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319A -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319A
KR20170035319A KR1020160066487A KR20160066487A KR20170035319A KR 20170035319 A KR20170035319 A KR 20170035319A KR 1020160066487 A KR1020160066487 A KR 1020160066487A KR 20160066487 A KR20160066487 A KR 20160066487A KR 20170035319 A KR20170035319 A KR 20170035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agnetic
magnetic body
housing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983B1 (ko
Inventor
김해수
이동윤
심우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988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52105A1/en
Priority to EP16848831.0A priority patent/EP3338159B1/en
Priority to CN201680053650.XA priority patent/CN108027630B/zh
Priority to US15/273,018 priority patent/US10372159B2/en
Publication of KR2017003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at least one portion)는 상기 자성체에 대한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형태 또는 위치가 변경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 장치 {ATTACHABLE/DETACH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다른 장치에 탈부착 가능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가전 제품으로부터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 또는 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술 및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전자 장치,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서비스 영역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초기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상대방 호출,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등에 한정되었으나, 점차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게임 등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과 같은 금융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확대되었고, 사용자들도 점차 청소년층으로부터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일반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 장치를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강화되고,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에 근접한 전자 장치가 상용화되었다. 예컨대, 이동 중에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동영상 감상, 더 나아가서는 사무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전자 장치의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만, 휴대성을 고려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은 다소 저하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되는 화면의 크기나 음량 등이 제한될 수 있으며, 각종 정보의 입력이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의 기능(예: 입출력 장치 등)을 확장하기 위해, 전자 장치와 연동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장치(예: 도킹 스테이션)가 제안되고 있다.
전자 장치와 연동 가능한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를 거치한 상태로 충전 기능을 제공하거나, 별도의 스피커 폰 등이 탑재되어 음향을 출력하거나, 자판(key board)이 탑재되어 입력 장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와 연동 가능한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의 기능을 확장하거나 및/또는 전자 장치 사용에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와 연동 가능한 외부 장치(예: 도킹 스테이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기능을 확장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전자 장치와는 별도로 외부 장치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외부 장치와 결합이 용이한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하여(예: 결합하여) 휴대가 편리한 외부 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휴대를 위해 전자 장치에 외부 장치를 결합한 상태에서,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와 마주보게 결합하여 휴대가 편리하고, 전자 장치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외부 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at least one portion)는 상기 자성체에 대한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형태 또는 위치가 변경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at least one portion)는 상기 자성체에 대한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at least one portion)는 상기 자성체에 대한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한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면 커버의 내측 면 상에 배치된 자성체들을 포함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예: 도킹 스테이션) 등의 외부 물체에 대하여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모두 휴대하더라도, 하나의 기기를 휴대한 것처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외부 장치에 거치한 상태에서는 랩탑 컴퓨터와 같이 활용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 자체만 휴대하면서 태블릿 PC로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환경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전자 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마주보게 결합한 상태에서는, 자성체(magnet)들의 인력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체를 이용하여 자성체를 전면 커버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외부 장치와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성체의 자기력이 사용자의 소지품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자기 기록 매체 및/또는 자기 기록 매체 등이 탑재된 소지품이 전자 장치에 인접하게 위치하더라도 자성체의 자기력에 의해 매체에 저장된 정보 등이 훼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와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커버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자성체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자성체 모듈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자성체 모듈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에 결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각각에 장착된 자성체 모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각각에 장착된 자성체 모듈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각각에 장착된 자성체 모듈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및/또는 외부 장치)에 자성체(들)를 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구비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단말,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TV,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버 등의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또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동 또는 셀룰러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소지역 통신망(Small Area Network: SAN)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200)(예: 도킹 스테이션, 스피커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패드 장치, 키보드 장치)와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200)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200)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200)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은, 예를 들면, 전면 커버(102)와 후면 커버(1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면 커버(102)와 상기 후면 커버(10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전면 커버(102)와 상기 후면 커버(104)는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02)는, 예를 들면, 바형 및/또는 평판 형태의 하우징(101)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 커버(102)로 인하여 상기 하우징(101)의 전면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01)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화면 영역(VA)을 통해 이미지, 문자 등,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커버(102)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 커버(102)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0)는 전원 버튼, 음량 조절 버튼, 스피커 모듈, 마이크로폰 모듈, 카메라 모듈, 근조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 각종 입출력 장치와 센서들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예: 스마트 안경, 전자 팔찌, 전자 앱세서리, 전자 목걸이, 스마트 미러, 스마트 와치) 중 적어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전자 장치(100) 자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저장, 입출력하거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 검색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면 커버(102)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102)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와 터치 패널의 조합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장치(200)와 결합하여 랩탑 컴퓨터와 유사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장치(200)는 일면(211)에 형성된 장착 홈(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홈(213)은, 예를 들면, 상기 일면(211)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장착 홈(213)에 삽입 또는 결속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외부 장치(200)에, 예컨대, 경사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외부 장치(200)의 일면(211)과 마주보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면 커버(102)가 상기 일면(211)에 마주본 상태로,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외부 장치(200)와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장치(200)는 상기 일면(211)에 배치된 자판(key board)(2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외부 장치(200)와 결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0)의 입력 장치를 확장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홈(213)은, 예를 들면, 상기 자판(215)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장치(200)가 자판(215)을 구비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외부 장치(200)는 터치 패드, 스피커 모듈, 저장 매체, 또는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0)의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커버(102)가 외부 장치(200)의 상기 일면(211)과 마주본 상태로 결합되면, 도 1과 같이 상기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는 접힌 랩탑 컴퓨터의 외형과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외부 장치(200)에 (예:컨대, 경사지게) 거치되면,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은 펼쳐진 랩탑 컴퓨터의 외형과 유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100)는 그 자체로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장치(200)와 조합됨으로써 랩탑 컴퓨터와 유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는 서로 마주보게 결합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장치는, 예를 들면, 후크와 후크, 후크와 홈과 같은 기계적인 결속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는 자성체(magnet)(들)를 이용한 고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1)의 전면 커버(102)(또는, 후면 커버(104))는 윈도우(121), 디스플레이(123),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1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121)는 상기 하우징(101)의 전면(또는, 후면)에 장착되며,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123)는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 예컨대, 상기 윈도우 부재(121)의 내측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3)는 상기 화면 영역(VA)을 통해 화면(예: 콘텐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텍스트)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02)의 일측 가장자리, 예를 들면, 상기 윈도우 부재(121)의 내측 면에,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123)의 일측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131)들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성체(131)들이 상기 탄성체(135)에 배열 또는 장착되어 자성체 모듈(1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31)들은, 예를 들면, 상기 화면 영역(V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성체 모듈(103)은 상기 윈도우 (121)의 내측 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2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자성체 모듈(103)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자성체 모듈(103)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자성체 모듈(103)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 모듈(103)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 모듈(103)과 유사한 및/또는 동일한 자성체 모듈이 상기 외부 장치(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0)에는 제1 자성체 모듈(103)(예: 제1 극성(예: S극)을 가진 자성체)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외부 장치(200)에는 제2 자성체 모듈(예: 제2 극성(예: N극)을 가진 자성체)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자성체 모듈(103)은 상기 제2 자성체 모듈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자성체 모듈(103) 및 제2 자성체 모듈은 극성이 서로 다를(반대일)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자성체 모듈(103)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131)들 및/또는 탄성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자성체 모듈(103)은 상기 탄성체(135)와는 다른 재질로 제작된 홀더(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131)들은 상기 탄성체(135)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131)들은 외부 물체, 예를 들면, 자기력을 가질 수 있는 물체와 인력(또는,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나 또는 그 싱상의 자성체(131)들과 외부 물체(예: 상술한 외부 장치(200))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또는, 척력)을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100)가 외부 물체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133)는, 예를 들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131)들을 일정 배열로 상기 탄성체(135)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133)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131)들 각각에 상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홈(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13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131)들은 상기 홀더(133)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상기 탄성체(135)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133)는, 예컨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131)들 및/또는 상기 탄성체(135)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131)들 자체로 상기 탄성체(135)에 장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성체 모듈(103)은 상기 홀더(133)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탄성체(135)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135a)와, 상기 고정부(135a)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예컨대, 경사지게, 연장된 탄성부(135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성체(135)는 금속 판재(plate)를 판금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탄성체(135)의 중앙부는 상기 전면 커버(102)에 대체로 평행한 고정부(135a)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135)의 양단부는 상기 고정부(135a)에 대하여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 탄성부(135b)들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35a)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131)들 및/또는 상기 자성체(131)들이 고정된 홀더(133)를 수용, 장착하는 공간(또는 면(surface))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35a)의 양 단부에는 각각 개구부(135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35c)들은, 예를 들면, 상기 고정부(135a)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부(135a)들의 크기, 절개된 부분을 절곡한 각도와 방향 등에 따라 상기 탄성부(135b)가 제공할 수 있는 탄성력이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131)들이 배열되는 면을 상기 탄성체(135)의 상면이라고 할 때, 상기 탄성부(135b)들은 상기 탄성체(135)의 아래 쪽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자성체 모듈(103)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자성체 모듈(103)은 상기 하우징(101)(예: 전면 커버(102) 또는 후면 커버(104))의 내측 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1)의 내측벽에는 지지 돌기(들)(111a 또는 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기(들)(111a 또는 111b)는 상기 하우징(101)의 후면 커버(104)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에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면 커버(102)가 상기 하우징(101)에 결합했을 때, 제1 지지 돌기(111a) 및 제2 지지 돌기(111b)는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에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135)는, 상기 탄성부(135b)의 양쪽 끝 영역(both end portions)이 각각 상기 전면 커버(102)(또는, 후면 커버(104))의 내측 면과 지지 돌기(111a, 111b)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에 또는 상기 후면 커버(104)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체(135)가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에 고정되면, 상기 탄성부(135b)는 상기 고정부(135a)를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상기 자성체(131)들은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성체(135)는 상기 하우징(101)의 후면에 대응하는 제1 위치 및/또는 상기 하우징(101)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자성체(131)들을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35) 및/또는 상기 탄성체(135) 상에 배열된 상기 자성체(131)들에 외력(예: 인력)이 작용한다면, 상기 고정부(135)는, 예를 들면, 상기 자성체(131)들은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으로 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자성을 가질 수 있는(magnetizable) 외부 물체가 상기 전면 커버(102) 상에서 상기 자성체(131)들에 인접하게 위치한다면, 외부 물체에 대한 상기 자성체(131)들의 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135)가 상기 윈도우 부재(121)의 내측 면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의 자력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탄성체(135)는 상기 자성체(131)들을 상기 하우징(101)의 전면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그 형태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성체(131)들은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일정 위치를 위지할 수 있으며, 자력의 변화에 기반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31)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자력은, 자성을 가질 수 있는(magnetizable) 외부 물체나, 다른 자성체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예: 상기 외부 장치(20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자성체(131)들과 상기 외부 장치(200)의 자성체들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외부 장치(200)에 결합,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31)들이 발생시키는 자기장은 사용자의 소지품을 일부 훼손할 수 있다. 예컨대, 자기 기록 매체 등이 탑재된 신용 카드 등에 저장된 정보가 상기 자성체(131)들의 자기장에 의해 훼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탄성체(135)를 이용하여 상기 자성체(131)들을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자성체(131)들이 발생시키는 자기장이 상기 전자 장치(100)의 외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자성체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200)에도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100)에는 제1 자성체 모듈(103)이, 상기 외부 장치(200)에는 제2 자성체 모듈이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외부 장치(200)의 일면에 마주보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자성체 모듈(103)과 제2 자성체 모듈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외부 장치(200)에 견고하게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에 배치된 제2 자성체 모듈이 반드시 자성체(magnet)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자성을 가질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된 평판이 상기 전자 장치(100) 또는 외부 장치(200)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성체 모듈(103)에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200)에 결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200)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 장치(200)(예: 스피커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패드 장치, 키보드 장치, 도킹 스테이션)는 제2의 자성체 모듈(2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체 모듈(203)은 복수의 제2 자성체(231)들과, 제2 탄성체(235)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장치(200)는 상기 제2 자성체 모듈(203)을 상기 제2 탄성체(235)에 장착하기 위한 홀더, 예를 들면, 제2 홀더(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홀더(233)는 상기 제2 자성체(231)들을 일정 배열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탄성체(23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체(235)는, 상기 탄성체(135)와 유사하게, 제2의 고정부와 제2의 탄성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외부 장치(200)의 내측 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고정부를 상기 외부 장치(200)의 내측 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부, 예컨대, 상기 제2 자성체(231)들은 상기 제2 탄성부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외부 장치(200)의 내측 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자성체 모듈(203)은 상술한 자성체 모듈(103)과 유사하게 및/또는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탄성체(235)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자성체(231)들을 상기 외부 장치(200)의 내측 면(또는 내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성체 모듈(103) 및/또는 상기 제2 자성체 모듈(203)의 자성체(131, 231)들 각각은 상기 전자 장치(100) 및/또는 상기 외부 장치(200)의 내부에서 두께 방향으로 유동할(movable) 수 있다.
상기 자성체 모듈(103)과 제2 자성체 모듈(203)은, 외력이 작용하기 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131)들을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자성체(231)들을 상기 외부 장치(200)의 내측 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131)들과 제2 자성체(231)들은 서로에 대하여 인력을 발생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외부 장치(200)의 일면에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하면, 상기 자성체(131)들과 제2 자성체(231)들 사이에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31)들과 제2 자성체(231)들 사이에서 발생한 인력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131)들(예: 상기 탄성체(135)의 고정부(135a))이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에 밀착하고, 상기 제2 자성체(231)들(예: 상기 제2 탄성체(235)의 적어도 일부)이 상기 외부 장치(200)의 내측 면으로 밀착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31)들과 제2 자성체(231)들이 상기 전면 커버(102)와 외부 장치(200)의 내측 면에 밀착함에 따라 상기 자성체(131)들과 제2 자성체(231)들 사이의 간격이 더 작아지고, 상기 자성체(131)들과 제2 자성체(231)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이 더 강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성체(131)들과 제2 자성체(231)들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외부 장치(200)에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상술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예: 상술한 외부 장치(200))에 결합함에 있어, 자성체들의 인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자성체들을 이용한 고정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조물(예: 후크나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전자 장치(100)나 외부 장치(2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체들을 설치함에 있어, 탄성부를 포함한 탄성체를 이용함으로써, 자성체의 자기력이 외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200)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 장치(200)에 배치되는 제2 자성체(231)들은 상기 외부 장치(200)의 내측 면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탄성체(235)를 통해 제2 자성체(231)들이 상기 외부 장치(200)의 내측에 설치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2 자성체(231)들은 상기 외부 장치(200)의 내측 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자성체(231)들을 배열, 고정하기 위한 제2 홀더(237)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 자성체(231)들은 상기 외부 장치(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성체(131)들 및/또는 제2 자성체(231)들은 서로에 대하여 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외부 장치(200)로부터 두께 방향(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성체(131)들 및/또는 제2 자성체(231)들은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외부 장치(2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131)들 및/또는 제2 자성체(231)들의 배열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외부 장치(20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각각에 장착된 자성체 모듈(103, 203)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각각에 장착된 자성체 모듈(103, 203)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 각각에 장착된 자성체 모듈(103, 203)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고정부(예: 상술한 고정부(135a)) 상에서 상기 자성체(131)들은 상기 고정부(135a)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제1 극성(예: S극)이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을 향하게 배치된 복수의 자성체들의 그룹(이하, '제1 그룹(G1)')과, 제2 극성(예: N극)이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을 향하게 배치된 복수의 자성체들의 그룹(이하, '제2 그룹(G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 상에서 상기 제2 자성체(231)들은 상기 제1 그룹(G1)의 자성체들과 인력을 발생하도록 극성이 배치된 제3 그룹(G3)(예: N극)과, 상기 제2 그룹(G2)의 자성체들과 인력을 발생하도록 극성이 배치된 제4 그룹(G4)(예: S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모듈들(103, 203) 각각이 복수의 자성체들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탄성체(135, 235)에 배치되는 자성체들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전자 장치(100)가 상술한 외부 장치(200)의 일면에 마주보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룹(G1)의 자성체들은 상기 제3 그룹(G3)의 자성체들과 마주보게, 상기 제2 그룹(G2)의 자성체들은 상기 제4 그룹(G4)의 자성체들과 마주보게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31)들과 제2 자성체(231)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력은 상기 전자 장치(100)를 상기 외부 장치(200)에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그룹(G1)과 제4 그룹(G4)의 자성체들 사이에서 및/또는 상기 제2 그룹(G2)과 제3 그룹(G3)의 자성체들 사이에서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성체(131) 및/또는 제2 자성체(231)들의 배열은 상기 전자 장치(100)가 상기 외부 장치(20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100)가 제1의 수평 방향(H)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 제4 그룹(G1, G4)의 자성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척력이 상기 전자 장치(100)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방향(H)의 역방향으로 상기 전자 장치(100)가 이동할 경우, 상기 제2, 제3 그룹(G2, G3)의 자성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척력이 상기 전자 장치(100)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및/또는 외부 장치)에 자성체(들)를 배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00)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필요에 따라 상술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자성체 모듈(예: 도 5 내지 도 7 등에 도시됨)을 참조하여 설명하게 될 것이며, 도면의 참조번호 또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부여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301'로 지시된 동작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들)(131)를 준비, 정렬하는 동작으로서, 상기 자성체(들)(131)를 정렬함에 있어서는 상술한 홀더(133)가 이용될 수 있다. '302'로 지시된 동작은, 정렬된 상기 자성체(들)(131)를 탄성체(135)에 연결하는 동작으로서, 상기 자성체(들)(131)는 그 자체로서 상기 탄성체(135)에 안착, 고정되거나, 상기 홀더(133)를 통해 상기 탄성체(135)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 '303'으로 지시된 동작은, 예를 들면, 상기 자성체(들)(131)를 상기 탄성체(135)에 부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135)의 일부를 절곡하여 상기 자성체(들)(131) 및/또는 상기 홀더(133)에 밀착시키는 동작으로서, 상기 자성체(들)(131) 및/또는 상기 홀더(133)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304'로 지시된 동작은, 상기 자성체(들)(131)를 상기 탄성체에 안착한 후, 전자 장치의 하우징(예: 도 1의 하우징(101)) 및/또는 전면 커버(102)에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01)은 상기 탄성체(135)의 양쪽 끝 영역을 고정하는 지지 돌기(예: 도 8의 제1 지지 돌기(111a) 및/또는 제2 지지 돌기(11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135)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제1 지지 돌기(111a) 및/또는 제2 지지 돌기(111b)와 상술한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에 또는 상기 후면 커버(104)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305'로 지시된 동작은, 예를 들면, 상기 자성체(들)(131)가 상기 하우징(101) 및/또는 전면 커버(10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135)가 상기 전면 커버(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자성체(들)(131)를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작으로서, 상기 자성체(들)(131)에 대한 자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탄성체(135)는 그 형태 또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성체(들)(131)에 작용하는 자력이 없다면, 상기 탄성체(135)는 상기 자성체(들)(131)을 상기 전면 커버(102)의 내측 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400)는, 상술한 전자 장치(100)의 일부 또는 전체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400)는, 하우징(예: 전면 커버(401a) 및/또는 후면 커버(401b)), 디스플레이(402), 회로 기판(403), 자성체 모듈(404) 및/또는 배터리(40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전면 커버(401a)와 후면 커버(40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커버(401a)와 후면 커버(401b) 사이에 개재되거나, 상기 전면 커버(401a)와 후면 커버(401b) 사이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401c 또는 40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브라켓(401c 또는 401d)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거나,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전자 부품들 사이에 전자기적인 차폐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401c 또는 401d)은, 상기 전자 장치(400) 및/또는 상기 하우징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401a)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투명하게 형성된, 예를 들면, 화면 영역(예: 도 2의 화면 영역(VA))을 제공하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커버(401a)에는 터치 패널이 제공될 수 있으며, 화면 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402)와 조합되어 터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403)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통신 모듈, 오디오 모듈 등 각종 전자 회로 부품들을 탑재하고 있으며, 참조번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회로 기판(403)과 함께 안테나 모듈, 카메라 모듈, 스피커 모듈, 발광 소자 등 다양한 전자 회로 부품들이 설치,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에 탑재되는 및/또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회로 장치 등의 구성은 도 18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살펴보게 될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회로 기판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모듈(404)은, 예를 들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자성체 모듈(40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402)가 배치된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성체 모듈(404)은 상기 하우징 및/또는 상기 전면 커버(401a)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 모듈(404)은, 자성체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성체에 대한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의 형태 및/또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에 자력이 미치지 않고 있다면, 탄성체는 자성체를 상기 전면 커버(401a)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자성체가 다른 자성체와 인접하게 위치되면,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자성체가 이동할 수 있으며, 자성체의 이동에 상응하도록 탄성체의 형상이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5)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전자 장치(4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405)를 직접 착탈할 수 있는 배터리 교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사용자가 직접 착탈하지 못하는 배터리 내장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 내의 전자 장치(1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1)는 버스(11a), 프로세서(11b), 메모리(11c), 입출력 인터페이스(11e), 디스플레이(11f), 및 통신 인터페이스(11g)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의 전자 장치(100) 및/또는 도 16의 전자 장치(4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a)는 구성요소들(11a-11g)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b)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b)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1c)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c)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1c)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1d)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1d)은, 예를 들면, 커널(11d-1), 미들웨어(11d-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1d-3),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1d-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1d-1), 미들웨어(11d-2), 또는 API(11d-3)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1d-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1d-2), API(11d-3),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d-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a), 프로세서(11b), 또는 메모리(11c)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1d-1)은 미들웨어(11d-2), API(11d-3),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d-4)에서 전자 장치(1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1d-2)는, 예를 들면, API(11d-3)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d-4)이 커널(11d-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1d-2)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d-4)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1d-2)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d-4)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a), 프로세서(11b), 또는 메모리(11c)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11d-3)는 어플리케이션(11d-4)이 커널(11d-1) 또는 미들웨어(11d-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e)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f)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f)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f)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g)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와 외부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2), 제2 외부 전자 장치(13), 또는 서버(14))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1g)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5)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13) 또는 서버(14))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5)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12, 13) 각각은 전자 장치(1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 13), 또는 서버(14)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2, 13), 또는 서버(14))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 13), 또는 서버(14))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0)는, 예를 들면, 도 1의 전자 장치(100), 도 16의 전자 장치(400) 및/또는 도 17의 전자 장치(1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21), 통신 모듈(22), 가입자 식별 모듈(22g), 메모리(23), 센서 모듈(24), 입력 장치(25), 디스플레이(26), 인터페이스(27), 오디오 모듈(28), 카메라 모듈(29a), 전력 관리 모듈(29d), 배터리(29e), 인디케이터(29b), 및 모터(29c)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1)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도 1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2a))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2a), WiFi 모듈(22b), 블루투스 모듈(22c), GNSS 모듈(22d), NFC 모듈(22e) 및 RF 모듈(22f)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2a)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a)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22g)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a)은 프로세서(21)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a)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a), WiFi 모듈(22b), 블루투스 모듈(22c), GNSS 모듈(22d) 또는 NFC 모듈(22e)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22f)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22f)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2a), WiFi 모듈(22b), 블루투스 모듈(22c), GNSS 모듈(22d) 또는 NFC 모듈(22e)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22g)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임베디드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예: 메모리(11c))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3a) 또는 외장 메모리(23b)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3a)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b)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3b)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0)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24)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4a), 자이로 센서(24b), 기압 센서(24c), 마그네틱 센서(24d), 가속도 센서(24e), 그립 센서(24f), 근접 센서(24g), 컬러(color) 센서(24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4i), 온/습도 센서(24j), 조도 센서(24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4l)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24)은, 예를 들면, 후각(e-nose) 센서, 일렉트로마이오그라피(EMG) 센서, 일렉트로엔씨팔로그램(EEG) 센서, 일렉트로카디오그램(ECG)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4)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는 프로세서(21)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24)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21)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24)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25)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25a), (디지털) 펜 센서(25b), 키(25c),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25d)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a)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5a)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25a)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5b)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25c)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5d)는 마이크(예: 마이크(28d))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6)(예: 디스플레이(11f))는 패널(26a), 홀로그램 장치(26b), 프로젝터(26c), 및/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6a)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패널(26a)은 터치 패널(25a)과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26a)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또는 포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터치 패널(25a)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터치 패널(25a)과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26b)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6c)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는, 예를 들면, HDMI(27a), USB(27b),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7c), 또는 D-sub(D-subminiature)(27d)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7)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1g)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27)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7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1d-3)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8)은, 예를 들면, 스피커(28a), 리시버(28b), 이어폰(28c), 또는 마이크(28d)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9a)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9d)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9d)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9e)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9e)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및/또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9b)는 전자 장치(20)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21))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9c)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또는 햅틱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TV 지원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at least one portion)는 상기 자성체에 대한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형태 또는 위치가 변경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at least one portion)는, 상기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제1 영역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제2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edge) 영역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는, 그 일면에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는(accommodating)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는, 상기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한면으로부터 상기 자성체를 이격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더는, 상기 탄성체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탄성체의 양쪽 끝 영역(both ending portions)을 고정하는 지지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는, 제1 극성에 대응하는 제1 자성체 및 제2 극성에 대응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는, 동일한 극성에 대응하는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기반하여 상기 자성체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력의 변화는, 다른 자성체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at least one portion)는 상기 자성체에 대한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성체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another)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자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하우징과 탈부착 가능한 입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장치는, 상기 다른 자성체와 결합된 다른(another)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스피커, 터치 패드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at least one portion)는 상기 자성체에 대한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한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를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술한 전자 장치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술한 외부 장치로 형성된 부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자성체가 장착된 탄성체는 전면 커버에 장착된 예가 개시되지만,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 하우징 자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하우징의 내부에 구조물이 형성되어 탄성체의 탄성부를 결속, 고정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체들이 화면 영역의 둘레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형상과 외관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체의 탄성부는 자성체 고정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예가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전면 커버 상에서 및/또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자성체 고정부를 두께 방향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movably) 배치할 수 있다면, 탄성부는 자성체 고정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100: 전자 장치 101: 하우징
102: 전면 커버 103: 자성체 모듈
131: 자성체 133: 홀더(holder)
135: 탄성체 200: 외부 장치
203: 제2 자성체 모듈

Claims (2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at least one portion)는 상기 자성체에 대한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형태 또는 위치가 변경되도록 설정된(adapted to) 휴대용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at least one portion)는,
    상기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정된 휴대용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 영역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제2 영역에 위치한 휴대용 전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edge) 영역의 적어도 일부인 휴대용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그 일면에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는(accommodating) 홀더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한 면으로부터 상기 자성체를 이격시키는 휴대용 전자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탄성체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 휴대용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탄성체의 양쪽 끝 영역(both ending portions)을 고정하는 지지 돌기들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제1 극성에 대응하는 제1 자성체 및 제2 극성에 대응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일정 거리 이격된 휴대용 전자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동일한 극성에 대응하는 제1 자성체 및 제2 자성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일정 거리 이격된 휴대용 전자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기반하여 상기 자성체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설정된 휴대용 전자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의 변화는, 다른 자성체를 포함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 장치.
  15.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at least one portion)는 상기 자성체에 대한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정된(adapted to) 휴대용 전자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정된 휴대용 전자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다른(another)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자력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하우징과 탈부착 가능한 입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는, 상기 다른 자성체와 결합된 다른(another)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스피커, 터치 패드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20.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부(at least one portion)는 상기 자성체에 대한 자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하우징의 한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정된(adapted to) 휴대용 전자 장치.
KR1020160066487A 2015-09-22 2016-05-30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 장치 KR102452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9887 WO2017052105A1 (en) 2015-09-22 2016-09-05 Attachable/detachable electronic device
EP16848831.0A EP3338159B1 (en) 2015-09-22 2016-09-05 Attachable/detachable electronic device
CN201680053650.XA CN108027630B (zh) 2015-09-22 2016-09-05 可附接的/可拆卸的电子设备
US15/273,018 US10372159B2 (en) 2015-09-22 2016-09-22 Attachable/detach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33553 2015-09-22
KR1020150133553 2015-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319A true KR20170035319A (ko) 2017-03-30
KR102452983B1 KR102452983B1 (ko) 2022-10-12

Family

ID=5850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487A KR102452983B1 (ko) 2015-09-22 2016-05-30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338159B1 (ko)
KR (1) KR102452983B1 (ko)
CN (1) CN10802763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72A1 (ko) * 2018-01-05 2019-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이를 자성체로 활용하는 방법
WO2019245330A1 (en) * 2018-06-22 2019-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agn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9634B (zh) * 2019-03-25 2020-09-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US11119535B2 (en) * 2019-08-30 2021-09-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ening force control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0239A1 (en) * 2003-03-26 2004-09-30 Shih-Lung Weng Detachable keyboard structure
US20090103261A1 (en) * 2007-10-23 2009-04-23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KR20130079978A (ko) * 2012-01-03 2013-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US8599542B1 (en) * 2013-05-17 2013-12-03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Combined cover, keyboard and stand for tablet computer with reversable connection for keyboard and reading configuration
WO2015047361A1 (en) * 2013-09-29 2015-04-02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Magnetic attach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0623B2 (en) * 2006-11-17 2012-05-01 Apple Inc. Charging arrangement for electronic accessories
US9729685B2 (en) * 2011-09-28 2017-08-08 Apple Inc. Cover for a tablet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0239A1 (en) * 2003-03-26 2004-09-30 Shih-Lung Weng Detachable keyboard structure
US20090103261A1 (en) * 2007-10-23 2009-04-23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KR20130079978A (ko) * 2012-01-03 2013-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US8599542B1 (en) * 2013-05-17 2013-12-03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Combined cover, keyboard and stand for tablet computer with reversable connection for keyboard and reading configuration
WO2015047361A1 (en) * 2013-09-29 2015-04-02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Magnetic attach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72A1 (ko) * 2018-01-05 2019-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이를 자성체로 활용하는 방법
WO2019245330A1 (en) * 2018-06-22 2019-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agnet
US11229133B2 (en) 2018-06-22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ag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8159B1 (en) 2020-06-17
CN108027630B (zh) 2021-12-03
EP3338159A1 (en) 2018-06-27
KR102452983B1 (ko) 2022-10-12
CN108027630A (zh) 2018-05-11
EP3338159A4 (en)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2121B2 (en) Wearable device
US1156158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lurality of displays enclosing multiple sid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710022B2 (en) Cov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684335B2 (en) Rotar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33623B1 (ko) 무선 충전 패드와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KR102500141B1 (ko) 개선된 체결 구조를 갖는 스트랩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EP2993577A1 (e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ser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EP30937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vent in virtual reality mode
US10372159B2 (en) Attachable/detachable electronic device
KR2017013633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작 방법
US20190254129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150133423A (ko) 전자 장치용 커버
CN107094222A (zh) 电子装置和其制造方法
KR20150142282A (ko)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06428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노이즈 제어 방법
KR102508922B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60112790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2983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전자 장치
US11159034B2 (en) Wireless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linked thereto
KR20180044090A (ko) 커넥터 장치
KR20150125485A (ko) 외부 장치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장치 연결 방법
KR2016014963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EP3417602B1 (en) Electronic device attachable external storage media
KR20160034683A (ko) 카드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60130737A (ko) 신체 장착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