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621U -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0621U KR20180000621U KR2020160004916U KR20160004916U KR20180000621U KR 20180000621 U KR20180000621 U KR 20180000621U KR 2020160004916 U KR2020160004916 U KR 2020160004916U KR 20160004916 U KR20160004916 U KR 20160004916U KR 20180000621 U KR20180000621 U KR 2018000062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ploying
- axis pin
- terminal
- pin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낙하에 의한 파손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단말기를 거치할 때 단말기의 전후 기울기를 비롯하여 좌우 기울기 또는 단말기를 가로방향뿐 아니라 세로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으면서 기울임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플레이트부재(10); 상기 플레이트부재(10)에 구비된 베이스부재(20); 상기 베이스부재(20)에 구비된 제1축핀(30); 제1단부(41)가 상기 제1축핀(30)에 연결되어 제1축핀(30)을 기점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제1전개부재(40); 상기 제1전개부재(40)의 제2단부(42)에 구비된 제2축핀(50); 일측이 상기 제2축핀(50)에 연결되어 제2축핀(20)을 기점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제2전개부재(60);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에 설치하여 손가락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파지하거나 세울 수 있도록 하는, 다관절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 등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기의 시장이 급증하는 추세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기의 사용자들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액정보호필름, 각종 보호 케이스 등과 같은 주변 액세서리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판매량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케이스를 동시에 구매하고 있으며, 이들 보호케이스의 종류 또는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호케이스들은 낙상 후의 사후조치를 위한 것일 뿐 낙상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63599호(특허문헌 1)에서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휴대단말기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거나, 휴대단말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부에 접착시트가 구성되어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접착되는 부착구; 상기 부착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부착구의 상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구; 및 상기 제1 회동축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구를 관통하여 축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동링;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단순히 회동링이 지지구를 관통하여 축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을 뿐, 회동링의 길이나 구조가 확장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단말기를 거치할 때 단말기의 기울기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고, 또한 단말기를 가로 방향으로 눕힌 상태에서만 거치할 수 있을 뿐, 세로 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는 등, 사용상 제한적이어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낙하에 의한 파손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단말기를 거치할 때 단말기의 전후 기울기를 비롯하여 좌우 기울기 또는 단말기를 가로방향뿐 아니라 세로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으면서 기울임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플레이트부재;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구비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구비된 제1축핀; 제1단부가 상기 제1축핀에 연결되어 제1축핀을 기점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제1전개부재; 상기 제1전개부재의 제2단부에 구비된 제2축핀; 일측이 상기 제2축핀에 연결되어 제2축핀을 기점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제2전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축부재를 매개로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는 다관절을 이용하여 거치대의 링 구조물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파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임의 방향 및 임의 각도로 기울인 상태에서 거치할 수 있는 등 사용성을 대폭 확장할 수 있다.
게다가 다관절을 이용하면서 거치대가 최소화되도록 접을 경우에도 단일 거치대를 사용한 것과 대비할 때 두께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림화를 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접은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임의로 펼친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임의로 펼친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의 방법을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접은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를 임의로 펼친 상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치대는, 스마트폰 등 이동통신 단말기(1)의 후면에 부착되어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단말기(1)를 쉽게 잡을 수 있게 하거나 단말기(1)를 세운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1전개부재(40)의 일단부가 베이스부재(10)를 기점으로 선회 가능한 동시에 제2전개부재(60)는 제1전개부재(40)의 타단부를 기점으로 선회 가능하게 된 것이 특징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거치대는 플레이트부재(10), 베이스부재(20), 제1축핀(30), 제1전개부재(40), 제2축핀(50) 및 제2전개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부재(10)는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을 통해 단말기(1)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20)는 상기 플레이트부재(10)의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 플래에트부재(10)에 완전히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축부재(21)를 매개로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연결되어서 베이스부재(20)가 상기 축부재(2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축핀(30)은 상기 베이스부재(20)에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부재(2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1전개부재(40)는, 제1단부(41)가 상기 제1축핀(30)에 연결되어서 제1축핀(41)을 기점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축핀(50)은 상기 제1전개부재(40)의 제2단부(42)에 구비된다.
도시한 예와 같이 상기 제1전개부재(40)는 한 쌍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고, 분할된 제1전개부재(40)의 각 제1단부(41)가 상기 제1축핀(30)에 양쪽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편, 분할된 제1전개부재(40)의 각 제2단부(42)는 상호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축핀(50)의 양쪽 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격 배치된 제2단부(42)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2전개부재(60)는 일측이 상기 제2축핀(50)에 연결되어 제2축핀(50)을 기점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제2전개부재(60)의 일측에는 결속부(6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61)가 각 제2단부(42) 사이에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축핀(50)에 결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전개부재(40) 및 제2전개부재(60)는 링 형상으로 제조되어 내측에 각각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개부재(40) 및 제2전개부재(60)를 직경이 서로 다른 링 형상으로 제조하고, 상기 제1전개부재(40)의 내주면(43)이 이루는 내경 크기보다 상기 제2전개부재(60)의 외주면(63)이 이루는 외경을 크게 하면, 상기 제2전개부재(60)가 상기 제1전개부재(40)의 내측 공간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개부재(60)의 내측 공간에는 손가락을 끼우거나 차량 거치대의 고정구 부분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는 고정공간(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2전개부재(60)를 제1전개부재(40)의 내측 공간으로 내입한 상태에서 제1전개부재(40)와 제2전개부재(60)를 동시에 플레이트부재(10) 위에 포개어 눕히면 슬림화가 가능하다.
반대로, 단말기(1)를 손가락으로 파지하거나 단말기(1)를 세운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해, 제1전개부재(40) 및 제2전개부재(60)를 펼칠 수 있는데, 이때 도 3과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20)는 축부재(21)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고, 제1전개부재(40)는 제1축핀(30)을 기점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제2전개부재(60)는 제2축핀(50)을 기점으로 선회할 수 있으므로, 제1전개부재(40)와 제2전개부재(60)를 사용자가 임의 방향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1)를 세운 상태에서 제1전개부재(40)와 제2전개부재(60)를 이용하여 단말기(1)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전개부재(40) 및 제2전개부재(60)가 다관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말기(1)의 기울기를 손쉽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제1전개부재(40) 및 제2전개부재(60)를 일자로 전개할 경우 단말기(1)를 세로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공간(62) 및/또는 제1전개부재(40) 내측의 관통 공간에 손가락을 끼워서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차량 거치대의 고정구(6)를 상기 고정공간(62)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보통 고정구(6)를 이용하여 차량 거치대에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거치할 때 각도 조절이 불가능한 반면, 본 고안은 도 6의 사용상태와 같이 고정공간(62)에 차량 거치대 고정구(6)를 끼워서 단말기를 걸어두면, 제1전개부재(40)와 제2전개부재(60)의 연결 구조상 각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나 재질,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플레이트부재
20... 베이스부재
21... 축부재
30... 제1축핀
40... 제1전개부재
41... 제1단부
42... 제2단부
43... 내주면
50... 제2축핀
60... 제2전개부재
61... 결속부
62... 고정공간
63... 외주면
20... 베이스부재
21... 축부재
30... 제1축핀
40... 제1전개부재
41... 제1단부
42... 제2단부
43... 내주면
50... 제2축핀
60... 제2전개부재
61... 결속부
62... 고정공간
63... 외주면
Claims (5)
- 플레이트부재;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구비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구비된 제1축핀;
제1단부가 상기 제1축핀에 연결되어 제1축핀을 기점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제1전개부재;
상기 제1전개부재의 제2단부에 구비된 제2축핀;
일측이 상기 제2축핀에 연결되어 제2축핀을 기점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제2전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축부재를 매개로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축부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전개부재는 한 쌍으로 분할 형성되되, 각 제1단부가 상기 제1축핀에 양쪽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축핀의 양쪽 단부가 상호 이격 배치된 제2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전개부재의 일측에는 결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속부가 각 제2단부 사이에서 상기 제2축핀에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전개부재 및 제2전개부재의 내측에 각각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전개부재가 상기 제1전개부재의 내측 공간을 관통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전개부재의 내측 공간에는 고정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전개부재 및 제2전개부재는 직경이 서로 다른 링 형상이고, 상기 제1전개부재의 내주면이 이루는 내경보다 상기 제2전개부재의 외주면이 이루는 외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4916U KR200486430Y1 (ko) | 2016-08-24 | 2016-08-24 |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4916U KR200486430Y1 (ko) | 2016-08-24 | 2016-08-24 |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621U true KR20180000621U (ko) | 2018-03-06 |
KR200486430Y1 KR200486430Y1 (ko) | 2018-05-16 |
Family
ID=6164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4916U KR200486430Y1 (ko) | 2016-08-24 | 2016-08-24 |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6430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6413A (ko) * | 2017-07-10 | 2019-01-18 |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
KR101957480B1 (ko) * | 2017-09-21 | 2019-03-12 | 임영찬 |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5043B1 (ko) * | 2020-07-10 | 2020-12-24 | 조정대 | 스마트폰용 3단 링 엑세서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8718U (ko) * | 2011-06-10 | 2012-12-20 | (주)스마트이지 | 단말기용 핑거 홀더 |
KR101384372B1 (ko) * | 2013-09-25 | 2014-04-14 | 주식회사 드림하이텍 | 모바일 단말기용 파지구 |
US9304542B2 (en) * | 2014-03-17 | 2016-04-05 | Paul M Webber | Holder for tablet computer |
KR20160063599A (ko) | 2014-11-27 | 2016-06-07 | 주식회사 쏘랜드 코리아 |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
-
2016
- 2016-08-24 KR KR2020160004916U patent/KR20048643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8718U (ko) * | 2011-06-10 | 2012-12-20 | (주)스마트이지 | 단말기용 핑거 홀더 |
KR101384372B1 (ko) * | 2013-09-25 | 2014-04-14 | 주식회사 드림하이텍 | 모바일 단말기용 파지구 |
US9304542B2 (en) * | 2014-03-17 | 2016-04-05 | Paul M Webber | Holder for tablet computer |
KR20160063599A (ko) | 2014-11-27 | 2016-06-07 | 주식회사 쏘랜드 코리아 |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6413A (ko) * | 2017-07-10 | 2019-01-18 |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
KR101957480B1 (ko) * | 2017-09-21 | 2019-03-12 | 임영찬 |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6430Y1 (ko) | 2018-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51287B2 (en) | Magnetic stand for tablet device | |
CN207064458U (zh) | 枢转结构及具有其的电子装置 | |
US10201221B1 (en) | Hand strap | |
US8783641B2 (en) | Foldable supporting bracket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
US20140228075A1 (en) | Functional Support System For Cellular Phone Or Related Devices | |
US20140049851A1 (en) |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 |
KR200486430Y1 (ko) |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 |
KR200454217Y1 (ko) |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 |
US9155213B2 (en) | Affixable belt clip for a phone incorporating an adjustable kickstand | |
EP3018889B1 (en) |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 |
US9235230B1 (en) | Magnetic stand, mount and cord wrap for mobile devices and accessories | |
CN104565696A (zh) | 便携式支架 | |
US20150346777A1 (en) | Protective frame and stand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 |
JP2022153408A (ja) | 保持装置 | |
CN210624073U (zh) | 一种多功能折叠支架 | |
TW201332355A (zh) | 平板式顯示裝置之支撐架結構 | |
US7722264B2 (en) | Camera integrated with deformable supporting structure | |
KR20160061751A (ko) |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 |
CN215897793U (zh) | 一种手机保护壳及其套式推拉开合支架 | |
KR200488289Y1 (ko) |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 |
KR200470995Y1 (ko) |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 |
CN212115396U (zh) | 一种可折叠手机桌面支架 | |
KR102272058B1 (ko) | 휴대 단말용 케이스 | |
JP3164950U (ja) | 平板型電子リーダー用ケース | |
KR200484140Y1 (ko) | 휴대단말기 거치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