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851Y1 - 휴대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851Y1
KR200487851Y1 KR2020170004579U KR20170004579U KR200487851Y1 KR 200487851 Y1 KR200487851 Y1 KR 200487851Y1 KR 2020170004579 U KR2020170004579 U KR 2020170004579U KR 20170004579 U KR20170004579 U KR 20170004579U KR 200487851 Y1 KR200487851 Y1 KR 200487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air
mounting
present
elastic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수
Original Assignee
김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수 filed Critical 김만수
Priority to KR2020170004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8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8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배면 또는 상기 휴대폰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의 배면을 포함하는 설치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는,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기구 바디; 상기 한 쌍의 기구 바디를 상기 설치면에 부착시키는 접착부; 및 상기 한 쌍의 기구 바디 사이에 탄성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기구 바디에서 펼쳐질 때 상기 손가락이 걸려 거치되게 하는 접철식 탄성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장치{STAND FOR A SMART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휴대폰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할 때만 당겨서 사용하면 되고 평상시에는 접어두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소위, 스마트폰(SMART PHONE)이라 불리는 휴대폰의 보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량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 출시되는 휴대폰의 경우, 단순 전화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크기가 다소 커지는 추세에 있다. 예컨대, 휴대성과 전화통화만을 위해서는 휴대폰의 크기가 작은 것이 유리하겠지만 영화감상, 인터넷 쇼핑 등을 위해서는 휴대폰의 크기, 즉 액정의 크기가 큰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휴대폰의 전체적인 크기가 다소 커지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고가의 제품이기 때문에 취급에 상당한 주의를 요할 필요가 있다. 즉 휴대폰을 단순히 손으로 파지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떨어뜨릴 우려가 높기 때문에 근래에는 휴대폰 거치장치를 휴대폰에 직접 결합시키거나 휴대폰의 보호케이스에 결합시켜 사용한다.
한편, 최근 출시되는 휴대폰 거치장치의 경우, 링(ring) 형태로 된 돌출형 금속 제품이 대다수를 이룬다.
그런데, 이와 같은 링 형태의 금속 거치장치는 항상 돌출된 상태를 취하기 때문에 호주머니에 휴대폰을 넣을 때 다소 불편할 수도 있으며, 손가락을 끼워 휴대폰을 거치하고자 할 때, 구조적인 단점으로 인해 손가락에 통증을 가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휴대폰 거치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3510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3-002311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7-002843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4265호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휴대폰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할 때만 당겨서 사용하면 되고 평상시에는 접어두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휴대폰의 배면 또는 상기 휴대폰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의 배면을 포함하는 설치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는,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기구 바디; 상기 한 쌍의 기구 바디를 상기 설치면에 부착시키는 접착부; 및 상기 한 쌍의 기구 바디 사이에 탄성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기구 바디에서 펼쳐질 때 상기 손가락이 걸려 거치되게 하는 접철식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는, 배면에 상기 접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기구 바디를 지지하는 바디 지지용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목걸이용 거치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목걸이용 거치기구는, 내부에 줄 권취용 드럼이 마련되며, 상기 설치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기구 하우징; 일단부는 상기 줄 권취용 드럼에 탄성적으로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고 타단부는 상기 기구 하우징의 출입구를 통해 출입되는 목걸이용 탄성줄; 및 상기 기구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목걸이용 탄성줄이 상기 줄 권취용 드럼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동작되게 조작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탄성밴드에는 손가락이 끼워지기 위한 손가락 끼움용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휴대폰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할 때만 당겨서 사용하면 되고 평상시에는 접어두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가 적용되는 휴대폰의 정면 동작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가 적용되는 휴대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에 대한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가 적용되는 휴대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의 동작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에 대한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고안의 제6 및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에 대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가 적용되는 휴대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본 고안의 제9 및 도 10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에 대한 도면들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가 적용되는 휴대폰의 정면 동작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도 3의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에 대한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휴대폰(10)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할 때만 당겨서 사용하면 되고 평상시에는 접어두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는 휴대폰(10)의 배면에 형성되는 설치면(11)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11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휴대폰(10)의 배면에 휴대폰 거치장치의 일 실시예인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110)를 적용하는 것에 대해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휴대폰 거치장치의 일 실시예인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110)는 휴대폰(10)의 배면인 아닌 휴대폰(10)을 보호하는 보호케이스(미도시)의 배면에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면에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110)가 설치면(11)의 중앙에 배치되게 도시되었으나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110)는 설치면(11)의 사이드 영역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110)는 기구 바디(112), 바디 지지용 베이스(114), 접착부(113), 그리고 접철식 탄성밴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
기구 바디(112)는 접철식 탄성밴드(115)를 탄성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기구 바디(112)는 상호간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디 지지용 베이스(114)는 한 쌍의 기구 바디(11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부(113)가 바디 지지용 베이스(114)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113)는 전술한 것처럼 바디 지지용 베이스(114)의 배면에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110)가 설치면(11)에 접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접철식 탄성밴드(115)는 한 쌍의 기구 바디(112) 사이에 탄성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 5의 (a)에서 (b)처럼 당겨 펼쳐질 때 손가락이 걸려 거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평상 시 접철식 탄성밴드(115)는 도 5의 (a)와 같이 접힌 상태를 취하며, 사용할 때만 도 5의 (b)처럼 당겨 펼친 후 사용하면 된다.
본 실시예처럼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110)의 접철식 탄성밴드(115)는 필요할 때만 당겨서 사용하면 되고 평상시에는 접어두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휴대폰(10)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할 때만 당겨서 사용하면 되고 평상시에는 접어두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가 적용되는 휴대폰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는 설치면(11)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110)와, 설치면(11)의 타측에 결합되는 목걸이용 거치기구(230)를 포함한다.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1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설명은 생략하고, 여기서는 목걸이용 거치기구(23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처럼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110)와 목걸이용 거치기구(230)가 모두 적용될 경우, 필요에 따라 손가락을 걸거나 거치시켜 휴대폰(10)을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목에 걸어 휴대폰(10)을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목걸이용 거치기구(230)는 기구 하우징(231), 목걸이용 탄성줄(234), 그리고 버튼(235)을 포함할 수 있다.
기구 하우징(231)은 설치면(11)의 타측에 결합되는 목걸이용 거치기구(230)의 외관 구조물로서, 내부에는 줄 권취용 드럼(233)이 마련된다. 줄 권취용 드럼(233)에 목걸이용 탄성줄(234)이 권취될 수 있다.
목걸이용 탄성줄(234)은 그 일단부가 기구 하우징(231) 내의 줄 권취용 드럼(233)에 탄성적으로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고 타단부는 기구 하우징(231)의 출입구(232)를 통해 출입되는 줄이다. 즉 목걸이용 탄성줄(234)을 잡아당기면 도 6에서 도 7처럼 목걸이용 탄성줄(234)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목에 걸거나 손목에 감아 사용할 수 있다.
목걸이용 탄성줄(234)은 대략 20cm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사항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버튼(235)은 기구 하우징(231)에 마련되며, 목걸이용 탄성줄(234)이 줄 권취용 드럼(233)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동작되게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목걸이용 탄성줄(234)은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로 제작되되 마치 태엽 스프링처럼 기구 하우징(231) 내의 줄 권취용 드럼(233)에 탄성적으로 권취될 수 있는데, 도 7에서 도 6처럼 목걸이용 탄성줄(234)을 원위치로 감고자 할 때는 버튼(235)을 가압하면 된다. 그러면 목걸이용 탄성줄(234)이 줄 권취용 드럼(233)에 자동으로 감겨 보관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목걸이용 거치기구(230)가 휴대폰(10)의 외측에 노출되게 마련되고 있으나 목걸이용 거치기구(230)는 휴대폰(10) 내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휴대폰(10)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할 때만 당겨서 사용하면 되고 평상시에는 접어두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에 대한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310) 역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기구 바디(112), 바디 지지용 베이스(114), 접착부(113), 그리고 접철식 탄성밴드(3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접철식 탄성밴드(315)에는 손가락이 끼워지기 위한 손가락 끼움용 그루브(316)가 더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접철식 탄성밴드(315)에 손가락 끼움용 그루브(316)가 형성되면 도 8의 (a)에서 (b)처럼 접철식 탄성밴드(315)를 당겨 펼칠 때 수월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휴대폰(10)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할 때만 당겨서 사용하면 되고 평상시에는 접어두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가 적용되는 휴대폰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410) 역시, 한 쌍의 기구 바디(412)와, 한 쌍의 기구 바디(412)를 지지하는 바디 지지용 베이스(414)와, 한 쌍의 기구 바디(412)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철식 탄성밴드(4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바디 지지용 베이스(414) 사이에는 바디 지지용 베이스(414)와 연결되되 바디 지지용 베이스(414)를 비롯하여 한 쌍의 기구 바디(412) 및 접철식 탄성밴드(415)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체(416)가 마련된다.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410)를 휴대폰(10)의 설치면(11)에 부착시키는 접착부(413)는 회전체(416)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바디 지지용 베이스(414)에 회전체(416)가 적용될 경우, 회전체(416)의 작용으로 인해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410) 전체가 도 11의 실선에서 점선처럼 혹은 점선에서 실선처럼 회전될 수 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접철식 탄성밴드(415)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휴대폰(10)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할 때만 당겨서 사용하면 되고 평상시에는 접어두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에 대한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510)는 한 쌍의 기구 바디(112)와, 한 쌍의 기구 바디(112)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철식 탄성밴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디 지지용 베이스(114)가 적용되지 않는 대신 접착부(513)가 한 쌍의 기구 바디(112)에 직접 형성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휴대폰(10)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할 때만 당겨서 사용하면 되고 평상시에는 접어두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고안의 제6 및 제7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에 대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510,610) 역시, 기구 바디(512,612), 바디 지지용 베이스(114), 접착부(113), 그리고 접철식 탄성밴드(515,6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경우에는 기구 바디(512)와 접철식 탄성밴드(515)가 한 쪽으로 세워진 상태로 동작되며, 도 14의 경우에는 기구 바디(612)와 접철식 탄성밴드(615)가 양쪽으로 세워진 상태로 동작되고 있는데, 이러한 동작이 구현되면 휴대폰(10)을 세워서 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동영상을 보거나 네비게이션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휴대폰(10)을 세워 배치하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써 휴대폰(10)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할 때만 당겨서 사용하면 되고 평상시에는 접어두면 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가 적용되는 휴대폰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110)가 휴대폰(10)의 설치면(11)에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110) 외에도 별개의 접이식 거치대(770)가 휴대폰(10)의 설치면(11)에 마련된다. 접이식 거치대(770)는 도면처럼 세워졌을 때, 휴대폰(10)을 세워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10)을 통한 동영상 시청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본 고안의 제9 및 도 10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에 대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810)의 일측에 접이식 거치대(880)가 마련되고, 도 17은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910)의 양측에 한 쌍의 접이식 거치대(981,982)가 마련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6 및 도 17의 접이식 거치대(880,981,982)들은 화살표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휴대폰이 세워져 거치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휴대폰을 통한 동영상 시청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휴대폰 11 : 설치면
110 :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 112 : 기구 바디
113 : 접착부 114 : 바디 지지용 베이스
115 : 접철식 탄성밴드 230 : 목걸이용 거치기구
231 : 기구 하우징 232 : 출입구
233 : 줄 권취용 드럼 234 : 목걸이용 탄성줄
235 : 버튼

Claims (4)

  1. 휴대폰의 배면 또는 상기 휴대폰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의 배면을 포함하는 설치면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걸이용 거치기구는,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기구 바디;
    상기 한 쌍의 기구 바디를 지지하는 바디 지지용 베이스;
    상기 한 쌍의 기구 바디 사이에 탄성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기구 바디에서 펼쳐질 때 손가락이 걸려 거치되게 하는 접철식 탄성밴드;
    상기 접철식 탄성밴드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 지지용 베이스 사이에 상기 바디 지지용 베이스와 연결되게 마련되어 상기 바디 지지용 베이스를 비롯한 상기 한 쌍의 기구 바디 및 접철식 탄성밴드를 회전시키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를 상기 설치면에 부착시키는 접착부; 및
    상기 설치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목걸이용 거치기구; 포함하고,
    상기 목걸이용 거치기구는 내부에 줄 권취용 드럼이 마련되며, 상기 설치면의 타측에 결합되는 기구 하우징; 일단부는 상기 줄 권취용 드럼에 탄성적으로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고 타단부는 상기 기구 하우징의 출입구를 통해 출입되는 목걸이용 탄성줄; 및 상기 기구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목걸이용 탄성줄이 상기 줄 권취용 드럼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동작되게 조작하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접철식 탄성밴드에는 손가락이 끼워지기 위한 손가락 끼움용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을 세워 배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기구바디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바디 지지용 베이스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접철식 탄성밴드와 함께 세워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4579U 2017-08-30 2017-08-30 휴대폰 거치장치 KR200487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79U KR200487851Y1 (ko) 2017-08-30 2017-08-30 휴대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79U KR200487851Y1 (ko) 2017-08-30 2017-08-30 휴대폰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851Y1 true KR200487851Y1 (ko) 2018-11-12

Family

ID=6432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579U KR200487851Y1 (ko) 2017-08-30 2017-08-30 휴대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85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655A (ko) 2019-03-08 2020-09-16 양재복 스마트키가 형성된 스마트폰 손가락 거치대
WO2021035790A1 (zh) * 2019-08-30 2021-03-04 泰仁特(天津)电子器材有限公司 一种徽章式多功能移动终端支架
WO2021210694A1 (ko) * 2020-04-13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케이스
KR20230099947A (ko) 2021-12-28 2023-07-05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다기능 휴대폰 거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431U (ko) 1995-12-28 1997-07-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현가 장치
KR20040035103A (ko) 2002-10-18 2004-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순 폴링 알고리즘을 사용한 수동형 광 통신망 시스템
KR20050003313A (ko) * 2003-06-30 2005-01-10 윤여영 목걸이줄 권취기능.
KR20100004265U (ko) 2008-10-16 2010-04-26 박진귀 플레이트 히터를 구비한 급식대
KR20120006366U (ko) * 2012-08-06 2012-09-12 이종복 고무 밴드를 내장한 가죽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8431U (ko) 1995-12-28 1997-07-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현가 장치
KR20040035103A (ko) 2002-10-18 2004-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순 폴링 알고리즘을 사용한 수동형 광 통신망 시스템
KR20050003313A (ko) * 2003-06-30 2005-01-10 윤여영 목걸이줄 권취기능.
KR20100004265U (ko) 2008-10-16 2010-04-26 박진귀 플레이트 히터를 구비한 급식대
KR20120006366U (ko) * 2012-08-06 2012-09-12 이종복 고무 밴드를 내장한 가죽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655A (ko) 2019-03-08 2020-09-16 양재복 스마트키가 형성된 스마트폰 손가락 거치대
WO2021035790A1 (zh) * 2019-08-30 2021-03-04 泰仁特(天津)电子器材有限公司 一种徽章式多功能移动终端支架
WO2021210694A1 (ko) * 2020-04-13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케이스
US11750237B2 (en) 2020-04-13 2023-09-05 Lg Electronics Inc. Case of flexible display device
KR20230099947A (ko) 2021-12-28 2023-07-05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다기능 휴대폰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851Y1 (ko) 휴대폰 거치장치
US10694837B1 (en) Magnetically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9033147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317940B2 (en) Wearable smar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480675B1 (ko) 손목 시계형 스마트 단말기
US8086285B2 (en) Carrying cases having sound enhancing capability,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30284614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92562B1 (k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9235230B1 (en) Magnetic stand, mount and cord wrap for mobile devices and accessories
KR200463097Y1 (ko) 릴타입 이어폰이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탈부착이 가능한 릴타입 이어폰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150003379U (ko)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CN107197060B (zh) 悬挂装置
KR20130001825A (ko) 거치 기능을 갖는 포장 케이스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101468850B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CN105491197A (zh) 翻折伸缩杆防滑落手机后盖壳
JP6184548B1 (ja) 携帯電子製品用のホルダー
KR200455688Y1 (ko)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KR200472778Y1 (ko)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KR101850541B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CN103118512A (zh) 多功能手持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