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897B1 - 휴대용 단말기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897B1
KR101227897B1 KR1020120057973A KR20120057973A KR101227897B1 KR 101227897 B1 KR101227897 B1 KR 101227897B1 KR 1020120057973 A KR1020120057973 A KR 1020120057973A KR 20120057973 A KR20120057973 A KR 20120057973A KR 101227897 B1 KR101227897 B1 KR 101227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adsorption
coupling
protrusion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훈
Original Assignee
유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동훈 filed Critical 유동훈
Priority to KR102012005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홀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把指)가 용이한 휴대용 태블릿 피씨(tablet personal computer)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면이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 중앙부에 흡착 또는 탈착되는 흡착부와, 상기 흡착부의 일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부에 후크 결합된 제1 걸이부와, 상기 흡착부의 타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측부에 후크 결합된 제2 걸이부와, 상기 흡착부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사용자의 손가락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홀더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들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후면에서 그립하여 파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땀 또는 물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중에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홀더{HOLDER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홀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把指)가 용이한 휴대용 태블릿 피씨(tablet personal computer)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정보산업의 발전에 따라 손바닥 크기의 태블릿 피씨(tablet personal computer)가 기존의 전통적인 컴퓨터인 데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btop) 컴퓨터에 버금가는 성능을 갖추게 되었다. 이와 같이 정보화 사회로의 급격한 변화와 IT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화로 인하여 휴대가 가능한 태블릿 피씨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애플의 아이패드(iPad), 삼성의 갤럭시탭(galaxytab) 등과 같은 글로벌 기업의 고사양 태블릿 피씨가 출시됨에 따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초기 태블릿 피씨는 단방향(가로방향)의 길이가 12cm 내외이고, 장방향(세로방향)의 길이가 18cm 내외로 제작되어 출시되었다. 이 정도의 크기는 대략 성인 남녀의 손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사용자가 비교적 쉽게 한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였다. 하지만 소비자의 화면 대형화의 요구에 따라 태블릿 피씨의 크기가 증가하여 성인 남녀의 평균적인 손 크기에 근접하거나 넘어서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사용중에 태블릿 피씨가 손에서 미끄러져 바닥에 떨어지는 등의 파손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태블릿 피씨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36172호(공개일 : 2012. 04. 17)(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서는 '태블릿 피씨용 케이스'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서 제안된 태블릿 피씨용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선행기술은 일측면에 태블릿 피씨의 배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수용부가 마련된 케이스 본체(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타측면 중 선택된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는 파지벨트(12)와,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타측면 중 선택된 어느 한 부분으로 상기 파지벨트(12)와 겹치지 않는 부분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다리(16)를 포함하는 태블릿 피씨용 케이스(10)를 제공하였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태블릿 피씨가 장착된 케이스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벨트에 사용자가 손을 끼워서 집지함으로써 태블릿 피씨 사용중에 사용자의 손이 태블릿 피씨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거나 낙하하는 문제를 어느 정도는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사용자의 손이 파지벨트 내에서 고정되지 않고 쉽게 유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손에 땀 또는 물기가 묻는 경우 태블릿 피씨가 손으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였고, 파지벨트가 태블릿 피씨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작된 후 벨트결합부(14)를 통해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태블릿 피씨의 크기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한 선행기술은 파지벨트가 케이스의 후면에 일체로 체결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파지벨트가 항상 케이스와 함께 패키지로 사용되어 파지벨트 손상시 케이스까지 함께 교체해야 하는 등 고장시 수리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케이스의 디자인을 선택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10-2012-0036172 A, 2012. 04. 17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사용중에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태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 크기와 무관하게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홀더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휴대가 용이하면서 고장시 케이스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홀더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전면이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 중앙부에 흡착 또는 탈착되는 흡착부와, 상기 흡착부의 일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부에 후크 결합된 제1 걸이부와, 상기 흡착부의 타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측부에 후크 결합된 제2 걸이부와, 상기 흡착부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사용자의 손가락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홀더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흡착면과, 상기 흡착면의 반대측면인 비흡착면과, 상기 비흡착면의 중앙에 일방으로 돌출되고 상부에 관통공이 마련된 중앙돌기를 포함하는 흡착패드와, 상기 중앙돌기를 감싸도록 설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중앙돌기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중공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중앙돌기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흡착패드의 비흡착면을 덮도록 설치된 몸체부와, 하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부는 상기 그립부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방향으로 중앙에는 상기 중공을 가로지르도록 장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1 수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부에는 상기 제1 수납부와 대칭되도록 중앙에 장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2 수납부가 마련되어 상기 덮개와 체결시 상기 제1 수납부와 함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의 단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중앙돌기를 승강시켜 상기 흡착패드의 흡착과 탈착을 제어하는 흡착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제어부는 상기 중공을 경계로 상기 수납공간의 우측부에 수납되고,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중앙돌기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회동부재와, 상기 중공을 경계로 상기 수납공간의 좌측부에 수납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대향하고, 상기 중앙돌기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연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연동부재의 일측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돌기는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하강하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수납공간의 천정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착패드는 상기 중앙돌기가 하강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중앙돌기가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상기 흡착패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시 연동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수납부에는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연동부재의 외주연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이탈방지홈에 끼워져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연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이탈방지턱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수납부에는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연동부재의 외주연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이탈방지홈에 끼워져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연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및 제4 이탈방지턱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그립부는 사용자의 손가락들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어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중앙부에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면에 마련된 홈부와 가이드부를 따라 내부로 안내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축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는 각각 양측면부에 장방향을 따라 톱니들이 형성된 테일부와, 상기 테일부가 관통되는 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통로 내부에는 상기 톱니들이 맞물려 상기 테일부가 진입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록킹부가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고, 푸쉬버튼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이와 연동하여 해제돌기가 상기 테일부를 일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톱니들이 상기 테일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록킹부로부터 상기 테일부를 해제하는 구속 해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걸이부는 상기 흡착부와 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걸이부는 상기 흡착부와 벨크로 체결방식, 스냅 똑딱이 체결방식, 벨트 바클 체결방식 또는 케이블 타이 체결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체결방식으로 체결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걸이부는 좌우로 이분할되어 좌측부재와 우측부재로 분할되고, 상기 좌측부재는 일측부가 상기 흡착부의 타측부에 핀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상기 우측부재의 일측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우측부재는 일측부가 상기 결합부재와 체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측부에 후크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좌측부재의 타측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측에 체결되어 상기 헤드부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원판형 톱니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부재는 상기 좌측부재의 타측부가 삽입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내측벽들 중 일측벽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상기 톱니바퀴가 삽입된 후 맞물려 진입하도록 톱니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좌측부재가 상기 결합부재와 함께 그 내부로 진입한 후 상기 좌측부재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결합부재의 헤드부가 상기 톱니바퀴의 진행방향으로 진입하도록 가이드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들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후면에서 그립하여 파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땀 또는 물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중에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양측부에 후크 결합되는 제1 및 제2 걸이부 중 어느 하나의 걸이부의 장방향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 크기와 무관하게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반드시 필요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와 독립적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면서 고장시 케이스와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태블릿 피씨용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동부재와 연동부재 간의 결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걸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휴대용 단말기"라고 기재된 경우 태플릿 피씨(아이패드, 갤럭시탭, 갤럭시 노트)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위에서 언급한 제품들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대략 크기가 5인치 이상, 바람직하게는 7인치 이상으로 휴대용으로 제조 판매된 단말기는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100)는 양측부가 휴대용 단말기(101, 도 6참조), 예를 들면 태플릿 피씨의 장방향(길이방향)으로 휴대용 단말기(101)의 양측부에 각각 후크방식으로 장착되고, 중앙부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후면 중앙부에 흡착된 구조로 대략 전체적인 형상이 시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110), 제1 및 제2 걸이부(120, 130) 및 그립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홀더(100)는 흡착제어부(150)를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110)는 전면과 후면을 포함하고, 전면, 즉 흡착면(111a)은 휴대용 단말기(101)의 후면 중앙부에 흡착된다. 이러한 흡착부(110)는 흡착패드(111), 탄성부재(112), 몸체부(113), 고정부재(114)를 포함한다.
흡착패드(111)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후면에 흡착 또는 탈착되는 흡착면(111a)과, 흡착면(111a)의 반대측면인 비흡착면(111b)을 포함하고, 비흡착면(111b)의 중앙에는 일방으로 돌출되어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111c)이 마련된 중앙돌기(111d)가 형성된다.
탄성부재(112)는 흡착패드(111)의 비흡착면(111b)에 형성된 중앙돌기(111d)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탄성부재(112)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용수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13)는 중앙부에 중앙돌기(111d)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중공(113a)이 마련되어 있고, 중앙돌기(111d)가 중공(113a)에 삽입되어 관통된 상태로 흡착패드(111)의 비흡착면(111b)을 덮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몸체부(113)는 대략 흡착패드(111)와 동일한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고정부재(114)와 체결되는 방향으로 중앙에는 중공(113a)을 가로지르도록 장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1 수납부(113b)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재(114)는 하부가 몸체부(113)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부에는 그립부(140)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14)는 하부에 몸체부(113)의 제1 수납부(113b)와 대칭되도록 중앙에 장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2 수납부(114a)가 마련되어 몸체부(113)와 체결시 제1 수납부(113b)와 함께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제1 수납부(113b)와 제2 수납부(114a)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납공간에는 흡착제어부(150)가 수납된다. 흡착제어부(150)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로 고정부재(114)의 단방향(폭방향)으로 회전하여 중공(113a)을 관통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는 중앙돌기(111d)를 승강시켜 흡착패드(111)의 흡착과 탈착을 제어한다.
흡착제어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151)와, 회동부재(151)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동부재(152)를 포함한다.
회동부재(151)는 대략 'ㄱ' 또는 '권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공(113a)을 경계로 상기 수납공간의 우측부에 수납되고, 중공(113a)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는 중앙돌기(111d)의 관통공(111c)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결합돌기(151a)를 포함한다.
연동부재(152)는 대략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공(113a)을 경계로 상기 수납공간의 좌측부에 수납되어 결합돌기(151a)와 대향하고, 중앙돌기(111d)의 관통공(111c)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결합돌기(151a)가 삽입되는 결합홈(152a)을 포함한다.
도 4는 회동부재와 연동부재 간의 결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동부재(151)의 결합돌기(151a)는 회동부재(151)의 일측부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치우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연동부재(152)의 결합홈(152a) 또한 연동부재(152)의 일측부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치우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회동부재(151)의 결합돌기(151a)와 연동부재(152)의 결합홈(152a)을 가장자리, 즉, 측부에 형성하는 이유는 회동부재(151)의 회전에 따라 흡착패드(111)의 흡착 또는 탈착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회동부재(151)를 회전시키면, 측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51a)의 회전에 의해 중앙돌기(111d)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즉, 결합돌기(151a)와 결합홈(152a)이 측부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회동부재(151)와 연동부재(152)의 회전에 의해 중앙돌기(111d)는 승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중앙돌기(111d)는 회동부재(151)가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회전하여 결합돌기(151a)가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하강하고, 결합돌기(151a)가 상기 수납공간의 천정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승한다.
흡착패드(111)는 중앙돌기(111d)가 하강하여 휴대용 단말기(101)의 후면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중앙돌기(111d)가 회동부재(151)의 회전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흡착패드(111)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후면으로부터 탈착되어 분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3)의 제1 수납부(113b)에는 회동부재(151)와 연동부재(152)의 외주연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이탈방지홈(151b, 152b)에 끼워져 회동부재(151)와 연동부재(152)가 몸체부(1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이탈방지턱(113c, 113d)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탈방지턱(113c)은 연동부재(152)에 형성된 제1 이탈방지홈(152b)에 끼워지고, 제2 이탈방지턱(113d)은 회동부재(151)에 형성된 제2 이탈방지홈(151b)에 끼워진다. 이러한 제1 및 제2 이탈방지턱(113c, 113d)에 의해 회동부재(151)와 연동부재(152)는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수납공간의 장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제2 수납부(114a)에는 제1 수납부(113b)에 형성된 제1 및 제2 이탈방지턱(113c, 113d)와 대응되도록 회동부재(151)와 연동부재(152)의 외주연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이탈방지홈(152b, 151b)에 끼워져 회동부재(151)와 연동부재(152)가 고정부재(1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및 제4 이탈방지턱(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이탈방지턱은 연동부재(152)에 형성된 제1 이탈방지홈(152b)에 끼워지고, 상기 제4 이탈방지턱은 회동부재(151)에 형성된 제2 이탈방지홈(151b)에 끼워진다.
이러한 상기 제3 및 제4 이탈방지턱은 제1 및 제2 이탈방지턱(113c, 113d)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호 대칭을 이룬다. 이에 따라, 회동부재(151)와 연동부재(152)는 제1 내지 제4 이탈방지턱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수납공간의 장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걸이부(120, 130)는 흡착부(110)를 사이에 두고 좌우 상호 대칭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제1 걸이부(120)와 제2 걸이부(130)의 각 타측부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양측부에 각각 후크 방식으로 체결되기 위하여 갈고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및 제2 걸이부(120, 130)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장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장방향으로 체결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 걸이부(120, 130) 중 어느 하나는 장방향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제2 걸이부(130)가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길이조정은 다양한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제2 걸이부(130)는 길이조정을 위해 제1 걸이부(120)보다 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이부(130)의 길이조정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이부(120)는 일측부가 흡착부(110), 바람직하게는 흡착패드(111) 또는 몸체부(113)의 일측부와 핀(103-1)을 통해 핀 결합되고, 타측부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일측부와 후크 결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핀 결합방식은 일반적인 손목시계의 줄 결합방식을 그대로 채택할 수 있다.
제2 걸이부(130)는 일측부가 흡착부(110), 바람직하게는 흡착패드(111) 또는 몸체부(113)의 타측부와 핀(103-2)을 통해 핀 결합되고, 타측부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타측부와 후크 결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핀 결합방식은 일반적인 손목시계의 줄 결합방식을 그대로 채택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걸이부(130)는 길이조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벨크로 체결방식, 스냅 똑딱이 체결방식, 벨트 바클 체결방식 또는 케이블타이 체결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체결방식을 이용하여 길이조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크로 체결방식의 경우, 제2 걸이부(130)의 일측부(흡착부와 결합되는 측부)의 일면에는 갈고리가 빽빽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와 이격되어 내측 일면에는 작은 원형고리들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일측부가 흡착부(110)의 타측부에 마련된 핀(103-2)과 흡착부(110)의 타측부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핀을 휘어 감은 형태로 결합된 후 일측면이 작은 원형고리들이 형성된 내측 일면과 체결된다.
스냅 똑딱이 체결방식의 경우에는 벨크로 체결방식과 유사하며, 다만 체결을 위한 구성에 있어서 갈고리 및 원형고리 대신에 암수 형태의 똑딱이가 설치된다. 즉, 제2 걸이부(130)의 일측부의 일면과 이와 이격되어 내측 일면에는 각각 서로 대칭 구조로 길이 조정을 위해 복수개의 암수 똑딱이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 바클 체결방식의 경우에는 제2 걸이부(130)의 일측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가 마련되어 있고, 이와 이격되어 내측 일면에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일측부가 흡착부(110)의 타측부에 마련된 핀(103-2)과 흡착부(110)의 타측부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핀을 휘어 감은 형태로 결합된 후 일측부에 마련된 돌기가 내측 일면에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구멍에 끼워져 체결된다.
케이블타이 체결방식의 경우, 제2 걸이부(130)는 양측면부에 장방향을 따라 톱니들이 형성된 테일부와, 상기 테일부가 관통하는 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통로 내부에는 톱니가 맞물려 상기 테일부가 진입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록킹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의 측부에는 상기 테일부를 상기 록킹부로부터 분리시키는 해제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해제버튼을 누르면 상기 해제버튼에 마련된 해제돌기가 상기 테일부를 해제되는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록킹부가 상기 테일부에 마련된 톱니들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걸이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는 제2 걸이부(130)의 길이조정을 위한 다른 구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2 걸이부(130)는 좌우로 이분할되어 좌측부재(130-1)와 우측부재(130-2)로 분할되고, 이들은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좌측부재(130-1)는 일측부가 흡착부(110)의 타측부에 핀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우측부재(130-2)의 일측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재(104)가 설치된다. 우측부재(130-2)는 일측부가 결합부재(104)와 체결되고, 타측부는 휴대용 단말기(101)의 타측부에 후크 결합된다.
결합부재(104)는 좌측부재(130-1)의 타측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헤드부(104-1)와, 헤드부(104-1)의 하측에 체결되어 헤드부(104-1)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원판형 톱니바퀴(104-2)를 포함한다. 헤드부(104-1)와 톱니바퀴(104-2)는 좌측부재(130-1)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된다.
우측부재(130-2)는 대략 단면이 '
Figure 112012043565954-pat00001
'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측부재(130-1)의 타측부가 삽입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내측벽들 중 일측벽에는 결합부재(104)의 톱니바퀴(104-2)가 삽입된 후 맞물려 진입하도록 톱니들(130-2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우측부재(130-2)의 상부에는 좌측부재(130-1)가 결합부재(104)와 함께 그 내부로 진입한 후 좌측부재(130-1)의 상부로 돌출된 결합부재(104)의 헤드부(104-1)가 톱니바퀴(104-2)의 진행방향으로 진입하도록 가이드홈(103-2a)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결합부재(104)의 톱니바퀴(104-2)를 우측부재(130-2)의 일측벽에 형성된 톱니들(130-2b)에 맞물린 상태에서 헤드부(104-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부재(104)는 우측부재(130-2)의 내부, 즉 타측부 방향으로 진입하게 되며, 이에 따라 결합부재(104)와 체결된 좌측부재(130-1) 또한 우측부재(130-2)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결국, 진입되는 길이만큼 제2 걸이부(130)의 전체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결합부재(104)가 우측부재(130-2)로 일정 깊이 진입된 상태에서 헤드부(104-1)를 시계반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부재(104)는 우측부재(130-2)의 타측부에서 일측부 방향, 즉 진입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결합부재(104)와 체결된 좌측부재(130-1) 또한 진입반대방향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결국, 빠져나온 길이만큼 제2 걸이부(130)의 전체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결합부재(104)의 헤드부(104-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좌측부재(130-1)와 우측부재(130-2)를 결합 또는 해제시킴으로써 그 길이를 조정하여 전체적으로는 제2 걸이부(13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140)는 사용자의 손가락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의 중지가 삽입되어 전체적으로 홀더(100)를 그립하여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141, 14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지지부재(141, 142)는 적어도 일측부가 연결부재(143)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연결부재(143)의 중앙부에는 고정부재(114) 상부면에 마련된 홈부(114b)에 삽입된 후 가이드부(114c)를 따라 내부로 안내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144)가 마련되어 있다. 체결부재(144)는 헤드부가 가지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홈부(114b)에 삽입된 후 가이드부(114c)를 따라 내부로 안내되어 체결된다.
제1 및 제2 지지부재(141, 142)는 각각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케이블 타이 체결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대향하도록 설다.
제1 지지부재(141)는 양측면부에 장방향을 따라 톱니들이 형성된 테일부와, 테일부가 관통되는 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통로 내부에는 톱니들이 맞물려 테일부가 진입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록킹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재(142)는 제1 지지부재(141)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양측면부에 장방향을 따라 톱니들이 형성된 테일부와, 테일부가 관통되는 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통로 내부에는 톱니들이 맞물려 테일부가 진입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록킹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지지부재(141, 14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속을 해제하기 위하여 헤드부에 구속 해제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구속 해제부는 헤드부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어 푸쉬버튼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이와 연동하여 해제돌기가 테일부를 일방(록킹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톱니들이 테일부로부터 이탈되고, 결국 록킹부로부터 테일부는 해제된다.
이와 같이, 그립부(140)는 사용자가 중지 손가락으로 안정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1)를 그립하여 지지하도록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1)가 손으로부터 미끄러져 낙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타이 체결방식으로 제1 및 제2 지지부재(141, 142)를 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의 두께에 따라 길이 조정(지름 조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연령층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홀더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흡착부(110)의 흡착패드(111)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1)의 후면 중앙부에 홀더(100)를 흡착한다.
그런 다음, 제1 걸이부(120)의 일측부를 휴대용 단말기(101)의 일측부에 후크 결합하고, 제2 걸이부(130)의 일측부를 휴대용 단말기(101)의 타측부에 후크 결합한 상태에서 제2 걸이부(130)의 길이를 짧게 조정하여 휴대용 단말기(101)의 양측부에서 중앙부로의 인장력을 극대화한다. 이에 따라 홀더(100)는 중앙부에서의 흡착력과 양측부에서 중앙부로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1)의 후면에 밀착 고정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그립부(140)의 제1 및 제2 지지부재(141, 142) 내부로 손가락들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중지를 삽입시켜 제1 및 제2 지지부재(141, 142)를 지지 그립하며, 이렇게 휴대용 단말기(101)를 지지 그립한 상태에서 손바닥으로 휴대용 단말기(101)를 받쳐 휴대용 단말기(101)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1)로부터 홀더(10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제2 걸이부(130)의 길이를 길게 조정하여 휴대용 단말기(101)의 양측부에서 중앙부로 가해지는 인장력을 감소시킨 후 휴대용 단말기(101)의 타측부에 후크 결합을 해제한다.
그런 다음, 휴대용 단말기(101)의 일측부에 후크 결합된 제1 걸이부(120)의 후크 결합을 해제한 후 수납공간(102) 내에서 흡착제어부(150)의 회동부재(151)와 연동부재(152)를 대략 90°로 회전시켜 중앙돌기(111d)를 상승시킨다. 중앙돌기(111d)의 상승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1)의 후면에 흡착된 흡착패드(111)의 중앙부는 위로 들어 올려져 결국 흡착패드(111)는 휴대용 단말기(101)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휴대용 단말기 홀더 110 : 흡착부
120, 130 : 제1 및 제2 걸이부 140 : 그립부
150 : 흡착제어부 111 : 흡착패드
112 : 탄성부재 113 : 몸체부
114 : 고정부재 113b : 제1 수납부
114a : 제2 수납부 102 : 수납공간
111a : 흡착면 111b : 비흡착면
111c : 관통공 111d : 중앙돌기
113a : 중공 151 : 회동부재
152 : 연동부재 151a : 결합돌기
152a : 결합홈
113c, 113d : 제1 및 제2 이탈방지턱
151b, 152b : 제1 및 제2 이탈방지홈
130-1 : 좌측부재 103-1, 103-2 : 핀
130-2 : 우측부재 104 : 결합부재
104-1 : 헤드부 104-2 : 톱니바퀴
103-2a : 가이드홈 130-2b : 톱니들
141, 142 : 제1 및 제2 지지부재 143 : 연결부재
144 : 체결부재 114b : 홈부
114c : 가이드홈

Claims (16)

  1. 휴대용 단말기(101)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흡착면(111a)과 상기 흡착면(111a)의 반대측면인 비흡착면(111b)을 포함하고 상기 비흡착면(111b)의 중앙에 일방으로 돌출되고 상부에 관통공(111c)이 마련된 중앙돌기(111d)가 형성된 흡착패드(111)와, 상기 중앙돌기(111d)를 감싸도록 설치된 탄성부재(112)와, 중공(113a)과 상기 중공(113a)을 가로지르도록 장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1 수납부(113b)가 마련되고 상기 중앙돌기(111d)가 상기 중공(113a)에 삽입되어 관통된 상태로 상기 흡착패드(111)의 비흡착면(111b)을 덮도록 설치된 몸체부(113)와, 상기 몸체부(113)의 상부에 체결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1 수납부(113b)와 대칭되도록 중앙에 장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제2 수납부(114a)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홈부(114b)와 가이드부(114c)가 마련된 고정부재(114)를 포함하는 흡착부(110);
    상기 흡착부(110)의 일측부와 타측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1)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후크 결합된 제1 및 제2 걸이부(120, 130);
    원형 구조로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사용자의 손가락들 중 어느 하나가 관통하여 지지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141, 142)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141, 14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143)와, 상기 연결부재(143)의 중앙부에 상기 고정부재(114)의 상부면에 마련된 홈부(114b)와 가이드부(114c)를 따라 내부로 안내되어 상기 고정부재(114)를 축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144)를 포함하는 그립부(140); 및
    상기 몸체부(113)와 상기 고정부재(114) 체결시 상기 제1 수납부(113b)와 제2 수납부(114a)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114)의 단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중공(113a)을 관통하여 상기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중앙돌기(111d)를 승강시켜 상기 흡착패드(111)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1)의 후면에 흡착 또는 탈착시키는 흡착제어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흡착제어부(150)는 상기 중공(113a)을 경계로 상기 수납공간의 우측부에 수납되고 상기 중공(113a)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중앙돌기(111d)의 관통공(111c)을 관통하는 결합돌기(151a)가 형성된 회동부재(151)와, 상기 중공(113a)을 경계로 상기 수납공간의 좌측부에 수납되고 상기 회동부재(151)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중앙돌기(111d)의 관통공(111c)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결합돌기(151a)가 삽입되는 결합홈(152a)이 형성된 연동부재(152)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151a)는 상기 회동부재(151)의 일측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152a)은 상기 결합돌기(151a)에 대응하여 상기 연동부재(152)의 일측부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돌기(111d)는 상기 회동부재(1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151a)가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하강하여 상기 흡착패드(111)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1)의 후면에 흡착시키고, 상기 중앙돌기(111d)는 상기 결합돌기(151a)가 상기 수납공간의 천정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승하여 상기 흡착패드(111)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1)의 후면으로부터 탈착시키고,
    상기 제1 수납부(113b)에는 상기 회동부재(151)와 상기 연동부재(152)의 외주연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이탈방지홈(151b, 152b)에 끼워져 상기 회동부재(151)와 상기 연동부재(152)가 상기 고정부재(1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이탈방지턱(113c, 113d)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수납부(114a)에는 상기 제1 및 제2 이탈방지홈(151b, 152b)에 끼워져 상기 회동부재(151)와 상기 연동부재(152)가 상기 고정부재(1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 및 제4 이탈방지턱이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 홀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141, 142)는 각각,
    양측면부에 장방향을 따라 톱니들이 형성된 테일부;
    상기 테일부가 관통되는 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통로 내부에는 상기 톱니들이 맞물려 상기 테일부가 진입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록킹부가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고, 푸쉬버튼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이와 연동하여 해제돌기가 상기 테일부를 일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톱니들이 상기 테일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록킹부로부터 상기 테일부를 해제하는 해제버튼
    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홀더.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걸이부(120, 130)는 상기 흡착부(110)와 핀 결합된 휴대용 단말기 홀더.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이부(130)는 상기 흡착부(110)와 벨크로 체결방식, 스냅 똑딱이 체결방식, 벨트 바클 체결방식 또는 케이블 타이 체결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체결방식으로 체결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홀더.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이부(130)는 좌우로 이분할되어 좌측부재(130-1)와 우측부재(130-2)로 분할되고, 상기 좌측부재(130-1)는 일측부가 상기 흡착부(110)의 타측부에 핀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상기 우측부재(130-2)의 일측부와 결합하는 결합부재(104)가 설치되며, 상기 우측부재(130-2)는 일측부가 상기 결합부재(104)와 체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1)의 타측부에 후크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104)는 상기 좌측부재(130-1)의 타측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헤드부(104-1)와, 상기 헤드부(104-1)의 하측에 체결되어 상기 헤드부(104-1)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원판형 톱니바퀴(104-2)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부재(130-2)는 상기 좌측부재(130-1)의 타측부가 삽입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내측벽들 중 일측벽에는 상기 결합부재(104)의 상기 톱니바퀴(104-2)가 삽입된 후 맞물려 진입하도록 톱니들(130-2b)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부재(130-2)의 상부에는 상기 좌측부재(130-1)가 상기 결합부재(104)와 함께 그 내부로 진입한 후 상기 좌측부재(130-1)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결합부재(104)의 헤드부(104-1)가 상기 톱니바퀴(104-2)의 진행방향으로 진입하도록 가이드홈(103-2a)이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1020120057973A 2012-05-31 2012-05-31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101227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973A KR101227897B1 (ko) 2012-05-31 2012-05-31 휴대용 단말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973A KR101227897B1 (ko) 2012-05-31 2012-05-31 휴대용 단말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897B1 true KR101227897B1 (ko) 2013-01-30

Family

ID=4784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973A KR101227897B1 (ko) 2012-05-31 2012-05-31 휴대용 단말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89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666B1 (ko) * 2012-04-18 2013-10-30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KR101483900B1 (ko) 2014-01-04 2015-01-26 박신제 휴대폰 지지용 걸이구
KR101494104B1 (ko) 2013-11-05 2015-02-17 김창호 반지와 결합이 가능한 휴대전화기 케이스 어셈블리
WO2016068399A1 (ko) * 2014-10-27 2016-05-06 이시헌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101866881B1 (ko) * 2015-11-25 2018-06-12 (주) 폰투조이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880754B1 (ko) * 2018-04-25 2018-07-20 채수현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파지 장치
KR101967449B1 (ko) * 2018-10-31 2019-04-10 노동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2348928B1 (ko) * 2020-11-23 2022-01-07 이명진 노트북용 마우스 홀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7745A (en) * 1994-07-11 1995-10-10 Wang; Chin-Yang Adjustable mobile phone holder
KR20050033186A (ko) * 2003-10-06 2005-04-12 주식회사 큐라이프 유동 가능한 휴대 단말기 접속용 컨넥터를 구비한 게임 패드
KR20090075436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거치대의 고정구조
KR101132401B1 (ko) * 2011-07-20 2012-04-03 권현옥 휴대용 전자기기의 파지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7745A (en) * 1994-07-11 1995-10-10 Wang; Chin-Yang Adjustable mobile phone holder
KR20050033186A (ko) * 2003-10-06 2005-04-12 주식회사 큐라이프 유동 가능한 휴대 단말기 접속용 컨넥터를 구비한 게임 패드
KR20090075436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거치대의 고정구조
KR101132401B1 (ko) * 2011-07-20 2012-04-03 권현옥 휴대용 전자기기의 파지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666B1 (ko) * 2012-04-18 2013-10-30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용 케이스
KR101494104B1 (ko) 2013-11-05 2015-02-17 김창호 반지와 결합이 가능한 휴대전화기 케이스 어셈블리
KR101483900B1 (ko) 2014-01-04 2015-01-26 박신제 휴대폰 지지용 걸이구
WO2016068399A1 (ko) * 2014-10-27 2016-05-06 이시헌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101866881B1 (ko) * 2015-11-25 2018-06-12 (주) 폰투조이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880754B1 (ko) * 2018-04-25 2018-07-20 채수현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파지 장치
KR101967449B1 (ko) * 2018-10-31 2019-04-10 노동환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2348928B1 (ko) * 2020-11-23 2022-01-07 이명진 노트북용 마우스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897B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TWI474770B (zh) 可攜式電子模組及其固持裝置
US9080715B2 (en) Support device for suspending an article from a horizontal object
US20150273325A1 (en) Adaptable Handle for Tactile Tablet
US7591506B2 (en) Child booster seat tuckable under the table
CN104068683B (zh) 座椅及其座椅释锁保持结构
GB2517053A (en) Child high chair
US20140077515A1 (en) Support system for digital tablet devices
CA2995191C (en) Shoe fastening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394297B1 (en) Changing station for wearable computer band
JP2019091985A (ja) 携帯端末保持具
US20210078462A1 (en) Unlocking device with pause function
TWI578879B (zh) 電子用品之夾持座具
AU2010206091B2 (en) A Single-Hand Tablet Computer Manipulation Device
US20210045499A1 (en) Compact Ratcheting Buckle Mechanism
US8752875B1 (en) Electronic device holding system
KR200486975Y1 (ko)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KR20150087037A (ko) 와치형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
EP3809682A1 (en) Terminal holder and terminal storage case
CN204932214U (zh) 颈部按摩器
JP3199858U (ja) 傘ホルダー
KR102235288B1 (ko)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
US20120175208A1 (en) Travel luggage
CN202426756U (zh) 带有安全带的轮椅
EP2601852B1 (en) Bind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