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095A - 폴더블폰용 그립톡 - Google Patents

폴더블폰용 그립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095A
KR20220021095A KR1020200101477A KR20200101477A KR20220021095A KR 20220021095 A KR20220021095 A KR 20220021095A KR 1020200101477 A KR1020200101477 A KR 1020200101477A KR 20200101477 A KR20200101477 A KR 20200101477A KR 20220021095 A KR20220021095 A KR 20220021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able phone
grip
slide groove
present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824B1 (ko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김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석 filed Critical 김현석
Priority to KR1020200101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8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8Eyelets or grom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폴더블폰용 그립톡은 중심 일측에 일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평판 형상의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를 접히는 폴더블폰의 어디에 배치하더라도 연결부를 통해 상기 폴더블폰의 중심을 찾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폰용 그립톡{Griptok for Foldable Phone}
본 발명은 폴더블폰용 그립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일방으로 접철되는 폴더블폰에 부착되는 위치 및 폴더블폰의 사용 모드에 무관하게 슬라이드 홈 및 연결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위치에 고리부를 배치하여 폴더블폰의 파지 및 거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폴더블폰용 그립톡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액세서리가 사용된다.
일실시예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고리가 구비되는 액세서리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리형 액세서리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 또는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무게 중심과 대응되는 중심부 일측에 부착된다. 하지만, 사용자의 손 크기, 파지방법 등에 따라 선호하는 부착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고리형 액세서리의 부착 위치가 휴대 단말기의 무게 중심과 어긋나는 위치에 부착되거나, 휴대 단말기를 세로 모드, 가로 모드 또는 테이블 상에 안착하여 사용하는 등 다양한 모드로 사용함에 따라 사용하는 스타일에 따라 사용자는 고리형 액세서리의 배치위치를 변경하기를 희망한다. 하지만, 한 번 부착된 고리형 액세서리는 착탈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리형 액세서리를 부착하고, 이와 다른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무선 충전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리형 액세서리로 인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일예로, 고리형 액세서리가 휴대 단말기의 중심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고리형 액세서리의 부피로 인해 무선 충전 장치와 휴대 단말기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아 무선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리형 액세서리의 고리부는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선 충전 시 금속 링이 무선 충전에 의해 가열되어 화재가 발생하거나, 가열된 금속 링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가로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접철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무게 중심이 접철 부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무게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리형 액세서리를 부착할 수 없기 때문에 원활한 파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0484282 2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일방으로 접철되는 폴더블폰에 부착되는 위치 및 폴더블폰의 사용 모드에 무관하게 슬라이드 홈 및 연결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위치에 고리부를 배치하여 폴더블폰의 파지 및 거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폴더블폰용 그립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폴더블폰용 그립톡은 중심 일측에 일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평판 형상의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를 접히는 폴더블폰의 어디에 배치하더라도 연결부를 통해 상기 폴더블폰의 중심을 찾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홈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연결부의 이동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 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의 일면에 접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의 길이는 20mm 내지 62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길이는 15mm 내지 4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더블폰용 그립톡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을 어떠한 위치에 부착하더라도, 연결부 및 슬라이드 홈을 이용하여 고리부의 배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자가 사용 모드에 따라 자유롭게 고리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슬라이드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한 연결부와 각도 변화 및 회전이 가능한 고리부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양태에 따라 최적화된 고리부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여 휴대 단말기의 파지 및 거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폴더블폰에 적용하는 경우 접힌 상태, 소정각도 펼쳐진 상태,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파지 및 거치하기에 최적화된 위치에 고리부를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가로 방향 및 세로방향 어느 방향으로 접철되는 폴더블폰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무선 충전 시 연결부를 이동시켜 무선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폴더블폰용 그립톡을 휴대 단말기의 어느 부위에 부착하더라도 연결부 및 고리부를 이용하여 무게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리부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의 연결부 및 고리부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의 연결부가 부착부의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이 접혀진 폴더블폰에 적용된 사용양태 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이 펼쳐진 폴더블폰에 적용된 사용양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더블폰용 그립톡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10)은 폴더블폰(1000)의 부착위치와 무관하게 폴더블폰(1000)의 무게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리부(300)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폴더블폰(1000)을 용이하게 파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10)은 도 1 내지 3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부착부(100), 연결부(200) 및 고리부(300)로 구성된다.
부착부(100)는 전체적으로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평판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일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슬라이드 홈(110)이 형성된다. 이때, 부착부(100)의 크기 및 슬라이드 홈(110)의 길이는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에로 부착부(100)가 슬라이드 홈(110)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형상은 제한적이지 않다.
또한, 부착부(100)는 슬라이드 홈(110)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의 길이가 20mm 내지 62mm인 것이 좋다. 20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인 고리부의 이동성이 매우 제한될 수 있으며, 62mm보다 큰 경우에는 폰의 한면을 넘어가는 크기일 수 있어 부착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30mm 내지 60mm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40mm 내지 60mm일 수 있다.
슬라이드 홈(110)은 부착부(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부착부(100)의 중심부 일측에 일방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홈(110)은 연결부(200)가 결합되어 연결부(200)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슬라이드 홈(11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홈으로 명명하고 있는 것일 뿐,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슬라이드 홈(110)의 일측에는 슬라이드 이동하는 연결부(200)의 이동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는 슬라이드 홈(1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연결부(200)의 배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고정부는 슬라이드 홈(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 홈(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고정 홈(120)은 등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처럼 고정부가 슬라이드 홈(110)의 길이 방향을 형성되는 고정 홈(12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연결부(200)의 외주면 일측에는 고정 홈(120)과 대응되는 고정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에 외에 슬라이드 홈(110)을 따라 이동하는 연결부(200)의 이동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장치라면 고정 홈(120) 및 고정돌기(211) 외에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서 부착부(100)의 일면에는 부착부(100)를 폴더블 폰의 일측에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한 접착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500)는 부착부(100)의 일면에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부착부(100)의 일면에 접착부(50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10)을 폴더블폰(1000)의 일측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100)의 재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부착부(100)의 슬라이드 홈(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리부(300)의 배치 위치를 보다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부착부(100) 및 고리부(300)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이처럼 연결부(200)는 부착부(100)의 슬라이드 홈(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리부(300)와 부착부(100)를 연장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면 그 형상 및 크기는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평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부착부(100)와 결합되는 연결부(2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홈(110)의 고정 홈(120)과 대응되는 고정돌기(2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200)의 길이는 15mm 내지 45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5mm보다 작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인 폴더블 폰을 펼쳤을 때, 고리가 부착부를 벗어나 폴더블 폰의 무게중심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45mm보다 큰 경우에는 연결부가 부착부보다 길어져 실 사용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mm 내지 40mm 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25mm 내지 35mm일 수 있다.
사용양태에 따라 연결부(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100)의 슬라이드 홈(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연결부(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부(100)의 슬라이드 홈(110)에 슬라이드 이동되는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연결부(200)는 슬라이드 홈(110)에 슬라이드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 제1결합부(2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1회전축(220) 및 제1회전축(220)에 결합되는 연결유닛(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홈(11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결합부(2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슬라이드 홈(110)에 형성되는 고정 홈(120)에 대응되는 고정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축(220)은 제1결합부(2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1결합부(210)의 중심부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연결유닛(230)은 종단부 일측이 제1회전축(220)이 결합되는 제1결합공(231)이 형성되어, 제1회전축(220)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유닛(230)은 부착부(100) 및 고리부(300)를 연결하며 회전에 의한 자유도가 추가되어 고리부(300)의 배치 위치를 보다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유닛(230)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실시예로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평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리부(300)는 부착부(100)과 결합되는 연결부(200)의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거나, 폴더블폰(1000)을 거치하는 경우 이를 지지하여 폴더블폰(1000)이 소정 각도로 거치될 수 있도록 이를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리부(300)는 다양한 단면을 갖는 링 형상 또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리부(300)는 연결부(2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고리부(300)가 연결부(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우에는 고리부(300)를 연결부(2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2결합부(400)는 전체적으로 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일측에는 제2회전축(420)이 구비된다. 또한, 제2결합부(400)의 일측에는 고리부(300)와 연결되는 연결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200)의 일단에는 제2회전축(420)이 삽입되는 제2결합공(232)이 형성되고, 고리부(300)의 일측에는 제2결합부(400)의 연결홈(410)에 삽입되는 연결돌기(3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고리부(300) 또는 연결부(200)의 일측에 제2회전축(420)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제2회전축(420)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폴더블폰용 그립톡의 사용양태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10)의 사용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10)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다자유도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처럼 각각의 구성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하게 구동되는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먼저, 고리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각도로 배치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연결부(200)와의 연결부(200)위를 중심으로 회전 역시 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폴더블폰(1000)이 어떠한 각도 및 위치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편리하게 폴더블폰(1000)을 파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의 연결부 및 고리부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10)은 고리부(300) 뿐만 아니라 연결부(200) 역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보다 많은 자유도를 갖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폴더블폰(1000)을 더욱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그립톡(10)을 폴더블폰(1000)의 무게 중심의 연장선 상에 배치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폴드블폰용 그립톡(10)은 다양한 자유도를 갖기 때문에 결속위치에 제한 없이 사용자가 편리하게 폴더블폰(1000)을 파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의 연결부가 부착부의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이 접혀진 폴더블폰에 적용된 사용양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이 펼쳐진 폴더블폰에 적용된 사용양태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0)가 부착부(100)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10)을 따라 일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폴더블폰(1000)의 사용에 최적화되어 있다.
일예로, 세로 방향으로 접철되는 폴더블폰(1000)에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10)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폰(1000)이 접혀져 있는 경우에는 연결부(200)를 부착부(100)의 슬라이드 홈(110)의 하단 방향으로 위치를 낮춰 접힌 상태의 무게 중심에 대응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한다.
이후, 폴더블폰(1000)을 사용하기 위하여 펼친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0)를 부착부(100)의 슬라이드 홈(11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리부(300)가 펼쳐진 상태의 무게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한다.
이처럼 무게 중심이 변경되는 폴더블폰(1000)을 사용하더라도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하는 연결부(200)와 각도 변경 및 회전 가능한 고리부(300)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위치로 다양하게 고리부(300)의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폴더블폰(1000)이 접힌 경우, 소정 각도만 펼친 경우, 완전히 펼친 경우 등 어떠한 상황에서도 편리하게 폴더블폰(1000)을 파지할 수 있다.
폴드블폰(1000)은 기존 핸드폰에 비해 접힌 경우 크기가 상당히 줄어들기 때문에 휴대 시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폰용 그립톡(10)은 고리부(300)를 통해 접힌 경우 및 펼쳐진 경우 어떠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므로, 폴더블폰(1000)을 떨어뜨는 횟수를 획기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세로로 접철되는 폴더블폰(1000)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가로로 접철되는 폴더블폰(1000)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폴더블폰용 그립톡
100: 부착부
110: 슬라이드 홈
120: 고정 홈
200: 연결부
210: 제1결합부
211: 고정돌기
220: 제1회전축
230: 연결유닛
231: 제1결합공
232: 제2결합공
300: 고리부
310: 연결돌기
400: 제2결합부
410: 연결홈
420: 제2회전축
500: 접착부
1000: 폴더블폰

Claims (5)

  1. 중심 일측에 일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평판 형상의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고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를 접히는 폴더블폰의 어디에 배치하더라도 연결부를 통해 상기 폴더블폰의 중심을 찾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폴더블폰용 그립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홈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연결부의 이동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폴더블폰용 그립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일면에 접착부가 더 형성되는 폴더블폰용 그립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길이는 20mm 내지 62mm인 폴더블폰용 그립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길이는 15mm 내지 45mm인 폴더블폰용 그립톡.
KR1020200101477A 2020-08-13 2020-08-13 폴더블폰용 그립톡 KR102368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477A KR102368824B1 (ko) 2020-08-13 2020-08-13 폴더블폰용 그립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477A KR102368824B1 (ko) 2020-08-13 2020-08-13 폴더블폰용 그립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095A true KR20220021095A (ko) 2022-02-22
KR102368824B1 KR102368824B1 (ko) 2022-02-28

Family

ID=8049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477A KR102368824B1 (ko) 2020-08-13 2020-08-13 폴더블폰용 그립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38613S1 (en) 2023-07-06 2024-08-13 Chun Ki Kim Ring holder for phone tether tab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210B1 (ko) *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84282Y1 (ko) 2017-02-24 2017-08-22 (주)유윈씨앤티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KR20170111404A (ko) * 2016-03-28 2017-10-12 박승찬 스마트폰 거치대
KR101832922B1 (ko) * 2017-09-26 2018-02-27 유현주 스마트 단말기용 핑거 그립
KR20190030111A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 신안라이프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KR101987581B1 (ko) * 2018-03-05 2019-06-10 이기만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210B1 (ko) *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70111404A (ko) * 2016-03-28 2017-10-12 박승찬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4282Y1 (ko) 2017-02-24 2017-08-22 (주)유윈씨앤티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KR20190030111A (ko) * 2017-09-13 2019-03-21 주식회사 신안라이프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KR101832922B1 (ko) * 2017-09-26 2018-02-27 유현주 스마트 단말기용 핑거 그립
KR101987581B1 (ko) * 2018-03-05 2019-06-10 이기만 스마트폰 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www.amazon.com.au/iRing-Wireless-Charging-Compatible-Smartphones/dp/B07Q7NVZYM (2019.03.2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38613S1 (en) 2023-07-06 2024-08-13 Chun Ki Kim Ring holder for phone tether ta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824B1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7638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9538675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20100072334A1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EP3514659B1 (en) Extending socket for portable media player
US20150011265A1 (en) Support Apparatus for Mobile Device
US20120326003A1 (en) Multi-function tablet computer grip with 360-degree rotating finger ringlet
US20230389684A1 (en) Attachment for a mobile phone case
KR102368824B1 (ko) 폴더블폰용 그립톡
US10721341B2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CN115016650B (zh) 电子设备保护套及电子设备组件
CN203590282U (zh) 手机可调节支架
TWI548328B (zh) 支撐結構
CN213279751U (zh) 一种手机配件
JP2008067532A (ja) 携帯端末充電器
CN221688705U (zh) 具有支撑功能的磁吸环以及包含其的手机壳
CN211118536U (zh) 一种终端支架及终端展示系统
CN216078886U (zh) 可折叠支架和桌面支架
EP3653920B1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CN221886538U (zh) 电子设备配件
CN210492991U (zh) 一种手机保护套
CN218763156U (zh) 一种夹具支撑结构及台灯及风扇
JP2002171679A (ja) ライト付き携帯充電器
CN219437052U (zh) 一种保护壳
CN220858161U (zh) 一种滑槽式可拆卸补光灯手机壳
CN211429370U (zh) 一种能够收纳蓝牙耳机的手机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