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089B1 - 휴대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089B1
KR101889089B1 KR1020160143239A KR20160143239A KR101889089B1 KR 101889089 B1 KR101889089 B1 KR 101889089B1 KR 1020160143239 A KR1020160143239 A KR 1020160143239A KR 20160143239 A KR20160143239 A KR 20160143239A KR 101889089 B1 KR101889089 B1 KR 101889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base
lid
main body
body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286A (ko
Inventor
차성은
Original Assignee
(주)차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차칸 filed Critical (주)차칸
Priority to KR1020160143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0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고 휴대 단말기 뒷면을 지지할 수 있는 본체 지지부, 상기 본체 지지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와 연결된 측면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를 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지지부와 상기 측면 고정부 사이에 덮개 관통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거치대{PORTABLE TERMINAL STANDS}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의 휴대 전자기기(이하, 휴대 단말기이라 함)를 휴대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를 스크래치, 충격, 먼지 등의 외부요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에 맞는 전용 케이스를 결합한다.
케이스는 종류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테두리 또는 테두리와 함께 뒷면을 감싸 보호하는 범퍼형 케이스, 휴대 단말기의 뒷면과 앞면(액정)을 함께 감싸는 플립형(지갑형) 케이스 등이 있다.
플립형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의 테두리와 뒷면을 감싸 보호하는 본체, 일측이 본체와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앞면을 덮어 보호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덮개 부분에는 명함, 카드, 현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pocket)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는 본체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자동차 운행 시 휴대 단말기를 내비게이션(navigation) 또는 블랙박스 등으로 사용하거나 거치할 경우 자동차의 앞유리 또는 대시보드(dashboard) 등(이하, 설치면이라 함.)에 설치된 거치대에 장착하게 된다. 거치대는 자력으로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자석형, 휴대 단말기의 측면을 움켜쥐는 클립형 등이 있으나 이러한 거치대는 범퍼형 케이스에 적합하다. 플립형 케이스가 결합된 휴대 단말기 경우 덮개의 문제로 인해 휴대 단말기를 플립형 케이스로부터 분리한 후 휴대 단말기만 거치대에 장착해야 했다.
등록특허 제10-1614388호 (2016.04.15.) 공개특허 제10-2015-0082756호 (2015.07.16.)
본 발명은 플립형 케이스와 결합된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고 휴대 단말기 뒷면을 지지할 수 있는 본체 지지부, 상기 본체 지지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와 연결된 측면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를 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지지부와 상기 측면 고정부 사이에 덮개 관통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본체 지지부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와 연결된 덮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지지부 및 상기 덮개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상면과 수직 한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본체 지지부 및 상기 덮개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와 구부러질(TILTING)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상기 본체 지지부, 상기 측면 고정부, 상기 하부 고정부 및 상기 덮개 지지부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표면을 감싸는 보호층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부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상기 한 쌍의 하부 고정부 사이에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연장된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 전면 하부가 걸리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탈방지편은 상기 받침대와 구부러질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를 상기 설치면에 고정할 수 있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장착부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하는 회전 링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하부 고정부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와 연결될 수 있는 울림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와 결합된 플립형 케이스를 휴대 단말기에서 분리하지 않고 덮개를 본체 뒤로 접은 상태에서 본체 지지부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덮개의 접힌부분이 측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덮개는 접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플립형 케이스를 분리하지 않은 휴대 단말기를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바로 거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충전선 등을 케이블 관통홀을 통해 휴대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 관통홀을 통과한 충전선은 구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는다. 이에 충전선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지지부 후방으로 접힌 덮개가 측면 고정부와 덮개 지지부에 의해 고정되므로 덮개공간의 덮개는 액정 방향으로 접히지 않는다. 이에 덮개의 고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지지부, 덮개 지지부, 측면 고정부가 베이스와 구부러질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이탈방지편이 받침대와 구부러질 수 있게 연결되므로 사용자의 시야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다 이에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거치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지지부, 덮개 지지부, 측면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가 동물, 사람, 식물, 자동차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사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링크부에 의해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좌, 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전, 후 방향으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고정부를 통해 거치공간과 연결된 울림통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소리가 증폭된다. 이에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1항
도 2은 도 1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좌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1)는 베이스(10), 본체 지지부(20), 측면 고정부(30) 및 하부 고정부(40)를 포함하며 플립형 케이스(200)가 결합된 휴대 단말기(100)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1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장착부(60)를 통해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장착부(60)는 양면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장착부(60)는 클립, 자석 등일 수 있다.
도면에서 베이스(10)를 평판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설치면에 따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는 장착부(60)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60)의 세부적인 구성은 공지된 휴대폰용 차량 거치대를 차량에 장착하는 구성과 같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 지지부(2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베이스(10)의 상면에서 폭 방향(X)을 따라 연결되어 있다. 본체 지지부(20)는 베이스(10)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본체 지지부(20)는 베이스(10)와 힌지(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될 수 있다. 본체 지지부(20)는 베이스(10)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전, 후 방향으로 구부러질(TILTING) 수 있다. 즉, 본체 지지부(20)는 베이스(10) 상면과 수직 한 가상의 수직선(L)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각도는 운전자의 시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 지지부(20)는 휴대 단말기(100)의 뒷면을 지지한다. 본체 지지부(20)의 구부러지는 각도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측면 고정부(30)는 본체 지지부(20)의 넓이보다 작은 넓이를 가진다. 측면 고정부(30)는 본체 지지부(20)와 떨어진 상태에서 베이스(10)의 상면에서 폭 방향(X)을 따라 연결되어 있다. 본체 지지부(20)와 측면 고정부(30) 사이에 덮개 관통홀(31)이 형성된다. 플립형 케이스(200)의 덮개(220)를 뒤로 접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본체 지지부(20)에 위치시켰을 때 덮개 관통홀(31)에 플립형 케이스(200)의 접힌부분(230)이 위치한다.
측면 고정부(30)는 본체 지지부(20)와 같은 구조로 베이스(10)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측면 고정부(30) 또한 베이스(10)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전, 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다. 측면 고정부(30)는 플립형 케이스(200)의 접힌부분(230)을 지지하여 고정하므로 덮개(220)가 액정 방향으로 접히지 않도록 고정한다.
하부 고정부(40)는 베이스(10)의 전방에서 폭 방향(X)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면 도 1에서 하부 고정부(40) 개수를 2개(한 쌍)로 하였으나, 하부 고정부(40)의 개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1)의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부 고정부(40)의 사이에는 케이블 관통홀(43)이 위치한다. 케이블 관통홀(43)로 충전선, 이어폰 등의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다.
하부 고정부(40)는 받침대(41) 및 이탈방지편(42)을 포함한다.
받침대(41)는 베이스(10)와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 지지부(20)에 의해 뒷면이 지지된 휴대 단말기(100)의 하부를 지지한다. 받침대(41)는 베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 하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이탈방지편(42)은 받침대(41)를 사이에 두고 본체 지지부(20)와 마주한다. 이탈방지편(42)과 본체 지지부(20) 사이에 휴대 단말기(100) 하부가 위치하는 거치공간(40a)이 형성된다. 이탈방지편(42)은 받침대(41)의 앞쪽과 연결되어 있으며 설치공간(40a)에 위치한 휴대 단말기(100)의 하부측 전면에 접한다. 이탈방지편(42)은 본체 지지부(20)가 베이스(10)와 연결된 구조와 같은 구조로 받침대(41)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이탈방지편(42) 또한 받침대(41)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탈방지편(42)을 휴대 단말기(100)가 거치공간(40a)에서 놓이면 휴대 단말기(100)를 본체 지지부(20) 방향으로 가압하여 휴대 단말기(100)가 휴대 단말기 거치대(1)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 본체 지지부(20), 측면 고정부(30) 및 하부 고정부(4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 패널(21)과 패널(21)을 감싸는 코팅층(22)을 각각 포함한다. 패널(21)은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기설정된 형상을 유지한다. 코팅층(22)은 실리콘,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금속 패널의 경우 연성이 높아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코팅층(22)은 거치된 휴대 단말기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면 패널(21)을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한다.
위 설명과 도면에서 본체 지지부(20), 측면 고정부(30), 덮개 지지부(50) 및 이탈방지편(42)이 구부러질 수 있다고 하였으나, 재질에 따라 구부러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본체 지지부(20), 측면 고정부(30), 덮개 지지부(50) 및 이탈방지편(42)는 베이스(10) 상면과 수직 한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착부(60)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거치대(1)를 설치면에 장착하며, 휴대 단말기(100)의 액정을 덮고 있고 있는 플립형 케이스(200)의 덮개(220)를 본체(210)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본체(210) 뒤쪽에 위치하도록 접는다.
휴대 단말기(100)를 감싸고 있는 본체(210) 부분을 본체 지지부(20) 전방에 위치하여 하부측이 거치공간(40a)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덮개(220)와 본체(210)의 접힌부분(230)이 덮개 관통홀(31)에 위치하도록 하여 덮개(220)가 본체 지지부(20)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거치공간(40a)에 위치한 본체(210) 하부측은 하부 고정부(4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본체 지지부(20) 후방에 위치한 덮개(220)는 접힌부분(230)이 측면 고정부(30)와 접하고 있어 휴대 단말기(100)의 액정 부분으로 접히지 않는다. 이에 덮개(220)는 접힌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립형 케이스(200)가 결합된 휴대 단말기(100)가 거치되면 운전자의 시야에 따라 본체 지지부(20) 및 측면 고정부(30)는 베이스(10)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구부려 휴대 단말기(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각도에 맞춰 이탈방지편(42)의 구부려 휴대 단말기(100)를 거치공간(40a)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에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플립형 케이스(200)를 분리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 거치대(1)에 거치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100)의 거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휴대 단말기 거치대(1)에 거치된 상태에서 케이블 관통홀(43)을 통해 충전선(300) 등을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할 수 있다. 충전선(300)이 케이블 관통홀(43)을 통과하게 되어 충전선(300)은 접히지 않는다. 이에 충전선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면서 발생하는 충전선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위 설명과 도면 도 1 및 도 2에서 휴대 단말기가 세워진 상태로 나타냈었으나, 휴대 단말기는 눕혀진 상태로 본체 지지부(20)에 거치될 수 있다. 이때 플립형 케이스(200)의 덮개(220)는 본체 지지부(20) 후방 또는 본체 지지부(20)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하부 고정부(40)는 설치공간(40a)에 위치한 휴대 단말기(100) 부분을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휴대 단말기 거치대(4)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4)는 베이스(10), 본체 지지부(20), 측면 고정부(30), 하부 고정부(40) 및 덮개 지지부(50)를 포함한다. 베이스(10), 본체 지지부(20), 측면 고정부(30) 및 하부 고정부(40)는 도 1 및 도 2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본체 지지부, 측면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와 같은 구성 및 작용 효과를 가지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 지지부(50)의 넓이는 본체 지지부(20)의 넓이보다 넓다. 덮개 지지부(50)는 본체 지지부(20)의 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에 본체 지지부(20)와 덮개 지지부(50) 사이에 덮개공간(50a)이 형성된다. 덮개 지지부(50)는 베이스(10)의 상면에서 폭 방향(X)을 따라 연결되어 있다. 덮개 지지부(50)는 본체 지지부(20)가 베이스(10)와 연결된 구조와 같은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덮개 지지부(50) 또한 본체 지지부(20)를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덮개 관통홀(31)을 통해 본체 지지부(20) 후방으로 접힌 플립형 케이스(200)의 덮개(220)는 덮개공간(50a)에 위치하며 덮개 지지부(50)는 덮개(220)가 액정 방향으로 접히지 않도록 덮개(220)를 지지한다. 즉, 덮개공간(50a)의 덮개(220)는 덮개 지지부(50)에 걸려 액정 방향으로 접히지 않는다. 이에 덮개(220)가 덮개 지지부(50)와 측면 고정부(30)의 지지로 접히지 않아 덮개(220)는 덮개공간(50a)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 지지부(50)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 본체 지지부(20), 측면 고정부(30) 및 하부 고정부(40)와 같이 패널과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6)의 본체 지지부(2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물, 사람, 식물, 자동차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고정부(30), 하부 고정부(40) 및 덮개 지지부(50)는 본체 지지부(20)의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본체 지지부(20)가 동물 모양으로 형성되면 측면 고정부(30)는 꼬리, 하부 고정부(40)는 다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 지지부(50)는 나무, 식물 등으로서 동물 모양을 한 본체 지지부(20)의 배경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6)는 판매자, 수요자 등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지며 회전 링크부(70)를 더 포함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7)의 회전 링크부(70)는 베이스(10)와 장착부(60) 사이에 위치하며 본체 지지부(20), 측면 고정부(30), 하부 고정부(40) 및 덮개 지지부(50)가 연결된 베이스(10)를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한다. 회전 링크부(70)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장착부(60)와 연결된 플레이트(71) 및 플레이트(71)와 베이스(10)를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하는 링크(72)를 포함한다. 링크(72)는 플레이트(71) 및 베이스(10)와 힌지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10)는 링크(72)에 의해 좌, 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전, 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 따라 휴대 단말기 거치대(7)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00)의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8)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지며 울림통(80)을 더 포함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8)의 울림통(80)은 하부 고정부(40)와 연결되어 있다. 울림통(80)의 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울림통(80)은 하부 고정부(40)에서 멀어질수록 지름이 증가한다. 울림통(80)의 내부는 하부 고정부(40)를 통해 거치공간(40a)과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100)의 스피커(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울림통(80)은 휴대 단말기(100)의 소리를 증폭할 수 있다. 이에 휴대 단말기 거치대(8)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7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4, 6, 7, 8 휴대 단말기 거치대
10: 베이스 20: 본체 지지부
21: 패널 22: 코팅층
30: 측면 고정부 31: 덮개 관통홀
40: 하부 고정부 40a: 거치공간
41: 받침대 42: 이탈방지편
43: 케이블 관통홀 50: 덮개 지지부
50a: 덮개공간 60: 장착부
70: 회전 링크부 71: 플레이트
72: 링크 80: 울림통
100: 휴대 단말기 200: 플립형 케이스
210: 본체 220: 덮개
230: 접힌부분 300: 충전선
L: 수직선 X: 폭 방향

Claims (10)

  1. 플립형 케이스가 결합된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는 것으로,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 뒷면을 지지할 수 있는 본체 지지부,
    상기 본체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와 연결된 측면 고정부,
    상기 베이스를 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고정부 및
    상기 본체 지지부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접힌 상기 플립형 케이스의 덮개를 지지하는 덮개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 앞쪽과 연결되어 상기 받침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본체 지지부와 마주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하부가 위치하는 거치공간(40a)을 형성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 전면 하부가 걸리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편은 상기 받침대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탈방지편은 휴대 단말기가 상기 거치공간에서 놓이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본체 지지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상기 하부 고정부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하부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접속되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 지지부와 상기 측면 고정부 사이에는 접힌 상기 플립형 케이스의 접힌부분(230)이 관통하는 덮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지지부와 상기 덮개 지지부 사이에는 접힌 플립형 케이스의 덮개(220) 부분이 위치하는 덮개공간이 형성된
    휴대 단말기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본체 지지부 및 상기 덮개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상면과 수직 한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져 있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를 상기 설치면에 고정할 수 있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9. 제8항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장착부를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하는 회전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0. 삭제
KR1020160143239A 2016-10-31 2016-10-31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1889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39A KR101889089B1 (ko) 2016-10-31 2016-10-31 휴대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39A KR101889089B1 (ko) 2016-10-31 2016-10-31 휴대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86A KR20180047286A (ko) 2018-05-10
KR101889089B1 true KR101889089B1 (ko) 2018-08-16

Family

ID=6218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239A KR101889089B1 (ko) 2016-10-31 2016-10-31 휴대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807B1 (ko) * 2018-07-27 2021-11-03 박연수 휴대폰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2129B2 (ja) 1999-06-03 2001-07-2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作業車の操作部構造
US20140183321A1 (en) * 2012-12-28 2014-07-03 Chi Mei Communication Systems, Inc.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43007B1 (ko) * 2014-01-15 2014-09-23 (주)디아이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388B1 (ko) * 2010-11-30 2016-04-21 (주)에이스 힌지텍 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2129B2 (ja) 1999-06-03 2001-07-2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作業車の操作部構造
US20140183321A1 (en) * 2012-12-28 2014-07-03 Chi Mei Communication Systems, Inc.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43007B1 (ko) * 2014-01-15 2014-09-23 (주)디아이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86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4309B2 (en) Heavy duty magnet mount
US11485291B2 (en) Assembly f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and vehicle comprising such a mounting assembly
US20060018464A1 (en) Holder for supporting objects in vehicle
JPH11321473A (ja) 車両用設置装置
US20110132950A1 (en) Seat Belt Attachment
JP2013043626A (ja) 自動車用携帯機器ホルダ
CN104859504A (zh) 车辆用usb端口
US9848692B1 (en) Attaching loop member to mount printing device on belt-like member worn by user
JP2013256240A (ja) 自動車用携帯機器ホルダ
KR101889089B1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6880793B2 (en) Thin-film display mounting structure
US20150048131A1 (en) Configurable And Portable Device For Holding Accessories On Motor Vehicle Dashboards
US20190031113A1 (en) Handsfree Smartphone Stand for Mounting behind the Steering Wheel
KR20130103960A (ko) 스마트폰 거치대
US20230274556A1 (en) Motion-activated mobile virtual panorama (mvp) box camera for continuous and autonomous automobile physical security monitoring
KR20180000621U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JP2013258572A (ja) 携帯情報端末用ホルダ
JP2006218968A (ja) 車載機器用クレードル及びクレードル一体型車載機器
KR20130071039A (ko) 전자기기를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는 거치대
JP5196331B2 (ja) 車載機器用支持具
KR20190056224A (ko) 차량용 핸드폰 충전 거치대와케이스
CN205524013U (zh) 车载手机支架结构
KR20190023363A (ko)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
JPH11122330A (ja) 携帯型通信機の液晶表示部保護機構
KR20190001360U (ko) 자동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