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009B1 -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7009B1 KR101357009B1 KR1020120000965A KR20120000965A KR101357009B1 KR 101357009 B1 KR101357009 B1 KR 101357009B1 KR 1020120000965 A KR1020120000965 A KR 1020120000965A KR 20120000965 A KR20120000965 A KR 20120000965A KR 101357009 B1 KR101357009 B1 KR 101357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device
- ring
- base plate
- delete delete
- portable electron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2. 주요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지기구는,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착패드를 구비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외주연에 형성되며, 다각면의 관통체를 구비한 돌출편을 포함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관통체에 결합되는 일부구간이 상기 관통체 다각면과 동일한 다각면을 형성한 일체형 고리를 포함하는 파지기구이다.
3. 기술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부주의로 인한 전자기기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2. 주요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지기구는,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착패드를 구비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외주연에 형성되며, 다각면의 관통체를 구비한 돌출편을 포함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관통체에 결합되는 일부구간이 상기 관통체 다각면과 동일한 다각면을 형성한 일체형 고리를 포함하는 파지기구이다.
3. 기술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부주의로 인한 전자기기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 등 휴대용 전자기기 시장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이들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주변 액세서리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이를테면,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각종 케이스 등이 그것이다. 특히 사용자가 케이스를 전자기기에 장착하는 주된 이유는 사용 중 낙상에 따른 파손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케이스들은 낙상 후의 사후조치를 위한 것일 뿐 낙상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지 못한다.
한편,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13117(출원일: 2008년 09월 30일)에는 "핸드폰 손잡이"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실용신안에 따른 핸드폰 손잡이는, 각각의 중심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디스크(110, 120)로 구성되어, 핸드폰 배면에 그 일면이 접착되는 회전부재(100)와; 상기 회전부재(100)의 타면에 고정 결합되는 판상의 고정부재(200)와; 고무재와 같은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이며, 상기 판상의 고정부재(200)의 양 측면에 말단부 각각이 걸착되는 걸이부재(30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핸드폰을 사용하는 경우, 손가락 일부를 걸어 보다 안정된 핸드폰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핸드폰 손잡이는 한 손을 다 사용하도록 하는 구성이면서 판상의 고정부재와 걸이부재의 결합이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핸드폰 손잡이는 단순히 손으로 파지하기만 위한 것이며 영상 컨텐츠 시청 또는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전자기기를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기능이 배제된 기술로 전자기기를 바닥면에 거치할 경우 거치 각도가 원활히 확보되지 않아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를 편안하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함과 바닥면에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는 두 가지 기능을 모두 구비한 파지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개시되는 파지기구는,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착패드를 구비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외주연에 형성되며, 다각면의 관통체를 구비한 돌출편을 포함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관통체에 결합되는 일부구간이 상기 관통체 다각면과 동일한 다각면을 형성한 일체형 고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는, 회전축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부구간의 다각면은 3개 이상의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편은,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배면에 부착되는 파지기구의 고리에 손가락을 끼워 휴대용 전자기기 전체를 편리하게 휴대 또는 이용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기기를 떨어뜨릴 염려 없이 항상 안정적으로 전자기기 휴대하거나 이용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편안하게 전자기기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 중 부주의로 인한 전자기기의 낙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를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전자기기를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도록 경우 거치 각도가 원활히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드폰 손걸이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 및 도 12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15 및 도 18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19 및 도 2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21 및 도 2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23 및 도 2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27 및 도 2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29 및 도 3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31 및 도 3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고정슬리브를 나타낸 도면.
도 33 및 도 3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일부구간의 돌기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 및 도 12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15 및 도 18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19 및 도 2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21 및 도 2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23 및 도 2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27 및 도 2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29 및 도 3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31 및 도 3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고정슬리브를 나타낸 도면.
도 33 및 도 3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일부구간의 돌기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이하, '파지기구'라 함)가 부재부호 '200'으로 지칭되어 있다. 파지기구(200)는 크게 베이스판(210)과 고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판(210)의 하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202)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접착패드(212)가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판(210)은 그 형상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은 장방형일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210)에는 결합공(214)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몇 가지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202)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휴대 또는 파지할 수 있는 파지기구(200)를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파지기구(200)는 크게 접착패드(212)를 구비한 베이스판(210), 고리(220) 및 일부구간(230), 결합부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210)은 하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202)의 배면에서 파지기구(20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접착패드(212)가 구비된다.
상기 접착패드(212)는 휴대용 전자기기(202)에 직접 접착되는 것으로 접착성분으로 형성된 패드로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착패드(212)는 사용 전 비접착 제지에 의해 보호되며, 사용시 그 비접착 제지를 제거한 후 휴대용 전자기기(202)의 배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210)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를 보이나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베이스판(210)에는 결합공(2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210)의 결합공(214)에는 고리(2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결합부재(240)가 일체형으로 삽입 결합을 이룬다.
상기 결합부재(240)는 베이스판(210)의 결합공(214)에 회전축(250) 삽입 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244) 외주연에는 돌출편(242)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240)는 휴대용 전자기기(202)를 안정적으로 휴대 또는 파지하기 위한 고리(220)를 구비한다.
상기 고리(220)는 손가락을 끼워 파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을 갖는 일체형 링 형태이다.
상기 고리(220)는 사용자의 손가락(주로 중지 또는 검지)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리(220)는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이 동시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즉, 중지와 검지 또는 중지와 약지 등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제작한다.
상기 고리(220)에는 결합부재(240)의 돌출편(242)에 내삽되는 부분으로 소정의 일부 구간이 다각면으로 형성한 일부구간(230)을 구성한다.
상기 고리(220)는 원형형태를 가지고 일부구간(230)은 원형형태의 고리(220)에서 일부 구간이 수평하게 연이어지는 형태를 갖는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일부구간(230)은 돌출편(242)에 내삽되며, 베이스판(210)에서 고리(220)가 틸팅 기능과 회전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돌출편(242)은 고리(220)가 틸팅에 대한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하드한 고무 재로 한다.
상기 돌출편(242)은 일부구간(230)과 같은 다각면을 내주면에 관통체(246)를 형성하며, 상기 일부구간(230)이 돌출편(242) 내부에서 회동할 때 각 면과 직접적으로 마찰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일부구간(230)과 돌출편(242)은 다각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각면은 3개 이상의 면인 것으로 한다.
파지기구(200)를 바닥면에 거치함에 있어 전자기기(202)가 바닥면에 소정의 각도를 비스듬히 거치할 수 있도록 고리(220)가 전자기기(202)를 지탱할 수 있는 지지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고리(220)의 지지력은 일부구간(230)과 돌출편(242)의 다각면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일부구간(230)과 돌출편(242)이 가지고 있는 다각면이 서로 각 면과 직접적으로 마찰 접촉을 하게 되어 지지력이 부여되고, 전자기기(202)를 바닥면에 거치할 경우 소정의 힘으로 전자기기(202)를 지탱한다.
이러한, 기능을 보다 상세히 비교설명하면, 일예로 고리(220) 링 전체가 원형 형태일 경우 거치하려는 전자기기(202)의 배면에 부착되어 전자기기(202)에서 고리(220) 링으로 향하는 소정의 힘을 지탱하기에 부족함이 있다.
원형의 링과 상기 원형 링을 계합하는 고정편이 모두 원형형태를 가진다면 마찰 접촉이 없게 되어 지지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원형 링의 일부분이 절단되고, 절단된 양 끝에 회전돌기를 구성하여 베이스판에 수평축으로 체결을 이루는 구성을 갖는 구성일 경우, 이 역시 수평축에 의해 지지력을 가지도록 하는 원형 링의 마찰력이 증대되지 않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원형 링의 지지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이때, 위 두 가지 모두 회동 기능을 장시간 사용하면 마모가 발생하고, 부착판에서의 원형 링이 헐거워져 헛 회전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베이스판(210)의 돌출편(242)과 상기 돌출편(242)에 결합된 고리(220)의 일부구간(230)을 다각면으로 형성하여 베이스판(210)에서 고리가 틸팅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보안되었다.
이리하여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전자기기(202)를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각도가 원활히 확보된다.
한편, 상기 돌출편(242)은 결합부재(240)의 회전부(244) 외주연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244)가 베이스판(210)의 결합공(214)에 삽입 결합으로 베이스판(210)의 일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구성을 이룬다.
상기 결합부재(240)는 베이스판(210)의 결합공(214)에 회전축(250)과 결합되어 일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결합부재(240)는 베이스판(210)의 결합공(214)에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축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재(240)는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베이스판(210)의 배면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상기 고리(220)는 베이스판(210)에 수용 설치된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리(220)는 결합부재(240)의 돌출편(242)에 180도 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결합을 이룬다.
아울러, 상기 고리(220)는 베이스판(210)의 배면에서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고, 돌출편(242)을 중심으로 180도의 수직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고리(220)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 사용자에 의해서만 임의적으로 회전 또는 수직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고리(220)에 마찰가능하게, 즉 헐겁지 않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파지기구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파지기구(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을 파지기구(200)의 고리(220)에 삽입한 후 전자기기(202)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기기(202)를 부주의하게 떨어뜨릴 우려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파지기구(200)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간이 거치대 기능을 겸하고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파지기구(200)에서 더욱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휴대 또는 파지할 수 있는 파지기구(300)를 제안한다.
제2 실시예의 파지기구(300)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구체적으로 파지기구(300)는 크게 접착패드(312)를 구비한 베이스판(310), 회전부(344), 걸이단(340) 및 고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310)의 하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302)의 배면에서 파지기구(30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접착패드(312)를 구비한다.
상기 접착패드(312)는 휴대용 전자기기(302)에 직접 접착되는 것으로 접착성분으로 형성된 패드로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판(310)에는 결합공(3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310)의 결합공(314)에는 베이스판(310)에서 수평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50)이 삽입 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350)의 외주연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무재의 걸이단(340)을 구성한다.
상기 걸이단(340)은 'ㄷ' 형상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중앙이 소정으로 절개된 공간부(34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42) 양측 내벽에는 다각면의 회동홈(346)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단(340)에 고리(320)가 결합을 이룬다.
상기 걸이단(340)과 고리(320)의 결합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320)에 일체로 형성된 회동바(330)에 의해 걸이단(340) 양측 회동홈(346)에 결합되어 90도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회동바(330)는 고리(320)의 일측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회동홈(346)에 수평하게 결합되도록 회동바(330)의 양측 단부는 회동홈(346)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바(330)는 회동홈(346)의 다각면과 동일한 다각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바(330)의 다각면은 3개 이상의 면인 것이다.
상기 고리의 회동바(330)는 걸이단(340)의 공간부(342)에 내삽되는 부분으로 원형형태의 고리(320)에서 일부 구간이 수평하게 외측으로 연이어지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회동바(330)는 공간부(342)의 양측 회동홈(346)에 삽입되며, 베이스판(310)에서 고리(320)가 틸팅 기능과 회전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이단(340)은 고리(320)가 틸팅에 대한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하드한 고무 재로 한다.
상기 걸이단(340)의 회동홈(346)은 회동바(330)와 같은 다각면으로 회동바(330)가 회동홈(346)에서 회동할 때 각 면과 직접적으로 마찰 접촉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마찰 접촉을 하게 되어 지지력이 부여되고, 파지기구(300)에 의해 전자기기(302)를 바닥면에 거치할 경우 소정의 힘으로 전자기기(302)를 지탱한다.
이리하여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전자기기(302)를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각도가 원활히 확보된다.
한편, 상기 고리(32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310)의 배면에서 회전축(350)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고, 걸이단(340)을 중심으로 90도의 수직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아울러, 고리(32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302)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파지기구(300)의 고리(320)에 삽입한 후 전자기기(302)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기기를 부주의하게 떨어뜨릴 우려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리(320)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 사용자에 의해서만 임의적으로 회전 또는 수직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고리(320)에 마찰가능하게, 즉 헐겁지 않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지기구(300)를 구비하는 전자기기(302)는 부주의하게 떨어뜨릴 우려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3 실시예의 파지기구(400)는 구체적으로 크게 접착패드(412)를 구비한 베이스판(410), 회전부(430), 결합편(420) 및 고리(440), 회동 슬리브(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410)의 하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402)의 배면에서 파지기구(40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접착패드(412)를 구비한다.
그리고 베이스판(410)에는 결합공(4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410)의 결합공(414)에는 베이스판(410)에서 수평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450)이 삽입 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430)의 외주연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체형의 결합편(42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450)을 중심으로 베이스판(410)에서 결합편(420)에 결합된 고리(440)는 회전한다.
상기 결합편(420)은 회전축(450)에서 일체형이며, 일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다단으로 절곡을 이루는 '┏┓' 형상을 가진다.
상기 결합편(420)은 하방이 개구되고, 양 측부는 관통하는 다각면 형상의 하방요홈부(422)를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하방요홈부(422)에 회동 슬리브(460)와 함께 고리(440)가 결합을 이룬다.
상기 고리(440)는 일부구간(442)이 상기 하방요홈부(422)의 다각면과 동일한 다각면을 형성한다.
상기 회동 슬리브(460)는 상기 고리(440)의 일부구간(442)을 내삽하는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관통하는 다각면 형상의 상방요홈부(462)를 구성한다.
이때, 결합편(420)의 하방요홈부(422), 고리(440)의 일부구간(442), 회동 슬리브(460)의 상방요홈부(462)에 형성되는 다각면은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고리(440)와 회동 슬리브(460)는 고무재로 결합편(420)에 결합을 이루는 것으로 고리(440)의 일부구간(442)에 결합된 회동 슬리브(460)가 결합편(420)의 하방요홈부(422)에 내삽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리(440)의 일부구간(442)에 회동 슬리브(460)가 결합되고, 고리(440)와 회동 슬리브(460)가 결합편(420)의 하방요홈부(422)에 내삽된다.
이때, 결합는 순서는 임의적인 것으로, 고리(440)의 일부구간(442)이 결합편(420)에 먼저 내삽되고, 결합편(420)의 하방요홈부(422)에 회동 슬리브(460)가 내합되면서 고리(440)의 일부구간(442)에 상방요홈부(462)가 결합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한편, 회전부(430)는 결합편(420)과 함께 베이스판(410)에 결합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회전부(430)는 상하 체결구조를 가지는 체결부재(470)에 의해 베이스판(410)의 결합공(414)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재(470)를 중심으로 회전부(430)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편(420)이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결합편(420)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420)와 함께 베이스판(410)에 결합을 이루고 상기 결합편(420)에 결합된 고리(440)는 회동 슬리브(460)를 통해 180도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440)는 임의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440)는 베이스판(410)의 배면에서 회전부(430)를 중심으로 결합편(420)과 함께 360도 회전한다.
아울러, 고리(440)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402)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파지기구(400)의 고리(4400)에 삽입한 후 전자기기(402)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 22을 참조하면, 마찰 접촉을 하게 되어 지지력이 부여되고, 파지기구(400)에 의해 전자기기(402)를 바닥면에 거치할 경우 소정의 힘으로 전자기기(402)를 지탱한다.
이리하여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전자기기(402)를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각도가 원활히 확보된다.
한편, 도 23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4 실시예의 파지기구(500)는 구체적으로 크게 접착패드(512)를 구비한 베이스판(510), 고리(520), 슬리브(530), 회전캡(540), 고정부재(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510)의 하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502)의 배면에서 파지기구(50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접착패드(512)를 구비한다.
그리고, 베이스판(510)의 중앙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결합공(514)이 구비되어 있다.
고리(520)는 원형형태를 가지고 일부구간(522)은 원형형태의 고리(520)에서 일부 구간이 수평하게 연이어지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일부구간(522)은 다각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리의 일부구간(522)에 결합하는 슬리브(530)는 고무재로 고리(520)의 일부구간(522)을 내삽하는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관통하는 다각면 형상의 상방요홈부(532)를 구성한다.
상기 슬리브(530)를 결합한 고리(520)는 회전캡(540)에 의해 베이스판(510)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캡(540)은 베이스판(510)의 결합공(514)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고리(520)와 슬리브(530)를 하부 측으로 내입할 수 있는 다각면 형상의 하방요홈부(544)를 구성한다.
상기 회전캡(540)은 하부의 내면 양측에 체결공(542)을 형성하면서 중앙으로 관통하는 하방요홈부(544)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캡(540)의 하부는 원형이면서 하방요홈부(544) 양측으로 소정부분 채워진 형태로 체결공(542)을 형성한다.
그리고 회전캡(540)은 베이스판(510)을 중심으로 회전캡(540)의 하부에 고정부재(550) 결합으로 베이스판(5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510)을 중심으로 상부로는 회전캡(540)이 위치하고, 베이스판(510) 하부로는 고정부재(550)가 위치하여 각각 형성된 체결공(542)으로 체결부재(560)가 삽입 고정한다.
즉, 상기 베이스판(510)을 중심으로 하부로 고정부재(550)가 위치하고. 회전캡(540)은 슬리브(530)와 고리(520)를 내입한 상태로 베이스판(510) 상부로 놓여지면서 고정부재(550) 측의 체결공(542)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560)에 의해 조립된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판(510)에서 회전캡(540)에 결합된 고리(520)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530)를 통해 180도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520)는 임의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520)는 베이스판(510)의 배면에서 회전캡(540)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한다.
아울러, 고리(520)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502)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파지기구(500)의 고리(520)에 삽입한 후 전자기기(502)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 30을 참조하면, 마찰 접촉을 하게 되어 지지력이 부여되고, 파지기구(500)에 의해 전자기기(502)를 바닥면에 거치할 경우 소정의 힘으로 전자기기(502)를 지탱한다.
이리하여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전자기기(502)를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각도가 원활히 확보된다.
한편,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슬리브(530)의 다른 일 실시형태로 고정슬리브(570)를 고리(520)의 일부구간(522)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슬리브(570)는 고무재로 구성되며, 상기 일부구간(522)의 둘레를 사각형태로 감싸 일부구간(522)에 결합된다.
고리의 일부구간(522)에 고정슬리브(570)가 결합된 상태로 회전캡(540)의 하방요홈부(544)에 내삽된다.
이렇게, 상기 고정슬리브(570)가 일부구간(522)에 부착된 상태를 이루어 회전캡(540)의 하방요홈부(544)과의 결합이 수월해 진다.
아울러, 고리(520)의 일부구간(522)에 부착된 고정슬리브(570)를 회전캡(540)의 하방요홈부544에 내입하고, 베이스판(510) 상부로 놓여지며, 베이스판(510)의 하부로 고정부재(550) 측의 체결공(542)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560)에 의해 조립된다.
한편,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고리(520)의 일부구간(522)에 대한 다른 일 실시형태로서, 상기 고리(520)의 일부구간(522)에 다수의 돌기(580)가 형성한다.
상기 돌기(580)는 일부구간(522)의 둘레로 각 면에 수평하게 다수 구성할 수 있고, 일부구간(522)에서 상하 높이의 차 즉,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기(580)를 구성한 일부구간(522)에는 고정슬리브(570)가 결합되고, 파지기구(500)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회동 시 고정슬리브(570)의 내면과 돌기에 마찰이 부여되어 회동에 대한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면서, 전자기기(502)를 바닥면에 거치할 경우 소정의 힘으로 전자기기(502)를 지탱하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200:파지기구 202:전자기기
210:베이스판 212:접착패드
214:결합공 220:고리
230:일부구간 240:결합부재
242:돌출편 244:회전부
246:관통체 250:회전축
300:파지기구 302:전자기기
310:베이스판 312:접착패드
314:결합공 320:고리
330:회동바 340:걸이단
342:공간부 344:회전부
346:회동홈 350:회전축
400:파지기구 402:전자기기
410:베이스판 412:접착패드
414:결합공 420:결합편
422:하방요홈부 430:회전부
440:고리 442:일부구간
450:회전축 460:회동 슬리브
462:상방요홈부 470:체결부재
500:파지기구 502:전자기기
510:베이스판 512:접착패드
514:결합공 520:고리
522:일부구간 530:슬리브
532:상방요홈부 540:회전캡
542:체결공 544:하방요홈부
550:고정부재 560:체결부재
570:고정슬리브 580:돌기
210:베이스판 212:접착패드
214:결합공 220:고리
230:일부구간 240:결합부재
242:돌출편 244:회전부
246:관통체 250:회전축
300:파지기구 302:전자기기
310:베이스판 312:접착패드
314:결합공 320:고리
330:회동바 340:걸이단
342:공간부 344:회전부
346:회동홈 350:회전축
400:파지기구 402:전자기기
410:베이스판 412:접착패드
414:결합공 420:결합편
422:하방요홈부 430:회전부
440:고리 442:일부구간
450:회전축 460:회동 슬리브
462:상방요홈부 470:체결부재
500:파지기구 502:전자기기
510:베이스판 512:접착패드
514:결합공 520:고리
522:일부구간 530:슬리브
532:상방요홈부 540:회전캡
542:체결공 544:하방요홈부
550:고정부재 560:체결부재
570:고정슬리브 580:돌기
Claims (18)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휴대용 전자기기의 파지기구에 있어서,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착패드를 구비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외주연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중앙이 소정으로 절개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 양측 내벽에는 다각면의 회동홈을 형성한 걸이단; 및
상기 회동홈의 다각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회동홈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상기 걸이단에 대한 틸딩시의 지지력을 유지하는 회동바를 일체로 형성한 고리를 포함하는 파지기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단은,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기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는,
고리의 일측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며, 양측 단부는 회동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기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의 다각면은 3개 이상의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기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S201390072A ES2525392B1 (es) | 2011-01-11 | 2012-01-04 | Soporte de dispositivo electrónico portátil |
JP2013548352A JP5622946B2 (ja) | 2011-01-11 | 2012-01-04 | 携帯用電子機器把持器具 |
PCT/KR2012/000091 WO2012096471A2 (ko) | 2011-01-11 | 2012-01-04 |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
US13/993,280 US9179565B2 (en) | 2011-01-11 | 2012-01-04 |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
TW101218636U TWM465595U (zh) | 2011-09-28 | 2012-09-26 | 用於攜帶型電子裝置的握架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08720 | 2011-09-28 | ||
KR2020110008720 | 2011-09-28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3185A Division KR101493023B1 (ko) | 2011-09-28 | 2013-10-16 |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4563A KR20130034563A (ko) | 2013-04-05 |
KR101357009B1 true KR101357009B1 (ko) | 2014-02-03 |
Family
ID=484366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0965A KR101357009B1 (ko) | 2011-01-11 | 2012-01-04 |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
KR20130123185A KR101493023B1 (ko) | 2011-09-28 | 2013-10-16 |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3185A KR101493023B1 (ko) | 2011-09-28 | 2013-10-16 |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1357009B1 (ko) |
TW (1) | TWM465595U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3265B1 (ko) | 2016-04-15 | 2017-06-02 | 구광서 |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
DE112018005360T5 (de) | 2017-09-21 | 2020-06-18 | Sang Hee Kim | Haltevorrichtung für ein mobiles Gerät |
KR20220101376A (ko) | 2021-01-11 | 2022-07-19 | 주식회사 디엔디컴퍼니 | 스마트폰 거치대 |
KR20230114618A (ko) | 2022-01-25 | 2023-08-01 | 윤여신 | 휴대 단말기용 홀더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G11201507810QA (en) * | 2013-04-12 | 2015-10-29 | Aauxx Korea Co Ltd | Accessory for mobile device and device for mounting mobile device having same on vehicle |
KR200468710Y1 (ko) * | 2013-05-30 | 2013-09-10 | 이형규 | 휴대 단말기용 손가락 삽입 파지구 및 이를 구비한 보호 케이스 |
ITMI20131774A1 (it) * | 2013-10-24 | 2015-04-25 | Gianluca INGROSSO | Dispositivo per consentire la realizzazione di una connessione tra un apparecchio elettronico mobile ed un utilizzatore di detto apparecchio |
KR200484442Y1 (ko) * | 2015-12-18 | 2017-09-06 | 주식회사 앤비츠 |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
CN105955409A (zh) * | 2016-06-08 | 2016-09-21 | 卢波 | 一种限位结构及包含该结构的移动终端手持装置 |
KR200485457Y1 (ko) * | 2016-06-24 | 2018-01-11 | 민금순 | 휴대용 디스플레이 기기의 액세서리 |
TWI595349B (zh) * | 2016-08-26 | 2017-08-11 |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 電子裝置 |
KR200484282Y1 (ko) * | 2017-02-24 | 2017-08-22 | (주)유윈씨앤티 |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
KR200485274Y1 (ko) * | 2017-03-31 | 2017-12-15 | 브이엠텍(주) | 휴대단말기 취부용 회전 작용 보조구 |
KR101944626B1 (ko) * | 2017-08-08 | 2019-01-31 | 이진우 |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KR102122722B1 (ko) * | 2018-01-23 | 2020-06-26 | 정승기 | 스마트 환경정보 및 건강정보 제공 장치 |
TWD193595S (zh) | 2018-03-08 | 2018-10-21 |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 保護套 |
TWI663501B (zh) | 2018-03-08 | 2019-06-21 |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 殼體 |
KR102131517B1 (ko) * | 2018-10-26 | 2020-07-07 | 박수성 |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
CN113525238A (zh) * | 2020-04-17 | 2021-10-22 | 爱信轻金属株式会社 | 斜坡装置的把手安装结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53603A (ja) | 2005-08-18 | 2007-03-01 | Kf Planning:Kk | 携帯電話用指固定具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2570B1 (ko) * | 2011-01-21 | 2011-09-05 | 김혜련 |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
-
2012
- 2012-01-04 KR KR1020120000965A patent/KR10135700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9-26 TW TW101218636U patent/TWM465595U/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
- 2013-10-16 KR KR20130123185A patent/KR1014930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53603A (ja) | 2005-08-18 | 2007-03-01 | Kf Planning:Kk | 携帯電話用指固定具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http://cafe.naver.com/appleiphone/840944 * |
http://cafe.naver.com/appleiphone/840944*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3265B1 (ko) | 2016-04-15 | 2017-06-02 | 구광서 |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
DE112018005360T5 (de) | 2017-09-21 | 2020-06-18 | Sang Hee Kim | Haltevorrichtung für ein mobiles Gerät |
KR20220101376A (ko) | 2021-01-11 | 2022-07-19 | 주식회사 디엔디컴퍼니 | 스마트폰 거치대 |
KR20230114618A (ko) | 2022-01-25 | 2023-08-01 | 윤여신 | 휴대 단말기용 홀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4563A (ko) | 2013-04-05 |
KR20130121794A (ko) | 2013-11-06 |
KR101493023B1 (ko) | 2015-02-16 |
TWM465595U (zh) | 2013-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7009B1 (ko) |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 |
JP5622946B2 (ja) | 携帯用電子機器把持器具 | |
KR101062557B1 (ko) |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 |
US10561228B2 (en) | Phone grip attachment | |
TWI553256B (zh) | 支撐裝置 | |
US10554798B2 (en) | Phone case | |
JP3166976U (ja) | 折畳可能な支座 | |
KR101316210B1 (ko) |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
KR101267636B1 (ko) |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 |
US9772064B2 (en) | Display with a supporting mechanism | |
US9942369B2 (en) | Mobi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 |
JP3170743U (ja) | 携帯情報端末用スタンド付きホルダー | |
JP2015514365A (ja) | 携帯器機用多機能アクセサリー | |
US20210341097A1 (en) | Adap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JP2012227794A (ja) |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 |
JP2013041578A (ja) | 携帯式電子装置 | |
KR20140017142A (ko) |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 |
JP3201193U (ja) | 携帯電子機器の支持構造 | |
JP5580501B1 (ja) | 携帯端末装置のアクセサリー | |
KR101041225B1 (ko) | 휴대형 플레이어 장착을 위한 거치대 | |
JP3198165U (ja) | 携帯端末用補助具 | |
TWM463857U (zh) | 平板電腦用多功能手持裝置 | |
KR20130001879U (ko) |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 |
KR101794915B1 (ko) |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 |
TWM423983U (en) | Drop proof protection cover for handhel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