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751A -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751A
KR20160061751A KR1020140164534A KR20140164534A KR20160061751A KR 20160061751 A KR20160061751 A KR 20160061751A KR 1020140164534 A KR1020140164534 A KR 1020140164534A KR 20140164534 A KR20140164534 A KR 20140164534A KR 20160061751 A KR20160061751 A KR 20160061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base
fixed
hold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귀
Original Assignee
이성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귀 filed Critical 이성귀
Priority to KR102014016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1751A/ko
Publication of KR2016006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착을 통해 고정되어 휴대 단말기의 용이한 그립성을 확보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거치시에 휴대 단말기을 다양한 각도로 기립시켜 안정된 시야각을 확보하는 한편, 이미지 시트의 접착을 통해서 개인의 독특한 개성을 연출하고 또 다양한 회사의 로고나 광고가 인쇄된 이미지 시트를 접착시켜서 향상된 홍보효과를 갖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 일지점에 배면에 접착시트를 통해 접착하여 고정되며, 조인트홈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조인트홈에 단부에 형성된 볼조인트를 삽입시켜, 베이스부에 볼 조인트형 절곡구조로 고정되는 홀더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 단말기 핑거홀더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배면에 접착시트가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의 배면 일지점에 고정되는 고정 베이스와; 상기 고정 베이스의 전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며, 편심부에 조인트홈이 형성되어 홀더링을 편심부에 고정시킨 회동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회동 베이스는 고정 베이스를 중심으로 정역 회전하여 편심부에 설치된 홀더링의 절곡지점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Portable finger holder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핑거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착을 통해 고정되어 휴대 단말기의 용이한 그립성을 확보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거치시에 휴대 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기립시켜 안정된 시야각을 확보하는 한편, 이미지 시트의 접착을 통해서 개인의 독특한 개성을 연출하고 또 다양한 회사의 로고나 광고가 인쇄된 이미지 시트를 접착시켜서 향상된 홍보효과를 갖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휴대 단말기, PDA, PMP, 전자사전, 게임기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 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인터넷 사용, 전화 통화, 영화 감상, 정보 확인 등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 중에서 최근에 출시된 휴대 단말기, 태블릿 PC 등은 전화 통화, 문자 메시지의 수발신 기능뿐만 아니라 문서 작업, 인터넷 사용, 이메일 수발신 등과 같이 그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됨 없이 사용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주로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받고 표출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휴대용 단말기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은 상태로 나머지 손으로 스크린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과 제약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동영상 등을 시청할 경우 사용자는 장시간 시청을 위해 휴대용 단말기를 지면에 내려놓게 되는데, 휴대용 단말기가 지면에 놓일 경우 시청각이 확보되지 않아 시청에 불편함이 많다.
그리고, 스피커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위치한 경우 소리가 제대로 들리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도 홀더링에 손가락을 삽입시켜 휴대 단말기의 안정된 그립을 도모하고, 또 홀더링의 절곡을 통해 휴대 단말기을 다양한 각도로 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기구인 핑거홀더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핑거홀더를 휴대 단말기에 설치하면, 휴대 단말기의 안정된 그립이 가능하고, 또 휴대 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기립시켜서 안정된 시야각의 확보가 가능하다.
그런데, 종래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는 베이스의 일지점에 홀더링이 절곡구조로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져, 외관적으로 밋밋할 뿐 아니라, 기능적으로 홀더링을 다양한 지점에서 절곡하는 것이 어려워 손이 작은 사용자는 파지에 따른 어려움이 발생되기도 하고, 또 절곡된 홀더링의 기립위치와 휴대 단말기의 무게 중심이 일치하지 아니할 경우 휴대 단말기의 안정된 기립이 어려운 한계성이 지적되고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0733호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9381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착을 통해 고정되어 휴대 단말기의 용이한 그립성을 확보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거치시에 휴대 단말기을 다양한 각도로 기립시켜 안정된 시야각을 확보하고, 또 이미지 시트의 접착을 통해서 개인의 독특한 개성을 연출하고 또 다양한 회사의 로고나 광고가 인쇄된 이미지 시트를 접착시켜서 향상된 홍보효과를 갖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 일지점에 배면에 접착시트를 통해 접착하여 고정되며, 조인트홈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조인트홈에 단부에 형성된 볼조인트를 삽입시켜, 베이스부에 볼 조인트형 절곡구조로 고정되는 홀더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 단말기 핑거홀더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배면에 접착시트가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의 배면 일지점에 고정되는 고정 베이스와; 상기 고정 베이스의 전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며, 편심부에 조인트홈이 형성되어 홀더링을 편심부에 볼 조인트형 절곡구조로 고정시킨 회동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회동 베이스는 고정 베이스를 중심으로 정역 회전하여 편심부에 설치된 홀더링의 절곡지점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는 이미지 시트가 접착되는 시트 부착부가 형성되어, 이미지 시트는 베이스부의 전면에 형성된 시트 부착부에 접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노출되게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 부착부는 베이스부의 전면에 회동구조로 고정되는 회전편와, 상기 회전편의 전면에 덧씌워지는 투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편에 접합된 이미지는 투시창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 부착부를 구성하는 회동 플레이터의 하부 일지점에는 웨이트가 배치되어 회전편는 웨이트에 의해 무게중심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립방향이 변경되더라도 회전편 및 회전편에 부착된 이미지 시트는 웨이트에 의해 하부에 형성된 무게중심에 의해 항시 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회동 베이스에는 외벽에 개구부가 형성된 수납포켓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수납포켓에는 선회암의 단부에 렌즈필터가 고정된 필터부재가 회동핀을 통해 선회구조로 설치되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회동핀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선회하면 수납포켓에 수납된 상태를 형성하고, 회동핀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선회하면 수납포켓에서 인출되는 한편,
상기 회동 브라켓에서 인출된 각 필터부재는 회동 브라켓을 통해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각도로의 절곡이 가능한 홀더링을 통해 용이한 그립성과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각도로의 기립이 가능하도록 한 핑거홀더를 제공함에 있어, 베이스부를 고정 베이스와 상기 고정 베이스에 회동구조로 고정되며 편심부에 홀더링을 볼 조인트형 절곡구조로 고정한 회동 베이스로 구성하여서, 상기 회동 베이스의 회동을 통해 홀더링의 절곡지점이 변경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링은 회동 베이스의 회전을 통해 절곡지점을 변경시켜 절곡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손 크기를 고려하여 홀더링의 절곡지점을 변경시켜서 안정된 그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홀더링을 통한 휴대 단말기의 지지시에도 회동 베이스의 회전을 통해 홀더링의 절곡지점을 변경시켜서 휴대 단말기의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 시트 부착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시트 부착부에 사진 등의 다양한 이미지 시트를 부착시켜 독특한 개성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다양한 회사의 로고나 광고가 인쇄된 이미지 시트를 접착시켜서 향상된 홍보효과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시트 부착부를 구성하는 회전 플레이트는 웨이트에 의해 무게중심이 항시 하부에 형성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거치방향을 변경하더라도 회전 플레이트 및 이에 부착된 이미지는 항시 정방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부에 평상시에는 베이스부에 수납되고, 필요시 외부로 전개되어서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 렌즈에 렌즈필터를 적층하는 필터부재를 배치하고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렌즈필터를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배치시켜서 요하는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를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시켜 그립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에 있어, 이미지 부착부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에 있어, 필터부재의 전개 및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를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시켜 그립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에 있어, 이미지 부착부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에 있어, 필터부재의 전개 및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배면에 접착을 통해 고정되어 휴대 단말기의 용이한 그립을 제공하고, 또 휴대 단말기의 거치시에 휴대 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지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보조기구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1)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배면 일지점에 배면을 접착시켜 고정되며, 편심부에 조인트홈(12a)이 형성된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조인트홈(12a)에 단부에 형성된 볼조인트(31)를 삽입시켜, 베이스부(10)의 편심부에 볼 조인트형 절곡구조로 고정되는 홀더링(30)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의 편심부에 볼 조인트형 절곡구조로 고정된 홀더링(30)을 내측으로 절곡시킨 다음, 상기 홀더링(30)에 손가락을 삽입시켜 휴대 단말기(100)를 안정되게 파지하고, 또 내측으로 절곡된 홀더링을 통해 휴대 단말기(100)를 지지시켜 휴대 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기립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더링(30), 베이스부(10), 또는 이들 양자에 야광물질을 혼입시켜 야간에 혼입된 야광물질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야간 식별력을 향상함과 동시에 야광물질에 의해 독특한 미감이 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홀더링(30)을 편심부에 볼 조인트형 절곡구조로 고정한 베이스부(10)를, 배면에 접착시트(11a)가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100)의 배면 일지점에 고정되는 고정 베이스(11)와; 상기 고정 베이스(11)의 전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며 홀더링(30)을 편심부에 고정한 회동 베이스(12)로 분할 구성하여, 고정 베이스(11)를 중심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회동 베이스(12)에 의해 홀더링(3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홀더링(30)은 볼 조인트형 절곡구조를 통한 절곡과, 회동 베이스(12)의 정역 회전을 통한 위치 변경을 통해 다양한 지점에서 위치를 변경하여 절곡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이나 휴대 단말기(100)의 지지 형상을 고려하여 회동 베이스(12)의 회전을 통한 홀더링(30)의 절곡지점을 변경하여서, 휴대 단말기(100)의 안정된 그립과 안정된 지지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전면에 이미지 시트(S)가 부착되는 시트 부착부(20)를 형성하여,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저면에 형성된 시트 부착부(20)에 이미지 시트(S)를 부착시켜서 독특한 미감을 연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 부착부(20)는 베이스부(10)의 전면에 회동축(21a)을 통해 회동구조로 고정되는 회전편(21)와, 상기 회전편(21)의 전면에 덧씌워지는 투시창(22)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편(21)에 접합된 이미지 시트(S)는 투시창(22)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편(21)의 하부 일지점에 웨이트(23)를 배치하여 상기 회전편(21)는 웨이트(23)에 의해 무게중심이 하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기립방향이 가로나 세로 등 다양하게 변경하더라도, 상기 회전편(21) 및 회전편(21)에 접합된 이미지 시트(S)는 방향이 변경되지 아니하고, 웨이트(23)에 의해 하부에 형성된 무게중심에 의해 항시 정방향으로 정렬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1)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핑거홀더에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배치된 카메라 렌즈(110)의 전면에 다양한 필터링 기능을 도모하는 필터부재(40)를 마련하여서, 영상의 촬영시 사용자는 베이스부(10)에 수납된 필터부재(40)의 렌즈필터(42)를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 렌즈(110)에 위치시켜서, 영상 촬영에 따른 다양한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베이스(1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 베이스(12)에, 개구부가 형성된 수납포켓(13)들이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각 수납포켓(13)에는 선회암(41)의 단부에 렌즈필터(42)가 고정된 필터부재(40)를 회동핀(43)을 통해 선회구조로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재(40)는 평상시에는 회동핀(43)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선회하여 수납포켓(13)에 수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아니하고, 영상의 촬영 등 필요시 회동핀(43)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선회하여 수납포켓(13)에서 인출된 다음, 회동 베이스(12)를 통해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 렌즈(110)를 커버하게 된다.
이때, 각 필터부재(40)는 독립적으로 선회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 베이스(12)의 중심에 중심기어(44)를 배치하고, 상기 중심기어(44)와 외접하는 필터부재(40)의 선회암(41)에 중심기어(44)와 치합되는 연동기어(41a)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어느 하나의 필터부재(40)가 외측으로 전개되면 나머지 필터 부재(40)는 중심기어(44)를 통해 연동하여 외측으로 선회하므로, 각 필터부재(40)를 수납포켓(13)에서 인출하는 번거로움 없이 하나의 필터부재(40)를 인출하는 과정을 통해 나머지 각 수납포켓(13)에 수납된 필터부재(40)의 일괄적인 인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각 수납포켓(13)에 수납되어 회동 브라켓의 외측으로 인출된 필터부재(40)는, 도 4 및 도 5b와 같이 고정 베이스(1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 베이스의 회전에 의해 선회하면서,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 렌즈(110)의 전면에 위치하여서 카메라 렌즈(110)의 필터링 기능을 도모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회동 브라켓의 정역 회전을 통해 요구되는 필터링 기능을 도모하는 렌즈필터가 마련된 필터부재를 택일하여,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카메라 렌즈의 전면에 위치시켜서 카메라 렌즈의 필터링 기능을 도모할 수 있다.
1.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10. 베이스부 11. 고정 베이스
11a. 접착시트 12. 회동 베이스
12a. 조인트홈 13. 수납포켓
20. 시트 부착부 21. 회전편
21a. 회동축 22. 투시창
23. 웨이트
30. 홀더링 31. 볼조인트
40. 필터부재 41. 선회암
41a. 연동기어 42. 렌즈필터
43. 회동핀 44. 중심기어
100. 휴대 단말기
110. 카메라 렌즈

Claims (4)

  1. 휴대 단말기의 배면 일지점에 배면에 접착시트를 통해 접착하여 고정되며, 조인트홈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조인트홈에 단부에 형성된 볼조인트를 삽입시켜, 베이스부에 볼 조인트형 절곡구조로 고정되는 홀더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 단말기 핑거홀더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배면에 접착시트가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의 배면 일지점에 고정되는 고정 베이스와; 상기 고정 베이스의 전면에 회동구조로 배치되며, 편심부에 조인트홈이 형성되어 홀더링을 편심부에 고정시킨 회동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회동 베이스는 고정 베이스를 중심으로 정역 회전하여 편심부에 설치된 홀더링의 절곡지점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전면에는 이미지 시트가 접착되는 시트 부착부가 형성되어, 이미지 시트는 베이스부의 전면에 형성된 시트 부착부에 접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노출되게 배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착부는 베이스부의 전면에 회동구조로 고정되는 회전편와, 상기 회전편의 전면에 덧씌워지는 투시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편에 접합된 이미지는 투시창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착부를 구성하는 회동 플레이터의 하부 일지점에는 웨이트가 배치되어 회전편는 웨이트에 의해 무게중심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립방향이 변경되더라도 회전편 및 회전편에 부착된 이미지 시트는 웨이트에 의해 하부에 형성된 무게중심에 의해 항시 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KR1020140164534A 2014-11-24 2014-11-24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KR20160061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534A KR20160061751A (ko) 2014-11-24 2014-11-24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534A KR20160061751A (ko) 2014-11-24 2014-11-24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751A true KR20160061751A (ko) 2016-06-01

Family

ID=5613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534A KR20160061751A (ko) 2014-11-24 2014-11-24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17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82Y1 (ko) * 2017-02-24 2017-08-22 (주)유윈씨앤티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JP2020043529A (ja) * 2018-09-13 2020-03-19 エレコム株式会社 携帯端末用把持具
WO2020181844A1 (zh) * 2019-03-08 2020-09-17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指环支架
WO2020181843A1 (zh) * 2019-03-08 2020-09-17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指环支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82Y1 (ko) * 2017-02-24 2017-08-22 (주)유윈씨앤티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JP2020043529A (ja) * 2018-09-13 2020-03-19 エレコム株式会社 携帯端末用把持具
WO2020181844A1 (zh) * 2019-03-08 2020-09-17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指环支架
WO2020181843A1 (zh) * 2019-03-08 2020-09-17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指环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3147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730345B2 (en) Supporting apparatus of housing
CN102084315B (zh) 带有支架的电子装置夹持器
CN101998786B (zh) 便携式电子装置
WO2016065542A1 (zh) 具有柔性屏幕的电子装置
KR101875326B1 (ko)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316363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061751A (ko)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KR200488765Y1 (ko)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JP5947778B2 (ja) 電子機器用スタンド及びスタンド付き電子機器
JP2010268237A (ja) 携帯情報機器用ケース
US20130284614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CN109873883A (zh) 一种可折叠屏幕的手机
JP3114439U (ja) 電子カメラ付き携帯電子機器用雲台
TW201834527A (zh) 支撐架
US20210124389A1 (en) Super smartphone
JP2015046074A (ja) 保護カバー
US20200110269A1 (en) Foldable virtual reality display device
KR20180000621U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KR200457661Y1 (ko)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JP6124941B2 (ja) 携帯式電子機器のスタンド構造、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保持方法
KR20160026602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JP2008505584A (ja) 移動通信端末機用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