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326B1 -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326B1
KR101875326B1 KR1020170045534A KR20170045534A KR101875326B1 KR 101875326 B1 KR101875326 B1 KR 101875326B1 KR 1020170045534 A KR1020170045534 A KR 1020170045534A KR 20170045534 A KR20170045534 A KR 20170045534A KR 101875326 B1 KR101875326 B1 KR 101875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ring
hole
coupled
resin tube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장평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평순 filed Critical 장평순
Priority to KR102017004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에 따라 거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에 연결되어 축 회전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를 관통하며 힌지 결합된 거치구를 포함하는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로서, 상기 거치구는 제 1연결홀이 형성된 제 1원형링과, 상기 제 1원형링의 둘레면에 결합된 허브체와, 상기 허브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연결홀이 형성된 제 2원형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ACCESSORY RING HOLDER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에 따라 거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이나 PDA, PMP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는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 전화기능 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을 행할 수 있는 멀티 컨버전스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통신기기 중에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휴대폰의 경우 스크린을 접촉하여 조작할 수 있는 테블릿패드가 탑재됨으로써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의 수,발신 기능은 물론 문서작업, 인터넷 사용 등의 그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겸하는 기종이 대부분이어서 본체 외부로 렌즈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나 스크린 액정의 보호가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각종 다양한 형태의 보호커버가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다양한 층의 감각에 부흥하기 위해 미적 감각을 가미한 악세사리들이 실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용 휴대 단말기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0362330호 공보에는 고정구를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줄에 부착 가능함과 동시에 장신구를 추가로 장착함에 따라 줄의 길이를 짧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기기 및 장신구줄 고정구』에 대해 기재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0871247호 공보에는 반지를 이용하여 손가락에 끼어 휴대하면서 손에 쥐는 방식으로 단말기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동시에 고급스러운 패션화를 추구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손가락-착용 휴대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주로 단말기의 크기가 비교적 작게 생산되던 초기 모델인 플립형이나 폴더형 휴대폰에 적용되었던 것으로 단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다.
한편,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기능의 다양화로 인하여 액정 크기가 4.5인치 이상으로 대형화 되고 있는 반면 두께를 얇게 제작하는 것이 기술력의 척도를 가름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해 대부분의 단말기용 보호커버는 떨어뜨렸을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측면에 치중하여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단말기를 보호커버 내에 수납하여 그대로 손에 쥐거나 혹은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어 다니고 있는 실정이어서 분실로 인한 문제를 유발하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 제0453437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0455688호 공보에는 단말기의 후면에 중지와 약지를 끼워넣기 위한 한쌍의 고리를 장착하거나 혹은 손등 부분을 끼워넣을 수 있는 밴드유닛을 장착함으로써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액정 화면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손가락이 끼워지는 고리가 별개로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방향을 맞춘 상태에서 2개의 고리에 손가락을 모두 착용을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 후자의 경우 손등 부분을 끼워 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는 수단에 불과할 뿐이므로 휴대시의 불편함을 감수해야 함은 물론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인해 사용상의 한계를 갖는 것이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특허 제 128078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말기 케이스나 혹은 보호커버에 탈,부착이 가능한 수단 및 회전이 자유롭고 임의 각도로 유지될 수 있는 링홀더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손가락을 끼워넣어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액정 화면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단말기를 임의 각도로 세워 거치할 수 있는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에 연결되어 축 회전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를 관통하며 힌지 결합된 거치구를 포함하는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로서, 상기 거치구는 제 1연결홀이 형성된 제 1원형링과, 상기 제 1원형링의 둘레면에 결합된 허브체와, 상기 허브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연결홀이 형성된 제 2원형링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부는 비접착부와 상기 비접착부에 밀착 고정된 지지판재와 상기 지지판재에 접착 구성된 접착부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체는 접착부와 축 회전되도록 상기 접착부에 형성된 연결공에 결합되며, 둘레면에 회전통공이 천공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통공에 끼워진 제 1수지관체와 상기 제 1수지관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 1원형링의 제 1연결홀에 결합된 제 1힌지축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수지관체는 아세탈(Polyoxymethylene)을 소재로서 채용하며, 상기 제 1힌지축의 일측 단부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된다.
상기 허브체는 제 2원형링이 결합되도록 회전가이드홀이 천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회전가이드홀에 끼워진 제 2수지관체와 상기 제 2원형링의 제 2연결홀에 결합된 제 2힌지축을 포함한다.
상기 제 2힌지축의 일측 단부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수지관체는 아세탈(Polyoxymethylene)을 소재로서 채용한다.
상기 제 2원형링은 제 1원형링과 결합 시 오메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원형링과 제 2원형링에는 제 2원형링이 제 1원형링과 밀착 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톱퍼가 구성되며, 상기 스톱퍼는 걸림홀 및 걸림돌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단말기 케이스나 혹은 보호커버에 탈,부착이 가능한 수단 및 회전이 자유롭고 임의 각도로 유지될 수 있는 링홀더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손가락을 끼워넣어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액정 화면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단말기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위치시킨 뒤 임의 각도로 세워 거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상당한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접혀진 상태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접착부를 횡방향으로 절개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스마트폰이 세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스마트폰이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접혀진 상태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접착부를 횡방향으로 절개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스마트폰이 세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스마트폰이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접착부(10)와 접착부(10)에 연결된 연결체(30)와 연결체(30)를 관통하며 결합된 거치구(50)를 포함한다.
접착부(10)는 비접착부(12)와 비접착부(12)에 밀착 고정된 지지판재(13)와 지지판재(13)에 접착 구성된 패널접착부(16)로 구성된다.
접착부(10)는 직사각형, 삼각형,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비접착부(12)와 지지판재(13) 및 패널접착부(16)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적층 구성되며, 크기별로 보면 비접착부(12)가 지지판재(13) 및 패널접착부(16)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규격을 갖는다.
또한 지지판재(13)는 비접착부(12)와 패널접착부(16)의 사이에 게재되며, 금속성 판넬로 구성된다. 지지판재(13)의 중앙부 또는 중앙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일측에는 연결체(30)가 결합되도록 연결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체(30)는 패널접착부(16)와 축 회전되도록 패널접착부(16)에 형성된 연결공(14)에 결합되며, 둘레면에 회전통공(32a)이 천공된 회전부(32)와, 회전부의 회전통공(32a)에 끼워진 제 1수지관체(34)와, 제 1수지관체(34)를 관통하여 후술하게 될 제 1원형링의 제 1연결홀(52a)에 결합된 제 1힌지축(36)을 포함한다.
회전부(32)는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알루미늄과 같이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재가 소재로서 사용되며,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회전부(32)의 둘레면에는 회전통공(32a)이 천공되며, 1cm 내외의 직경으로 천공된다.
회전부의 회전통공(32a)에는 아세탈(Polyoxymethylene)을 소재로서 채용한 제 1수지관체(34)가 끼워진다. 제 1수지관체(34)의 외경은 회전통공(32a)에 비해 상대적으로 예를 들어 0.01mm정도 크게 형성되어 회전통공(32a)에 끼움 결합 시 억지 끼움되도록 결합된다.
즉, 제 1수지관체(34)는 둘레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돌기(34a)가 돌출되어 있어서 회전통공(32a)에 끼움 결합 시 관통된 중앙부를 향하여 다수개의 돌기(34a)가 오므라지게 되면서 결합된다.
이때, 제 1수지관체(34)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34a)들은 기어의 치산과 같이 구성되거나, 삼각뿔 형상 또는 반원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 1수지관체(34)의 둘레면에 다수개의 돌기(34a)들을 구성하여 회전통공(32a)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할 경우에는 제 1수지관체(34)가 회전통공(32a)에 끼움 결합된 후 장기간 회전되어 다수개의 돌기(34a)가 일부 마모되더라도 제 1수지관체(34)의 형상복원력에 따라 회전통공(32a)과의 밀착력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수지관체(34)의 둘레면 마모로 인한 헐거움과 같은 문제점을 완벽하게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수지관체(34)의 관통된 내부에는 제 1힌지축(36)이 끼워지게 된다. 제 1힌지축(36)은 회전부(32)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며, 일측에 기어 형상을 갖는 세레이션(36a)이 형성된다.
세레이션(36a)은 제 1원형링(52)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며 끼움 결합 시 후술하게 될 거치구의 제 1원형링(52)과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 1힌지축(36)은 제 1원형링(52)의 양측 단부가 연결체의 회전부(32)를 중심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 1원형링의 제 1연결홀(52a)과 제 1수지관체(3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 1연결홀(52a)의 반대측에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 1힌지축(36)은 제 1수지관체(34)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제 1수지관체(34)에 억지 끼움되는 형태로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힌지축(36)은 제 1원형링(52)이 회전부의 회전통공(32a)을 중심으로 축회전될 수 있게 되며, 회전통공(32a)에 끼워진 제 1수지관체(34)에 의해 조금 빡빡한 상태로서 회동하게 된다.
한편, 회전부의 회전통공(32a)에는 스마트폰을 일정각도로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거치구(50)가 결합된다.
거치구(50)는 제 1연결홀(52a)이 형성된 제 1원형링(52)과, 제 1원형링(52)의 둘레면에 결합된 허브체(55)와, 허브체(5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연결홀(52a)이 형성된 제 2원형링(59)을 포함한다.
제 1원형링(52)은 내식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와 같이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소재가 사용되며, 내경이 22~24mm의 규격으로 구성된다.
제 1원형링(52)의 둘레면 중 일부는 전술한 회전부(32)의 외경보다 조금 큰 간격이 유지되도록 절개된다.
또한 제 1원형링(52)의 둘레면 중 절개된 부위에서 반대부위에는 허브체(55)가 일체로 구성된다.
허브체(55)는 제 2원형링(52)이 결합되도록 회전가이드홀(56a)이 천공된 하우징(56)과 상기 하우징의 회전가이드홀(56a)에 끼워진 제 2수지관체(57)와 제 2원형링의 제 2연결홀(59a)에 결합된 제 2힌지축(58)을 포함한다.
하우징(56)은 제 1원형링(52) 및 제 2원형링(59)과 동일한 소재로 구성된다. 하우징(56)의 일측에는 제 1원형링(52)이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반대측에는 회전가이드홀(56a)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제 2원형링(59)의 경우 회전가이드홀(56a)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제 2원형링(59)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각각 결합된다. 제 2원형링(59)이 결합되기 전 상태는 제 1원형링(52)의 둘레면과 동일한 곡면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2원형링(59)이 회전가이들홀(56a)을 중심으로 결합이 완료되면, 제 2원형링(59)의 내주면이 제 1원형링(52)의 외주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 2원형링(59)의 내주면과 제 1원형링(52)의 외주면의 직경은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거나 제 2원형링(59)의 내경이 제 1원형링(52)의 외경보다 0.01mm정도 크게 형성되어 제 2원형링(59)의 내주면이 제 1원형링(52)의 외주면과 스치듯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가이드홀(56a)에는 제 2원형링(59)이 빡빡한 회전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2수지관체(57)와 제 2힌지축(58)이 결합된다.
제 2수지관체(57)는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아세탈(Polyoxymethylene)을 소재로서 채용하며, 하우징(56)의 외경을 초과하지 않는 길이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 2수지관체(57)는 둘레면에 제 1수지관체(34)와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돌기(57a)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힌지축(58)은 일측 단부에 세레이션(5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원형링(59)에 형성된 제 2연결홀(59a)을 통해 끼워지면서 제 2수지관체(57)를 통과하여 고정된다.
즉, 제 2힌지축(58)은 제 2원형링(59)이 하우징(56)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 2연결홀(59a)의 일측으로 끼워진 후 제 2수지관체(57)를 통과하여 반대측 제 2연결홀(59a)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제 2원형링(59)은 허브체(55)를 중심으로 빡빡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2원형링(59)이 허브체(55)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각적으로 보면 전체적으로 오메가 형상을 갖게 된다.
한편, 제 1원형링(52)과 제 2원형링(59)에는 제 2원형링(59)이 제 1원형링(52)과 밀착 시 제 2원형링(59)이 제 1원형링(52)의 외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스톱퍼(70)가 구성된다.
스톱퍼(70)는 걸림홀(74)과 걸림돌기(72)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홀(74)과 걸림돌기(72)는 제 1원형링(52)에 걸림홀(74)이 형성되거나 제 2원형링(59)에 걸림돌기(7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걸림홀(74)이 제 2원형링(59)에 형성되고 걸림돌기(72)가 제 1원형링(5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톱퍼(70)가 제 1원형링(52)과 제 2원형링(59)에 형성되면, 제 2원형링(59)이 제 1원형링(52)과 밀착된 상태에서 일정한 힘으로 제 2원형링(59)을 회전시키지 않을 경우, 제 2원형링(59)과 제 1원형링(52)은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작용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1원형링(52)에서 제 2원형링(59)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톱퍼(70)에 의해 제 1원형링(52)과 제 2원형링(59)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스마트폰을 가로 방향으로 돌려 배치시킨 상태에서는 제 1원형링(52)과 제 2원형링(59)을 연결체(30)를 중심으로 모두 회전시켜 허브체(55)가 지면에 닿도록 한다. 스마트폰의 세움각도는 제 1원형링(525)과 제 2원형링(59)이 수직에 가까울수록 스마트폰이 수직에 가깝게 세워질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세로 방향으로 돌려 배치시킨 상태에서는 제 2원형링(59)을 당겨 제 1원형링(52)에서 분리시킨다.
제 2원형링(59)이 허브체(55)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제 2원형링(59)이 지면과 닿게 되면, 제 1원형링(52)과 제 2원형링(59)이 평행한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제 2원형링(59)이 수직에 가깝게 배치될수록 스마트폰의 세움 각도는 수직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원형링(52)과 제 2원형링(59)이 연결체(30)와 허브체(55)를 중심으로 회전될때에는 회전부(32)와 허브체(55)의 내부에 수용된 제 1 및 제 2수지관체(34)(57)가 제 1 및 제 2힌지축(36)(58)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제 1 및 제 2수지관체(34)(57)의 경우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돌기(34a)(57a)들이 연결체의 회전통공(32a) 내주면과 허브체의 회전가이드홀(56a) 내주면을 형상복원력으로 계속 밀착시키게 됨으로써 제 1원형링(52)과 제 2원형링(59)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헐거워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대로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최근 스마트폰을 세로방향으로 세워 스마트폰을 시청하는 문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상당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접착부
12: 비접착부
13: 지지판재
14: 연결공
16: 패널접착부
30: 연결체
32: 회전부
32a: 회전통공
34: 제 1수지관체
34a: 돌기
36: 제 1힌지축
36a: 세레이션
50: 거치구
52: 제 1원형링
52a: 제 1연결홀
55: 허브체
56: 하우징
56a: 회전가이드홀
57: 제 2수지관체
57a: 돌기
58: 제 2힌지축
58a: 세레이션
59: 제 2원형링
59a: 제 2연결홀
70: 스톱퍼
72: 걸림돌기
74: 걸림홀
100: 스마트폰 거치대

Claims (11)

  1.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에 연결되어 축 회전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를 관통하며 힌지 결합된 거치구를 포함하는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로서,
    상기 거치구는 제 1연결홀이 형성된 제 1원형링과, 상기 제 1원형링의 둘레면에 결합된 허브체와, 상기 허브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연결홀이 형성된 제 2원형링을 포함하며,
    상기 허브체는 제 2원형링이 결합되도록 회전가이드홀이 천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회전가이드홀에 끼워진 제 2수지관체와 상기 제 2원형링의 제 2연결홀에 결합된 제 2힌지축을 포함하는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비접착부와 상기 비접착부에 밀착 고정된 지지판재와 상기 지지판재에 접착 구성된 패널접착부로 구성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접착부와 축 회전되도록 상기 접착부에 형성된 연결공에 결합되며, 둘레면에 회전통공이 천공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통공에 끼워진 제 1수지관체와 상기 제 1수지관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 1원형링의 제 1연결홀에 결합된 제 1힌지축을 포함하는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지관체는 아세탈(Polyoxymethylene)을 소재로서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힌지축의 일측 단부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힌지축의 일측 단부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수지관체는 아세탈(Polyoxymethylene)을 소재로서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원형링은 제 1원형링과 결합 시 오메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원형링과 제 2원형링에는 제 2원형링이 제 1원형링과 밀착 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톱퍼가 구성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걸림홀 및 걸림돌기로 구성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70045534A 2017-04-07 2017-04-07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87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534A KR101875326B1 (ko) 2017-04-07 2017-04-07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534A KR101875326B1 (ko) 2017-04-07 2017-04-07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326B1 true KR101875326B1 (ko) 2018-08-02

Family

ID=6325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534A KR101875326B1 (ko) 2017-04-07 2017-04-07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32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65Y1 (ko) * 2017-12-13 2019-07-04 박경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WO2020141842A1 (ko) * 2018-12-31 2020-07-09 이승민 폴더블폰 스탠드
KR102133135B1 (ko) 2019-10-31 2020-07-10 박광현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200493233Y1 (ko) * 2020-02-14 2021-02-24 주식회사 지비스텔라 거치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210052178A (ko) 2020-07-02 2021-05-10 박광현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20210063696A (ko) 2019-11-25 2021-06-02 박광현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102378927B1 (ko) 2021-09-14 2022-03-25 강호민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0750A1 (en) * 2007-10-03 2009-04-09 Wendell Alcenat Finger holder for electronic accessories
KR20120008718U (ko) * 2011-06-10 2012-12-20 (주)스마트이지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101280783B1 (ko) 2012-05-18 2013-07-05 윤임식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EP2670053A1 (en) * 2011-01-24 2013-12-04 Seung Hoon Lee Case for a mobile terminal
KR101453889B1 (ko) *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CN204887115U (zh) * 2015-09-08 2015-12-16 李光 指环支架
US9392865B2 (en) * 2014-12-04 2016-07-19 Sigal Shmulevich Electronic device theft prevention assemb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90750A1 (en) * 2007-10-03 2009-04-09 Wendell Alcenat Finger holder for electronic accessories
EP2670053A1 (en) * 2011-01-24 2013-12-04 Seung Hoon Lee Case for a mobile terminal
KR20120008718U (ko) * 2011-06-10 2012-12-20 (주)스마트이지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101280783B1 (ko) 2012-05-18 2013-07-05 윤임식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453889B1 (ko) *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US9392865B2 (en) * 2014-12-04 2016-07-19 Sigal Shmulevich Electronic device theft prevention assembly
CN204887115U (zh) * 2015-09-08 2015-12-16 李光 指环支架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65Y1 (ko) * 2017-12-13 2019-07-04 박경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WO2020141842A1 (ko) * 2018-12-31 2020-07-09 이승민 폴더블폰 스탠드
KR102133135B1 (ko) 2019-10-31 2020-07-10 박광현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20210063696A (ko) 2019-11-25 2021-06-02 박광현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200493233Y1 (ko) * 2020-02-14 2021-02-24 주식회사 지비스텔라 거치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210052178A (ko) 2020-07-02 2021-05-10 박광현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102378927B1 (ko) 2021-09-14 2022-03-25 강호민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326B1 (ko)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8765Y1 (ko)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US10278299B2 (en) Stand for electronic device
KR101735010B1 (ko) 링 케이스
JP5483407B2 (ja) 携帯情報機器用ケース
KR200453437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CN101998786A (zh) 便携式电子装置
KR101392562B1 (k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EP3018889B1 (e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JP2008527324A (ja) イヤホン機能付き腕時計
US20180069580A1 (en) Cell bracelet/necklace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JP2016111681A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20160061751A (ko) 휴대 단말기용 핑거홀더
KR200447424Y1 (ko) 지지대가 구비된 이중 체결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0678040B1 (ko) 향수병 타입 휴대용 단말기
CN204031245U (zh) 随身手机支架钥匙扣
CN217406588U (zh) 指环支架
KR100741013B1 (ko) 스윙형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KR200456530Y1 (ko) 휴대폰 거치 장치
KR102272058B1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KR200455688Y1 (ko)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KR20200075561A (ko) 휴대전자제품 휴대용 및 거치용 폴딩형 스트랩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