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850A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850A
KR20170105850A KR1020160029033A KR20160029033A KR20170105850A KR 20170105850 A KR20170105850 A KR 20170105850A KR 1020160029033 A KR1020160029033 A KR 1020160029033A KR 20160029033 A KR20160029033 A KR 20160029033A KR 20170105850 A KR20170105850 A KR 20170105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groove
main body
mobile phon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008B1 (ko
Inventor
김현재
Original Assignee
김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재 filed Critical 김현재
Priority to KR102016002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00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후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카드를 수납하거나 카드를 세울 수 있도록 구현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후면에 홈을 형성시켜 휴대폰을 삽입하여 보호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덮기 위한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측에 홈을 형성시켜, 카드를 수납하도록 하기 위한 수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phone case}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 후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카드를 수납하거나 카드를 세울 수 있도록 구현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휴대용 PC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을 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통신기기들 중에서도 특히 휴대폰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휴대폰 케이스는, 이러한 휴대폰을 사용함에 있어서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에 대해 휴대폰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장식 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휴대폰의 보호케이스가 더불어 사용되고 있다.
휴대폰 케이스는 그 형태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일단에는 휴대폰이 장착되는 수납케이스가 구비되고, 케이스의 후방으로 부착 설치되는 보호패널과, 보호패널과 일체로 되면서 수납케이스를 개폐하여 휴대폰의 전면을 보호하는 커버로 이루어진 케이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2574호(2014.04.29 등록)는 케이스와 지갑이 결합된 핸드폰 보호케이스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케이스는, 핸드폰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일측 가장자리에 관통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지갑은,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어 몸체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삽입판과, 일측 가장자리가 삽입판의 가장자리 중에서 절개부의 바깥으로 노출된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덮개와,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가 덮개의 가장자리 중에서 삽입판과 연결된 가장자리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덮개의 바깥쪽으로 펼쳐지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지갑은, 덮개의 안쪽 표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케이스는 몸체의 표면에서 덮개의 고정수단의 위치와 대응되는 곳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덮개와 지지부에는 카드나 명함, 지폐, 신분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보관하는 포켓이 각각 형성되며, 고정수단은 딱단추, 자석, 벨크로 중 어느 하나이며, 지지부에서 덮개에 고정된 가장자리의 반대쪽 가장자리는 지지부를 펼친 상태에서 고정수단에 고정되고, 케이스의 뒷면, 덮개, 지지부가 단면이 삼각형인 기둥 모양을 형성하여 핸드폰을 비스듬하게 세운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케이스 뒷면의 지갑이 쉽게 열리지 않도록 딱단추나 자석으로 고정시키므로, 지갑 속에 보관된 내용물을 분실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1987호(2013.09.17 등록)는 휴대폰의 후면에 밀착되어 후면을 보호하는 형태로 제작하되, 내부에 교통카드 등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교통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교통카드의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휴대폰의 후면을 덮어 보호하는 동시에, 휴대폰에 고정될 수 있도록 휴대폰의 측면을 감싸 결합하는 형태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되며 교통카드가 케이스의 내면과 휴대폰의 후면 사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교통카드 고정부를 포함하되, 케이스는, 내면의 일정 부분이 교통카드의 두께 및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만큼 함몰됨으로써, 교통카드가 보관될 시 케이스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가죽을 재단하여 그 내부에 휴대폰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덮개를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지갑 형태인 경우에, 휴대폰을 이용하거나 그 내부의 카드포켓에 수납된 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커버를 열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는 화면을 볼 수 없어 그 이용이 다소 번거로운 단점을 가진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257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1198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 후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카드를 수납하거나 카드를 세울 수 있도록 구현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후면에 홈을 형성시켜 휴대폰을 삽입하여 보호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덮기 위한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측에 홈을 형성시켜, 카드를 수납하도록 하기 위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전면에 상기 수납부를 제외한 부분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휘어짐방지돌기라인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전면 테두리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와 체결하여 상기 덮개부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홈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부는, 입구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수납된 카드의 유출을 막아주기 위한 유출막음돌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부는, 입구 부분의 일측에 상하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카드의 일측을 삽입시켜 세워주기 위한 삽입라인홈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후면 테두리부분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체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끼움돌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수납부의 입구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카드를 유출 시킬 때, 사용자가 카드를 잡도록 하기 위한 유출홈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는, 상기 수납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 내부로 카드 유입할 시에 카드를 고정시켜 주며,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카드를 누르면, 카드를 유출시켜 주기 위한 카드유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드유출부는, 일측이 카드와 접촉하여, 상기 수납부의 내부로 카드가 유입되거나 유출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며, 카드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카드고정부재; 일측에 기 설정된 모양으로 홈을 형성하며,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다른 일측에 탄력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탄력부재; 및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이동부재의 홈에 삽입되는 삽입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드고정부재는, 단면이 'H'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 내부로 카드 유입할 시에 카드 일측을 고정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후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카드를 수납하거나 카드를 세울 수 있도록 구현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폰을 이용하거나 그 내부의 카드포켓에 수납된 카드를 사용하기 위해 커버를 여닫을 필요 없이 간편하게 빼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간편함과 편리함을 느낄 수 있고, 커버를 여닫지 않고 화면을 바로 볼 수 있어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 수납부분의 일측에 카드를 세워 카드의 일측을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휴대폰 케이스를 평평한 면(예를 들면, 바닥, 책상 등)에 세워줄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해 동영상, 사진 등을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수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덮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는 카드유출부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 케이스(10)는, 본체부(100), 덮개부(200), 수납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전면 일측에 수납부(300)를 형성시키며, 후면에 홈을 형성시켜 휴대폰을 삽입하여 보호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휴대폰을 삽입시켜 주기 위해 휘어짐이 가능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예를 들면, 합성고무 등)로 형성되어, 휴대폰을 보호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전면에 덮개부(200)를 설치할 수 있다.
덮개부(200)는, 본체부(100)의 전면을 덮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200)는, 본체부(100)보다 단단한 재질(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로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전면을 덮어줌으로써, 본체부(100)부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다.
수납부(300)는, 본체부(100)의 전면 일측에 홈을 형성시켜, 카드를 수납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부(300)는, 본체부(100)의 전면 일측에 상하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형성시켜, 카드의 유입과 유출이 수월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휴대폰 케이스(10)는, 수납부(300)를 형성하여, 카드를 수납하거나 카드를 세울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휴대폰을 이용하거나 수납부(300)에 수납된 카드를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커버를 여닫을 필요 없이 간편하게 빼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간편함과 편리함을 느낄 수 있고, 커버를 여닫지 않고 화면을 바로 볼 수 있어 편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다수 개의 휘어짐방지돌기라인부재(110)를 구비한다.
휘어짐방지돌기라인부재(110)는, 본체부(100)의 전면에 수납부(300)를 제외한 부분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휘어짐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휘어짐방지돌기라인부재(110)는, 본체부(100)의 전면에 상하길이방향과 좌우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본체부(100)가 상하좌우방향으로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다수 개의 고정홈부재(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홈부재(120)는, 본체부(100)의 전면 테두리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덮개부(200)와 체결하여 덮개부(200)를 본체부(100)에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부재(120)는, 본체부(100) 전면의 한 테두리부분에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덮개부(200)와 체결하는 면적을 넓혀 더 견고하게 덮개부(200)를 본체부(100)에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부재(120)는, 덮개부(200)의 끼움돌기부재(210)(도 4 참조)를 삽입시켜 덮개부(200)를 본체부(100)에 체결 고정시켜 줄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수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납부(300)는, 유출막음돌기부재(310)를 구비한다.
유출막음돌기부재(310)는, 수납부(300)의 입구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수납부(300)에 수납된 카드의 유출을 막아준다.
일 실시 예에서, 유출막음돌기부재(310)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 개로 형성되는 경우, 수납부(300)의 입구 부분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납부(300)의 입구 부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 개씩(즉, 두 개) 형성시켜, 수납부(300)에 수납된 카드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부(300)는, 삽입라인홈부재(3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삽입라인홈부재(320)는, 수납부(300) 입구 부분의 일측에 상하길이방향(바람직하게는, 수납부(300) 입구 부분과 동일한 길이)으로 형성되어, 카드의 일측을 삽입시켜 세워준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라인홈부재(320)는, 카드의 세로길이보다 조금 길게 형성되어, 카드의 가로 테두리부분 또는 세로 테두리부분을 삽입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라인홈부재(320)는, 카드의 일측을 삽입시켜 세워줌으로써, 본체부(100)를 평평한 면(예를 들면, 바닥, 책상 등)에 세워줄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본체부(100)에 삽입된 휴대폰을 통해 동영상, 사진 등을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덮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부(200)는, 다수 개의 끼움돌기부재(210)를 구비할 수 있다.
끼움돌기부재(210)는, 덮개부(200)의 후면 테두리부분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본체부(100)와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끼움돌기부재(210)는, 덮개부(200)의 후면의 한 테두리부분에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본체부(100)와 체결하는 면적을 넓혀 더 견고하게 덮개부(200)가 본체부(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부재(120)는, 본체부(100)의 고정홈부재(120)(도 2 참조)를 삽입되어 덮개부(200)가 본체부(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200)는, 유출홈부재(2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유출홈부재(220)는, 수납부(300)의 입구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수납부(300)에 수납된 카드를 유출 시킬 때, 사용자가 카드를 잡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출홈부재(220)는, 예를 들면, 세로가 긴 직사각형, 사다리꼴과 같은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카드를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폰 케이스(20)는, 본체부(100), 덮개부(200), 수납부(300), 카드유출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덮개부(200), 수납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카드유출부(400)는, 수납부(300) 내부에 형성되어, 수납부(300) 내부로 카드 유입할 시에 카드를 고정시켜 주며, 수납부(300)에 수납된 카드를 누르면, 카드를 유출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카드유출부(400)는, 카드고정부재(410), 이동부재(420), 탄력부재(430), 삽입바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고정부재(410)는, 일측이 카드와 접촉하여, 수납부(300)의 내부로 카드가 유입되거나 유출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며, 카드를 고정시켜 주며, 다른 일측에 이동부재(420)를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카드고정부재(410)는, 단면이 'H'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 내부로 카드 유입할 시에 카드 일측을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드고정부재(410)는, 밴딩처리가 된 금속재질로서,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며, 평상시에 수납부(300)의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있다가, 수납부(300)의 내부로 카드가 유입될 시에 카드의 일측과 접촉함과 동시에 오목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동부재(420)는, 일측에 기 설정된 모양(바람직하게는, 하트 모양)으로 홈을 형성하여 삽입바부재(430)를 삽입시키고, 다른 일측에 탄력부재(430)를 탄력적으로 형성하며, 카드고정부재(410)와 탄력부재(43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재(420)는, 예를 들어 하트 모양의 홈을 형성하며, 뾰족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된 홈에서 뾰족한 부분에서 홈의 둥근 부분까지의 폭이 홈의 둥근 부분에서 오목한 부분까지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며, 뾰족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된 홈에서 홈의 오목한 부분에서 둥근 부분까지의 폭이 둥근 부분에서 뾰족한 부분까지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삽입바부재(440)가 뾰족한 부분에서 오목한 부분으로, 오목한 부분에서 뾰족한 부분으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탄력부재(430)는, 이동부재(420)의 다른 일측에 탄력적으로 형성되어, 이동부재(42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부재(430)는, 예를 들면 스프링으로서, 수납부(300)의 내부로 카드가 유입되면, 이동부재(420)의 좌측 이동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가 수납부(300)의 내부로 유입된 카드를 밀어주면, 복원되면서 이동부재(42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삽입바부재(440)는, 일측이 본체부(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이동부재(420)의 홈에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바부재(440)는, 이동부재(420)의 홈에 삽입되어, 이동부재(420)의 이동에 따라 이동부재(420)의 홈에 머무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바부재(440)는, 이동부재(420)의 좌측 이동에 의해 이동부재(420)의 홈의 뾰족한 부분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부재(420)의 홈의 오목한 부분으로 이동하며, 이동부재(420)의 우측 이동에 의해 이동부재(420)의 홈의 오목한 부분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부재(420)의 홈의 뾰족한 부분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있는 카드유출부의 구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 카드고정부재(410)가 수납부(300)의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있다가, 수납부(300)의 내부로 카드가 유입될 시에 카드의 일측과 접촉함과 동시에 오목한 형태로 변경되며, 이동부재(420)를 좌측방향으로 밀어주며, 이동부재(420)의 좌측 이동에 의해 탄력부재(430)가 압축됨과 동시에 삽입바부재(440)가 이동부재(420)의 홈의 뾰족한 부분(즉, 하트 모양의 홈에서 뾰족한 부분)에서 오목한 부분(즉, 하트 모양의 홈에서 오목한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300)의 내부로 카드가 유입되어 카드고정부재(410)가 오목한 형태로 있다가 수납부(300)의 내부로 유입된 카드를 밀어줄 시에, 이동부재(420)의 홈의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던 삽입바부재(440)가 오목한 부분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탄력부재(430)가 복원되며, 탄력부재(430)의 복원에 의해 이동부재(42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부재(420)의 우측이동에 의해 오목한 형태의 카드고정부재(410)가 다시 볼록한 형태로 변경되면서 카드를 외부로 유출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카드유출부(400)는, 삽입바부재(440)가 이동부재(420)의 홈에 삽입되어 한 방향(즉,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며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수납부(300)에 수납된 카드를 밀어주어 카드가 한 번에 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휴대폰 케이스
100: 본체부
110: 휘어짐방지돌기라인부재
120: 고정홈부재
200: 덮개부
210: 끼움돌기부재
220: 유출홈부재
300: 수납부
310: 유출막음돌기부재
320: 삽입라인홈부재
400: 카드유출부
410: 카드고정부재
420: 이동부재
430: 탄력부재
440: 삽입바부재

Claims (10)

  1. 후면에 홈을 형성시켜 휴대폰을 삽입하여 보호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덮기 위한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면 일측에 홈을 형성시켜, 카드를 수납하도록 하기 위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면에 상기 수납부를 제외한 부분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휘어짐방지돌기라인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면 테두리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와 체결하여 상기 덮개부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홈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입구 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수납된 카드의 유출을 막아주기 위한 유출막음돌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입구 부분의 일측에 상하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카드의 일측을 삽입시켜 세워주기 위한 삽입라인홈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후면 테두리부분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체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끼움돌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수납부의 입구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카드를 유출 시킬 때, 사용자가 카드를 잡도록 하기 위한 유출홈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 내부로 카드 유입할 시에 카드를 고정시켜 주며,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카드를 누르면, 카드를 유출시켜 주기 위한 카드유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유출부는,
    일측이 카드와 접촉하여, 상기 수납부의 내부로 카드가 유입되거나 유출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구동하며, 카드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카드고정부재;
    일측에 기 설정된 모양으로 홈을 형성하며,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다른 일측에 탄력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탄력부재; 및
    일측이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이동부재의 홈에 삽입되는 삽입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고정부재는,
    단면이 'H'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 내부로 카드 유입할 시에 카드 일측을 고정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KR1020160029033A 2016-03-10 2016-03-10 휴대폰 케이스 KR101872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33A KR101872008B1 (ko) 2016-03-10 2016-03-10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33A KR101872008B1 (ko) 2016-03-10 2016-03-10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50A true KR20170105850A (ko) 2017-09-20
KR101872008B1 KR101872008B1 (ko) 2018-06-27

Family

ID=6003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033A KR101872008B1 (ko) 2016-03-10 2016-03-10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202B1 (ko) * 2018-09-17 2018-12-14 주식회사 하미코리아 카드 수납 겸용 휴대폰 백 커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987B1 (ko) 2010-12-15 2013-09-27 김대완 교통카드의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200472574Y1 (ko) 2012-11-01 2014-05-09 박경숙 케이스와 지갑이 결합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475833Y1 (ko) * 2014-06-30 2015-01-07 서진원 카드 수납부가 구비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568165B1 (ko) * 2014-06-16 2015-11-11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수납 공간을 갖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160019273A (ko) * 2014-08-11 2016-02-19 한승희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987B1 (ko) 2010-12-15 2013-09-27 김대완 교통카드의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200472574Y1 (ko) 2012-11-01 2014-05-09 박경숙 케이스와 지갑이 결합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568165B1 (ko) * 2014-06-16 2015-11-11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수납 공간을 갖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75833Y1 (ko) * 2014-06-30 2015-01-07 서진원 카드 수납부가 구비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160019273A (ko) * 2014-08-11 2016-02-19 한승희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008B1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9283B1 (en)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288042B1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핸드폰 보호 케이스
US10003371B1 (en) Electronic device case comprising sliding camera lens covers
KR101191867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519978B1 (ko) 휴대폰 케이스 조립체
KR20200130901A (ko)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1705084B1 (ko) 휴대폰용 플립 케이스
KR101419199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1872008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750677B1 (ko) 카드 홀더
KR20210007019A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1327370B1 (ko)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용 커버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200130069A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1878912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10139205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2109505B1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802494B1 (ko)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KR20130087954A (ko) 휴대폰 케이스
KR20140066287A (ko) 휴대폰 케이스
KR20190090649A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73437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75905Y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1863659B1 (ko) 수납 공간을 갖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