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763A -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763A
KR20200080763A KR1020180170554A KR20180170554A KR20200080763A KR 20200080763 A KR20200080763 A KR 20200080763A KR 1020180170554 A KR1020180170554 A KR 1020180170554A KR 20180170554 A KR20180170554 A KR 20180170554A KR 20200080763 A KR20200080763 A KR 20200080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rd storage
smartphone
wall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370B1 (ko
Inventor
이선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7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3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면부의 절개라인에 의해 형성된 전면 카드수납부와; 격벽에 의해 상기 전면 카드수납부와 분리되며, 상부 양측에서 하부 측면을 향하여 사선으로 형성된 상부 절개라인 및 하부 양측에서 상부 측면을 향하여 만곡되게 형성된 하부 절개라인에 의해 형성된 후면 카드수납부와; 상기 후면 카드수납부 내에 형성된 후면 카드수납공간의 전후면에 구비되며, 후면 카드수납부의 하부측 일면의 폭보다 좁은 후방 사이 띄움 지지부 및 전방 사이 띄움 지지부와; 상기 전면 카드수납부 및 후면 카드수납부에 각각 내장된 전면 자성체 및 후면 자성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개시된다.
또한,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과; 상기 후면 카드수납부에 수납될 카드의 하부 양측을 슬라이딩 형태로 결합하기 위해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며 전후면 카드수납부의 하부를 받침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자석이 내장된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장착되어 거치부의 틸팅 및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Detachable card wallet for a smart phone and a smartphone holder for a ca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을 비롯한 각종 휴대 전자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전자기기는 장소에 상관없이 휴대할 수 있으며, 이동중인 차량 안에서도 사용할 필요성이 매우 크고, 또한 최근에는 운전시 다양한 운행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소정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에 스마트폰을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거치대는 대개 PP, PE,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흡착판을 차량의 유리에 부착시키는 방식을 택하고 있는데, 이 경우 반복 사용시 흡착판의 흡착력이 저감되어 거치대가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거치대는 사용 환경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를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거치대는 별도의 다양한 회전 구조들을 도입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는 제조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와 더불어, 휴대 전자기기 사용자들은 휴대 전자기기 외에 관련 액세서리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하나의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 중에서도 고가의 전자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 커버는 필수품목처럼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을 갖춘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가 개발되고 있으며, 각각의 커버는 플립형, 범퍼형, 배터리커버 교체형 등 다양한 타입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가 출시되고 관련 시장이 발달하면서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는 종래의 역할 즉, 휴대 전자기기의 외부로부터의 충격보호 및 심미감 향상이라는 역할에 더하여 지갑 또는 다이어리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가지고 출시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휴대 전자기기의 보호는 물론, 교통카드나 신용카드를 같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일명 수첩형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수첩형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는, 휴대 전자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카메라 렌즈가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렌즈 구멍을 통공하여야 하는바, 커버의 외관이 미려하지 않을뿐더러 렌즈 구멍을 통해 카메라 렌즈에 이물질이 묻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각각의 휴대 전자기기 기종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카메라 렌즈가 구비되기 때문에, 수첩형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역시 휴대 전자기기의 기종마다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첩형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에 수납된 휴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촬영을 하고자 할 경우, 휴대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덮고 있는 전면 커버를 일측으로 젖혀서 개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이 노출되도록한 다음 카메라 촬영을 진행해야 하는바, 이때 젖혀진 전면 커버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간섭을 받게 되어 한 손으로 휴대 전자기기의 카메라를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전면 커버를 후면 커버 뒷쪽으로 완전히 접게 되면, 전면 커버에 의해 후면 커버 렌즈 구멍이 막히게 되므로 촬영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수첩형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를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한 손으로는 젖혀진 전면 커버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휴대 전자기기를 잡은 상태로 촬영을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에 더하여, 셀프카메라(셀카) 촬영시에는 다양한 포즈를 연출할 수 없는 또 다른 불편함이 뒤따르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32625호(공고일자 2018년04월0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과의 탈착이 용이한 카드지갑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카드지갑을 이용하여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면서 고정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카드지갑에 수납된 카드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에 부착되며 자성체가 내장된 카드지갑과; 상기 카드지갑과 접촉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지지대; 및 상기 카드지갑의 자성체와 반응하여 카드지갑이 상기 거치부에 달라붙도록 거치부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의 절개라인(1')에 의해 형성된 전면 카드수납부(1)와; 격벽(3)에 의해 상기 전면 카드수납부(1)와 분리되며, 상부 양측에서 하부 측면을 향하여 사선으로 형성된 상부 절개라인(2') 및 하부 양측에서 상부 측면을 향하여 만곡되게 형성된 하부 절개라인(2")에 의해 형성된 후면 카드수납부(2)와; 상기 후면 카드수납부(2) 내에 형성된 후면 카드수납공간(S)의 전후면에 구비되며, 후면 카드수납부(2)의 하부측 일면의 폭보다 좁은 후방 사이 띄움 지지부(4) 및 전방 사이 띄움 지지부(5)와; 상기 전면 카드수납부(1) 및 후면 카드수납부(2)에 각각 내장된 전면 자성체(7) 및 후면 자성체(6);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과; 상기 후면 카드수납부(2)에 수납될 카드(200)의 하부 양측을 슬라이딩 형태로 결합하기 위해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424)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424)로부터 연장되며 전후면 카드수납부(1,2)의 하부를 받침하는 받침부(422)와, 상기 받침부(422)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자석(430)이 내장된 등받이부(421)를 포함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장착되어 거치부의 틸팅 및 지지하는 지지부(41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지갑 휴대시에는 스마트폰과의 탈착이 용이하며, 스마트폰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여 스마트폰과 함께 소지하므로, 독립적으로 각각 챙기는 것 대비 사용자의 신경 분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후면 카드수납부에 수납된 카드는 거치대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때문에 차량용 거치대에 거치시 진동 등의 외력이 작용할 때 자석으로 부착하는 것 대비 견고한 고정력을 갖게한다.
또한, 후면 카드수납부는 절개부가 여러개 형성되어 있어, 후면 카드수납부에 수납된 카드는 전면 카드수납부에 수납된 카드 대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의하면, 실내 또는 차량의 일측에 휴대 전자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휴대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지갑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지갑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지갑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지갑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지갑이 부착된 스마트폰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드지갑이 거치대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에 부착되며 자성체가 내장된 카드지갑과, 상기 카드지갑과 접촉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지지대와, 상기 카드지갑의 자성체와 반응하여 카드지갑이 상기 거치부에 달라붙도록 거치부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한다.
카드지갑에 자성체가 내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그리고 스마트폰에 자석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카드지갑은 스마트폰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의 거치부에 자석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스마트폰은 카드지갑에 부착된 상태로 거치부에 부착된다.
거치부는 지지대에 구비되되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가 지지대에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에 의해 거치부에 부착된 스마트폰은 상,하,좌,우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카드지갑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 부착한 상태로 소지가 가능하며,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에 부착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카드지갑을 스마트폰에 부착한 상태로 소지하는 것에 의해 카드지갑과 스마트폰을 독립적으로 각각 챙기는 것 대비 사용자의 신경 분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에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 내에서도 자유로운 스마트폰의 활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네비게이션 앱을 활용하면 차량의 네비게이션을 대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지갑(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의 절개라인(1')에 의해 형성된 전면 카드수납부(1)와, 격벽(3)에 의해 상기 전면 카드수납부(1)와 분리되며 상부 양측에서 하부 측면을 향하여 사선으로 형성된 상부 절개라인(2') 및 하부 양측에서 상부 측면을 향하여 만곡되게 형성된 하부 절개라인(2")에 의해 형성된 후면 카드수납부(2)와, 상기 후면 카드수납부(2) 내에 형성된 후면 카드수납공간(S)의 전후면에 구비되며 후면 카드수납부(2)의 일면의 폭(L1)보다 좁은 후방 사이 띄움 지지부(4) 및 전방 사이 띄움 지지부(5)와, 상기 전면 카드수납부(1) 및 후면 카드수납부(2)에 각각 내장된 전면 자성체(7) 및 후면 자성체(6)를 포함한다.
카드지갑(100)의 전면부에 형성된 절개라인(1')에 의해 형성된 전면 카드수납부(1)는 여러 장의 카드(200)가 수납될 수 있다.
카드지갑(100)의 후면부에 형성된 후면 카드수납부(2)는 격벽(3)에 의해 상기 전면 카드수납부(1)와 분리된다. 또한 좌,우측 및 하부측 일부는 카드지갑(100)에 마감처리된다. 상부 양측에서 하부 측면을 향하여 사선으로 형성된 상부 절개라인(2')은 후면 카드수납부(2)에 수납된 카드(200)를 좌측 또는 우측에서 비스듬히 빼기에 용이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또한, 하부 양측에서 상부 측면을 향하여 만곡되게 형성된 하부 절개라인(2")은 카드(200)가 후면 카드수납부(2)에 수납될 때 카드(200)의 양측이 노출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후면 카드수납부(2)에 수납된 카드(200)의 양측의 전후면이 다른 것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카드수납부(2)의 내부에는 카드지갑(10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후방 사이 띄움 지지부(4)와, 카드지갑(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전방 사이 띄움 지지부(5)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사이 띄움 지지부(4)와 전방 사이 띄움 지지부(5)의 폭(L1)은 후면 카드수납부(2)의 하부측 일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후방 사이 띄움 지지부(4)와 전방 사이 띄움 지지부(5)가 구비되는 것에 의해 이들 사이에 삽입되는 카드(200)의 양측의 전후면은 다른 것들과 간섭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카드지갑(100)와 결합되기 적합한 형태의 거치대로써, 상기 카드지갑(100)과, 상기 후면 카드수납부(2)에 수납될 카드(200)의 하부 양측을 슬라이딩 형태로 결합하기 위해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424)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424)로부터 연장되며 전후면 카드수납부(1,2)의 하부를 받침하는 받침부(422)와 상기 받침부(422)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자석(430)이 내장된 등받이부(421)를 포함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장착되어 거치부의 틸팅 및 지지하는 지지부(410)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폰(300)에 장착된 자석(미도시)에 의해, 카드지갑(100)에 구비된 후면 자성체(6)에 의해 카드지갑(100)은 스마트폰(30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카드지갑(100)의 전면 자성체(7)와 거치대(400)의 자석(430)에 의해 카드지갑(100)이 부착된 스마트폰(300)이 거치대(4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카드지갑(100)에 수납된 카드(200)의 하부측 양측면은 슬라이딩 결합부(424)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카드(200)의 하부측 양측면이 슬라이딩 결합부(424)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에 의해 자석(430)으로만 고정되는 것 보다 더욱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자석(430)으로만 고정시키는 방식 대비 자석(430)의 세기가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전면 카드 수납부
2: 후면 카드수납부
3: 격벽
4: 후방 사이 띄움 지지부
5: 전방 사이 띄움 지지부
6: 후면 자성체
7: 전면 자성체
100: 카드지갑
200: 카드
300: 스마트폰
400: 거치대

Claims (3)

  1. 스마트폰에 부착되며 자성체가 내장된 카드지갑과;
    상기 카드지갑과 접촉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지지대; 및
    상기 카드지갑의 자성체와 반응하여 카드지갑이 상기 거치부에 달라붙도록 거치부에 구비되는 자석;
    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2. 전면부의 절개라인(1')에 의해 형성된 전면 카드수납부(1)와;
    격벽(3)에 의해 상기 전면 카드수납부(1)와 분리되며, 상부 양측에서 하부 측면을 향하여 사선으로 형성된 상부 절개라인(2') 및 하부 양측에서 상부 측면을 향하여 만곡되게 형성된 하부 절개라인(2")에 의해 형성된 후면 카드수납부(2)와;
    상기 후면 카드수납부(2) 내에 형성된 후면 카드수납공간(S)의 전후면에 구비되며, 후면 카드수납부(2)의 하부측 일면의 폭보다 좁은 후방 사이 띄움 지지부(4) 및 전방 사이 띄움 지지부(5)와;
    상기 전면 카드수납부(1) 및 후면 카드수납부(2)에 각각 내장된 전면 자성체(7) 및 후면 자성체(6);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
  3. 제2항의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과;
    상기 후면 카드수납부(2)에 수납될 카드(200)의 하부 양측을 슬라이딩 형태로 결합하기 위해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424)와,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424)로부터 연장되며 전후면 카드수납부(1,2)의 하부를 받침하는 받침부(422)와,
    상기 받침부(422)의 일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자석(430)이 내장된 등받이부(421)를 포함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장착되어 거치부의 틸팅 및 지지하는 지지부(410);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80170554A 2018-12-27 2018-12-27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149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554A KR102149370B1 (ko) 2018-12-27 2018-12-27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554A KR102149370B1 (ko) 2018-12-27 2018-12-27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763A true KR20200080763A (ko) 2020-07-07
KR102149370B1 KR102149370B1 (ko) 2020-08-31

Family

ID=7160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554A KR102149370B1 (ko) 2018-12-27 2018-12-27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3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767Y1 (ko) * 2000-03-07 2000-08-01 최은석 충전용 잭 내장형 핸드폰 거치대
KR20120006361U (ko) * 2011-03-03 2012-09-12 남동일 멀티기능 스마트폰홀더
CN206596067U (zh) * 2017-02-17 2017-10-27 深圳市杰美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磁吸保护套
KR101832625B1 (ko) 2016-05-20 2018-04-04 신윤철 휴대 전자기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767Y1 (ko) * 2000-03-07 2000-08-01 최은석 충전용 잭 내장형 핸드폰 거치대
KR20120006361U (ko) * 2011-03-03 2012-09-12 남동일 멀티기능 스마트폰홀더
KR101832625B1 (ko) 2016-05-20 2018-04-04 신윤철 휴대 전자기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CN206596067U (zh) * 2017-02-17 2017-10-27 深圳市杰美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磁吸保护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370B1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374Y1 (ko)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ES2768294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incluye módulo de cámara
US20180013463A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an angle adjustable phone hanger ring
KR200463463Y1 (ko) 거치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101832625B1 (ko) 휴대 전자기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US20180063306A1 (en) Cell Phone Case with Reconfigurable Plates
KR101608931B1 (ko) 모바일 단말기 거치용 스탠딩 케이스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57071A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JP3204680U (ja) 携帯端末保護具
KR20150003379U (ko)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KR101183278B1 (ko) 휴대기기용 수납케이스
KR101585383B1 (ko)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200080763A (ko) 스마트폰용 탈부착형 카드지갑이 구비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035319A (ko)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 장치
KR20140002951U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KR20160026602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2103250B1 (ko) 사진 및 향기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휴대폰용 그립 거치대
KR101373747B1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CN209089075U (zh) 用于移动电子设备的拍摄附件
KR101889089B1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CN108900753A (zh) 用于移动电子设备的拍摄附件
CN218350832U (zh) 用于电子设备的保护装置
KR20130087954A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54682Y1 (ko) 탈착할 수 있는 판형 덮개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