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494B1 -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494B1
KR101802494B1 KR1020170105669A KR20170105669A KR101802494B1 KR 101802494 B1 KR101802494 B1 KR 101802494B1 KR 1020170105669 A KR1020170105669 A KR 1020170105669A KR 20170105669 A KR20170105669 A KR 20170105669A KR 101802494 B1 KR101802494 B1 KR 101802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liding
protrusion
sliding cover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인
Original Assignee
(주)에스투비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투비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에스투비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10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케이스 본체에 슬라이딩 커버가 결합된 슬라이딩 본체를 결합한 상태에서 카드 인출홀을 통해 카드를 슬라이딩 본체와 슬라이딩 본체 사이에 삽입 고정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를 하방향으로 내리면 슬라이딩 커버의 카드 배출 돌기가 카드를 밀어 내어 배출시키고, 카드를 배출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를 놓으면 코일 스프링이 슬라이딩 커버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카드가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카드를 삽입 및 배출시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도록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AUTOMATICALLY RESTORABLE MOBILE CASE OF SLIDING COVER FOR CARD EJECTION}
본 발명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케이스 본체에 슬라이딩 커버가 결합된 슬라이딩 본체를 결합한 상태에서 카드 인출홀을 통해 카드를 슬라이딩 본체와 슬라이딩 본체 사이에 삽입 고정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를 하방향으로 내리면 슬라이딩 커버의 카드 배출 돌기가 카드를 밀어 내어 배출시키고, 카드를 배출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를 놓으면 코일 스프링이 슬라이딩 커버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카드가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카드를 삽입 및 배출시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도록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이용자가 휴대하면서 손안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전화통신 단말기로서 현대인은 거의 필수품으로 휴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내비게이션, 카메라, 디지털 음원 MP3(MPEG Audio Layer-3)와 디지털 동영상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플레이어(Multi media player)등 많은 부가기능이 탑재되고 있고, 앱(APP : Application)이라 불리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더 많은 디지털기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근래에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데이터통신망과 WiFi(wireless fidelity)를 통해 무선인터넷을 할 수 있음을 물론 더 많은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고, 그 디자인이나 형상이 점점 미려해지고 있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다수의 스마트폰은 화면이 보이는 전면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바 타입(bar type)으로 전면의 터치스크린은 강화유리로 처리되고 있다.
강화유리는 긁힘, 전면으로부터의 충격에는 강한 이점이 있으나, 측면으로부터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이 강화유리로 제작된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사용 중 부주의에 의해 스마트폰이 지면으로 낙하된 경우, 디스플레이패널을 보호하고 있는 전면패널, 또는 디스플레이패널 자체가 지면과의 충격에 의해 깨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비교적 고가이며 미려한 자신의 휴대폰에 생길 수 있는 긁힘이나 흠집,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휴대폰 보호 케이스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보호하고 있고,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 보호 케이스가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휴대폰 보호 케이스는 후불제 교통 카드 기능이 탑재된 카드 형태의 교통 카드 또는 신용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용 공간을 구비한다.
일례로, 국내 특허등록공보 10-1288042호(카드 수납이 가능한 핸드폰 보호 케이스)와, 국내 실용신안등록 공보 20-0478280호(카드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카드 수납이 가능한 핸드폰 보호 케이스는 사용자가 카드인출 홈에 손가락을 넣어 밀착시킨 다음 카드를 밀어서 빼내어야만 하기 때문에 한번에 손가락으로 빼내기가 어렵고, 특히 손에 물기나 기름기가 있는 경우 더우 빼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기의 카드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인출 레버를 별도로 조립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상승되고, 인출 레버가 본체에 결합되어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인출 레버가 본체에서 쉽게 이탈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등록공보 10-1732848호(카드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가 개발되어 게시되어 있다.
상기 카드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휴대폰 보호 케이스(1) 및 상기 휴대폰 보호 케이스(1)의 배면으로 결합된 카드 케이스(2)와, 상기 카드 케이스(2)의 배면에서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와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측에는 카드(8)를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는 삽입구(1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10)의 안쪽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마주하게 가이드 레일(1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4)의 끝단 중앙에는 체결 고리(6)가 형성되어 탄성부재(9)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4)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교통카드 및 신용카드를 포함한 카드(8)를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5)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5)는 두개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하면 커버(4)의 저면 또는 카드(8)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바닥면에는 일부를 절개하여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탄성력에 의해 수납된 카드(8)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편(15)이 형성된 카드 수납부(3)와; 상기 카드 수납부(3)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조립하면 양측에 가이드 돌기(7)가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14)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7)가 형성된 안쪽 끝단 중앙에는 저면으로 돌출된 체결 돌기(12)가 형성되어 탄성부재(9)가 연결된 커버(4)와; 상기 카드 수납부(3)에서 커버(4)를 밀어서 슬라이딩 작동하면 커버(4)의 저면에 위치한 가압 프레임(13)에 의해 카드(8)의 배면을 가압하여 삽입구(10)로 카드(8)가 일부 인출되고, 커버(4)를 밀지 않으면 탄성부재(9)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4)가 원래대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카드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는 커버를 슬라이딩시 탄성부재가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손 등이 발생하고, 한손으로 휴대폰을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측면으로 커버를 슬라이딩시키기 때문에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등록공보 10-173284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 본체에 슬라이딩 커버가 결합된 슬라이딩 본체를 결합한 상태에서 카드 인출홀을 통해 카드를 슬라이딩 본체와 슬라이딩 본체 사이에 삽입 고정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를 하방향으로 내리면 슬라이딩 커버의 카드 배출 돌기가 카드를 밀어 내어 배출시키고, 카드를 배출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를 놓으면 코일 스프링이 슬라이딩 커버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카드가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카드를 삽입 및 배출시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는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이 슬라이딩 커버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미노출되기 때문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슬라이딩 커버를 하방향으로 밀어 사용하기에 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휴대폰이 수납되도록 테두리에 측벽이 형성되고, 배면 양측 테두리와 배면 상부 테두리에 걸림홈이 외측에 구비된 결합턱이 돌출 형성되면서 제 1공간부와 제 1카드 인출홀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되, 정면 양측 테두리와 정면 상부 테두리에 상기 케이스 본체의 결합턱에 구비된 걸림홈과 결합되는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면서 제 2공간부와 제 2카드 인출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 2공간부에 카드가 수납되어 고정하도록 정면 하단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카드 고정 돌기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카드 배출 돌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공간부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의 상부에 제 1스프링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본체와;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카드 배출 돌기홀에 삽입되어 카드를 슬라이딩시키도록 폭 방향으로 카드 배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가이드 홀에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스프링 걸림 돌기의 하단 위치에 제 2스프링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커버; 및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제 1스프링 걸림 돌기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제 2스프링 걸림 돌기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카드를 압입하도록 상기 제 1공간부 중앙부와 하단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제 1압입 돌기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슬라이딩 본체는 상기 카드를 압입하도록 상기 카드 고정 돌기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제 2압입 돌기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가이드 홀은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형태로 단차를 가지며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결합 돌기는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가이드 홀의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기역자"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결합 돌기는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가이드 홀에서 상하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 홀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에 슬라이딩 커버가 결합된 슬라이딩 본체를 결합한 상태에서 카드 인출홀을 통해 카드를 슬라이딩 본체와 슬라이딩 본체 사이에 삽입 고정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를 하방향으로 내리면 슬라이딩 커버의 카드 배출 돌기가 카드를 밀어 내어 배출시키고, 카드를 배출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를 놓으면 코일 스프링이 슬라이딩 커버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카드가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카드를 삽입 및 배출시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 스프링이 슬라이딩 커버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미노출되기 때문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슬라이딩 커버를 하방향으로 밀어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카드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슬라이딩 본체와 슬라이딩 커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결합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슬라이딩 본체와 슬라이딩 커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와, 슬라이딩 본체(120)와, 슬라이딩 커버(130) 및 코일 스프링(1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케이스 본체(110)는 통상의 구조인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휴대폰(미도시)이 수납되도록 테두리에 측벽(111)이 형성되고, 특히 배면 양측 테두리와 배면 상부 테두리에 걸림홈(112a)이 외측에 구비된 걸림턱(112)이 돌출 형성되면서 카드(C)를 수납할 수 있는 제 1공간부(113)와 카드(C)를 인출 및 수납하는 제 1카드 인출홀(114)을 형성한다.
또한, 케이스 본체(110)는 카드(C)를 압입하도록 제 1공간부(113) 중앙부와 하단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제 1압입 돌기(115)가 구비된다.
또, 케이스 본체(110)는 측면과 배면에 각각 형성된 휴대폰의 버튼과 단자 및 홀(카메라, 스피커 등)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H1)이 형성되고, 버튼이 위치하는 관통홀(H1)에 버튼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보조 버튼(116)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본체(120)는 PC(Poly Carbonate)재질로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되, 정면 양측 테두리와 정면 상부 테두리에 케이스 본체(110)의 결합턱(112)에 구비된 걸림홈(112a)과 결합되는 걸림 돌기(121)가 돌출 형성되면서 카드(C)를 수납할 수 있는 제 2공간부(122)와 카드(C)를 인출 및 수납할 수 있는 제 2카드 인출홀(123)을 형성한다. 이때, 제 2카드 인출홀(123)은 제 1카드 인출홀(114)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동일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 본체(120)는 제 2공간부(122)에 카드(C)가 수납되어 고정하도록 정면 하단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카드 고정 돌기(124)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카드 배출 돌기홀(125)이 형성되고, 제 2공간부(122)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홀(126)이 형성되며, 가이드 홀(126)의 상부에 제 1스프링 걸림 돌기(127)가 형성되고, 휴대폰의 후면 카메라와 대응되는 위치에 카메라 홀(H2)이 구비된다. 이때, 슬라이딩 본체(120)의 가이드 홀(126)은 코일 스프링(140)이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형태로 단차를 가지며 형성되고, 휴대폰의 후면 카메라와 간섭이 없도록 한쪽이 카메라홀(H2) 아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슬라이딩 본체(120)는 카드(C)를 압입하도록 카드 고정 돌기(124)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제 2압입 돌기(128)가 구비된다.
이어서, 슬라이딩 커버(130)는 PC(Poly Carbonate)재질로 금속 도장이 이루어지고, 슬라이딩 본체(120)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카드 배출 돌기홀(125)에 삽입되어 카드(C)를 슬라이딩시키도록 폭 방향으로 일자 형태의 카드 배출 돌기(131)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카드 배출 돌기(131)는 카드(C)의 인입시에는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슬라이딩 커버(130)는 슬라이딩 본체(120)와 결합되어 가이드 홀(126)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 본체(120)의 가이드 홀(126)에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 돌기(132)가 형성되고, 제 1스프링 걸림 돌기(127)의 하단 위치에 제 2스프링 걸림 돌기(133)가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 커버(130)의 슬라이딩 결합 돌기(132)는 슬라이딩 본체(120)의 가이드 홀(126)의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기역자"형태로 형성되고, 슬라이딩 본체(120)의 가이드 홀에서 상하이동되도록 가이드 홀(126)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딩 커버(130)는 휴대폰의 후면 카메라와 간섭이 없도록 한쪽이 카메라홀(H3) 아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코일 스프링(140)은 슬라이딩 본체(120)의 제 1스프링 걸림 돌기(127)에 일단이 결합되고, 슬라이딩 커버(130)의 제 2스프링 걸림 돌기(133)에 타단이 결합되어 슬라이딩 커버(130)에 탄발력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C)를 인입하고자 하는 경우 케이스 본체(1110)의 제 1카드 인출홀(114)과 슬라이딩 본체(120)의 제 2카드 인출홀(123)에 사이에 카드(C)를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C)를 삽입시키면 슬라이딩 본체(120)의 카드 고정 돌기(124) 사이에 삽입되어 상승되다가 슬라이딩 커버(130)의 카드 배출 돌기(131)에 상단이 걸려 위치가 고정된다.
카드(C)가 삽입되면, 케이스 본체(110)의 제 1압입 돌기(115)와 슬라이딩 본체(120)의 제 2압입 돌기(128)에 의해 카드(C)가 압입되어 현재 위치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카드(C) 사용을 위해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폰이 결합된 케이스 본체(110)를 슬라이딩 커버(130)가 위로 향하도록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커버(130)를 하방향으로 내리면, 코일 스프링(140)이 신장되면서 슬라이딩 커버(130)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와 동시에 슬라이딩 커버(130)의 슬라이딩 결합 돌기(132)가 슬라이딩 본체(120)의 가이드 홀(126)을 따라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슬라이딩 커버(130)의 카드 배출 돌기(131)가 슬라이딩 본체(120)의 카드 배출 돌기홀(125)에서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카드(C)를 밀어낸다.
그리고, 슬라이딩 커버(130)의 카드 배출 돌기(131)가 슬라이딩 본체(120)의 카드 배출 돌기홀(125)의 하부에 걸려 더 이상 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아 사용자가 슬라이딩 커버(130)에서 엄지손가락을 띠면, 코일 스프링(140)이 수축되면서 슬라이딩 커버(13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면, 카드(C)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배출 돌기(131)의 이동 거리만큼 배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사용자는 카드(C)를 잡아 빼내어 사용한다.
그리고, 사용한 카드(C)는 다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납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케이스 본체 120 : 슬라이딩 본체
130 : 슬라이딩 커버 140 : 코일 스프링
C : 카드

Claims (6)

  1. 휴대폰이 수납되도록 테두리에 측벽이 형성되고, 배면 양측 테두리와 배면 상부 테두리에 걸림홈이 외측에 구비된 결합턱이 돌출 형성되면서 제 1공간부와 제 1카드 인출홀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되, 정면 양측 테두리와 정면 상부 테두리에 상기 케이스 본체의 결합턱에 구비된 걸림홈과 결합되는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면서 제 2공간부와 제 2카드 인출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 2공간부에 카드가 수납되어 고정하도록 정면 하단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카드 고정 돌기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카드 배출 돌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공간부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의 상부에 제 1스프링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본체와;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카드 배출 돌기홀에 삽입되어 카드를 슬라이딩시키도록 폭 방향으로 카드 배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가이드 홀에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스프링 걸림 돌기의 하단 위치에 제 2스프링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커버; 및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제 1스프링 걸림 돌기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제 2스프링 걸림 돌기에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카드를 압입하도록 상기 제 1공간부 중앙부와 하단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제 1압입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본체는,
    상기 카드를 압입하도록 상기 카드 고정 돌기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제 2압입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가이드 홀은,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단이 넓고, 하단이 좁은 형태로 단차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결합 돌기는,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가이드 홀의 테두리에 결합되도록 "기역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결합 돌기는,
    상기 슬라이딩 본체의 가이드 홀에서 상하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 홀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KR1020170105669A 2017-08-21 2017-08-21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KR101802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669A KR101802494B1 (ko) 2017-08-21 2017-08-21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669A KR101802494B1 (ko) 2017-08-21 2017-08-21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494B1 true KR101802494B1 (ko) 2017-11-28

Family

ID=6081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669A KR101802494B1 (ko) 2017-08-21 2017-08-21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4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653B1 (ko) * 2019-05-09 2019-12-17 최정욱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848B1 (ko) 2016-06-24 2017-05-04 주식회사 하나통신 카드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83756Y1 (ko) 2016-10-19 2017-07-03 (주)유윈씨앤티 슬라이드식 카드 수납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848B1 (ko) 2016-06-24 2017-05-04 주식회사 하나통신 카드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83756Y1 (ko) 2016-10-19 2017-07-03 (주)유윈씨앤티 슬라이드식 카드 수납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653B1 (ko) * 2019-05-09 2019-12-17 최정욱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4570B2 (en) Cellular-phone case having retractable card holding structure
KR101568165B1 (ko) 수납 공간을 갖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US8672229B2 (en) Electronic module holder with sliding door
KR101519978B1 (ko) 휴대폰 케이스 조립체
KR200483593Y1 (ko) 카드 배출이 용이한 휴대폰 케이스
KR101641104B1 (ko)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KR200469053Y1 (ko) 핸드폰 보호 케이스
KR101732848B1 (ko) 카드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78280Y1 (ko) 카드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CN110708981A (zh) 手机壳
KR101434958B1 (ko) 회동개폐구조를 갖는 카드수납용 휴대폰 케이스
KR101802494B1 (ko) 카드 배출을 위한 슬라이딩 커버의 자동 복귀 타입 휴대폰 케이스
KR101890522B1 (ko) 신속한 카드 인출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102531444B1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82934Y1 (ko) 핸드폰 슬라이딩 케이스
KR20200130069A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1440917B1 (ko) 카드수납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246791B1 (ko) 휴대폰 훼손방지용 2중 케이스 구조물
KR200488623Y1 (ko) 카드 수납용 범퍼 케이스
KR101459357B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70057559A (ko) 카드 커넥터
KR102109505B1 (ko) 카드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83415Y1 (ko) 꾸미기가 용이한 핸드폰 케이스
KR20150000546U (ko) 카드지갑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872008B1 (ko)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