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111A -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111A
KR20190030111A KR1020170117427A KR20170117427A KR20190030111A KR 20190030111 A KR20190030111 A KR 20190030111A KR 1020170117427 A KR1020170117427 A KR 1020170117427A KR 20170117427 A KR20170117427 A KR 20170117427A KR 20190030111 A KR20190030111 A KR 20190030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ring
supporter
main body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복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안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안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안라이프
Priority to KR102017011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111A/ko
Publication of KR2019003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기가 다른 스마트폰에 호환성 있게 결합시켜 분실 및 임의 낙하로 인한 충격요인을 방지하고, 자동차 송풍구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의 기능, 스마트폰을 일정 경사를 갖고 테이블 상면 등에 세워서 지지할 수 있는 서포팅 기능 등을 두루 갖춘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폰(2)의 배면부에 연접 설치되는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사방으로 탄성 설치되어 스마트폰(2)의 4모서리부에 탄성결합되도록 한 클램프(4)와; 상기 본체(3)에 각운동 및 회전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서포터(5)와; 상기 서포터(5)의 단부에 설치되는 링형 탄성고리(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Smart phone multi holder}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크기가 다른 스마트폰에 호환성 있게 결합시켜 분실 및 임의 낙하로 인한 충격요인을 방지하고, 자동차 송풍구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의 기능, 스마트폰을 일정 경사를 갖고 테이블 상면 등에 세워서 지지할 수 있는 서포팅 기능 등을 두루 갖춘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케이스를 스마트폰에 결합, 사용하고 있으며, 근자에는 케이스에 부착하여 홀더 및 서포팅 기능 등을 행하는 링 타입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인 스마트폰 케이스는 연질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되어 스마트폰을 탄성 끼움식으로 결합시켜 사용하는 일명 '슬림형 케이스'와, 지갑 형태로 제작되어 스마트폰의 액정 전면부에서 전면 커버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플립형 케이스'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폰 케이스의 경우 주 기능이 스마트폰이 떨어졌을 때 충격 등으로부터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기능, 신용카드 등을 동시에 휴대할 수 있는 수납 기능, 디자인 등을 수요자의 취향에 맞게 꾸밀 수 있는 기능 등이 전부였다.
일부 스마트폰 케이스 중에는 스마트폰의 크기가 달라도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을 구비한 경우도 있으나, 주로 추가되는 하나의 기능만을 구비하여 수요자가 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는 부재한 실정이다.
KR 공개실용신안 20-2012-0006361 KR 공개특허 10-2014-0037387
이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는 사용 중 스마트폰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떨어져 충격 등으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손가락에 끼워 홀딩할 수 있도록 한 홀더 기능과, 반지와 같이 장신구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폰을 자동차 송풍구 등에 결합시켜 스마트폰 거치대로서의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는 크기가 다른 스마트폰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폰을 책상 등의 바닥면에 일정 각도를 갖도록 세워서 사용할 수 있는 서포터 기능, 조깅 등 다양한 운동을 행할 시 탄성밴드를 사용하여 스마트폰을 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견고한 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는 기존의 다양한 스마트폰 케이스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배면부에 연접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사방으로 탄성 설치되어 스마트폰의 4모서리부에 탄성결합되도록 한 클램프와;
상기 본체에 각운동 및 회전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서포터와;
상기 서포터의 단부에 설치되는 링형 탄성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이너프레임에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 안쪽에 일단이 고정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인장스프링의 타단은 결합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각 모서리부, 또는 스마트폰에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결합 시에는 케이스의 각 모서리부 등에 클램핑될 수 있는 클램핑부와;
상기 이너프레임 외측에는 클램프를 내입 후 아우트프레임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이너프레임에 전방으로 각운동 및 회전운동이 가능토록 스프링와셔를 개재하여 탄력설치되고 회전이 가능한 핀보스를 설치하고,
상기 핀보스에 축핀을 사용하여 서포터를 설치하며;
상기 서포터의 상부에는 축핀을 사용하여 하부 조인트보스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 조인트보스 상부에 상부 조인트보스를 회전 가능하게 피봇링으로 연결하며;
상기 상부 조인트보스에는 링형 탄성고리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형 탄성고리는 일측이 절단된 상태로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고리의 양 단부에는 보호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형 탄성고리는 서포터 상부에 탄성고리 하부가 각운동 가능하게 축공을 형성하여 탄성고리를 축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이너프레임 좌우로 탄성밴드의 양단 걸림돌부가 걸림결합될 수 있는 걸림요홈을 형성하여 탄성밴드를 걸림결합하고;
상기 이너프레임 외측으로 아우트프레임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이너프레임 좌우와 하부에 클램핑밴드의 양단 걸림돌부가 걸림결합될 수 있는 걸림요홈을 형성하여 클램핑밴드를 걸림결합하고;
상기 이너프레임 외측으로 아우트프레임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의 본체 연결부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연결부로 구성하여 탄성 슬라이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는 크기가 다른 각종 스마트폰 자체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휴대 중 손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손가락에 끼움할 수 있는 링형 탄성고리, 손이나 손목에 탄력고정할 수 있는 탄성밴드 등을 이용하여 충격 등으로부터 스마트폰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링형 탄성고리와 서포터를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에서 별도 거치대 없이 송풍구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으며, 테이블 상면부 등에 스마트폰을 원하는 일정 각도를 갖도록 안치시켜 사용이 가능한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결합된 스마트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결합된 스마트폰의 배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파절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를 스마트폰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를 크기가 다른 스마트폰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작용상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를 크기가 다른 스마트폰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작용상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링형 탄성고리를 90도 각운동 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링형 탄성고리를 90도 각운동 시킨 후 90도 회전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 및 측면,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서포터를 90도 각운동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측면도와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서포터를 90도 각운동시킨 상태에서 회전을 하기 위해 서포터를 당기는 상태의 사시도와 측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서포터를 90도 각운동시킨 후 회전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와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서포터를 각운동 후 회전시킨 상태를 보인 작용상태도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링형 탄성고리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송풍구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작용상태도
도 20과 도 2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링형 탄성고리를 이용하여 지지대로 사용하는 경우를 보인 작용상태도
도 2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에 설치된 클램핑밴드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는 스마트폰의 후면부 중앙에 위치하는 본체의 사방으로 탄성 설치되어 스마트폰의 4모서리부에 탄성결합될 수 있는 클램프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각운동 전개 및 회전 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각운동 또는 회전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스마트폰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움하거나, 스마트폰을 일정 각도를 가진 상태에서 안치시켜 지지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차 송풍구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토록 한 링형 탄성고리,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이나 손목 등에 탄성결합시켜 스마트폰의 낙하 등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밴드 및 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스마트폰이 강한 충격으로부터 멀티 홀더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핑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스마트폰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는 스마트폰(2)의 배면부, 또는 스마트폰(2)에 보호 케이스를 결합시에는 상기 보호 케이스 배면부에 연접 설치되는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사방(대각성 방향)으로 각각 탄성 설치되어 스마트폰(2)의 4모서리부에 탄성결합되도록 한 4개의 클램프(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3)에 각운동 전개 및 회전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서포터(5)와, 상기 서포터(5)의 단부에 각운동 또는 회전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링형 탄성고리(6)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통해 세부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를 구성하는 본체(3)는 개략 원판형 등으로 이루어진 이너프레임(7) 및 아우트프레임(8)으로 제작되며, 상기 이너프레임(7)에 대각선 방향으로 클램프(4)를 각각 결합시켜 탄성 슬라이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결합홈(9)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홈(9)에는 인장스프링(10)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인장스프링(10)의 타단은 결합홈(9)에 결합되는 클램프(4)의 하부와 고정시켜 클램프(4)가 인장스프링(10)의 탄성에 의해 스마트폰(2)의 4모서리부에 탄성걸림 상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램프(4)의 외측 단부에는 개략 L형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2)의 각 모서리부, 또는 스마트폰에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결합 시에는 케이스의 각 모서리부 등에 클램핑될 수 있는 클램핑부(11)가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4)는 결합홈(9)에 인장스프링(10)에 탄성연결되도록 조립시킨 후 아우트프레임(8)을 이너프레임(7)과 연접시켜 리벳팅 등의 방법으로 고정함으로써 클램프(4)가 본체(3)에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본체(3)에 설치되는 서포터(5)는 이너프레임(7)에서 전방으로 각운동 및 회전운동이 가능토록 스프링와셔(12)를 개재하여 탄력설치되고 회전이 가능한 핀보스(13)를 설치하고, 상기 핀보스(13)에 축핀(14)을 사용하여 서포터(5)를 설치한다.
상기 서포터(5)의 상부에는 축핀(15)을 사용하여 하부 조인트보스(16)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 조인트보스(16) 상부에 상부 조인트보스(17)를 회전 가능하게 피봇링(18)으로 연결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조인트보스(17)에는 링형 탄성고리(6)를 연결한다.
상기 링형 탄성고리(6)는 탄성을 갖는 금속성 소재 등을 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폴리우레탄 등의 연질수지나 고무가 입혀지게 제작하되, 양 단부에는 탄성고리(6)를 스마트폰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우거나 분리할 시, 또한 자동차 송풍구 등에 전개 삽입 및 분리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다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형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단부(19)로 구성한다.
상기 보호단부(19)는 악세사리로서의 기능도 발휘할 수 있도록 반짝이는 도료 등으로 도색할 수도 있다.
상기 링형 탄성고리(6)는 정확히는 링과 같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링의 일측이 절단된 상태로 이루어져 외력을 가하면 양 단부가 전개되어 개방형으로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링 타입으로 자체 탄성에 의해 복원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서포터(5)는 본체(3)에 수납되었을 시에는 임의로 본체(3)에서 각운동 전개되지 않도록 이너프레임(7)에 요입형성된 결합홈(20)에 요입수납토록 하고, 상기 결합홈(20)에 좌우로 걸림홈(21)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21)에 탄력걸림될 수 있는 걸림편(22)을 서포터(5)의 좌우 대응면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홈(21)은 이너프레임(7) 외측으로 커버링 상태로 결합되는 아우트프레임(8)의 대응부에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는 상기 링형 탄성고리(6)가 서포터(5) 상부에 각운동만 가능토록 한 경우를 보인 것으로, 상기 서포터(5) 상부에 링형 탄성고리(6) 하부가 각운동 가능하게 축공(23)을 형성하여 링형 탄성고리(6)를 축결합시킨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는 본체(3)에 스마트폰 사용자의 손이나 손목 부위에 탄성결합시켜 스마트폰이 휴대 중 떨어지지 않도록 한 것으로서, 본체(3)의 이너프레임(7) 좌우로 탄성밴드(24)의 양단 걸림돌부(25)가 걸림결합될 수 있는 걸림요홈(26)을 형성하여 탄성밴드(24)를 걸림결합시킨 후 아우트프레임(8)을 이너프레임(7)과 밀접시켜 고정하면 탄성밴드(24)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탄성밴드(24)는 탄성을 갖는 고무, 실리콘 등 다양한 재질,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는 본체(3) 좌우측에서 각각 하부로 클램핑밴드(27)를 탄력설치한 것이다.
즉, 상기 클램핑밴드(27)는 본체(3)에 사방으로 설치된 4개의 클램프(4)와 더불어 사용함으로써 강한 충격에 스마트폰(2)이 멀티 홀더(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클램핑밴드(27)는 스마트폰(2)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탄력설치되므로 스마트폰(2)의 액정 전면을 가리지 않도록 투명의 재질로 제작토록 한다.
상기 클램핑밴드(27)의 설치방법은 전기 탄성밴드(24)와 같이 본체(3)의 이너프레임(7) 좌우와 하부에 클램핑밴드(27)의 양단 걸림돌부(28)가 걸림결합될 수 있는 걸림요홈(29)을 형성하여 클램핑밴드(27)를 걸림결합시킨 후 아우트프레임(8)을 이너프레임(7)과 밀접시켜 고정하면 클램핑밴드(27) 설치가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파절 상태의 정면도이다.
즉, 이는 상기 클램프(4)의 탄성 작동을 위해 인장스프링(10)을 사용치 않고 클램프(4)의 본체(3) 연결부 일부를 탄성을 갖는 탄성우레탄 등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탄성연결부(30)로 구성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중의 부호 31은 자동차 송풍구, 32는 수평안내편, 33은 수직안내편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는 스마트폰(2) 후측면에 도 1,2와 같이 본체(3)가 위치하도록 한 후 클램프(4)를 슬라이드 탄성 인출하여 클램프(4)의 클램핑부(11)가 스마트폰(2) 4모서리부에 탄력 걸림되도록 결합하고, 또는 스마트폰(2)에 보호 케이스 등을 결합했을 시에는 보호 케이스의 4모서리부에 탄력 걸림되도록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는 스마트폰(2)의 크기가 달라도 호환성을 갖고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는 클램프(4)가 본체(3)에 형성된 결합홈(9)상에 인장스프링(10) 또는 탄성연결부(30)로 설치되어 있어 스마트폰(2) 크기에 따라 탄력 슬라이드 폭 조절이 가능하여 크기가 다른 스마트폰(2)에도 클램핑시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사용자가 클램프(4)를 손으로 잡고 슬라이드 인출시켜 클램핑부(11)가 스마트폰(2)의 4모서리부에 각각 연접하면 사용자는 클램프(4)로부터 손을 놓아주면 인장스프링(10) 또는 탄성연결부(30)의 복원 탄성에 의해 클램프(4)의 클램핑 작용에 의해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는 스마트폰(2)에 고정, 결합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는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형 탄성고리(6)를 각운동 또는 각운동 및 회전시켜 사용자의 손가락에 탄성고리(6)를 끼움시켜 스마트폰(2) 사용 중 부주의로 스마트폰(2)이 손에서 떨어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1은 링형 탄성고리(6)를 서포터(5)의 상면에서 약 90도 각운동시켜 수평방향으로 각도조절시킨 후 손가락을 링형 탄성고리(6)에 끼움시켜 스마트폰(2)을 안전하게 휴대,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12는 링형 탄성고리(6)를 서포터(5)의 상면에서 약 90도 각운동시켜 수평 방향으로 각도조절시킨 후 링형 탄성고리(6)를 다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손가락에 탄성고리(6)를 끼움시켜 스마트폰(2) 사용 중 손에서 떨어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링형 탄성고리(6)의 각운동 및 회전은 서포터(5)와 링형 탄성고리(6)를 연결하는 축핀(15)과 상하부 조인트보스(16,17) 및 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피봇링(18)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의 서포터(5)도 본체(3)에서 90도 각운동 전개 및 전개된 상태의 서포터(5)를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조절이 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서포터(5)는 본체(3)와 축핀(14)으로 핀보스(13)와 연결되어 있어 각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핀보스(13)는 본체(3)와 스프링와셔(12)에 탄력설치되어 있어 전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링형 탄성고리(6) 또는 서포터(5)가 본체(3)로부터 90도 전개 및 회전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링형 탄성고리(6)를 자동차의 송풍구(31)에 끼움, 탄력걸림시켜 스마트폰(2) 거치대로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형 탄성고리(6)를 약 90도 각운동시켜 회전시킨 후 링형 탄성고리(6)를 벌려서 자동차용 송풍구(31)의 수평안내편(32)에 걸림되도록 하면 스마트폰(2)을 별도의 거치대 없이도 간단히 거치시킬 수 있으며, 송풍구(31)에 수직안내편(33)과 수평안내편(32)이 동시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구(31)는 서포터(5)를 90도 각운동 및 회전시키고 링형 탄성고리(6)도 회전시키면 수평안내편(32)에 탄성걸림되어 스마트폰(2) 거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링형 탄성고리(6)의 양 단부에 형성된 구형의 보호단부(19)가 수평안내편(32) 내측에 탄성을 갖고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자동차 운행 중에도 링형 탄성고리(6)는 이탈하지 않고 탄성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자동차에서 내릴 때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스마트폰(2)을 송풍구(31)에서 잡아 당기면 링형 탄성고리(6)가 가진 자체 탄성을 극복하고 수평안내편(32)에서 분리되어 휴대가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도 20, 도 21은 전기한 바와 같이 링형 탄성고리(6)와 서포터(5)를 각운동 전개 및 회전을 선택적으로 시킨 후 스마트폰(2)을 테이블 등의 상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 각도를 갖도록 서포팅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스마트폰(2)을 가로, 세로 방향 원하는 방향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0과 같은 경우는 본체(3)에서 서포터(5)는 90도 각운동시킨 상태로 상기 서포터(5)에 연결된 링형 탄성고리(6)는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및 서포터(5)를 90도 각운동 및 회전시킨 상태로 링형 탄성고리(6)가 바닥면에 연접토록 하여 스마트폰(2)을 일정 경사각을 갖도록 서포팅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1과 같은 경우는 본체(3)에서 서포터(5)는 90도 각운동시킨 상태로 상기 서포터(5)에 연결된 링형 탄성고리(6)도 90도 각운동시켜 사용하는 경우 및 서포터(5)를 90도 각운동 및 회전시킨 상태로 링형 탄성고리(6)도 90도 각운동시켜 바닥면에 연접토록 하여 스마트폰(2)을 일정 경사각을 갖도록 서포팅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체(3) 좌우측에서 각각 하부로 탄력설치된 클램핑밴드(27)를 플립형 케이스와 슬림형 케이스를 결합한 스마트폰(2)에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경우 클램핑밴드(27)는 플립형 케이스의 커버부 외측으로 탄력설치토록 하여 커버부가 임의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며, 플립형 케이스에서 스마트폰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토록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1)는 크기가 다른 각종 스마트폰 자체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 휴대 중 손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손가락에 끼움할 수 있는 링형 탄성고리(6), 손이나 손목에 탄력고정할 수 있는 탄성밴드(24) 등을 이용하여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스마트폰을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링형 탄성고리(6)와 서포터(5)를 본체(3)로부터 각운동 전개 및 회전 조절하여 자동차 실내에서 별도 거치대 없이 송풍구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으며, 테이블 상면부 등에 스마트폰을 원하는 일정 각도를 갖도록 조절, 안치시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2: 스마트폰 3: 본체 4: 클램프 5: 서포터 6: (링형)탄성고리 7: 이너프레임 8: 아우트프레임 9: 결합홈 10: 인장스프링 11: 클램핑부 12: 스프링와셔 13: 핀보스 14: 축핀 15: 축핀 16: 하부 조인트보스 17: 상부 조인트보스 18: 피봇링 19: 보호단부 20: 결합홈 21: 걸림홈 22: 걸림편 23: 축공 24: 탄성밴드 25: 걸림돌부 26: 걸림요홈 27: 클램핑밴드 28: 걸림돌부 29: 걸림요홈 30: 탄성연결부

Claims (8)

  1. 스마트폰(2)의 배면부에 연접 설치되는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사방으로 탄성 설치되어 스마트폰(2)의 4모서리부에 탄성결합되도록 한 클램프(4)와;
    상기 본체(3)에 각운동 및 회전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서포터(5)와;
    상기 서포터(5)의 단부에 설치되는 링형 탄성고리(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3)의 이너프레임(7)에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9)과;
    상기 결합홈(9) 안쪽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이 클램프(4)에 고정되어 클램프(4)가 결합홈(9)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장스프링(10)과;
    상기 클램프(4)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스마트폰(2)의 각 모서리부, 또는 스마트폰에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결합 시에는 케이스의 각 모서리부 등에 클램핑될 수 있는 클램핑부(11)와;
    상기 이너프레임(7) 외측에는 클램프(4)를 내입 후 아우트프레임(8)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3)는 이너프레임(7)에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9)과;
    상기 결합홈(9) 안쪽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이 클램프(4)에 일체로 형성되어 클램프(4)가 결합홈(9)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연결부(30)와;
    상기 클램프(4)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스마트폰(2)의 각 모서리부, 또는 스마트폰에 결합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결합 시에는 케이스의 각 모서리부 등에 클램핑될 수 있는 클램핑부(11)와;
    상기 이너프레임(7) 외측에는 클램프(4)를 내입 후 아우트프레임(8)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5)는 이너프레임(7)에 전방으로 각운동 및 회전운동이 가능토록 스프링와셔(12)를 개재하여 탄력설치되고 회전이 가능한 핀보스(13)를 설치하고,
    상기 핀보스(13)에 축핀(14)을 사용하여 서포터(5)를 설치하며;
    상기 서포터(5)의 상부에는 축핀(15)을 사용하여 하부 조인트보스(16)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 조인트보스(16) 상부에 상부 조인트보스(17)를 회전 가능하게 피봇링(18)으로 연결하며;
    상기 상부 조인트보스(17)에는 링형 탄성고리(6)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형 탄성고리(6)는 일측이 절단된 상태로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고리(6)의 양 단부에는 보호단부(1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형 탄성고리(6)는 서포터(5) 상부에 탄성고리(6) 하부가 각운동 가능하게 축공(23)을 형성하여 탄성고리(6)를 축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3)의 이너프레임(7) 좌우로 탄성밴드(24)의 양단 걸림돌부(25)가 걸림결합될 수 있는 걸림요홈(26)을 형성하여 탄성밴드(24)를 걸림결합하고;
    상기 이너프레임(7) 외측으로 아우트프레임(8)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3)의 이너프레임(7) 좌우와 하부에 클램핑밴드(27)의 양단 걸림돌부(28)가 걸림결합될 수 있는 걸림요홈(29)을 형성하여 클램핑밴드(27)를 걸림결합하고;
    상기 이너프레임(7) 외측으로 아우트프레임(8)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KR1020170117427A 2017-09-13 2017-09-13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KR20190030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427A KR20190030111A (ko) 2017-09-13 2017-09-13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427A KR20190030111A (ko) 2017-09-13 2017-09-13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111A true KR20190030111A (ko) 2019-03-21

Family

ID=6603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427A KR20190030111A (ko) 2017-09-13 2017-09-13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11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2193A (zh) * 2019-04-30 2019-06-21 谢岱峰 一种全适应手机防护壳
CN110558698A (zh) * 2019-09-17 2019-12-13 临沂大学 一种翻译器随身携带器
CN110868488A (zh) * 2019-12-09 2020-03-06 安徽冠东科技有限公司 一种四角锁紧车载手机架
KR200492377Y1 (ko) * 2019-05-03 2020-09-29 노원영 차량 거치가능한 스마트폰케이스
WO2022030657A1 (ko) * 2020-08-04 2022-02-10 노원영 차량 거치가능한 스마트폰케이스
KR20220021095A (ko) * 2020-08-13 2022-02-22 김현석 폴더블폰용 그립톡
CN116546127A (zh) * 2023-06-08 2023-08-04 深圳市誉源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手机测试装置及测试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361U (ko) 2011-03-03 2012-09-12 남동일 멀티기능 스마트폰홀더
KR20140037387A (ko) 2012-09-17 2014-03-27 차경준 스마트폰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361U (ko) 2011-03-03 2012-09-12 남동일 멀티기능 스마트폰홀더
KR20140037387A (ko) 2012-09-17 2014-03-27 차경준 스마트폰 홀더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2193A (zh) * 2019-04-30 2019-06-21 谢岱峰 一种全适应手机防护壳
CN109922193B (zh) * 2019-04-30 2023-10-03 谢岱峰 一种全适应手机防护壳
KR200492377Y1 (ko) * 2019-05-03 2020-09-29 노원영 차량 거치가능한 스마트폰케이스
CN110558698A (zh) * 2019-09-17 2019-12-13 临沂大学 一种翻译器随身携带器
CN110868488A (zh) * 2019-12-09 2020-03-06 安徽冠东科技有限公司 一种四角锁紧车载手机架
WO2022030657A1 (ko) * 2020-08-04 2022-02-10 노원영 차량 거치가능한 스마트폰케이스
KR20220021095A (ko) * 2020-08-13 2022-02-22 김현석 폴더블폰용 그립톡
CN116546127A (zh) * 2023-06-08 2023-08-04 深圳市誉源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手机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16546127B (zh) * 2023-06-08 2023-11-21 深圳市誉源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手机测试装置及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0111A (ko) 스마트폰용 멀티 홀더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355772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392562B1 (k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EP3018889B1 (e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US5087004A (en) Convertible mounting apparatus
US10368622B1 (en) Glare shield for a mobile telephone
US20170172267A1 (en)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US20170255229A1 (en) Virtual reality viewer
KR101851292B1 (ko)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US20150318888A1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47424Y1 (ko) 지지대가 구비된 이중 체결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605403B1 (ko) 휴대기기 케이스
KR200481246Y1 (ko) 슬라이딩 휴대전화 케이스
KR101793374B1 (ko)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KR200477277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90393Y1 (ko) 액세서리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200461864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CN113124278A (zh) 配件护套
KR200481933Y1 (ko) 링끼움구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2582819B1 (ko) 자동 개폐가 가능한 원터치 스마트폰 케이스
KR102626226B1 (ko) 폴더블 휴대기기용 부착형 자동 힌지 보호 커버
KR101560815B1 (ko)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