향으로부터 수용공간(210)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삽입구(220)의 출구 방향에 위치되므로, 상기 삽입구(220)를 통해 카드(1)를 삽입시 카드(1)의 일단이 상기 경사면을 일 방향으로 밀면서 수용공간(21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누름부재(310)는 본체(100)의 전방으로 휘어지고, 제1걸림돌기(320)는 카드(1)와 걸림이 해지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카드(1)가 수용공간(210)에 완전히 삽입시 제1누름부재(31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고, 제1걸림돌기(320)의 단턱 부위가 카드(1)의 일단에 걸림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수용공간(210)에 삽입된 카드(1)가 제1걸림돌기(320)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반면, 상기 수용공간(210)으로부터 카드(1)를 분리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걸림돌기(320)를 본체(100)의 전방으로 밀어 상기 제1걸림돌기(320)와 카드(1) 간의 걸림 상태를 해지시킬 수 있다.
이때, 카드(1)는 후술 될 탄성부재(400, 40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삽입구(220)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카드(1)의 일단이 삽입구(220)의 외부로 일정부분 노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카드(1)의 일단이 삽입구(220)의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카드(1)의 노출된 단부를 잡고 외부로 빼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스토퍼(300')는 도 5에서처럼 제2누름부재(310') 및, 제2걸림돌기(32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누름부재(310')는, 수용공간(2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며, 누름 동작시 수용공간(210)의 외측으로 휘어진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누름부재(31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시 본체(100)의 전방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누름 동작이 해지될 때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제2걸림돌기(320')는, 제2누름부재(310')의 일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수용공간(210)에 삽입된 카드(1)의 일단을 측방에서 걸림 위치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카드 삽입부(200)에 형성된 수용공간(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400)는 수용공간(210) 내에서 카드(1)에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400)는 수용공간(210) 내부에 삽입된 카드(1)의 일단을 삽입구(22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00)는 스토퍼(300)가 카드(1)의 일단과 걸림이 해지되는 경우, 카드(1)의 일단을 삽입구(220)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탄성부재(400)는 삽입구(220) 방향과 반대되는 수용공간(210)의 일측에 고정단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400)의 고정단과 반대되는 지지단이 삽입구(220)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위치되는 판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00)의 지지단은 스토퍼(300, 300')가 카드(1)의 일단에 걸림 위치시 삽입구(2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퇴되면서 압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탄성부재(400)는, 수용공간(210)의 상하 방향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어, 카드(1)의 일단을 양 방향에서 다 점 지지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탄성부재(400)는 수용공간(210)의 중심 부위에 하나로 형성시켜, 수용공간(210)에 삽입된 카드(1)의 일단을 한 점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0)의 지지단은 카드(1)의 일단과 접하는 반향에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탄성부재(400')는 도 4에서처럼 삽입구(220) 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수용공간(210)의 일측에 고정단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단과 반대되는 지지단이 삽입구(220) 방향을 향하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단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카드의 일단에 걸림 위치시 상기 삽입구(2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00')의 지지단에는 카드(1)의 일단을 대응되게 지지하기 위한 접촉부재(41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410')는, 스토퍼(300, 300')가 카드(1)의 일단에 걸림 위치시 상기 삽입구(2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0)와 카드 삽입부(200) 및 스토퍼(300, 300')는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0)와 카드 삽입부(200) 및 스토퍼(300, 300')는 동일 소재를 이용해 한 번의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체결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와 카드 삽입부(200) 및 스토퍼(300, 3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와 카드 삽입부(200) 및 스토퍼(300, 300')의 외부에는 마찰이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충격 흡수 소재(미도시)가 피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 흡수 소재는 실리콘(silicone), 폴리 우레탄(TPU: Temperature polyurethane) 등의 소재가 피복 또는 부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카드 삽입시 스토퍼(300, 300')의 걸림 동작에 의해 카드(1)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스토퍼(300, 300')의 걸림 해지시 탄성부재(400, 400')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1)의 일부분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카드(1)의 삽입과 인출이 쉬워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드(1)의 두께와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공간(210) 내에 카드(1)를 흔들림 없이 위치시킴으로써, 휴대기기(10)와의 접촉과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카드(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카드
10: 휴대기기
100: 본체 110: 슬릿
111: 확장부 200: 카드 삽입부
210: 수용공간 220: 삽입구
300, 300': 스토퍼 310: 제1누름부재
311: 분할선 320: 제1걸림돌기
310': 제2누름부재 320': 제2걸림돌기
400, 400’: 탄성부재 410’: 접촉부재
100: 본체 110: 슬릿
111: 확장부 200: 카드 삽입부
210: 수용공간 220: 삽입구
300, 300': 스토퍼 310: 제1누름부재
311: 분할선 320: 제1걸림돌기
310': 제2누름부재 320': 제2걸림돌기
400, 400’: 탄성부재 410’: 접촉부재
Claims (13)
- 휴대기기가 오목한 전면에 결합되며, 측면에 슬릿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슬릿과 연결되도록 측면에 삽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카드 삽입부; 및
상기 삽입구 방향에 누름 동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카드의 일단을 걸림 또는 걸림 해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드 삽입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하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카드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들 간의 대응면에는,
상기 삽입구 방향에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는,
내부에 삽입된 카드의 일단을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카드의 일단과 걸림 해지시 상기 카드의 일단을 상기 삽입구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삽입구 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고정단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단과 반대되는 지지단이 상기 삽입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위치되는 판 스프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단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카드의 일단에 걸림 위치시 상기 삽입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하 방향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카드의 일단을 양 방향에서 다 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상기 카드의 일단과 접하는 반향에 곡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삽입구 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고정단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단과 반대되는 지지단이 상기 삽입구 방향을 향하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단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카드의 일단에 걸림 위치시 상기 삽입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지지단에는,
상기 카드의 일단을 대응되게 지지하기 위한 접촉부재가 더 결합되며,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카드의 일단에 걸림 위치시 상기 삽입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삽입구 방향에 위치된 상기 카드 삽입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누름 동작된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의 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카드의 일단을 걸림 위치시키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의 양측는,
누름 동작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분할선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구의 출구 방향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며, 누름 동작시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휘어진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의 일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카드의 일단을 측방에서 걸림 위치시키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일부분은,
상기 본체의 중심 방향을 따라 더 넓게 개방된 확장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3821A KR20160019273A (ko) | 2014-08-11 | 2014-08-11 |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3821A KR20160019273A (ko) | 2014-08-11 | 2014-08-11 |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9273A true KR20160019273A (ko) | 2016-02-19 |
Family
ID=5544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3821A KR20160019273A (ko) | 2014-08-11 | 2014-08-11 |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19273A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5850A (ko) * | 2016-03-10 | 2017-09-20 | 김현재 | 휴대폰 케이스 |
WO2017222109A1 (ko) * | 2016-06-24 | 2017-12-28 | 주식회사 하나통신 | 카드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
KR20180000893U (ko) * | 2016-09-22 | 2018-03-30 | 주식회사 하나통신 | 카드수납 및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
KR200487412Y1 (ko) * | 2018-03-09 | 2018-09-13 | 주식회사 엠픽 | 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
KR101979629B1 (ko) * | 2018-12-19 | 2019-05-17 | 여창기 | 다용도 홀더 |
KR102339621B1 (ko) * | 2020-12-29 | 2021-12-16 | 주식회사 코집테크 | 클립 방식의 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
KR102354256B1 (ko) * | 2020-12-31 | 2022-01-21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노크식 카드 지갑 |
KR102662420B1 (ko) * | 2024-01-26 | 2024-04-30 | 주식회사 코집테크 | 스프링 인출 타입 카드지갑 |
KR200498241Y1 (ko) * | 2023-05-30 | 2024-08-08 | 주식회사 포유 | 카드 수납 케이스 |
-
2014
- 2014-08-11 KR KR1020140103821A patent/KR20160019273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5850A (ko) * | 2016-03-10 | 2017-09-20 | 김현재 | 휴대폰 케이스 |
WO2017222109A1 (ko) * | 2016-06-24 | 2017-12-28 | 주식회사 하나통신 | 카드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
KR20180000893U (ko) * | 2016-09-22 | 2018-03-30 | 주식회사 하나통신 | 카드수납 및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
KR200487412Y1 (ko) * | 2018-03-09 | 2018-09-13 | 주식회사 엠픽 | 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
KR101979629B1 (ko) * | 2018-12-19 | 2019-05-17 | 여창기 | 다용도 홀더 |
KR102339621B1 (ko) * | 2020-12-29 | 2021-12-16 | 주식회사 코집테크 | 클립 방식의 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
KR102354256B1 (ko) * | 2020-12-31 | 2022-01-21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 노크식 카드 지갑 |
KR200498241Y1 (ko) * | 2023-05-30 | 2024-08-08 | 주식회사 포유 | 카드 수납 케이스 |
KR102662420B1 (ko) * | 2024-01-26 | 2024-04-30 | 주식회사 코집테크 | 스프링 인출 타입 카드지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19273A (ko) |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 |
KR102147957B1 (ko) | 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WO2017054281A1 (zh) | 卡座结构及电子设备 | |
US9281610B2 (en) | Tray type card connector having a front cover with a sealing member | |
US7023430B2 (en) | Stylus retaining and releasing mechanism for stylus-receiving housing | |
CN111129860B (zh) | 一种可穿戴设备 | |
US20140185199A1 (en) | Electronic device with releasable card holder | |
US8432682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slot cover ejection mechanism | |
US8142229B1 (en) | Card connector with cam feature for facilitating insertion of a card | |
US8320122B2 (en) | Lat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US8672229B2 (en) | Electronic module holder with sliding door | |
KR101641104B1 (ko) |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 |
JP2013178887A (ja) | トレイ式カードコネクタ | |
US20100084310A1 (en) | Chip card holder | |
US8287298B2 (en) | Detachment-preventing plug | |
US8837146B2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 |
US20170293582A1 (en) | Connection device of connector for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 | |
KR101489490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 시스템 | |
JP2014041465A (ja) | カード収納構造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電子機器 | |
KR200480627Y1 (ko) | 카드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수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 |
US20090026242A1 (en) |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case connector system | |
US20100188805A1 (en) | Cover releasing mechanisms | |
CN209994144U (zh) | 一种移动充电装置充电仓 | |
CN210608570U (zh) | 一种移动充电装置充电仓 | |
CN210224995U (zh) | 一种移动充电装置充电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