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282Y1 -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282Y1
KR200484282Y1 KR2020170000930U KR20170000930U KR200484282Y1 KR 200484282 Y1 KR200484282 Y1 KR 200484282Y1 KR 2020170000930 U KR2020170000930 U KR 2020170000930U KR 20170000930 U KR20170000930 U KR 20170000930U KR 200484282 Y1 KR200484282 Y1 KR 200484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ing member
front cover
cap
midd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근
Original Assignee
(주)유윈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윈씨앤티 filed Critical (주)유윈씨앤티
Priority to KR2020170000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은, 전면이 휴대단말기에 부착 가능한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를 후방에서 지지하되 상기 프론트 커버와 한 몸체로 연결되며,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장식용 미들 커버; 상기 장식용 미들 커버를 후방에서 지지하되 상기 장식용 미들 커버와 한 몸체로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아크형 절취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후면이 아트웍 프린팅(artwork printing) 표면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의 아크형 절취부와 상기 장식용 미들 커버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에 고정되는 원반형 고정부재;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링 부재; 및 상기 링 부재의 회전은 허용하되 상기 링 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링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원반형 고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보스 캡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 상기 장식용 미들 커버, 상기 리어 커버, 상기 원반형 고정부재, 상기 링 부재 또는 상기 착탈식 보스 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향기 발생을 위한 향기 발생재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Holding r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아로마향이나 해충퇴치향 등의 다양한 향기가 발생될 수 있어 제품으로서의 기능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증가하고, 또한 사용이 잦아지고 있기 때문에 파지 또는 거치에 대한 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다.
휴대단말기의 파지 또는 거치에 대한 기술들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11111호(선행기술 1),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7996호(선행기술 2),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09283호(선행기술 3),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02954호(선행기술 4) 등에 개시되고 있다.
한편, 휴대단말기의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한 손으로 파지하기가 곤란해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상기 선행기술 1과 같은 파지 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파지 기구의 구조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 및 도 2의 파지 기구가 휴대단말기에 적용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은 상기 선행기술 1에 제안된 것으로서, 종래기술에 따른 파지 기구(A, B)는 각각 형태는 다르지만 걸이식으로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양 사이드에 걸이를 위한 후크(30)가 적용되는 제1 파지 기구(A)는 도 3처럼 휴대단말기(1)에 걸려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지 기구(B)는 도 3처럼 휴대단말기(1)의 배면에 홀(H)을 가공해서 이 홀(H)에 후크(30)가 걸리도록 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후크(30)가 적용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파지 기구(A, B)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불편하며, 특히 후크(30) 부분의 힘이 약해서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1 내지 도 4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휴대단말기(1)를 파지하기 위한 기능 외에는 다른 기능, 예컨대 다양한 향기가 발생될 수 있는 등의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스마트 링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11111호 선행기술 2 ;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7996호 선행기술 3 ;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09283호 선행기술 4 ;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02954호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아로마향이나 해충퇴치향 등의 다양한 향기가 발생될 수 있어 제품으로서의 기능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전면이 휴대단말기에 부착 가능한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를 후방에서 지지하되 상기 프론트 커버와 한 몸체로 연결되며,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장식용 미들 커버; 상기 장식용 미들 커버를 후방에서 지지하되 상기 장식용 미들 커버와 한 몸체로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아크형 절취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후면이 아트웍 프린팅(artwork printing) 표면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의 아크형 절취부와 상기 장식용 미들 커버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에 고정되는 원반형 고정부재;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링 부재; 및 상기 링 부재의 회전은 허용하되 상기 링 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링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원반형 고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보스 캡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 상기 장식용 미들 커버, 상기 리어 커버, 상기 원반형 고정부재, 상기 링 부재 또는 상기 착탈식 보스 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향기 발생을 위한 향기 발생재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향기 발생재료는 상기 아트웍 프린팅 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반형 고정부재는, 원반 플레이트; 상기 원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통공; 상기 원반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되 내부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사각 돌출부; 및 상기 사각 돌출부의 양측에서 상기 사각 돌출부의 다른 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 부재에는 상기 착탈식 보스 캡이 연결되되 다른 영역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캡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보스 캡은, 상기 링 부재의 캡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원통형 캡 바디; 상기 원통형 캡 바디의 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원반형 고정부재의 결합통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아로마향이나 해충퇴치향 등의 다양한 향기가 발생될 수 있어 제품으로서의 기능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파지 기구의 구조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 및 도 2의 파지 기구가 휴대단말기에 적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의 사시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5의 배면 이미지이다.
도 7은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링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원반형 고정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링 부재와 착탈식 보스 캡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의 배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의 사시 이미지, 도 6은 도 5의 배면 이미지, 도 7은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링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10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원반형 고정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배면 사시도, 그리고 도 13은 링 부재와 착탈식 보스 캡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100)은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아로마향이나 해충퇴치향 등의 다양한 향기가 발생될 수 있어 제품으로서의 기능 향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프론트 커버(110), 장식용 미들 커버(120), 리어 커버(130), 원반형 고정부재(140), 링 부재(150), 그리고 착탈식 보스 캡(16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100)에서 전면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100)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끼워 파지하거나 혹은 테이블 등에 거치시킬 수 있는데, 이때 프론트 커버(110)의 전면이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커버(110)의 전면에는 접착이 가능한 물질일 형성될 수 있다.
장식용 미들 커버(120)는 프론트 커버(110)를 후방에서 지지하되 프론트 커버(110)와 한 몸체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프론트 커버(110) 및 리어 커버(130)와 달리 장식용 미들 커버(120)가 가장 부피가 큰 부분을 차지하며, 도 5 및 도 6처럼 외부에서 볼 때, 장식용 미들 커버(120)가 외곽틀을 이룬다.
따라서 장식용 미들 커버(120)의 경우에는 크롬 도금 등 고급스런 표면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식용 미들 커버(120)의 일측에는 관통홀(121)이 형성된다.
리어 커버(130)는 장식용 미들 커버(120)를 후방에서 지지하되 장식용 미들 커버(120)와 한 몸체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리어 커버(130)에는 장식용 미들 커버(120)의 관통홀(121)에 대응되는 아크형 절취부(131)가 일측에 형성된다. 아크형 절취부(131)는 원반형 고정부재(140)가 배치되는 장소를 이루는데,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홀(hole)이 아닌 홈의 형태를 취한다.
리어 커버(130)의 후면은 아트웍 프린팅(artwork printing) 표면(132)을 형성한다. 즉 리어 커버(130)의 후면인 아트웍 프린팅 표면(132)에 다양한 컬러 또는 유명 캐릭터가 프린팅될 수 있다.
원반형 고정부재(140)는 리어 커버(130)의 아크형 절취부(131)와 장식용 미들 커버(120)의 관통홀(121)을 통해 프론트 커버(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부품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자세히 도시된 것처럼 원반형 고정부재(140)는 원반 플레이트(141)와, 원반 플레이트(141)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통공(142)과, 원반 플레이트(141)의 배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되 내부에 사각 함몰부(143a)가 형성되는 사각 돌출부(143)와, 사각 돌출부(143)의 양측에서 사각 돌출부(143)의 다른 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벽체(144)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식 보스 캡(160)이 착탈되는 것과 달리 원반형 고정부재(140)는 해당 위치에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링 부재(150)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링 부재(150)에 손가락을 끼워 휴대단말기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도 있고, 혹은 링 부재(150)를 지렛대처럼 기울여서 휴대단말기를 거치시킬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휴대단말기를 테이블 상에 비스듬히 세워두고 영화 감상을 하기에 유리하다.
이러한 링 부재(150)에는 착탈식 보스 캡(160)이 연결되되 다른 영역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캡 연결부(151)가 형성된다. 착탈식 보스 캡(160)이 캡 연결부(151)에 연결되기 때문에 링 부재(150)는 도 5처럼 펼쳐질 수도 있고 도 6처럼 접힐 수도 있다.
착탈식 보스 캡(160)은 링 부재(150)의 회전은 허용하되 링 부재(150)의 후방에서 링 부재(150)와 연결되어 원반형 고정부재(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착탈식 보스 캡(160)은 링 부재(150)의 캡 연결부(15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62)를 구비하는 원통형 캡 바디(161)와, 원통형 캡 바디(161)의 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163)와, 단차부(163)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원반형 고정부재(140)의 결합통공(1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16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100)의 경우에는 프론트 커버(110), 장식용 미들 커버(120), 리어 커버(130), 원반형 고정부재(140), 링 부재(150) 또는 착탈식 보스 캡(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향기 발생을 위한 향기 발생재료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향기 발생재료가 아트웍 프린팅 시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100)의 배면에서 향기가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착탈식 보스 캡(160) 내의 공간에 향기 발생재료를 캡슐화해서 넣어 배치할 수도 있다.
이때, 향기는 아로마향이나 라벤더향의 은은한 향기를 비롯하여 해충퇴치향이 될 수 있다. 특히, 해충퇴치향이 적용되면 야외 활동 시 모기 등의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아로마향이나 해충퇴치향 등의 다양한 향기가 발생될 수 있어 제품으로서의 기능 향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200) 역시, 프론트 커버(110), 장식용 미들 커버(120), 리어 커버(130), 원반형 고정부재(140), 링 부재(150), 그리고 착탈식 보스 캡(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리어 커버(130)의 일측에는 거울면(232)이 마련된다. 이때, 거울면(232)은 유리가 아닌 투명 금속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인데, 이럴 경우 깨지지 않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아로마향이나 해충퇴치향 등의 다양한 향기가 발생될 수 있어 제품으로서의 기능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300) 역시, 프론트 커버(110), 장식용 미들 커버(120), 리어 커버(130), 원반형 고정부재(140), 링 부재(150), 그리고 착탈식 보스 캡(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착탈식 보스 캡(160)에는 향기 발생재료가 내장된 향기 발생용 캡(38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향기 발생용 캡(380)에는 향기 발생을 위하여 다수의 통공(381)이 형성된다.
이처럼 별도의 향기 발생용 캡(380)을 적용하는 경우, 향기의 종류를 수시로 바꿀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특히 아로마향이나 해충퇴치향 등의 다양한 향기가 발생될 수 있어 제품으로서의 기능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110 : 프론트 커버
120 : 장식용 미들 커버 121 : 관통홀
130 : 리어 커버 131 : 아크형 절취부
132 : 아트웍 프린팅 표면 140 : 원반형 고정부재
141 : 원반 플레이트 142 : 결합통공
143 : 사각 돌출부 144 : 지지벽체
150 : 링 부재 151 : 캡 연결부
160 : 착탈식 보스 캡 161 : 원통형 캡 바디
162 : 삽입부 163 : 단차부
164 : 결합돌기

Claims (5)

  1. 전면이 휴대단말기에 부착 가능한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를 후방에서 지지하되 상기 프론트 커버와 한 몸체로 연결되며,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장식용 미들 커버;
    상기 장식용 미들 커버를 후방에서 지지하되 상기 장식용 미들 커버와 한 몸체로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아크형 절취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후면이 아트웍 프린팅(artwork printing) 표면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의 아크형 절취부와 상기 장식용 미들 커버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프론트 커버의 배면에 고정되는 원반형 고정부재;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갖는 링 부재; 및
    상기 링 부재의 회전은 허용하되 상기 링 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링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원반형 고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보스 캡을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 상기 장식용 미들 커버, 상기 리어 커버, 상기 원반형 고정부재, 상기 링 부재 또는 상기 착탈식 보스 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향기 발생을 위한 향기 발생재료가 마련되고,
    상기 원반형 고정부재는,
    원반 플레이트;
    상기 원반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통공;
    상기 원반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되 내부에 함몰부가 형성되는 사각 돌출부; 및
    상기 사각 돌출부의 양측에서 상기 사각 돌출부의 다른 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생재료는 상기 아트웍 프린팅 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에는 상기 착탈식 보스 캡이 연결되되 다른 영역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캡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보스 캡은,
    상기 링 부재의 캡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원통형 캡 바디;
    상기 원통형 캡 바디의 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원반형 고정부재의 결합통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KR2020170000930U 2017-02-24 2017-02-24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KR200484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30U KR200484282Y1 (ko) 2017-02-24 2017-02-24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930U KR200484282Y1 (ko) 2017-02-24 2017-02-24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282Y1 true KR200484282Y1 (ko) 2017-08-22

Family

ID=6062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930U KR200484282Y1 (ko) 2017-02-24 2017-02-24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28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54A (ko) 2018-05-17 2019-11-27 남동훈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200039425A (ko) 2018-10-05 2020-04-16 최형근 위로 열리는 반찬통
KR20200001753U (ko) 2019-01-29 2020-08-06 남동훈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220021095A (ko) 2020-08-13 2022-02-22 김현석 폴더블폰용 그립톡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373Y1 (ko) 2004-03-30 2004-06-16 김선암 차량용 휴대폰거치대
US20090090750A1 (en) * 2007-10-03 2009-04-09 Wendell Alcenat Finger holder for electronic accessories
KR20100007996U (ko) 2009-02-03 2010-08-12 김의근 일회용위생저
KR20130034563A (ko) * 2011-09-28 2013-04-05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KR20130003749U (ko) 2011-12-14 2013-06-26 진주하 휴대폰용 파지구
KR20150003425U (ko) * 2014-03-06 2015-09-16 심준용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061751A (ko) * 2014-11-24 2016-06-01 이성귀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373Y1 (ko) 2004-03-30 2004-06-16 김선암 차량용 휴대폰거치대
US20090090750A1 (en) * 2007-10-03 2009-04-09 Wendell Alcenat Finger holder for electronic accessories
KR20100007996U (ko) 2009-02-03 2010-08-12 김의근 일회용위생저
KR20130034563A (ko) * 2011-09-28 2013-04-05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KR20130003749U (ko) 2011-12-14 2013-06-26 진주하 휴대폰용 파지구
KR20150003425U (ko) * 2014-03-06 2015-09-16 심준용 스피커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061751A (ko) * 2014-11-24 2016-06-01 이성귀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54A (ko) 2018-05-17 2019-11-27 남동훈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200039425A (ko) 2018-10-05 2020-04-16 최형근 위로 열리는 반찬통
KR20200001753U (ko) 2019-01-29 2020-08-06 남동훈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0492512Y1 (ko) 2019-01-29 2020-10-28 남동훈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220021095A (ko) 2020-08-13 2022-02-22 김현석 폴더블폰용 그립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282Y1 (ko)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USD508028S1 (en) Cellular telephone
RU96119936A (ru) Трубка радиотелефона со съемной запирающейся лицевой панелью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множества вариантов внешнего вида телефона и набор для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DE69931195D1 (de) Rückprojektionsschirm mit raster aus linsen mit unterschiedlicher brechkraft
USD461623S1 (en) T-shirt
USD496639S1 (en) Cellular telephone
KR20130006423U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USD465023S1 (en) Fireplace frame assembly
USD464627S1 (en) Movable electrical and data services module
USD470664S1 (en) Picture frame/mirror holder that has a pair of hands representing a deity
USD424912S (en) Shepherd's hook
KR101717074B1 (ko) 밴드 타입 휴대폰 스탠드
USD429762S (en) Bookmark with attached magnifying glass or mirror
USD463388S1 (en) Telephone with a base station
USD511153S1 (en) Telephone apparatus
USD466086S1 (en) Electrical and data services module
USD506783S1 (en) Spring clip with magnetic base
KR200455688Y1 (ko)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USD430130S (en) Telephone handset
KR20200002420U (ko) 휴대전화 단말기용 블루라이트 차단장치
USD457733S1 (en) Combined picture frame, holder, and camera
USD412330S (en) Telephone set
USD459612S1 (en) Desk
CN204305117U (zh) 一种新型的手机保护壳
USD502335S1 (en)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