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625B1 - 휴대 전자기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625B1
KR101832625B1 KR1020160151206A KR20160151206A KR101832625B1 KR 101832625 B1 KR101832625 B1 KR 101832625B1 KR 1020160151206 A KR1020160151206 A KR 1020160151206A KR 20160151206 A KR20160151206 A KR 20160151206A KR 101832625 B1 KR101832625 B1 KR 101832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ngaging
protrusion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188A (ko
Inventor
신윤철
Original Assignee
신윤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윤철 filed Critical 신윤철
Publication of KR20170131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를 회전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와,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일면에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와,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일면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하고자 하는 대상 위치에 타면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Rotatable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on cov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전자기기를 회전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와,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을 비롯한 각종 휴대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전자기기는 장소에 상관없이 휴대할 수 있으며, 이동중인 차량 안에서도 사용할 필요성이 매우 크고, 또한 최근에는 운전시 다양한 운행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소정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에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거치대는 대개 PP, PE,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흡착판을 차량의 유리에 부착시키는 방식을 택하고 있는데, 이 경우 반복 사용시 흡착판의 흡착력이 저감되어 거치대가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거치대는 사용 환경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를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거치대는 별도의 다양한 회전 구조들을 도입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는 제조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와 더불어, 휴대 전자기기 사용자들은 휴대 전자기기 외에 관련 액세서리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하나의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 중에서도 고가의 전자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 커버는 필수품목처럼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을 갖춘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가 개발되고 있으며, 각각의 커버는 플립형, 범퍼형, 배터리커버 교체형 등 다양한 타입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가 출시되고 관련 시장이 발달하면서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는 종래의 역할 즉, 휴대 전자기기의 외부로부터의 충격 보호 및 심미감 향상이라는 역할에 더하여 지갑 또는 다이어리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가지고 출시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는 물론, 교통카드나 신용카드를 같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일명 수첩형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수첩형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는, 휴대 전자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카메라 렌즈가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렌즈 구멍을 통공하여야 하는바, 커버의 외관이 미려하지 않을뿐더러 렌즈 구멍을 통해 카메라 렌즈에 이물질이 묻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각각의 휴대 전자기기 기종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카메라 렌즈가 구비되기 때문에, 수첩형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역시 휴대 전자기기의 기종마다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첩형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에 수납된 휴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촬영을 하고자 할 경우, 휴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덮고 있는 전면 커버를 일측으로 젖혀서 개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이 노출되도록 한 다음 카메라 촬영을 진행해야 하는바, 이때 젖혀진 전면 커버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간섭을 받게 되어 한 손으로 휴대 전자기기의 카메라를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전면 커버를 후면 커버 뒷쪽으로 완전히 접게 되면, 전면 커버에 의해 후면 커버 렌즈 구멍이 막히게 되므로 촬영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수첩형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를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한 손으로는 젖혀진 전면 커버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휴대 전자기기를 잡은 상태로 촬영을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에 더하여, 셀프카메라(셀카) 촬영시에는 다양한 포즈를 연출할 수 없는 또 다른 불편함이 뒤따르게 된다.
아울러, 수첩형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의 경우, 동영상 감상이나 게임 등을 위해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접어서 거치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휴대 전자기기기는 커버 내에 가로 방향으로 누운 형태로 거치되며, 필요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를 세로로 세우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로부터 휴대 전자기기를 강제로 분리시킨 후 세워서 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전자기기가 수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의 탈착이 용이한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를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사진 촬영이나 거치가 용이한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면에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일면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하고자 하는 대상 위치에 타면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가 일측에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U'자 형태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일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1 결합돌기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제1 결합돌기와 대응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제1 결합홈과,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대 회전시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순차적으로 대응 결합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수평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내측에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이탈 방지를 위해 일측에 절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마주보도록 한 쌍의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절개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홈 사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의 원호형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절개부가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 삽입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의 양단에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일면에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일면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면을 덮도록 부착되는 내피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가 일측에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U'자 형태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후면 커버의 내피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가 상기 후면 커버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표면에 관통 형성되는 절개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일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1 결합돌기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제1 결합돌기와 대응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제1 결합홈과,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대 회전시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순차적으로 대응 결합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수평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내측에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이탈 방지를 위해 일측에 절개 형성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 마주보도록 한 쌍의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절개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홈 사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 삽입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의 양단에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일면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면을 덮도록 부착되는 내피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에 의하면, 휴대시에는 휴대 전자기기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 전자기기의 사용시에는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어, 보호 커버와 거치대를 각각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의 탈착이 용이하며,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에 수납된 상태로 휴대 전자기기를 회전시켜 거치하거나 카메라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를 회전시켜 카메라 렌즈를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후면 커버에 별도의 렌즈 구멍을 관통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렌즈 구멍을 통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제작 단가가 절감되며, 외관이 미려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의하면, 실내 또는 차량의 일측에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휴대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100)는, 일명 '수첩형 휴대 전자기기 커버'로서, 휴대 전자기기(10)의 전면을 덮어서 보호하는 전면 커버(110)와, 휴대 전자기기(10)의 배면을 덮어서 보호하는 후면 커버(120)를 포함한다.
이때, 전면 커버(110)의 일측과 후면 커버(120)의 일측이 연결부(1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따라서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는 연결부(130)를 중심으로 상호 회동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 및 연결부(130)는, 전체적인 외관 형태를 형성하는 뼈대 역할을 하는 심재와, 심재의 표면을 덮는 표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심재 없이 표피만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표피는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 및 연결부(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피와, 외측에 형성되는 외피로 구분될 수 있다. 내피와 외피는 테두리를 따라 접착이나 융착 또는 봉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전자기기(10)의 배면에 회전유닛(200)이 설치되고, 후면 커버(120)의 내측에는 회전유닛(2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유닛(300)이 설치된다. 회전유닛(200)과 지지유닛(300)은 각각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복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유닛(200)과 지지유닛(300)의 결합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10)가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1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휴대 전자기기(10)의 배면에 설치되는 회전유닛(200)은, 휴대 전자기기(10) 또는 휴대 전자기기(10)를 수용하는 별도의 케이스(미도시)의 배면에 접착이나 융착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전면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210)와, 제1 플레이트(210)의 후면(도면상 상측면)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20)를 포함한다.
도면상에는 직사각형의 제1 플레이트(210)가 도시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 플레이트(210)의 규격과 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2 플레이트(310)도 마찬가지이다.
돌출부(220)는 제1 플레이트(210)의 후면에서 제1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230)와, 연장부(230)의 끝단에 연장부(230)보다 더 큰 폭으로 확장 형성되는 삽입부(240)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연장부(230)는 원기둥 형태, 삽입부(240)는 연장부(23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제1 플레이트(210) 없이, 돌출부(220)만이 휴대 전자기기(10) 또는 휴대 전자기기(10)를 수용하는 별도의 케이스(미도시)의 배면에 결합되어 회전유닛(200)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유닛(300)은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100)의 후면 커버(120) 내측에 설치되는데, 제2 플레이트(310)와, 제1 플레이트(210)의 돌출부(220)와 대향하도록 제2 플레이트(31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플레이트(310)는 외관상 보이지 않도록 후면 커버(120)의 내피(121) 내부에 매몰된다. 즉, 제2 플레이트(310)는 후면 커버(120)의 내피(121)와 외피 사이에 개재되어 양면이 내피(121) 및 외피에 의해 덮여지며, 별도의 심재 없이 제2 플레이트(310)가 후면 커버(120)의 내피(121)와 외피 사이에 개재되어 심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플레이트(310)는 후면 커버(120) 내부의 심재에 접착, 융착 또는 봉재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거나, 제2 플레이트(310)가 심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제2 플레이트(310)의 폭과 길이 등의 규격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제2 플레이트(310)의 전면에서 제2 플레이트(310)와 일체로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결합부(320)의 일측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삽입홈(350)이 형성된다.
일 예로서, 결합부(3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310)의 전면(도면상 상측면)에 'U'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330)과, 측벽(330)의 전단(도면상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턱(340)과, 측벽(33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형성되는 삽입홈(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10)가 후면 커버(120)의 내피(121) 내부에 매몰되었을 때 결합부(320)는 후면 커버(120)의 절개홀(1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이때 절개홀(122)은 결합부(32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관통 형성되는 제1 홀(122a)과, 결합부(320)의 개방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연장 형성되는 제2 홀(122b)을 포함하여, 예컨대 장방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홀(122b)은, 돌출부(220)를 결합부(320)의 삽입홈(350)으로 삽입할 때, 돌출부(220)와 내피(121)의 마찰에 의한 내피(121)의 마모를 방지하는 한편 돌출부(220)의 삽입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한편, 결합부(320)의 걸림턱(340)에는 내측을 향해 마주보도록 한 쌍의 걸림부(341)가 돌출 형성되며, 이 걸림부(341)는 돌출부(220)가 삽입홈(35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연장부(230)의 일측에 걸려서 돌출부(2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삽입부(240)를 결합부(320)의 삽입홈(350)으로 삽입하면, 연장부(230)가 걸림부(341)를 지나는 동안 걸림부(341)는 양측으로 밀려서 탄성 변형되며, 연장부(230)가 걸림부(341)를 완전히 지나가면 탄성 회복에 의해 걸림부(341)가 연장부(230)의 일측에 걸려서 연장부(23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플레이트(210)는 돌출부(220)가 제2 플레이트(310)의 결합부(32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220)의 후면 중앙에는 회전축 역할을 하는 제1 결합돌기(221)가 돌출 형성되고, 삽입홈(350)의 바닥면에는 제1 결합돌기(221)와 대응 결합하는 제1 결합홈(351)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플레이트(210)는 제2 플레이트(31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한 후, 그 회전 각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결합돌기(22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제2 결합돌기(222)가 돌출 형성되고, 삽입홈(350)에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제2 결합홈(352)이 형성된다. 제1,제2 플레이트(210,310)의 상대 회전시 제2 결합돌기(222)는 복수 개의 제2 결합홈(352)에 차례로 대응 결합하며, 제2 결합돌기(222)와 제2 결합홈(352)의 결합에 의해 제1,제2 플레이트(210,310)의 상대 회전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20)에는 제1 결합돌기(221)의 좌우 방향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제2 결합돌기(222)가 돌출 형성되고, 삽입홈(350)에는 제1 결합홈(351)의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에 각각 하나씩 네 개의 제2 결합홈(35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전자기기(10)의 초기 장착시에는 한 쌍의 제2 결합돌기(222)가 삽입홈(350)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2 결합홈(352)에 각각 결합된다. 이후, 휴대 전자기기(10)를 90° 회전시키면, 한 쌍의 제2 결합돌기(222)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삽입홈(350)을 나와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2 결합홈(352)에 각각 결합되며, 제2 결합돌기(222)와 제2 결합홈(352)의 결합에 의해 휴대 전자기기(10)는 회전 각도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일정 이상의 힘을 가했을 때 제2 결합돌기(222)가 제2 결합홈(35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제2 결합돌기(222)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2 결합돌기(222)와 제2 결합홈(352)의 형상과 개수 및 상호 간의 이격 각도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전자기기(10)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켜 거치할 수 있도록, 제1 결합돌기(221)와 제1 결합홈(351)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제2 결합돌기(222)와 제2 결합홈(352)을 각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100)에 휴대 전자기기(10)를 수납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10)의 배면에 결합된 돌출부(220)를 후면 커버(120)의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부(320)의 삽입홈(350)에 결합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20)가 결합부(320)의 개방단을 통해 삽입홈(350)으로 삽입되는 동안 제1 결합돌기(221)에 밀려서 제2 플레이트(310)는 약간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연장부(230)가 걸림부(341)를 지나는 동안 걸림부(341)는 밀려서 탄성 변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20)가 결합부(320)의 삽입홈(350)에 완전히 삽입되면, 돌출부(220)의 제1 결합돌기(221)가 제2 플레이트(310)의 제1 결합홈(351)에 결합되고, 제2 결합돌기(222)는 제2 결합홈(352)에 결합된다. 이때, 탄성 복원된 걸림부(341)가 연장부(230)의 일측에 걸리게 되므로, 돌출부(220)가 결합부(320)의 개방단을 통해 예기치 못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의 사용 상태도로서,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100)에 휴대 전자기기(10)가 수납된 초기 모습을 점선으로 도시하였고, 휴대 전자기기(10)가 90° 회전한 모습은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100)에 휴대 전자기기(10)가 수납되면, 초기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모습과 같이 휴대 전자기기(10)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사용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0)를 중심으로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를 소정의 각도로 접어서 휴대 전자기기(10)를 경사지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카메라 촬영을 위해서 휴대 전자기기(10)의 배면에 마련된 카메라 렌즈(미도시)를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100)의 바깥쪽으로 노출시켜야 하거나, 예컨대 휴대 전자기기(10)를 세로 방향으로 세워서 거치해야 하는 등 휴대 전자기기(10)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도면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1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플레이트(310)의 제1 결합홈(351)에 결합된 제1 플레이트(210)의 제1 결합돌기(221)를 중심으로 휴대 전자기기(10)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적당한 각도로 회전한 후, 제2 결합돌기(222)가 제2 결합홈(352)에 결합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10)의 회전 각도가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U'자 형태의 결합부(320)를 벽면이나 차량의 실내 일측에 접착이나 융착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하고, 휴대 전자기기(10)의 배면에 형성된 돌출부(220)를 결합부(320)에 결합시킴으로써, 휴대 전자기기(10)의 탈부착이 용이한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유닛(300)의 제2 플레이트(310)를 벽면이나 차량의 실내 일측에 접착이나 융착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하고, 휴대 전자기기(10)의 배면에 회전유닛(200)의 제1 플레이트(21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휴대 전자기기(10)의 탈부착이 용이한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 전자기기(10)가 수납된 케이스(예컨대, 범퍼형 케이스)의 배면에 결합부(320) 또는 지지유닛(300)을 접착이나 융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고, 보조 배터리가 수납된 배터리 케이스의 일면에 돌출부(220) 또는 회전유닛(200)을 접착이나 융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이동시 휴대 전자기기(10)와 보조 배터리를 함께 휴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구성이 유사하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120)의 외피(123) 내측에 심재(124)가 마련되며, 이때 심재(124)는 PP(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 등 합성수지, 또는 두꺼운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심재(124)의 내측에 지지유닛(300')이 결합하는데, 심재(124)의 내측면에 제2 플레이트(310')가 접착 또는 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며, 제2 플레이트(310')의 전면에 'U'자 형태의 결합부(320')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32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탄성지지부(360)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개 형성되며, 이 탄성지지부(360)는 돌출부(220) 결합시 돌출부(220)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여, 삽입홈(350)에 삽입된 돌출부(220)의 예기치 못한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지지부(360)는 결합부(320') 일측의 측벽(330)과 걸림턱(340)을 지나는 한 쌍의 절개홈(361)이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절개홈(361) 사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돌출부(220) 삽입시 바깥쪽으로 밀려서 탄성 변형되고, 돌출부(220)가 결합부(320')의 삽입홈(350)에 수용되면 연장부(230)의 일측에 탄성 지지되어 돌출부(2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탄성지지부(360)의 끝단은 돌출부(220)의 이동시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삽입홈(350)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져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걸림부(34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32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가이드 리브(370)가 돌출부(220)의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 리브(370)는 돌출부(220)와 결합부(320')의 결합시, 돌출부(220)의 삽입부(240)를 결합부(320')의 삽입홈(350)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돌출부(220)는 삽입부(240)의 양측이 한 쌍의 가이드 리브(370)의 내측에 각각 지지된 상태로 삽입홈(35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220)의 제1 결합돌기(221)와 대응 결합하는 제1 결합홈(351)이 삽입홈(35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고, 돌출부(220)의 제2 결합돌기(222)와 대응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2 결합홈(352)이 제1 결합홈(35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서로 이격하여 관통 형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제2 결합홈(352) 사이에는 제2 결합돌기(222)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380)이 원호 형태로 형성되며, 따라서 휴대 전자기기(10)의 회전시 제2 결합돌기(222)는 제2 결합홈(352)을 나와서 가이드 홈(380)을 따라 이동하여 인접한 다른 제2 결합홈(352)에 차례로 대응 결합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플레이트(310')가 후면 커버(120)의 심재(124) 전면에 부착되며, 제2 플레이트(310')의 전면에는 종이 재질의 시트(125)와 합성섬유나 합성수지 또는 천 재질의 내피(121)가 차례로 부착된다. 이때, 별도의 시트(125) 없이 내피(121)가 직접 제2 플레이트(310')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시트(125)와 내피(121)에는 결합부(320')와 가이드 리브(370)를 감싸는 장방타원형의 절개홀(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절개홀(122)을 통해 결합부(320')와 가이드 리브(370)가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유닛(200)의 돌출부(220)를 지지유닛(300')의 결합부(32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320')를 벽면이나 차량의 실내 일측에 접착이나 융착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하고, 휴대 전자기기(10)의 배면에 형성된 돌출부(220)를 결합부(320')에 결합시킴으로써, 휴대 전자기기(10)의 탈부착이 용이한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유닛(300')의 제2 플레이트(310')를 벽면이나 차량의 실내 일측에 접착이나 융착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하고, 휴대 전자기기(10)의 배면에 회전유닛(200)의 제1 플레이트(21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휴대 전자기기(10)의 탈부착이 용이한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 전자기기(10)가 수납된 케이스(예컨대, 범퍼형 케이스)의 배면에 결합부(320') 또는 지지유닛(300')을 접착이나 융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고, 보조 배터리가 수납된 배터리 케이스의 일면에 돌출부(220) 또는 회전유닛(200)을 접착이나 융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이동시 휴대 전자기기(10)와 보조 배터리를 함께 휴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회전유닛(200) 및 지지유닛(300")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회전유닛(200) 및 지지유닛(300')과 구성이 유사하다. 따라서,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300")은, 제2 플레이트(310')의 결합부(32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개부(39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절개부(390)는 결합부(320")의 원호형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하여 소정의 폭을 갖는 홈 형태로 절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돌출부(220)의 삽입부(240)가 결합부(320")에 삽입될 때, 결합부(320")는 탄성 변형에 의해 돌출부(220)와의 조립공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는 실내의 벽면 또는 차량의 일측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300")을 차량의 대시보드나 운전대의 일측에 부착한 후,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에 부착된 회전유닛(200)을 지지유닛(300")에 결합함으로써,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의 실내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휴대 전자기기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별도의 제1,제2 플레이트(210,310')없이 'U'자 형태의 결합부(320")만을 벽면이나 차량의 실내 일측에 접착이나 융착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하고, 휴대 전자기기(10)의 배면에 형성된 돌출부(220)를 결합부(320")에 결합시킴으로써 휴대 전자기기(10)를 거치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100")는, 지지유닛(300")의 결합부(320")에 복수 개의 절개부(390)가 원호형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형성된다는 점 이외에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100')와 그 구성이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 이에 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 전자기기(10)가 수납된 케이스(예컨대, 범퍼형 케이스)의 배면에 결합부(320") 또는 지지유닛(300")을 접착이나 융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고, 보조 배터리가 수납된 배터리 케이스의 일면에 돌출부(220) 또는 회전유닛(200)을 접착이나 융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이동시 휴대 전자기기(10)와 보조 배터리를 함께 휴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휴대 전자기기 100,100',100" :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121 : 내피 122 ; 절개홀
123 : 외피 124 : 심재
125 : 시트 130 : 연결부
200 : 회전유닛 210 : 제1 플레이트
220 : 돌출부 221 : 제1 결합돌기
222 : 제2 결합돌기 300,300',300" ; 지지유닛
310,310' : 제2 플레이트 320,320',320" : 결합부
350 : 삽입홈 351 : 제1 결합홈
352 : 제2 결합홈 360 : 탄성지지부
370 : 가이드 리브 380 : 가이드 홈
390 : 절개부

Claims (19)

  1. 일면에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내부에 삽입홈을 갖는 결합부가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하고자 하는 대상 위치에 타면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일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1 결합돌기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제1 결합돌기와 대응 결합하도록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과,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대 회전시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순차적으로 대응 결합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결합홈과, 상기 제2 결합돌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제2 결합홈 사이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돌출부의 수평방향 이탈 방지를 위해 내측에 마주보도록 볼록하게 라운드져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가 일측에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U'자 형태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돌출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절개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일면에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내부에 삽입홈을 갖는 결합부가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면을 덮도록 부착되는 내피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일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1 결합돌기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제1 결합돌기와 대응 결합하도록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과,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대 회전시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순차적으로 대응 결합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결합홈과, 상기 제2 결합돌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제2 결합홈 사이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돌출부의 수평방향 이탈 방지를 위해 내측에 마주보도록 볼록하게 라운드져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가 일측에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U'자 형태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돌출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절개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17. 삭제
  18. 삭제
  19.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휴대 전자기기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내부에 삽입홈을 갖는 결합부가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면을 덮도록 부착되는 내피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일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1 결합돌기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상기 돌출부의 제1 결합돌기와 대응 결합하도록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과,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대 회전시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순차적으로 대응 결합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결합홈과, 상기 제2 결합돌기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제2 결합홈 사이에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돌출부의 수평방향 이탈 방지를 위해 내측에 마주보도록 볼록하게 라운드져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돌출부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20160151206A 2016-05-20 2016-11-14 휴대 전자기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832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2254 2016-05-20
KR1020160062254 2016-05-20
KR20160086905 2016-07-08
KR1020160086905 2016-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188A KR20170131188A (ko) 2017-11-29
KR101832625B1 true KR101832625B1 (ko) 2018-04-04

Family

ID=60812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206A KR101832625B1 (ko) 2016-05-20 2016-11-14 휴대 전자기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763A (ko)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에스엠코리아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659Y1 (ko) * 2018-05-16 2019-07-17 대한특허개발(주) 휴대폰 거치형 무선 충전장치
KR102082169B1 (ko) 2018-11-30 2020-02-27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KR102128755B1 (ko) * 2020-02-05 2020-07-01 주식회사 상상해 거치대겸 셀카봉
KR102196015B1 (ko) * 2020-02-24 2020-12-30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2382177B1 (ko) * 2020-10-08 2022-04-05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2259521B1 (ko) * 2021-01-20 2021-06-02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763A (ko)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에스엠코리아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188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625B1 (ko) 휴대 전자기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149925B1 (ko) 스마트 폰용 카메라 렌즈 모듈
US10321751B1 (en) Detachable strap hinge mechanism for head-mounted display
US9402016B1 (en) Electronic device mount
JP5834233B2 (ja) 蓋シ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5218799B2 (ja) カバー及び筐体
KR102207039B1 (ko) 액세서리 장치
JP2018098571A (ja) ウェアラブルカメラ
US20110149144A1 (en) Electronic device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US20090135479A1 (en) Universal Mount for Night Vision Goggles
JP4389816B2 (ja) 電子機器
KR20160127922A (ko) 입체영상시청이 가능한 단말기커버조립체
KR101738616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KR20160010778A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JP2005221948A (ja) 液晶機器用遮光フード
CN114415373A (zh) 头戴式设备
KR20160093249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가상현실용 헤드 마운팅 디바이스
WO2022061933A1 (zh) 收纳装置、云台组件及云台系统
JP2015145905A (ja) スライド開閉蓋の開閉検出構造
JP2018182158A (ja) 電子機器
KR20130006353U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CN109639938B (zh) 一种电子设备
KR102149370B1 (ko)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4067Y1 (ko) 렌즈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가상현실 카드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