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688Y1 -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 Google Patents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688Y1
KR200455688Y1 KR2020110003670U KR20110003670U KR200455688Y1 KR 200455688 Y1 KR200455688 Y1 KR 200455688Y1 KR 2020110003670 U KR2020110003670 U KR 2020110003670U KR 20110003670 U KR20110003670 U KR 20110003670U KR 200455688 Y1 KR200455688 Y1 KR 200455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ip band
grip
han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이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훈 filed Critical 이승훈
Priority to KR2020110003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6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688Y1/ko
Priority to PCT/KR2012/003068 priority patent/WO201214813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Handles; Gr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본체 및 제2본체와; 일단부는 상기 제1본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외부로 드러난 그립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된 접촉상태와 상기 단말기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그립상태로 신축가능하게 구비되는 그립밴드와;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를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GRIP BAND UNIT FOR HOLDING TERMINAL}
본 고안은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단말기의 배면에 결합되어 삽입되는 사용자의 손을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그 손의 손가락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액정 화면이나 키패드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PMP, 게임기, 전자사전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 또는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정보기기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무선통신망을 사용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도 인터넷 사용, 전화 통화, 영화 감상 등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 중에서 최근에 출시된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은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수발신 기능뿐만 아니라 문서 작업, 인터넷 사용, 이메일 수발신 등의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됨 없이 사용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는 통상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받게 되므로 모바일 단말기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나머지 한 손으로 스크린을 조작해야만 하는 불편함과 제약이 있다. 이에 보다 안정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그 손의 손가락으로 스크린을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그립상태를 지지할 수 있는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위치, 결합방향 등을 자유롭게 변경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는 밴드의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다양한 크기의 단말기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은,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본체 및 제2본체와; 일단부는 상기 제1본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외부로 드러난 그립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된 접촉상태와 상기 단말기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그립상태로 되도록 신축가능하게 구비되는 그립밴드와;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를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는 결합바의 양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의 간격은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간의 길이는 가변가능하게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권취되며 상기 그립밴드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자동권취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자동권취수단은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축에 권취된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그립밴드의 길이를 변화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밴드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비된다.
본 고안의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에 따르면, 사용자가 그립밴드에 손을 삽입하면 그립밴드에 의해 손등이 가압되며 한 손으로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그립밴드에 삽입되지 않은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한 손으로 단말기의 위치고정과 정보입력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립밴드가 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단말기가 손에서 분리되어 낙하될 위험이 없고, 그립밴드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한 손이 자유상태이므로 단말기 사용을 제외한 다른 활동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탈부착하여 그 부착위치를 원하는 대로 변경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립밴드를 지지하는 한 쌍의 본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크기의 단말기에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이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이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의 측면도와 내부 단면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에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단말기를 잡은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의 측면도와 내부 단면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이 다양한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이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이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의 측면도와 내부 단면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100)은 단말기(A)의 배면에 부착되는 결합바(110)와, 결합바(110)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결합바(110)의 외부로 노출된 그립영역으로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그립밴드(120)와, 결합바(110)를 단말기(A)의 배면에 부착시키는 부착수단(130)을 포함한다.
결합바(110)는 부착수단(130)에 의해 단말기(A)의 배면에 부착된다. 결합바(110)는 단말기(A)의 배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된 그립밴드(120)에 사용자의 손이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사용자가 단말기(A)를 손에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바(110)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싱(113)과 상부케이싱(111)이 상호 조립되어 구비된다. 상부케이싱(111)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에는 그립밴드(12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밴드노출공(115)이 각각 구비된다. 밴드노출공(115)의 내측에는 그립밴드(120)의 양단부 영역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축(140)이 수용된다.
지지축(140)은 밴드노출공(115)의 폭에 비해 직경이 크게 구비되어 외주연에 결합된 그립밴드(120)의 양단부 영역이 밴드노출공(115)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100)의 제조시에는 상부케이싱(111)과 하부케이싱(113)을 분리한 후, 밴드노출공(115)을 통해 그립밴드(120)의 양단부를 상부케이싱(111) 내부로 삽입하고, 양단부를 각각 지지축(140)에 고정시키고, 상부케이싱(111)과 하부케이싱(113)을 조립하여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바(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바의 형태로 구비되거나, 원형 및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과, 바나나 등과 같은 사물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바(110)는 단순히 그립밴드(120)를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의 역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A)의 배면에 부착되는 악세사리의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A)의 재질과 색상,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그에 어울릴 수 있는 결합바(110)의 디자인과 크기를 본인의 취향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립밴드(120)는 결합바(110)에 양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그립영역으로 손을 삽입하여 단말기를 손으로 잡을 수 있다. 그립밴드(120)는 사용자가 손을 삽입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바(110)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고, 사용자가 손을 삽입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바(11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그립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그립밴드(120)는 그립영역의 길이가 가변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립밴드(120)는 양단부가 결합바(110) 내부의 지지축(140)에 고정된 상태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탄성재질로 구비된다. 그립밴드(120)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기 전에는 길이가 수축된 초기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면 탄성적으로 길이가 신장된다.
그립상태에서 그립밴드(120)는 탄성적으로 길이가 신장되나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사용자가 강제로 그립밴드(120) 외부로 손을 빼지 않는 한, 손이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사용자의 손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기를 잡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립밴드(120)는 양단부가 지지축(140)에 각각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지지축(140) 없이 그 양단부 자체를 통해 바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또한 그 양단부가 상호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즉, 그립밴드(120)의 양단부를 상부케이싱(111)의 밴드노출공(115)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봉제 방법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호 고정시켜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립밴드(120)는 고무줄과 같은 탄성재질로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비탄성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축(140)의 외측에 태엽스프링과 같이 탄성적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부재 또는 자동권취수단(미도시)을 배치하고, 자동권취수단(미도시)에 그립밴드(120)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자동권취수단(미도시)은 지지축(140)에 감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므로 앞서 설명한 탄성재질로 그립밴드(120)가 구비된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립밴드(120)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된 그립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일정 폭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그립밴드(120)가 사용자의 손등을 일정면적 커버하여 장시간 그립상태를 유지한 채 단말기(A)를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손등과 접촉되는 그립밴드(120)의 내측에 섬유 등을 부착할 수도 있다.
부착수단(130)은 결합바(110)가 단말기(A)에 고정되도록 부착력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착수단(130)은 점착제나 양면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점착제나 양면테이프는 결합바(110)의 배면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어 결합바(110)가 단말기(A)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결합된 방향 또는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외력에 의해 결합바(110)를 단말기(A)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결합바(110)를 반복적으로 단말기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100)의 사용 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단말기(A)에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100)을 부착할 위치를 결정하고, 결합바(110)를 단말기(A)의 배면에 부착하여 결합바(1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A)의 배면에 결합바(110)의 위치가 고정되면, 그립밴드(120)는 결합바(110)에 접촉된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단말기(A)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밴드(120)의 내측으로 손을 삽입한다. 손이 삽입되면 그립밴드(120)는 탄성적으로 길이가 신장되며 사용자의 손을 가압한다.
사용자는 그립밴드(120)에 의해 손등이 가압되며 한 손으로 단말기(A)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그립밴드(120)에 삽입되지 않은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한 손으로 단말기의 위치고정과 정보입력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그립밴드(120)가 손을 지지하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단말기가 손에서 분리되어 낙하될 위험이 없고, 그립밴드(120)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한 손이 자유상태이므로 단말기 사용을 제외한 다른 활동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100)의 측면도와 확대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100)은 결합바(110)의 양단부 영역에 그립밴드(120)의 양단부가 결합되므로 그립밴드(120) 사이의 간격(도 3의 L1)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없었다.
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200)은 그립밴드(230)의 양단부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에 각각 결합되어 그립밴드(230) 사이의 간격(L2)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는 작은 크기로 구비되며, 내부에 지지축(250)과 지지축(250)에 권취되는 태엽스프링(260)과 태엽스프링(260)에 결합되는 그립밴드(230)의 일부를 수용한다.
태엽스프링(260)은 지지축(250)을 중심으로 복수회에 걸쳐 권취되어 구비된다. 태엽스프링(260)의 일단부는 지지축(250)에 위치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그립밴드(230)의 단부영역에 고정된다.
태엽스프링(260)은 외력이 인가되면 지지축(250)을 중심으로 풀어지며 그 길이가 길어져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 사이의 그립밴드(230) 길이가 길어지도록 한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부착될 위치에 따라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 사이의 길이를 조절한 후,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 배면의 부착수단(240)을 부착하여 각각 단말기(A)의 배면에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200)은 크기가 작은 휴대폰에서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태블릿 PC까지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200)이 부착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a는 휴대폰(C)의 길이가 짧은 가로방향으로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200)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경우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 사이의 간격이 짧게 조절되어 사용된다.
반면, 도 6b는 게임기(D)의 길이가 긴 가로방향으로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200)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본체(210)와 제2본체(220) 사이의 간격을 넓게 조절하여 부착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200)은 단말기(D)의 배면에 한 개만 부착하거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를 동시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방향으로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110 : 결합바
111 : 상부케이싱 113 : 하부케이싱
115 : 밴드노출공 120 : 그립밴드
130 : 부착수단 140 : 지지축

Claims (5)

  1. 모바일 단말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으로,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본체 및 제2본체와;
    일단부는 상기 제1본체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본체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외부로 드러난 그립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된 접촉상태와 상기 단말기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그립상태 간을 신축가능하게 구비되는 그립밴드와;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를 상기 단말기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시키는 점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인 부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는 결합바의 양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의 길이가 고정되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간의 길이는 가변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권취되며 상기 그립밴드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자동권취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자동권취수단은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축에 권취된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그립밴드의 길이를 변화시키고,
    상기 그립밴드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10003670U 2011-04-28 2011-04-28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KR200455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70U KR200455688Y1 (ko) 2011-04-28 2011-04-28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PCT/KR2012/003068 WO2012148137A2 (ko) 2011-04-28 2012-04-20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70U KR200455688Y1 (ko) 2011-04-28 2011-04-28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688Y1 true KR200455688Y1 (ko) 2011-09-20

Family

ID=4508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670U KR200455688Y1 (ko) 2011-04-28 2011-04-28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5688Y1 (ko)
WO (1) WO201214813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1765A1 (en) * 2016-08-29 2018-03-08 Dadda Di Fagagna Fabrizio Support for objects
CN111637343A (zh) * 2019-03-01 2020-09-08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把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258Y1 (ko) * 2001-02-07 2001-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손바닥 걸이
US20040226973A1 (en) 2003-05-14 2004-11-18 Adomax Technology Co., Ltd. One-hand-holding aid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JP2007144200A (ja) * 2007-01-10 2007-06-14 Nobuyuki Cho ショルダー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
KR100984552B1 (ko) * 2010-03-15 2010-09-30 장용철 휴대용 전자제품홀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9907A (ja) * 2005-03-25 2006-10-12 Motoyoshi Fujimori ベルト保持具付携帯電話機
KR20080018667A (ko) * 2006-08-25 2008-02-28 윤일성 휴대폰용 손가락 거치대
JP2010171731A (ja) * 2009-01-22 2010-08-05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258Y1 (ko) * 2001-02-07 2001-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손바닥 걸이
US20040226973A1 (en) 2003-05-14 2004-11-18 Adomax Technology Co., Ltd. One-hand-holding aid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JP2007144200A (ja) * 2007-01-10 2007-06-14 Nobuyuki Cho ショルダーベルト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
KR100984552B1 (ko) * 2010-03-15 2010-09-30 장용철 휴대용 전자제품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8137A3 (ko) 2013-03-21
WO2012148137A2 (ko)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675B1 (ko) 손목 시계형 스마트 단말기
KR101940565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US8403135B2 (en) Universal ear-bud holder
KR101534488B1 (ko) 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100760278B1 (ko) 무선 헤드셋
KR20170076755A (ko) 가요성 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EP2862474A1 (en) Phone case hair brush
KR200487851Y1 (ko) 휴대폰 거치장치
KR200463097Y1 (ko) 릴타입 이어폰이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탈부착이 가능한 릴타입 이어폰
KR200455688Y1 (ko)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20047100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JP3179614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
KR10171487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
CN101095369A (zh) 带有耳机功能的腕表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JP3175864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ケース
KR102317025B1 (ko) 핸드폰 케이스
KR100563152B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지지구조
CN209881455U (zh) 一种基于tws蓝牙耳机充电盒设有多档式手机支撑软胶带
CN210670185U (zh) 单手操作装置、自拍杆、手机支架、车载支架和移动电源
JP3177647U (ja) スマートフォン用落下防止バンド
KR101370928B1 (ko)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JP3175262U (ja) 把持具
KR20130004145U (ko) 단말기용 핑거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