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480B1 -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480B1
KR101957480B1 KR1020170167420A KR20170167420A KR101957480B1 KR 101957480 B1 KR101957480 B1 KR 101957480B1 KR 1020170167420 A KR1020170167420 A KR 1020170167420A KR 20170167420 A KR20170167420 A KR 20170167420A KR 101957480 B1 KR101957480 B1 KR 101957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radle
rotating body
base plate
horizonta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찬
김상희
Original Assignee
임영찬
김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찬, 김상희 filed Critical 임영찬
Priority to DE112018005360.1T priority Critical patent/DE112018005360T5/de
Priority to US16/647,431 priority patent/US10938433B2/en
Priority to JP2020600050U priority patent/JP3228572U/ja
Priority to CN201880059568.7A priority patent/CN111133739B/zh
Priority to PCT/KR2018/002641 priority patent/WO201905947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다양한 물체에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모바일 기기에 고정되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과 수평회전가능하도록 결합이 이루어지는 수평회전체와, 베이스판에 수평한 제1수평힌지축을 이용하여 수평회전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거치대와,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베이스판에 수평한 제2수평힌지축을 이용하여 제1거치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거치대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Mobile Device Holder}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주변 여건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모바일 기기를 거치할 있는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가 아닌 장소에서 이동 중에 무선으로 통신 및 방송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위해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컴퓨터, PDA 등의 모바일 기기가 널리 사용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정보화산업의 발달에 따른 생활의 편의성을 누리기 위해 꼭 필요한 필수품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 되고 있고, 그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보조장치가 개발되어 제품화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 보조 장치 중에서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는 각도조절이나 위치고정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도와 준다.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 뒷면에 거치장치를 일체형으로 부착 설치하여 가방, 의복주머니 등에 거치장치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 곧바로 사용 가능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3817호, 제10-1316363호, 제10-135700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6899호 등에는 모바일 기기 뒷면에 거치장치가 부착되고 거치장치에 구비되는 링부분을 손가락에 끼우거나 테이블 등의 바닥에 거치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는 바닥을 형성하는 테이블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므로 테이블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차량이나 실내 등의 좌석에 착석하여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고자 할 경우 등에 있어서는 효용성이 낮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닥을 비롯하여 좌석의 손잡이, 물체의 상단 등 다양한 위치에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위치에서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는 모바일 기기에 고정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수평회전가능하도록 결합이 이루어지는 수평회전체와,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하는 제1수평힌지축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회전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거치대와,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하는 제2수평힌지축을 이용하여 상기 제1거치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거치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은 중앙에 수직으로 중심축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회전체는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조립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수평힌지축이 내부에서 회전되는 조립구멍을 형성하는 힌지편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편의 조립구멍 내부에는 제1가압마찰튜브가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가압마찰튜브는 상기 제1수평힌지축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1수평힌지축과 마찰하는 것에 의하여 제1수평힌지축에 제동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거치대는 상기 수평회전체를 포위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거치대는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거치대의 일측에는 상기 제1수평힌지축을 일체로 구비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2수평힌지축이 내부에서 회전되는 조립구멍을 형성하는 다른 힌지편을 구비한다.
상기 다른 힌지편의 조립구멍 내부에는 제2가압마찰튜브가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가압마찰튜브는 상기 제2수평힌지축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2수평힌지축과 마찰하는 것에 의하여 제2수평힌지축에 제동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거치대는 일측이 개구되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거치대 둘레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안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는 모바일 기기에 고정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수평회전가능하도록 결합이 이루어지는 수평회전체와,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하는 제1수평힌지축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회전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거치대와,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하고 상기 제1수평힌지축에 수직하는 수직힌지축을 이용하여 상기 제1거치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수직회전체와,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하고 상기 수직힌지축에 수직하는 제2수평힌지축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회전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판은 중앙에 수직으로 중심축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회전체는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조립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수평힌지축이 내부에서 회전되는 조립구멍을 형성하는 힌지편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편의 조립구멍 내부에는 제1가압마찰튜브가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가압마찰튜브는 상기 제1수평힌지축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1수평힌지축과 마찰하는 것에 의하여 제1수평힌지축에 제동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거치대는 상기 수평회전체를 포위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거치대는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거치대는 일측에 상기 제1수평힌지축을 구비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수직힌지축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힌지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회전체는 상기 제2수평힌지축이 내부에서 회전되게 조립구멍을 형성하며 일측에 상기 수직힌지축을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수직회전체의 조립구멍 내부에는 제2가압마찰튜브가 결합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가압마찰튜브는 상기 제2수평힌지축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2수평힌지축과 마찰하는 것에 의하여 제2수평힌지축에 제동력을 가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에 의하면, 테이블의 바닥을 비롯하여 의자의 상단, 손잡이, 골프백 상단 등 다양한 위치에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쉽고 용이하게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에 의하면, 수평회전체를 제1거치대 및 제2거치대가 포위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미사용시 제품크기가 줄어서 휴대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작동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작동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수평회전체와 제1거치대의 부분평면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제1거치대와 제2거치대의 부분평면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제1가압마찰튜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제1가압마찰튜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의 제1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제2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제3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제4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제5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작동상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작동상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또 다른 작동상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수평회전체와 제1거치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제1거치대와 제2거치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평면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는 도 1~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에 고정되는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과 수평회전가능하도록 결합이 이루어지는 수평회전체(20)와, 상기 베이스판(10)에 수평한 제1수평힌지축(30)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회전체(2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거치대(40)와,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10)에 수평한 제2수평힌지축(50)을 이용하여 상기 제1거치대(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거치대(6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0)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면이 접착테이프(11)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2)의 배면에 부착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판(10)은 나사 등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판(10)은 원통형의 중심축(12)을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한다.
상기 중심축(12)의 단부에는 잠금판(14)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회전체(20)가 중심축(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잠금판(14)은 상기 베이스판(10)에 체결나사(15)로 고정된다.
상기 수평회전체(20)는 상기 중심축(12)의 외주를 따라 대략 원형상의 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회전체(20)는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축(12)의 외주에 원둘레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수평회전체(2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힌지편(21)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편(21)에는 상기 제1수평힌지축(30)이 내부에서 회전되는 조립구멍(22)을 형성한다.
상기 조립구멍(22) 내부에는 제1가압마찰튜브(24)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가압마찰튜브(24)는 상기 제1수평힌지축(30)에 압력을 가하면서 내면이 제1수평힌지축(30) 외면과 마찰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제1수평힌지축(30)에 제동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제1거치대(40)는 임의의 각도에서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가압마찰튜브(24)는 플라스틱을 대략 원통 파이프로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조립구멍(22)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되지 않도록 고정돌기(25)가 형성되어 상기 조립구멍(22)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1가압마찰튜브(24)의 재질로 폴리아세탈(POM:Poly Oxy Methylen)을 사용하면 강도, 내마모성, 탄성 등이 우수하고 표면이 매끄러워 제1수평힌지축(30)과의 표면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마찰튜브(24)는 황동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가압마찰튜브(24)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내면에 고무층(26)을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가압마찰튜브(24)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제1수평힌지축(30)이 삽입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제1수평힌지축(30)을 강하게 압박하여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스프링강을 사용하여 "C"자 모양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거치대(40)는 상기 수평회전체(20)를 포위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거치대(40)는 일 예로 원형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거치대(4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링이나 타원 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대(40)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상기 제1수평힌지축(30)을 일체로 구비하고 다른 일측에는 다른 힌지편(41)을 구비한다.
상기 다른 힌지편(41)에는 상기 제2수평힌지축(50)이 내부에서 회전되는 조립구멍(42)을 형성한다.
상기 조립구멍(42) 내부에는 제2가압마찰튜브(44)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가압마찰튜브(44)는 상기 제2수평힌지축(50)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2수평힌지축(50)과 마찰하는 것에 의하여 제2수평힌지축(50)에 제동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므로 제2거치대(60)는 임의의 각도에서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가압마찰튜브(44)는 상기 조립구멍(42)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2가압마찰튜브(44)는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가압마찰튜브(24)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거치대(60)는 한쪽 끝부분에 제2수평힌지축(50)을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제2거치대(60)는 일측이 개구되는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거치대(40)의 둘레를 따라 설치한다.
상기 제2거치대(60)는 일 예로 대략 "C"자 형상의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의 사용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는 바닥뿐만 아니라 사용장소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체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의 전면이 사용자에게 향하도록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 가지 사용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거치대(40)와 제2거치대(60)가 받침대 역할을 하거나 제2거치대(60)가 단독으로 받침대 역할을 하여 테이블 상판 등의 바닥(3)에 모바일 기기(2)를 일정 각도로 세워서 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한 가지 사용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에 구비되는 손잡이 등의 지형지물(4)을 파지하는 구조로 설치하여 모바일 기기(2)를 거치할 수도 있다.
나아가, 또 다른 한 가지 사용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거치대(60)를 손잡이나 선반 등의 지형지물(4)에 걸어서 모바일 기기(2)를 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는 도 16~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에 고정되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과 수평회전가능하도록 결합이 이루어지는 수평회전체(120)와, 상기 베이스판(110)에 수평한 제1수평힌지축(130)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회전체(12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거치대(140)와, 상기 베이스판(100)에 수평하고 상기 제1수평힌지축(130)에 수직하는 수직힌지축(150)을 이용하여 상기 제1거치대(1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수직회전체(160)와,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110)에 수평하고 상기 수직힌지축(150)에 수직하는 제2수평힌지축(170)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회전체(16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거치대(18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면이 접착테이프(111)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2)의 배면에 부착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판(110)은 나사 등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원통형의 중심축(112)을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한다.
상기 중심축(112)의 단부에는 잠금판(114)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회전체(120)가 중심축(1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잠금판(114)은 상기 베이스판(110)에 체결나사로 고정된다.
상기 수평회전체(120)는 상기 중심축(112)의 외주를 따라 대략 원형상의 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회전체(120)는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축(112)의 외주에 원둘레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수평회전체(120)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힌지편(121)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편(121)에는 상기 제1수평힌지축(130)이 내부에서 회전되는 조립구멍(122)을 형성한다.
상기 조립구멍(122) 내부에는 제1가압마찰튜브(124)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가압마찰튜브(124)는 상기 제1수평힌지축(130)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1수평힌지축(130)과 마찰하는 것에 의하여 제1수평힌지축(130)에 제동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제1거치대(140)는 임의의 각도에서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가압마찰튜브(124)는 상기 조립구멍(122)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1가압마찰튜브(124)는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의 제1가압마찰튜브(24)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거치대(140)는 상기 수평회전체(120)를 포위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거치대(140)는 일 예로 원형 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거치대(14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링이나 타원 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거치대(140)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상기 제1수평힌지축(130)을 일체로 구비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수직힌지축(150)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힌지구멍(142)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회전체(160)는 도 20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수평힌지축(170)이 내부에서 회전되게 조립구멍(162)을 형성하며 일측에 상기 수직힌지축(150)을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조립구멍(162) 내부에는 제2가압마찰튜브(164)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가압마찰튜브(164)는 상기 제2수평힌지축(170)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2수평힌지축(170)과 마찰하는 것에 의하여 제2수평힌지축(170)에 제동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제2거치대(180)는 임의의 각도에서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가압마찰튜브(164)는 상기 조립구멍(162)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가압마찰튜브(124)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거치대(180)는 한쪽 끝부분에 제2수평힌지축(170)을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제2거치대(180)는 일측이 개구되는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거치대(140)의 둘레를 따라 설치한다.
상기 제2거치대(180)는 일예로 대략 "C"자 형상의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의 사용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는 상기한 일실시예의 여러 가지 다양한 사용 예를 포함한 다양한 지형지물에 설치가 가능하다.
한 가지 사용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회전체(160) 및 제2거치대(180)가 상기 수직힌지축(150)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지형지물(4)에 걸어서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 : 모바일 기기 3 : 바닥
4 : 지형지물 10, 110 : 베이스판
11, 111 : 접착테이프 12, 112 : 샤프트
14, 114 : 잠금판 15, 115 : 체결나사
20, 120 : 수평회전체 21, 121 : 힌지편
22, 122 : 조립구멍 24, 124 : 제1가압마찰튜브
26 : 고무층 30, 130 : 제1수평힌지축
40, 140 : 제1거치대 41 : 다른 힌지편
42 : 조립구멍 44, 164 : 제2가압마찰튜브
50, 170 : 제2수평힌지축 60, 180 : 제2거치대
142 : 수직힌지구멍 150 : 수직힌지축
160 : 수직회전체 162 : 조립구멍

Claims (10)

  1.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평회전체와,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한 제1수평힌지축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회전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거치대와,
    일측이 개구되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한 제2수평힌지축을 이용하여 상기 제1거치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거치대의 둘레에 설치되는 제2거치대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대는 상기 수평회전체를 포위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대는 링으로 이루어지는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중앙에 수직으로 중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회전체는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조립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수평힌지축이 내부에서 회전되는 조립구멍을 형성하는 힌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거치대는 일측에 상기 제1수평힌지축을 일체로 구비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제2수평힌지축이 내부에서 회전되는 조립구멍을 형성하는 다른 힌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편의 조립구멍 내부에 결합 설치되며 제1수평힌지축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1수평힌지축과 마찰하는 것에 의하여 제1수평힌지축에 제동력을 가하는 제1가압마찰튜브와,
    상기 다른 힌지편의 조립구멍 내부에 결합 설치되며 제2수평힌지축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2수평힌지축과 마찰하는 것에 의하여 제2수평힌지축에 제동력을 가하는 제2가압마찰튜브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6.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평회전체와,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하는 제1수평힌지축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회전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거치대와,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하고 상기 제1수평힌지축에 수직하는 수직힌지축을 이용하여 상기 제1거치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회전체와,
    일측이 개구되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하고 상기 수직힌지축에 수직하는 제2수평힌지축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회전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거치대의 둘레에 설치되는 제2거치대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대는 상기 수평회전체를 포위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대는 링으로 이루어지는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9. 삭제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중앙에 수직으로 중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회전체는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축의 외주에 조립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수평힌지축이 내부에서 회전되게 조립구멍을 형성하는 힌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거치대는 일측에 상기 제1수평힌지축을 구비하며 다른 일측에는 상기 수직힌지축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힌지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회전체는 상기 제2수평힌지축이 내부에서 회전되게 조립구멍을 형성하며 일측에 상기 수직힌지축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힌지편의 조립구멍 내부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제1수평힌지축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1수평힌지축과 마찰하는 것에 의하여 제1수평힌지축에 제동력을 가하는 제1가압마찰튜브와,
    상기 수직회전체의 조립구멍 내부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제2수평힌지축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2수평힌지축과 마찰하는 것에 의하여 제2수평힌지축에 제동력을 가하는 제2가압마찰튜브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KR1020170167420A 2017-09-21 2017-12-07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KR101957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12018005360.1T DE112018005360T5 (de) 2017-09-21 2018-03-06 Haltevorrichtung für ein mobiles Gerät
US16/647,431 US10938433B2 (en) 2017-09-21 2018-03-06 Mobile device mounting apparatus
JP2020600050U JP3228572U (ja) 2017-09-21 2018-03-06 モバイル機器スタンド
CN201880059568.7A CN111133739B (zh) 2017-09-21 2018-03-06 移动设备放置装置
PCT/KR2018/002641 WO2019059473A1 (ko) 2017-09-21 2018-03-06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66 2017-09-21
KR20170122066 2017-09-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480B1 true KR101957480B1 (ko) 2019-03-12

Family

ID=6580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420A KR101957480B1 (ko) 2017-09-21 2017-12-07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38433B2 (ko)
JP (1) JP3228572U (ko)
KR (1) KR101957480B1 (ko)
CN (1) CN111133739B (ko)
DE (1) DE112018005360T5 (ko)
WO (1) WO201905947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215B1 (ko) * 2021-04-12 2022-03-24 박영대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US11682869B1 (en) 2022-01-19 2023-06-20 Crestron Electronics, Inc. Rotatable docking station with cable hold and release mechanism
US11725771B2 (en) 2022-01-13 2023-08-15 Crestron Electronics, Inc. Rotatable docking station with cable retractors
US11829201B2 (en) 2022-01-13 2023-11-28 Crestron Electronics, Inc. Rotatable docking station with cable retractors
US12007811B2 (en) 2023-07-19 2024-06-11 Crestron Electronics, Inc. Cable retractor for rotatable docking s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6633B2 (en) * 2018-01-17 2020-12-08 Scooch, LLC Bistable spring stand and housing for a handheld device
US10855826B2 (en) * 2019-01-10 2020-12-01 Scott Phillip Shaw Spinning accessory for mobile device
US11994251B2 (en) * 2020-05-06 2024-05-28 Tommie T. Daniels Cellular phone carrier
DE102020122931A1 (de) 2020-09-02 2022-03-03 Hey!blau GmbH Spielvorrichtung mit einer Drehscheibe
USD984433S1 (en) * 2020-09-15 2023-04-25 Catalyst Lifestyle Limited Accessory for electronic device
USD981999S1 (en) * 2021-03-09 2023-03-28 Ping Zhang Cell phone ring holder stand
JP1709406S (ja) * 2021-06-18 2022-03-09 携帯情報端末用支持リング
US20220045708A1 (en) * 2021-10-21 2022-02-10 Shenzhen Maikuo Trading Co., Ltd. Mobile phone ring holder
USD1008239S1 (en) * 2023-04-04 2023-12-19 Guangzhou Xinzhuangyuan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Mobile phone case
USD1006005S1 (en) * 2023-05-19 2023-11-28 Yu Chen Case for mobile telephone
USD1006006S1 (en) * 2023-05-19 2023-11-28 Yu Chen Case for mobile telephone
USD1006004S1 (en) * 2023-05-19 2023-11-28 Yu Chen Case for mobile telephone
USD1016056S1 (en) * 2023-05-23 2024-02-27 Shenzhen Xianyang Innovation Technology Co., Ltd. Ring holder for electronic devices
USD1006806S1 (en) * 2023-08-21 2023-12-05 Shenzhen Mingyida Technology Co., Ltd. Cell phone holder
USD1026888S1 (en) * 2023-09-28 2024-05-14 Penghui Wang Case for mobile telephone
USD1020724S1 (en) * 2023-10-30 2024-04-02 Qi Huang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718U (ko) * 2011-06-10 2012-12-20 (주)스마트이지 단말기용 핑거 홀더
CN105353550A (zh) * 2015-12-03 2016-02-2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KR20160125056A (ko) *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그린캠 모바일기기 파지용 액세서리
KR20180000621U (ko) * 2016-08-24 2018-03-06 최인수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0750A1 (en) * 2007-10-03 2009-04-09 Wendell Alcenat Finger holder for electronic accessories
KR101357009B1 (ko) 2011-09-28 2014-02-03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KR101316363B1 (ko) 2012-04-03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323666B1 (ko) * 2012-04-18 2013-10-30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KR101453889B1 (ko) *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101663817B1 (ko) 2014-04-09 2016-10-10 금경원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063599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쏘랜드 코리아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WO2016196907A1 (en) * 2015-06-05 2016-12-08 Bullz-I Inc. Device attachment for holding a device
KR101735010B1 (ko) * 2015-10-12 2017-05-12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링 케이스
KR101731827B1 (ko) * 2015-12-21 2017-05-04 구광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CN205584298U (zh) * 2016-03-31 2016-09-14 深圳市鑫锐达电子五金塑胶有限公司 一种多用途指环支架
KR20170116899A (ko) 2016-04-12 2017-10-20 주식회사 크리에이트모아 보조 수납수단이 마련된 악세사리 겸용 스마트폰용 거치대
CN205829739U (zh) * 2016-06-21 2016-12-21 深圳市时商创展科技有限公司 一种指环支架
CN206060838U (zh) * 2016-07-13 2017-03-29 周怀德 指环挂绳支架
CN206100134U (zh) * 2016-10-27 2017-04-12 吴鹏 一种新型可折叠手机支架
CN206251167U (zh) * 2016-12-21 2017-06-13 宋胜强 一种新型便携式多功能手机指环支架
US10555597B2 (en) * 2017-02-08 2020-02-11 Case-Mate, Inc. Phone ring holder
CN206481351U (zh) * 2017-02-15 2017-09-08 卢波 一种移动终端指环支架
KR200488626Y1 (ko) * 2018-09-20 2019-02-28 김진우 로터리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718U (ko) * 2011-06-10 2012-12-20 (주)스마트이지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20160125056A (ko) *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그린캠 모바일기기 파지용 액세서리
CN105353550A (zh) * 2015-12-03 2016-02-2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KR20180000621U (ko) * 2016-08-24 2018-03-06 최인수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215B1 (ko) * 2021-04-12 2022-03-24 박영대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US11725771B2 (en) 2022-01-13 2023-08-15 Crestron Electronics, Inc. Rotatable docking station with cable retractors
US11829201B2 (en) 2022-01-13 2023-11-28 Crestron Electronics, Inc. Rotatable docking station with cable retractors
US11976775B2 (en) 2022-01-13 2024-05-07 Crestron Electronics, Inc. Rotatable docking station with cable retractors
US11682869B1 (en) 2022-01-19 2023-06-20 Crestron Electronics, Inc. Rotatable docking station with cable hold and release mechanism
US11936144B2 (en) 2022-01-19 2024-03-19 Crestron Electronics, Inc. Rotatable docking station with cable hold and release mechanism
US12007811B2 (en) 2023-07-19 2024-06-11 Crestron Electronics, Inc. Cable retractor for rotatable docking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8005360T5 (de) 2020-06-18
CN111133739A (zh) 2020-05-08
CN111133739B (zh) 2021-10-29
US10938433B2 (en) 2021-03-02
JP3228572U (ja) 2020-11-05
WO2019059473A1 (ko) 2019-03-28
US20200235770A1 (en)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480B1 (ko)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US8888063B2 (en) Integrated magnetic tablet stand
US8950715B2 (en) Support apparatus
EP1925235A2 (en) Music stand and article retaining apparatus
US10677386B2 (en) Swivel mount for electronic devices
TW201326628A (zh) 支撐裝置
TW201331903A (zh) 平板式顯示裝置之多方位支持結構
WO2020181843A1 (zh) 指环支架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US9188272B2 (en) Display device with variable height and angles of view by virtue of rotatable stand
WO2024088324A1 (zh) 一种用于电子设备的磁吸式支架
JP7385922B2 (ja) 台座
KR200479290Y1 (ko)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KR20180006044A (ko)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WO2020181844A1 (zh) 指环支架
JP3198513U (ja) 吸盤式ホルダー
KR20180032805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
CN209909467U (zh) 医疗气动吊臂
CN207674040U (zh) 一种车载支架
CN219659764U (zh) 手机旋转支架和手机壳
CN110953466A (zh) 用于壁挂显示装置的旋转组件和壁挂显示装置组件
KR101692961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230328164A1 (en) Mobile phone holder
CN219782137U (zh) 一种角度可调节的手机模型展示支架
CN208424491U (zh) 指环支架及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