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850B1 - 휴대용 단말기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850B1
KR101468850B1 KR20140145762A KR20140145762A KR101468850B1 KR 101468850 B1 KR101468850 B1 KR 101468850B1 KR 20140145762 A KR20140145762 A KR 20140145762A KR 20140145762 A KR20140145762 A KR 20140145762A KR 101468850 B1 KR101468850 B1 KR 101468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ain body
finger insertion
case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헌
Original Assignee
이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헌 filed Critical 이시헌
Priority to KR2014014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850B1/ko
Priority to PCT/KR2015/001232 priority patent/WO20160683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을 감싸면서 파지(把指)하는 종래의 파지방법을 벗어나,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을 손가락으로 지지하면서 파지하도록 함으로써, 파지 중에도 한손으로 단말기 화면의 조작이 가능하고, 파지를 해지하였을 경우에는 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홀더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을 감싸면서 파지(把指)하는 종래의 파지방법을 벗어나,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을 손가락으로 지지하면서 파지하도록 함으로써, 파지 중에도 한손으로 단말기 화면의 조작이 가능하고, 파지를 해지하였을 경우에는 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핸드폰, PDA, PMP, 네비게이션, 게임기, 태블릿PC 및 전자사전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 또는 디스플레이로, 무선통신망을 사용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도 인터넷사용, 전화 통화, 영화 감상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스크린을 접촉하여 조작할 수 있는 태블릿 패드가 탑재된 터치폰이나 스마트폰 등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 중 최근에 출시된 스마트폰 등은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수발신 기능뿐만 아니라 문서작업, 인터넷 사용, 이메일 수발신 등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정보화 사회로의 급격한 변화와 IT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화로 인하여 휴대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애플의 아이패드(iPad), 삼성의 갤럭시탭(galaxytab) 등과 같은 글로벌 기업의 고사양 휴대 단말기가 출시됨에 따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토록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는 초기에는 대략 성인 남녀의 손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사용자가 비교적 쉽게 한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였으나, 소비자의 화면 대형화의 요구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크기가 증가하여 성인 남녀의 평균적인 손 크기에 근접하거나 넘어서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사용중에 휴대 단말기가 손에서 미끄러져 바닥에 떨어지는 등의 파손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함으로써 손목, 어깨, 목 등의 통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이는 화면 대형화에 따라 두 손으로 잡고 이용할 수 밖에 없는 신체 동작의 제약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 단말기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0928호(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에서는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가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1은 일측 또는 양측에 제1홀더결합부가 형성되고, 배면 중 양측 변과 하변에 제2홀더결합부가 형성되며, 정면에 휴대폰을 수납하여 보호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제1, 2홀더결합부에 일단부가 착, 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휴대폰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1파지홀이 관통 형성된 홀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1은 휴대 단말기를 한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케이스의 긴 변 양측에 미리 홀더결합부를 형성하여 두고 이에 홀더를 결합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홀더의 위치를 설정할 수 없고, 특히 안테나, 이어폰 포트, 충전기 포트 등이 형성되는 짧은 변에는 홀더결합부를 형성할 수 없어 휴대 단말기를 가로로 파지할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해 여전히 사용상 제약이 많았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3353호 (이하, 선행기술2라 함)에서는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가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2는 본체를 바닥면에 일정 각도로 세워지게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손가락을 넣어 잡을 수 있는 제2지지대가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몸에 무리가 없고, 사용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용 손잡이 겸 거치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 전체로 휴대 단말기 저부를 지지함에 따라 손가락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조작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단지 영화감상 등 극히 제한적 사용만 가능하였고 화면의 조작을 위해서는 여전히 양손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4639호 (이하, 선행기술3이라 함)에서는 스마트폰 거치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3은 스마트폰의 모서리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각 모퉁이부분이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와 인접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 방향으로 지지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절개부와 탄성결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으로 소정각도 회전후 상기 본체의 지지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손가락 끼움부;를 포함하여 미끄럼방지 및 거치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스마트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선행기술3 역시 모서리에 손가락끼움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임의로 손가락끼움부의 위치를 설정할 수 없고 휴대 단말기를 가로로 파지할 수 없는 점 단점과 더불어 휴대폰을 거치할 수 기능이 없어 이 역시 사용상 제약이 많았다.
특허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0928호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3353호 특허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46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는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종래의 파지방법을 벗어나,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을 손가락으로 지지하면서 파지하도록 함으로써, 파지 중에도 단말기의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단말기 화면의 조작이 가능하고, 파지를 해지하였을 경우에는 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는 일면이 휴대용 단말기(T)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용 케이스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직육면체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에 입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손가락 삽입부; 상기 본체에 일측이 힌지결합된 거치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손가락 삽입부 입출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스톱퍼가 돌출되며, 상기 손가락 삽입부는 일측에 상기 스톱퍼에 의해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휴대용 단말기또는 휴대용 단말기 보호용 케이스의 정면에서부터 삽입되어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용 케이스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를 생략하고 휴대용 단말기(T) 배면 케이스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용 케이스(K)에 본체를 직접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면에는 정지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정지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회전축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삽입되되, 상기 회전축은 베이스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말단에 원뿔형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부 외면에는 카드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카드삽입혹은 상기 거치대에 의해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및 손가락 삽입부에는 래칫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래칫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고리 및 상기 손가락 삽입부에 형성된 후크 및 상기 본체와 손가락 삽입부에 연결된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는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종래의 파지방법을 벗어나,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을 손가락으로 지지하면서 파지하도록 함으로써, 다음과 갖은 효과를 갖는다.
1. 휴대용 단말기의 상하좌우 어떤 자세로든 사용자가 단말기의 자세를 선택하여 파지할 수 있으며, 파지 중에도 엄지손가락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한 손으로 단말기를 파지하면서 화면조작이 가능하므로 일반인 뿐만 아니라 한손사용 장애우도 단말기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2. 휴대용 단말기의 파지 자세가 지렛데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손목 및 손가락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아 장시간 사용시에도 부상의 위험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3. 휴대용 단말기 홀더에 회전체를 적용하므로써, 이용자가 왼손잡이이든 오른손잡이든 전혀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4. 휴대용 단말기 홀더를 수납식으로 구성하므로써 휴대가 간단하다.
5. 휴대용 단말기의 파지를 해지하였을 경우에는 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 홀더의 파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의 베이스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의 본체 및 손가락 삽입부 조립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의 거치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의 사용 실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의 거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의 결합단면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종래의 파지방법을 벗어나,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을 손가락으로 지지하면서 파지하도록 함으로써, 파지 중에도 단말기의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단말기 화면의 조작이 가능하고, 파지를 해지하였을 경우에는 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로 베이스부재(100), 본체(200), 손가락 삽입부(300), 거치대(400) 및 래칫수단(5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면이 휴대용 단말기(T) 또는 휴대용 단말기(T)의 보호용 케이스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면은 상기 본체(200)의 바닥부(B) 외면과 면접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이 휴대용 단말기(T) 또는 휴대용 단말기(T)의 보호용 케이스 배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의 접착수단(A)을 이용하여 탈부착할 수 있고, 또는 자성체를 이용하여 탈부착할 수 있다. 즉, 자성체를 이용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T) 또는 휴대용 단말기(T)의 보호용 케이스 배면에 부착된 자석과 탈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본체(200)의 바닥부(B) 외면과 면접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재 중앙에는 상기 본체(200)의 회전축(210)이 삽입되는 본체 삽입홀(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면에는 90°간격으로 정지홀(13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200)의 바닥부(B) 외면에 90°간격으로 형성된 정지돌기(220)와 맞물려 사용자가 상기 본체(200)를 회전시켰을 때, 90°간격으로 그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화면의 자세를 바꾸기 위하여 본체(200)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정지돌기(220)는 상기 정지홀(130)의 홀깊이를 극복하면서 이탈되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회전이 시작되면, 상기 본체는 정지시 베이스부재와의 면접촉을 벗어나, 상기 정지돌기(220)에 의해 선접촉을 하면서 회전을 하게 되어 회전에 따른 마찰력을 최소화됨으로써 매우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본체의 결합에 있어, 베이스부재에서 홀을 형성하고 본체에 회전축(210) 및 정지돌기(220)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반대로 베이스부재에 돌기를 형성하고 본체에 홀을 형성하여어도 무방하다.
제 2실시예로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재는 일면이 휴대용 단말기(T) 배면 케이스 또는 휴대용 단말기(T)의 보호용 케이스(K) 자체이다.
즉, 제 1실시예에 따라 일면이 휴대용 단말기(T) 또는 휴대용 단말기(T)의 보호용 케이스의 배면에 상기 베이스부재(100)를 부착할 수도 있지만 제 2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부재를 생략하고 상기 본체(200)가 휴대용 단말기(T) 배면 케이스, 즉 단말기의 화면 반대측의 배터리 수납 케이스 또는 휴대용 단말기(T)의 보호용 케이스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결합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재의 구성이 생략되므로 제작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200)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본체 삽입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바닥부(B) 외면 중앙에 회전축(21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특히, 회전축(210)은 베이스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말단에 원뿔형 걸림돌기(211)가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 원뿔의 꼭지점으로 삽입홀(110)에 삽입되어 삽입은 용이하게 되나, 삽입된 후 원뿔의 밑면이 삽입홀(110) 걸려 상기 본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서 상기 손가락 삽입부(300)가 입출(入出)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손가락 삽입부(300)의 입출(入出)을 제한할 수 있도록 바닥부(B) 내면에는 스톱퍼(250)가 돌출되어 있다.
아울러, 상면부(U)의 외면에는 신용카드 및 버스카드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카드삽입홀(290)을 복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카드삽입홀(290)은 상기 거치대(400)에 의해 상시 커버되어 있게 되어 카드의 분실의 우려는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손가락 삽입부(300)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의 외형에 상응하도록 직육면체 형태로서, 내부에 손가락 삽입홀(330)과 개방홀(3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가락 삽입홀(330)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원형의 개구로서, 손가락 삽입부(300)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홀은 상기 스톱퍼(250) 및 상기 래칫수단(500)이 위치할 수 있도록 개방된 T형의 개구로서, 손가락 삽입부(300) 타측에 구비된다.
이로써, 손가락 삽입부(300) 타측에는 T형 개방부(350)에 의해 자연스럽게 돌출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0)는 상기 스톱퍼에 저지되어 슬라이딩이 제한되므로써, 손가락 삽입부(300)가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즉, 손가락 삽입부(300) 일측에 상기 스톱퍼에 의해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휴대용 단말기(T) 또는 휴대용 단말기(T)의 보호용 케이스의 정면에서부터 삽입되어 휴대용 단말기(T) 또는 휴대용 단말기(T)의 보호용 케이스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 삽입홀(330)이 형성된다.
즉,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손가락 삽입홀(330)은 제1삽입홀(331) 및 제2삽입홀(333)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 중 일부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T)를 파지 내지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엄지손가락이 자유로워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부연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상하좌우 어떤 자세로든 사용자가 단말기의 자세를 선택하여 파지할 수 있으며, 파지 중에도 엄지손가락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한 손으로 단말기를 파지하면서 화면조작이 가능하므로 일반인 뿐만 아니라 한손사용 장애우도 단말기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파지 자세가 손가락을 이용한 지렛데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손목 및 손가락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아 장시간 사용시에도 부상의 위험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회전에 동조하여 손가락 삽입부(300) 역시 360°회전이 가능하므로 전후좌우 어떠한 화면자세에서도 휴대용 단말기(T)의 파지가 가능하게 되고 이는 어떠한 화면자세에서도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화면조작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 거치대(400)는,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를 커버하면서 상기 손가락 삽입부가 입출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일단이 상기 본체의 타측 측면부(C)에 거치대 결합돌기(470)를 통해 본체의 거치대 결합홀(270)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T)를 파지하지 않고 바닥에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회전에 동조하여 거치대(400) 역시 360°회전이 가능하나 휴대용 단말기(T)의 형상이 사각임을 고려할 때 90°마다 회전하면서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단순히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사용자 거치 자율성이 극대화 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거치기능 외에 본체의 카드삽입홀(290)을 은폐시키는 기능을 보유한다. 아울러, 카드삽입홀(290)의 은폐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타단에는 거치대 고정돌기(430)를 형성하여 본체의 거치대 고정홀(230)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평소에 휴대용 단말기(T)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만 할 경우 상기 거치대의 거치대 고정돌기(430)가 본체의 거치대 고정홀(230)에 삽이되어 거치대가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됨으로써, 카드삽입홀에 삽입된 카드는 항상 은폐되고, 분실의 우려가 없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거치대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단순히 거치대를 거치대 일단에 형성된 거치대 결합돌기(470)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거치대 고정돌기(430)는 본체의 거치대 고정홀(230)을 이탈하면서 본체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의 카드삽입홀(290) 외에도 거치대 내면에도 카드삽입홀(490)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래칫수단(500)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200) 및 손가락 삽입부(30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가락 삽입부(300)를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원터치 입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래칫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고리(510), 상기 손가락 삽입부에 형성된 후크(530) 및 상기 후크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부재 연결대(531)와 본체에 연결된 탄성부재(550)로 구성된다.
상기 원터치 입출을 위한 래칫수단(500)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더 이상 구체적인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 홀더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휴대용 단말기(T)를 파지하면서 화면을 조작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바람직하게는 중지와 약지를 휴대용 단말기(T)의 정면에서부터 삽입하여 휴대용 단말기(T) 또는 휴대용 단말기(T)의 보호용 케이스의 배면을 지지하고, 자유로워진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조작할 수 있고,
또한, 화면을 전후좌우로 자세를 바꾸고자 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를 풀지 않고 단순히 휴대용 단말기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된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T)를 파지하지 않고 사용하고자 할 경우, 거치대(400)를 본체의 타측 측면부(C)에 위치한 힌지점을 기준으로 벌려 줌으로써, 바닥에 거치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본체의 회전에 의해 화면의 자세를 전후좌우로 바꿀 수 있다.
또한, 본체(200)의 상면부(U) 외면에 형성된 카드삽입홀(290)에 카드를 삽입하여도 거치대가 본체(200)의 상면부(U) 외면을 은폐하고 있어, 카드 분실의 우려가 없게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부
110: 본체 삽입홀 130: 정지홀
200: 본체
210: 회전축 220: 정지돌기 230: 거치대 고정홀
250: 스톱퍼 270: 거치대 결합홀 290: 카드삽입홀
300: 손가락 삽입부
310: 돌출부 330: 손가락 삽입홀 350: 개방홀
400: 거치대
430: 거치대 고정돌기 470: 거치대 결합돌기 490: 카드삽입홀
500: 래칫수단
510: 고리 530: 후크 550: 탄성부재

Claims (6)

  1. 일면이 휴대용 단말기(T)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용 케이스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부재(100);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직육면체 형태의 본체(200);
    상기 본체(200)에 입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손가락 삽입부(300);
    상기 본체에 일측이 힌지결합된 거치대(4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손가락 삽입부(300) 입출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스톱퍼(250)가 돌출되며,
    상기 손가락 삽입부는 일측에 상기 스톱퍼에 의해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돌출부(3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휴대용 단말기(T)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용 케이스의 정면에서부터 삽입되어 휴대용 단말기(T)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용 케이스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 삽입홀(3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홀더.
  2. 휴대용 단말기(T) 배면 케이스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용 케이스(K);
    상기 휴대용 단말기(T) 배면 케이스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용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직육면체 형태의 본체(200);
    상기 본체(200)에 입출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손가락 삽입부(300);
    상기 본체에 일측이 힌지결합된 거치대(4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손가락 삽입부(300) 입출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스톱퍼(250)가 돌출되며,
    상기 손가락 삽입부는 일측에 상기 스톱퍼에 의해 슬라이딩이 제한되는 돌출부(3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휴대용 단말기(T)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용 케이스의 정면에서부터 삽입되어 휴대용 단말기(T)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용 케이스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 삽입홀(3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홀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휴대용 단말기(T) 배면 케이스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용 케이스의 타면에는 정지홀(1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정지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지돌기(2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홀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에는 회전축(210)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휴대용 단말기(T) 배면 케이스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용 케이스에 삽입되되,
    상기 회전축은 베이스부재 또는 휴대용 단말기(T) 배면 케이스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용 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말단에 원뿔형 걸림돌기(2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홀더.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의 상면부(U) 외면에는 카드삽입홀(290)이 형성되고,
    상기 카드삽입홀은 상기 거치대(400)에 의해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홀더.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 및 손가락 삽입부(300)에는 래칫수단(500)을 구비하되,
    상기 래칫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고리(510) 및 상기 손가락 삽입부에 형성된 후크(530) 및 상기 후크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부재 연결대(531)와 본체에 연결된 탄성부재(5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20140145762A 2014-10-27 2014-10-27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10146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5762A KR101468850B1 (ko) 2014-10-27 2014-10-27 휴대용 단말기 홀더
PCT/KR2015/001232 WO2016068399A1 (ko) 2014-10-27 2015-02-06 휴대용 단말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5762A KR101468850B1 (ko) 2014-10-27 2014-10-27 휴대용 단말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850B1 true KR101468850B1 (ko) 2014-12-03

Family

ID=5267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5762A KR101468850B1 (ko) 2014-10-27 2014-10-27 휴대용 단말기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8850B1 (ko)
WO (1) WO201606839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780B1 (ko) * 2015-06-11 2015-11-27 이시헌 바이오인증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19107744A1 (ko) * 2017-11-30 2019-06-06 주식회사 아이엔티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20200042778A (ko) * 2018-10-16 2020-04-24 유현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966Y1 (ko) 2005-05-20 2005-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지지 장치
KR20130006902U (ko) * 2012-05-22 2013-12-02 박현규 전자 기기의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575B1 (ko) * 2011-04-13 2011-08-04 정홍섭 카드 포켓을 구비한 핸드폰 케이스
KR101227897B1 (ko) * 2012-05-31 2013-01-30 유동훈 휴대용 단말기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966Y1 (ko) 2005-05-20 2005-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지지 장치
KR20130006902U (ko) * 2012-05-22 2013-12-02 박현규 전자 기기의 거치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780B1 (ko) * 2015-06-11 2015-11-27 이시헌 바이오인증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19107744A1 (ko) * 2017-11-30 2019-06-06 주식회사 아이엔티 휴대용 단말기 홀더
CN109854903A (zh) * 2017-11-30 2019-06-07 艾兰特有限责任公司 便携式终端支座
KR20200042778A (ko) * 2018-10-16 2020-04-24 유현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2225127B1 (ko) * 2018-10-16 2021-03-09 유현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8399A1 (ko) 2016-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9112B2 (en) Holding device for phone or other electronic device
US9653934B2 (en) Mobile device case with finger grips
US9137915B2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8550317B2 (en) Electronic device case gripper
EP2670053A1 (en) Case for a mobile terminal
US20150212588A1 (en) Keyboard Cover For A Tablet Computer
KR101510449B1 (ko) 고리를 가진 핸드폰 케이스
KR101468850B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JP2016163690A5 (ko)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364700B1 (ko) 파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30026848A (ko) 낙하방지 장치가 구비된 휴대기기 케이스
KR101586254B1 (ko)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19107744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17010155A1 (ja) 電子機器カバー
KR20180096056A (ko)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CN108462780A (zh) 转换器和具有该转换器的手机外接键盘
KR101510422B1 (ko) 고리걸개를 가진 핸드폰 케이스
TWI539985B (zh) 遊戲控制器套件
KR200472778Y1 (ko)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KR200483488Y1 (ko) 파지용 휴대폰 케이스
CN203399168U (zh) 一种手机保护套
CN206379980U (zh) 支撑环隐藏式手机套
KR200476690Y1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CN210930010U (zh) 一种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