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037A - 와치형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 - Google Patents

와치형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037A
KR20150087037A KR1020140007417A KR20140007417A KR20150087037A KR 20150087037 A KR20150087037 A KR 20150087037A KR 1020140007417 A KR1020140007417 A KR 1020140007417A KR 20140007417 A KR20140007417 A KR 20140007417A KR 20150087037 A KR20150087037 A KR 20150087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rist
case
ban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8730B1 (ko
Inventor
김중영
Original Assignee
김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영 filed Critical 김중영
Priority to KR1020140007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7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를 손에 쥐지 않고도 손으로 잡고 하는 것 이상으로 손목이라는 제한된 공간상에서 통화와 정보검색 및 교환을 편리하고 완벽하게 구현해주는 본 고안 편의장치에 체화된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단말기의 휴대 및 이용 편의장치로서 인체의 손 역할을 대행할 작동유닛이 보관· 장착된 케이스와 그 케이스에 탄성의 관절장치를 설치하고 서로 연결시켜 본 고안 장치에 탑재된 단말기를 이용함에 있어 안출된 편의기능(단말기와 편의장치의 합체, 단말기를 접어서 손목에 착용하여 휴대, 장치작동을 위해 전개, 편의장치에 탑재된 단말기의 선회, 회전, 상승으로서 일련의 연결된 동작기능)의 작동이 연속동작으로 이루어지도록 연결된 케이스를 연쇄구동트레인벨트화 하여 유기체처럼 움직이게 하며 앞의 구동트레인벨트를 손목에 지지 및 고정하고 그 벨트와 함께 작동기능을 유기적으로 함께 부담하고 보조하도록 단면이 직사각형인 관 모양의 패스닝 밴드에 금속시계 줄의 버클부를 응용 개선하여 설치하고 밴드크기를 쉽게 늘이고 줄이기 위해 슬라이딩 밴드 연장부를 설치하며 나아가 고안된 편의장치에 탑재된 단말기가 접힌 상태에서도 더욱더 쉽게 손목에서 탈· 부착되도록 손목 등의 바깥쪽 측면 밴드의 상단에 관절부를 설치한다. 그리고 기존의 일반시계 및 와치폰보다 인체역학적으로 시간확인을 더 쉽게 하기 위해 사용자의 기호 및 편의에 따라 밴드어블폰의 삼면으로 구부러지는 특성을 적극 활용하여 손목 안쪽 날 부근의 한쪽 면에는 상시 시계화면을 구현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시계형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THE BENDABLE SMART WATCH FACILITY APPARATUS}
본 발명은 독특한 형상 및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 단말기와 손목에 착용 되도록 구성된 시중의 와치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 현재까지 손목에서의 구속으로 폰 기능이 제한되게 사용되어짐에 따라 일반 스마트폰의 기능 보조재로서의 역할에 머무는 와치형 휴대단말기의 기능보완으로 손목에서 구속된 상태에서도 손으로 폰을 잡고 이용하는 것보다 더 편리하게 이용되어 와치형 휴대단말기의 스마트폰 보조 재로부터의 완전한 독립과 아울러 폰에서 인체의 손까지도 해방시킴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먼저 앞으로 폰 시장을 선도할 웨어러블폰으로서 첫 진화단계로 현재 소위 와치폰 형태로서 출시된 웨어러블폰의 효용성은 기존 스마트폰의 보조기구로서 효용가치만을 가질 뿐 진정한 독립된 폰이라 할 수 없는 불완전한 웨어러블폰임에 따라 그 와치폰 형태의 스마트폰을 진정한 독립된 웨어러블폰으로 재창조하기 위해 기존의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단말기의 케이스 상에 본 고안 장치와 결합 되도록 일단의 체결장치와 그 단말기가 삼 단계, 삼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탄성 관절장치를 2군데 설치하여 기존의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단말기를 밴드어블폰으로 구성하여 본 고안 장치에 탑재시킴으로 인해 기존의 스마트폰기술만으로도 얼마든지 충분한 진정한 독립된 웨어러블폰으로 재창조하는데 획기적 의의가 있고
다음으로 가까운 장래에 양산되어 질 플렉시블폰의 획기적, 혁신적 기능이라는 휘어지고 구부러질 수 있는 물성을 백분 활용하기 위해서는 플렉시블폰에 역시 본 고안 장치와 결합 되도록 간단히 체결장치만을 설치함으로써 그 물성의 효용가치를 더욱 배가 시킬 것으로 사료되고 따라서 아무리 첨단 플렉시블폰이라 할지라도 본 고안 장치와 함께 사용되지 않는 한 독특한 휘어질 수 있는 물성 적 기능만 갖춘 현재의 단순 스마트폰으로 전락할 뿐이며 진정한 독립된 웨어러블폰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어 실생활에는 효용이 그다지 크지 않을 것이라 사료됨에 따라 플렉시블폰이 본 고안 장치와 합체됨으로 인해 비로소 그 물성의 효용성을 충분히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종합하면 가까운 장래에 양산될 미래의 기술인 플렉시블폰의 특성을 실생활에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효과적이며 독립적으로 자연스럽게 착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보탬이 되게 하는데 플렉시블폰 개발의 궁극적 목표가 있고 이러한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는 본 고안 장치를 이용하지 않는 한 그 목표의 달성은 어려울 것이라 사료되어 최첨단의 장래 플렉시블폰이 실생활에서보다 유용하게 사용되어지도록 만드는 진일보한 와치형 휴대단말기 편의장치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덧붙여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창의 시계화면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손목 상에서 밴드어블폰의 삼면으로 구부러지는 특성을 활용하여 손목 안쪽 날 부근의 한쪽 면에는 상시 시계화면을 구현하여 와치기능도 충실히 할 수 있다.
와치형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 각종의 웨어러블폰이 개발되고 출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기술의 초보단계에 머무는 것은 현재까지 그 폰의 여러 기능상의 미비점도 있지만 무엇보다 폰을 사용함에 있어 꼭 폰을 손에 쥐고 사용해야만 하는 인체구조역학상의 사용상의 제약문제에 따른 근본적인 문제해결 없이는, 즉 와치형 휴대 단말기로서 스마트폰이 인체의 손목에 묶이는 공간의 제약을 받을 경우 인체역학상 스마트폰의 전화를 걸고 받고 하는 기본적인 기능사용조차도 제한될 뿐 아니라 스마트폰의 특색인 정보통신의 검색 및 교환을 위한 사용자의 이용자세도 아주 불편할 수밖에 없음에 따라 와치형 휴대단말기는 항상 스마트폰의 보조재로만 머물 수밖에 없어 진정한 독립된 기기로서의 구체화는 실현불가 할 것 같고 또한 미래에 아무리 잘 휘어지고 접히는 휴대폰기술이 개발되어 진다 할지라도 와치형의 진정한 독립된 웨어러블폰의 실현은 요원하다는 난제에 따른 안출기획 의도로 진정한 웨어러블폰의 실현을 위해 손목 상에서 잡고, 쥐고 하는 손 역할과 폰을 귀까지 올려주는 팔 역할을 대행할 장치개발의 여하에 의해 독립된 기능의 웨어러블폰으로써 기술진전이 앞당겨질 수 있다고 사료되고 그리고 기존의 일반시계 및 와치폰으로 시간확인을 위해서는 시계화면이 손목 등에 위치함으로써 인체역학상 항상 손목 안쪽 날을 돌려 시간확인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해결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 장치에 예비 배터리를 보관하는 수납 케이스를 마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걱정도 해소하고자 하는 안출 의도를 가진다.
먼저 기능이 제한된 기존의 와치형 스마트폰이 아닌 일반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인체의 손과 팔의 대행역할을 담당하는 기능의 작동모듈을 설치하기위한 일단의 방편으로 케이스를 사용하여 그 케이스 안에 작동모듈을 장착 보관하고 케이스 뚜껑에 체결장치를 설치하여 고안된 스마트폰을 포함한 특화된 이동단말기용 사용편의장치에 단말기를 결속시켜 탑재한 후 모듈이 장착된 각 케이스에 탄성관절장치까지 넣어 케이스를 서로 연결시킴으로 트레인형태의 연쇄구동벨트로 하여금 인체가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 손과 팔 기능의 일부를 대행하게 하여 안출된 편의기능을 수행케 하고 또한 작동모듈이 장착· 보관되지 않은 구동트레인벨트의 하단케이스는 예비배터리 수납공간으로 활용하며 그리고 그 구동벨트를 손목에 지지 및 고정하고 그 구동벨트와 연동하여 함께 작동하고 보조하도록 하기 위하여, 단면이 직사각형인 관 형태로 구성된 밴드로서 금속시계밴드와 같이 특수 고안된 손목 탈·부착 장치와 밴드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응용 개선된 슬라이딩밴드연장 부를 설치하여 시계밴드 이상으로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단말기의 휴대와 사용이 더 편리하도록 편의장치와 체결된 단말기가 전개된 상태에서뿐 아니라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손목 위 바깥쪽 밴드에 관절장치를 넣어 탈· 부착 시 버클부의 관절장치와 동시에 밴드관절장치도 함께 꺽 이도록 고안되어 탈· 부착이 시계밴드보다 훨씬 더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사용자의 기호 및 편의에 따라 손목 상에서 밴드어블 폰의 삼면으로 구부러지는 특성을 적극 활용하여 손목 안쪽 날 부근의 한쪽 면에는 상시 시계화면을 구현하여 기존의 일반시계 및 와치폰 보다 인체 역학적으로 시간확인을 더 쉽게 한다.
본 고안품으로써 와치형 스마트폰이 비록 손목에 묶여있다는 공간적 제약이 있지만 굳이 그 이동 단말기를 손에 쥐지 않고도 오히려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것보다 더 편리하게 전화를 걸고 받고, 정보를 검색 및 교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백분 활용할 수 있도록 인체의 손과 팔 역할을 대행하는 고안된 특수 작동유닛들에 의해 단말기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상설하면-통화기능의 수신 및 발신 시 한 번의 이어진 단발동작(이 세상에서 가장 쉬운 일이 손바닥뒤집기라는 속담에서의 인체의 동작처럼 본 고안 장치에 탑재된 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손바닥만 뒤집으면 되는 동작)에 의해 아래 안출된 편의 기능을 고안 장치의 순차적인 메카니즘의 연쇄동작기능으로 수행되는 과정은 장치에 탑재된 단말기가 인체의 위쪽 손목 등에서 아래쪽 손목 배까지 이동한 다음 세로에서 가로방향으로 90°회전하여 다시 아래의 손목 배 부근에서 위쪽 손바닥 상단까지 단말기를 상승시켜 그것을 손에 쥐고 자연스럽게 귀에 갖다 대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줌으로써 본 고안 장치가 통화 시 인체의 손이 단말기를 잡아서 쥐고 귀까지 갖다 대는 역할을 대행케 하고, 스마트폰의 특징인 정보의 검색 및 교환, DMB시청 시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거나 쥐지 않고도 사용자의 자세와 편의에 따라 즉 인체공학상 기립된 자세에서 주로 이용되리라 사료되는 손목의 위쪽 등 부근에서, 인체공학상 앉은 자세에서 주로 이용되리라 사료되는 손목의 측면인 날 부근에서, 인체공학상 누운 자세에서 주로 이용되리라 사료되는 아래 쪽 손목 배 부근에서 사용자의 편의 및 용도에 따라 단말기의 방향까지 여러 각도로 자유자재로 회전시켜 가면서 그 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케 함으로써 오히려 손에 쥐고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편리하여 종국적으로 본 고안 장치가 단말기에서 손을 해방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 및 사용용도에 따라 단말기를 고안된 편의장치에서 분리할 수도 있어 이 편의장치가 해결할 수 없는 단말기의 분리휴대시의 장점도 충분히 활용케 하며 그것이 인체와 분리되어 휴대됨에 따른 도난, 분실, 개인정보유출의 위험, 타인의 오남용, 등으로서의 단점은 웨어러블폰의 특징으로 보완됨에 따라 즉 분리휴대의 장점은 취하고 단점은 보완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기호 및 편의에 따라 손목 상에서 밴드어블폰의 삼면으로 구부러지는 특성을 적극 활용하여 손목 안쪽 날 부근의 한쪽 면에는 상시 시계화면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일반시계 및 와치폰 보다 인체 역학적으로 시간확인을 더 쉽게 한다.
도면1은 본 발명의 bare상태에서 전개된 단말기편의장치의 상면사시도
도면2는 본 발명의 밴드어블 및 앞으로 양산될 플렉시블 단말기와 안출된 편의장치와 합체시키는 역할의 결속장치 구성과,1실시 예에 의한 사용상태도 그리고 투시된 부품분해 및 조립도
도면3은 동체케이스내의 구성을 나타낸 투시된 부품분해 및 조립도
도면4는 도면3에 도시된 회전장치가 탑재된 큰 원통을 비롯한 하부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투시된 부품분해 및 조립도 및 1실시예의 회전 장치 상태 동작도
도면5는 패스닝 밴드에 결속된 상태에서의 손목 위쪽 등 및 손목 아래쪽 배에서 실현된 도면4c에 도시된 회전장치 작동부의 1실시예의 전체과정 동작도
도면6은 도면4에서 투시되어 보여 진 선회바퀴 축 및 선회브레이크잠금장치 조작간이 탑재된 작은 원통 내부에 장착된 하부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투시된 부품분해 및 조립도
도면7는 선회장치 및 상승장치 작동부의 1실시 예에 관련된 투시된 동작상태도
도면8은 도면7a에 도시된 선회장치 작동부의 1실시 예에 의한 2실시예로서의 전체 구동순서 및 과정을 나타낸 동작도
도면9는 도면7b에 도시된 상승장치 작동부의 1실시 예에 의한 2실시예로서 round train apparatus 상승상태 동작도
도면10은 도면7b에 도시된 상승장치 작동부의 1실시 예에 의한 2실시예로서의 angle train apparatus 상승상태 동작도
도면11은 예비 배터리 보관함으로써 하단독립날개케이스의 부품분해 및 조립도
도면12는 예비 배터리 보관함으로써 하단중간독립날개케이스의 부품분해 및 조립도
도면13은 상단중간독립날개케이스의 부품분해 및 조립도
도면14는 상단독립날개케이스의 투시된 부품분해 및 조립도
도면15는 본 발명의 패스닝 밴드의 투시된 사시도와 구성 및 분해도
도면16은 본 발명의 패스닝 밴드에 있어 밴드 관절부, 버클부, 그리고 슬라이딩 밴드연장부의 사시된 부품분해 및 조립도 및 도16c는 단면도로 표시된 버클부의 1실시예의 상태 동작도
도면17은 단말기가 탑재된 패스닝 밴드의 버클부 및 밴드 관절부의개폐 동작도
도면18은 bare상태로서 round train apparatus의 bending 및 spreading 사시도
도면19는 bare상태로서 angle train apparatus의 bending 및 spreading 사시도
도면20은 3steps unbendable display로 구성된 bendable phone의 단면도 및 1실시예의 상면에서의 측면 사시도
도면21은 3steps unbendable display의 bendable phone이 탑재된 사시도
도면22는 bendable display but unbendable bat, and memory circuit로 구성된 bendable phone의 단면도 및 1실시예의 상면에서의 측면 사시도
도면23은 bendable display but unbendable bat, memory circuit의 bendable phone이 탑재된 사시도
도면24는 bendable display, bat, and memory circuit 의flexible phone의 상면에서의 측면 사시도
도면25는 bendable display, bat, and memory circuit 의flexible phone이 탑재된 사시도
*.<참고> 가는 실선은 투시된 내용이다
먼저 용어의 정의에 있어 이하의 설명에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로서 장치, 부, 부재, 간, 체, 시스템, 모듈, 유닛 등은 단지 본 명세서작성의 적절한 설명을 위해 동원된 것으로 그 자체로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며 위의 용어들 자체도 이하 설명의 문맥 상황에 따라 혼용되어 사용된다.
본 고안 장치에 있어서 안출된 여러 편의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기능체로서 동력부, 구동부, 잠금부, 연장부 등은 기술의 진전, 새로운 아이디어, 더 나은 편의기능, 효율적인 설계변경 등으로 발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이동단말기 중에는 기존 휴대폰, 스마트폰 및 플렉시블 스마트폰에 외관에서의 기능추가에 의한 디자인변형과 그 외관의 변형에 따른 단순한 내부구조의 설계변경으로 본 고안의 편의장치에 체화되게 안출된 기기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휴대 및 이용 편의장치로서의 와치형 휴대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서 고안된 와치형 휴대단말기가 탑재되지 않은 bare상태에서 전개된 단말기 편의장치의 상면 사시도로서 도면1a는 물성 그 자체로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시블 폰 단말기가 탑재되는 원형트레인편의장치<round train apparatus>이며 도면1b는 관절장치의 설치에 의해 구부러지는 밴드어블 단말기가(이하에서 가칭 밴드폰이라 칭한다) 탑재되는 각형트레인편의장치<angle train apparatus>로서 아래 참조된 첨부의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기 이용에 있어 기능별 편의장치를 장착 보관하여 필요한 여러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위한 일단의 방편으로 사각의 케이스형태를 이용하고 각 케이스의 뚜껑과 본체에 각각 관절장치를 넣어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분야별 기능을 담당하는 각 케이스의 동작수행이 순차적 메카니즘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쇄· 연속동작으로 일어나도록 체인벨트 화된 연쇄구동트레인벨트<도1의 06>로 구성하고 구성된 각 케이스의 명칭 및 역할을 도면1에서 도시된 그림을 중심으로 더욱 상세하게 표현된 다른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하단독립날개 케이스<도1의 01-downward segment case wing>는 입체사각형의 본체<도11a의 1101>에 앞· 뒤가 막히지 않고 트여 있는 덮개<도11a의 1102>가 장착된 케이스의 형태로 그 덮개는 본체와 연결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의 본체와의 지지 및 고정 장치부재 및 이동 실행부재로서 덮개 양 측면에 지지 및 고정 이동판(<도11a의 1104>, a moving plate bar suspended on a main body)이 설치되고 본체에는 그 지지 및 고정 장치가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 양 측면에 이동통로부재인 긴 홈 통로(<도11a의 1105>, a long conduct road framed of a groove)을 갖추고 있으며 그리고 하단독립날개로서 구동트레인벨트의 맨 아래쪽에 위치됨으로 인하여 덮개가 본체에서 아래쪽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덮개에 가해지는 선회동력을 본체에 전달하기 위하여, 덮개 및 본체케이스 양 측면에 그 길이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앞의 지지 및 고정 이동판 및 긴 홈을 장착한 다른 케이스와 달리, 앞의 지지 및 고정 이동판 및 긴 홈을 덮개 및 본체하단 중간부근까지만 설치하여 덮개의 이동이 그 부근에서 멈추게 되는 이동 한계지점 및 본체동력전달지점으로 구성되게 하고 분야별 기능을 가진 각 케이스가 서로 협조하여 하나의 완성된 임무를 수행하는 유기체로 만들기 위해 케이스의 앞쪽에 자유자재로 구부렸다 펴지게 하는 본체 수놈탄성관절장치<도11a의 1108>와 덮개 수놈관절장치<도11a의 1109>를 각각 설치하고 또한 나머지 다른 케이스와 함께 덮개 위에 단말기 결속용 수놈체결장치<도11a의 1106>를 설치하여 암놈체결장치를 장착한 단말기와 결속됨으로써 체결 및 탑재의 기능을 수행케 하며 또한 케이스 뒷면에도 패스닝 밴드와의 결속용 수놈 체결장치<도11a의 1103>를 설치하여 패스닝 밴드의 암놈체결장치<도15의 614>와 결속됨으로써 이 케이스 상에 탑재된 밴드블폰을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펴지게 하고 손으로 접는 관절동작을 수행하게 하며 또한 나머지 다른 케이스의 덮개와 연동하여 케이스덮개를 상승시켜 폰을 상승시키는 연쇄동작도 수행케 하며 또한 이 종속 케이스는 주 케이스인 동체케이스의 동작에 보조를 맞추고 또한 통제를 받기 위해 기능하는 목적으로서 동체케이스와 연동되도록 이 케이스의 덮개도 동체케이스의 덮개구조 및 기능<도3c참조>을 그대로 차용하여 본 편의장치의 착용상태를 기준으로 케이스덮개의 넓이를 본 편의장치의 오른편의 손등 쪽에 본체와 덮개 사이에 여유 공간<도11b의 1110>이 남게끔 본체보다 더 넓게 만듦으로써<도11b,케이스 단면도> 동체케이스덮개 상단에 탑재된 휴대 단말기의 몸통을 잡고 위쪽 왼편 팔 쪽으로 밀 때 이와 연결된 동체케이스덮개뿐 아니라 이 덮개와 이어져 연결된 나머지 케이스의 덮개도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그 여유 공간만큼<도11b의 1111> 이동되게 함으로써 한 케이스 덮개에 대한 작동만으로 그와 연결된 모든 케이스의 덮개가 유기체처럼 한 번에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작동되는 메카니즘을 구현한다. 그리고 이 케이스는 용도 및 편의에 따라 밴드폰의 예비 배터리 수납공간<도11a의 1107>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하단중간독립날개케이스<도1의 02-downward in-between segment case wing>는 바로 앞의 설명을 준용한다. 이 케이스는 중간에서 연결되는 기능으로 인해 앞에서 설명된 케이스와 달리 케이스 앞에는 덮개 수놈 관절장치<도12의 1203>와 본체 수놈 탄성관절장치<도12의 1202> 뒤에는 덮개 암놈 관절장치<도12의 1205>와 본체 암놈 탄성관절장치<도12의 1204>가 설치된다.
동체케이스<도1의 03-moving body case>는 그 의미대로 각 케이스가 연결된 구동트레인벨트를 작동케 하는 locomotive케이스로서 나머지 종속 케이스를 통제하고 함께 연동하여 그 벨트의 순차적 메카니즘에 의한 연속· 연쇄동작으로 기능별 동작<bending & spreading, rotary, turning, raising up motion>을 완수하는 기관차의 역할로서 구동벨트가 작동되는 모든 기능의 제어 및 동력장치가 보관 및 장착된 케이스로서 아래에 도시되는 도면3~10에서 그 구성과 기능 및 원리를 상설한다.
상단독립날개케이스<도1의 05-upward segment case wing>는 앞의 하단독립날개케이스의 기능에 더하여 동체케이스와 연결된 상승 동력 장치가 이 케이스 본체 상단의 끝<도14의 1405>까지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구동트레인벨트 내에서 상승부로서의 핵심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면14의 도시에서 상승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탄발력을 갖춘 일반적인 탄성체로 인장<도14의 1404> 혹은 태엽<도14의 1406> 탄성체를 인용할 수 있고 본 고안 장치에 상승 동력원으로 이용할 시 각 탄성체마다의 특성에 따른 장· 단점이 존재하며 편의 및 효용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여 장착 설치될 수 있다. 상설하면 태엽 탄성체의 경우, 도시하는 바에 의해 탄성체동작 조작부재의 구성은 태엽에 동력을 전달하고 전달받는 타 장치에 대한 태엽장치의 동력매개체로서 태엽장치를 제어하는 조작간으로써의 작은 기어<도14의 1407>와 그 기어와 결합되어 몸체아래 실패<도14의 1410>를 장착하여 탄성체의 동력을 실<도14의 1409>을 이용하여 일단의 상승장치부재에 전달하고 또한 실에 가해진 동력을 반대로 태엽의 작은 기어에 전달하는 작은 기어에 상대되는 큰 기어<도14의 1408>로 구성된다. 태엽 탄성체는 태엽을 조종하는 기어와 그 기어에 장치된 실을 감아 실이 운동함으로써 기능의 작동이 구현되는 원리로 태엽이 보관된 원통<도14의 1406>이 케이스 중간 안쪽에 위치함으로써 즉 상승통로<도14의 1404>에 탄성체가 장착 보관되는 공간이 필요한 인장 탄성체의 구조와 비교하여 그 보관된 공간만큼 상승능력에 제한을 가져오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무겁고 스트링과 기어 등의 설치로 단순한 하나의 물리적 형태로 설치가 간편한 인장 탄성체에 비해 기계장치가 복잡하여 제조의 어려움으로 시간적 경제적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는 상승 장치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일단의 인장 탄성체를 상승 장치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상단중간독립날개케이스<도1의 04-upward in-between segment case wing>는 바로 앞의 설명을 부분 준용하며 동체케이스와 연결된 상승 동력 장치가 상단독립날개케이스 상단까지 이어지는 통로를 장착한 케이스로서 상승부장치의 일부로 기능한다. <도13 참조>
고정밴드<도1의 07-fastening band>는 앞의 구동트레인벨트를 손목에 지지 및 고정하고 그 구동벨트와 연동하여 함께 작동하고 보조하도록 하기 위하여, 단면이 직사각형인 관 형태로 구성된 밴드로서 금속시계 줄의 버클부<도1의 10, 도16참조>를 응용 개선하여 설치하고 밴드의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응용 개선된 슬라이딩 밴드길이연장조절부<도1의 09, 도16참조>를 설치하여 시계밴드 이상으로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단말기의 휴대와 사용이 더 편리하도록 편의장치와 체결된 단말기가 전개된 상태에서 뿐 아니라 구부러진 채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도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손목 위 바깥쪽 밴드에 관절장치<도1의 08, 도16의 813>를 넣어 탈· 부착 시 버클부의 관절장치와 동시에 밴드관절장치도 함께 꺽 이도록 고안되어<도17 참조> 탈· 부착이 시계 밴드보다 훨씬 더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아래에서 도시되는 도면15, 16에서 상설 한다-그리고 밴드 상단 중앙 측면에 전개구동피동조작부재(간)<도1의 11,도3의 325>와 동체케이스 덮개 측면중앙에 설치된 전개구동능동조작부재(간)<도1의 12,도3의 308>를 장착하여 이들 조작부재의 결합에 따른 운용으로 탄성 관절장치가 설치된 구동트레인벨트가 자동 전개되어 순서에 따른 메카니즘에 의해 안출된 편의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도2에서 도2a는 본 발명에 체화된 단말기와 본 편의장치를 합체시키는 역할로 동원된 일단의 암놈 결속 및 분리장치에 대한 구성과 그 구성에 따른 상태 동작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기 케이스 뒤편에 구성된 암놈 결속 및 분리장치<도2a의 21>에 대한 구성에 따른 분해 및 조립도와 1실시예의 상태 동작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와 더불어 상술하면, 본 장치에 체화된 단말기케이스 뒷면에 암놈체결장치로 구성하기 위해 도시된 홈 돌출 걸림턱의 크기가 홈의 세로 길이의 1/3의 크기<도2c 23>로 내재된 단면구조<도2a 24>를 가진 직사각형의 홈을 구동트레인벨트상의 수놈 체결장치와 결속될 수 있는 위치에 맞추어 그 수만큼의 홈을 대향되게<도2a 22-1> 설치한다.
도2b는 수놈결속장치로 편의상 동원된 후크형<도2b 28>에 대한 구성의 도시로써 암놈체결장치인 홈 안의 고정된 돌출 걸림턱<도2c 23>에서 수놈 후크형의 본체 머리부분인 걸림턱 부분<도2b 30>의 탈루가 원활해지도록 후크형 결속장치 본체<도2b 30>와 그 본체를 지지 고정하는 패스닝 포스트<도2b 27-2>와의 이격거리<도2b 27-1>와 비례된 패스닝 포스트 모서리의 라운딩각도<도2b 27-2>에 따른 R값에 의한 동작크기만큼 후크 본체가 탈루동작을 수행하도록 고안되었고, 그 동작의 동력확보를 위하여 패스닝 포스트와 후크 본체를 탄발력을 가진 탄성체<도2b 29>로 연결하여<도2b하단참조> 결속 및 분리 동작 후 항상 원상복원력으로써 후크에 운동성을 부여하였다. 역시 수놈 체결장치의 일단인 후크가 암놈 체결장치인 후크 홈과 체결되기 위해 구동트레인벨트 상에 그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그 홈의 수만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한다<도2b 22-2>.
도2c는 결속 및 분리장치의 동작원리에 대한 도시로 본 고안 장치에 체화되는 단말기와 고안 장치의 결속을 위한 부착시의 동작원리는 단말기 후크 홈에 후크를 채울 때 그 후크가 홈 안에서 끼워지는 각도에 따라 후크본체의 머리<도2b 30>가 자유로이 뒤로 혹은 앞으로 젖혀지는 기계적 동작으로 자연스럽고 원만히 홈에 삽입되어 체결된다<도2b 하단참조>. 탈착시의 동작원리는 우측 홈 돌출 걸림턱이 우측 후크의 머리 부분인 걸림턱에서 뒤로 빠지면서<도2c 26> 역작용으로 좌측 홈 돌출 걸림턱이 좌측후크의 머리 부분을 밀어서<도2c 25> 좌측 후크가 체결된 상태에서 후크 뒤쪽에 남은 홈 안의 여유 공간<도2c 24>까지 머리가 젖혀지는 순간 우측의 후크는 우측 홈 돌출 걸림턱에서 완전히 탈루된다. 구체적인 실시방법은 탈착 시에는 구동트레인벨트에 부착된 단말기를 좌측으로 당기면 좌측 홈 돌출 걸림턱에 의해 후크가 뒤로 젖혀지는 공간<도2c 24>만큼 동시에 우측 후크는 뒤로 빠지면서 우측 홈 돌출 걸림턱에서 좌측 후크보다 먼저 탈루가 되고 나면 단말기의 우측면부터 들어 올려 우측으로 당기면 후크도 좌측 걸림턱에서 좌측 홈의 뒷 여유 공간으로 빠지고 그 걸림턱에서 탈루가 되는 순간 동시에 단말기의 좌측면을 들어올리게 되면 최종으로 단말기가 구동트레인벨트에서 탈착이 된다. 이때 위 순서와 반대로 단말기를 우측으로 밀어서 단말기를 탈착하는 경우 당연히 역순의 논리로 동작한다<도2c하단 1실시예의 상태 동작도 참조>.
도3은 동체케이스의 구성과 그 구성에 따른 기능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를 상설하면, 구동트레인벨트 내에서의 주가 되는 동체케이스의 역할은 나머지 종속된 케이스와 탄성 관절장치로 연결되어 종 된 케이스들을 통제하면서도 그 케이스들과 기능을 분담하여 연쇄구동트레인벨트가 소정의 동작을 완수케 하는데 동력제공과 제어를 가하는 그 벨트에서 중심역할을 하는 모듈로서 동작원리는 2단계로 나뉘어 설명된다.
1단계에서는 연쇄구동트레인벨트가 패스닝 밴드에 결속되어 동력확보가 불가한 상태에서도 동체케이스덮개의 측면에 장치된, 밴드-벨트체결해제 장치인 전개구동능동조작부재<도3의 308, 도1의 12>가 전개구동피동조작부재<도3c의 325, 도1의 11>와 결합되어 그 능동부재가 피동부재를 조작하여 탄성 관절장치에 의해 구동벨트가 전개(bending and spreading system)되고 아울러 동체케이스 안쪽 선회제어장치부의 일단인 능동조작부재<도3의 306>가 피동조작부재<도3의 314>를 견인하는 조작운동에 의한 선회제어잠금장치의 해제로 구동트레인벨트의 선회준비상태(rotary motion system)<도6, 7참조>가 되는 것으로 즉 본 기능의 구현 전에 본 기능을 위한 시동기능이 사전에 이루어져야 되고 또한 그 벨트가 패스닝 밴드에 묶여 있더라도 그 시동기능을 구현하는 동력은 반드시 확보되어야 함으로써 그 동력을 구현하는 방편으로 동체케이스덮개를 적당한 이격거리를 두고 3등분하여 중간덮개<도3의 302>가 상단<도3의 301>과 하단덮개<도3의 303> 사이를 왕복하는 동력으로 시동 동력을 확보한다. 동작원리는 케이스 양 측면에 둥근 환봉 바<도3의 315>를 보관한 삼각형의 관을 구성<도3의 309>하고 그 안에 원위치동력발생부재인 압축 탄성체<도3의 316>를 장착하여 그 삼각형 관이 그 환봉형태의 원형 바를 따라 그 바를 상· 하에서 고정한 상단 삼각 관<도3의 312>과 하단 삼각 관<도3의 310>의 사이를 왕복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구동트레인벨트가 패스닝 밴드에 결속된 상태에서 인체의 한쪽 손에 의한 동작으로 상· 하중 어느 한쪽으로 밀리며 제 껴지는 동작<도8참조>에 따른 동체케이스의 중간덮개 왕복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트레인벨트가 패스닝 밴드에 결속된 상태에서도 더 잘 제껴지도록 후크형의 수놈체결장치<도3의 322>의 머리를 둥근 공<도15의 607>으로 구성하여 그 장치가 보관되는 원통형 관<도15의 608> 안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하고 또한 그 장치의 다리가 접촉되는 부분에 부드러운 탄성 소재인 고무 팩킹<도15의 609>을 사용하여 움직임 능력을 도모한다.
2단계에서는 먼저 기초단위인 케이스로 연결되어 구성된 연쇄구동 트레인벨트가 선회, 회전, 상승 등의 안출된 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체케이스를 구성함에 있어 먼저 동체케이스의 하단덮개<도3의 303>와 상승 동력장치의 수놈 걸쇠잠금장치<도4의 412, 도3의 304>를 합체· 고정하여 잠금장치가 풀리면 상승동력발생부의 동력에 의해 동체케이스 덮개뿐 아니라 연결된 모든 케이스의 덮개가 위로 상승함에 의해 탑재된 단말기도 같이 상승하게 한다.
동체케이스 본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앞과 뒤에 암놈 탄성 관절장치<도3의 318>, 회전장치부에 있어 중간케이스덮개 안쪽 상단 오른편의 회전장치 능동조작부재로서 채택된 걸림턱<도3의 307, 도7의 704>과 상대되는 케이스 본체 상단 오른편의 회전장치 피동조작부재로서의 걸림턱 및 그와 연결된 푸시핀<도3의 311, 도4의 401, 도7의 705 >, 동체케이스에 회전력을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회전력발생부의 동력전달 실행체로 이용된 레버<도3의 320, 도4의 417>가 보관되며 동작되는 통로형 공간으로서 본체케이스 내에 성형 설치된 직사각형의 케이스프레임<도3의 321, 도4의 403>, 그리고 장착된 관절장치에 의해 하단에 있는 발<도4의 427>이 꺽 이면서 만곡된 프레임<도4의 402>에서 자연스러운 슬라이딩 동작으로 튀어 나와 레버를 밀어 회전장치 제어프레임<도4의 414b>에서 탈루시킴으로써 레버가 동체케이스를 밀어 회전하게 한 후 상단에 장착된 원위치인장탄성체<도4의 426>의 반발탄성으로 그 발이 프레임 안으로 다시 들어가 펴지면서 원 위치되는 메카니즘으로 기계식의 반자동으로 동작되는 원위치 인장 탄성체가 설치된 동력전달실행체로 채택된 푸시 핀<도4의 401>, 그 푸시 핀의 동작이 원활하도록 만곡된 동작통로구조의 프레임으로 레버케이스프레임 안쪽 중앙에 성형 설치된 푸시 핀의 자동출입구로서 슬라이딩 동작을 유도하는 개구부<도4의 402>, 본체케이스 안쪽 양 측면에서 상승 동력발생장치가 보관되며 동작되는 통로형태의 공간인 케이스 프레임<도3의 317>, 회전력 발생부와 선회장치 작동부재가 장착된 작은 원통<도4의 416>을 보관한 큰 원통<도3의 313, 도4의 415>, 동체중간케이스 덮개 안쪽 중앙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로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쌍으로 설치된 선회장치 작동 능동조작부재로 채택된 능동걸림턱<도3의 306, 도7의 701>및 그에 대응되는 피동조작부재로서 큰 원통<도4의 415>속 작은 원통 중앙에 설치된 피동걸림턱<도3의 314, 도6의 502, 도7의 702>, 본체 하단부에 설치된 상승장치제어부로서 상승 동작을 통제하는 일단의 상승장치 제어레버와 그 레버를 지지 및 고정하는 프레임<도4의 405,407>, 그 레버에 의해 작동되며 상승 장치작동의 실행체인 푸시 핀<도4의 409>, 그리고 밴드-벨트체결 해제장치인 전개구동 능동조작부재<도3의 308>로 구성되며 그리고 이 부재와 대응되는 피동 조작부재<도3의 325>를 함께 설치· 운용함에 있어 본 고안 장치에 탑재된 단말기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단말기의 몸통을 잡고 단말기의 왼편 팔 옆쪽으로 밀 때 이와 연결된 동체케이스덮개뿐 아니라 그 케이스와 이어져 연결된 각 케이스의 덮개도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그 여유 공간만큼<도3의324, 도11b의 1111> 이동되고 그에 따라 동체케이스 덮개에 설치된 전개구동 능동조작부재<도3의 308, 도1의 12>가 패스닝 밴드에 설치된 상대조작부재(전개구동피동조작부재)<도3c의 325, 도1의 11>와 결합· 운용되어 관련된 기능(구동트레인벨트의 전개 동작)을 구동하는데 유기적으로 동시에 반응하도록 즉 앞의 전개구동 조작간들 간의 결합에 의한 작동으로 밴드의 암놈체결장치에 걸려 잠겨있는<도15의 611> 각 케이스 뒷면에 장치된 수놈 체결장치가 풀려 구동트레인벨트가 동시에 새의 날개처럼 한 번에 펴져 전개되는 동작을 얻기 위해 이 케이스의 덮개뿐 아니라 모든 케이스 덮개를 동작의 주체인 동체케이스 덮개구조와 동일하도록 본체보다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편의장치의 바깥 손등 쪽으로 더 넓게 구성하고 이에 따라 앞의 전개구동조작부재(조작 간)들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됨으로써<도3c참조> 전개구동조작부재들이 상대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 항상 결합된 채 작동준비상태에 있을 경우 편의장치에 탑재된 단말기에 대한 사소한 충격에도 자동 기계적으로 조작부재(조작 간)가 작동되어 의도하지 않는 구동트레인벨트의 자동전개 탄성 관절장치에 의한 전개 상태를 가져오게 되는 돌발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고 더불어 구동트레인벨트의 선회이동 후 원위치 시 앞의 조작부재(조작 간)들의 결합· 운용되려는 특성에 의한 서로 간의 마찰 및 간섭으로 인한 원위치동작이 원활하지 못하는 상황도 역시 미연에 방지하게 되며 끝으로 앞에서 설명된 구동벨트의 전개 동작을 위해 전개구동조작부재들을 결합· 운용되게 하는 메카니즘에 따라 손목에 착용된 단말기가 탑재된 고안장치를 기준하여 왼편으로 밀린 동체케이스의 덮개가 자동 원위치 되도록 하는 동체케이스덮개 자동 원위치 실행부재로서 옆으로 밀린 본체와의 지지 및 고정 이동판(<도3의 327, 도11a의 1104>, a moving plate bar suspended on a main body)을 탄발력으로 원 위치되게 도로 밀어내는 본체내부측면과 인장 탄성체<도3의 323>로 결속된 본체와의 지지 및 고정 이동판 밀대(<도3의 326>, a plate bar pushing a moving plate bar suspended on a main body)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한 하부의 구성내용 상술은 다음의 도4에서 이어간다.
도4는 도면3에 도시된 회전장치가 탑재된 큰 원통을 비롯한 하부장치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이미 앞의 도3에서 설명된 기능장치부는 중략하고 상설하면, 동체케이스 본체 중앙에 둥근 구멍 형태로써 큰 원통이 장치될 공간<도4의 422>과 그 공간 하단 면에 장착되어 본체와 큰 원통을 지지 및 고정하고, 연결된 본체를 밀고 당겨 구동트레인벨트 전체에 동력을 전달하고, 그리고 회전축의 기능으로-큰 원통과 원반 축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도4b참조>-동체케이스를 큰 원통 주위궤도를 선회케 하는 중간에 구멍이 뚫인 원반형태의 회전동작부재 <도4의 404>와 그 원반과 결합<도4의 425> 되기 위해 측면 하단에 원반을 지지 및 고정하고 원반의 회전동작이동통로부재로 이용되는 큰 원통 둘레에 구성된 홈<도4의 408>,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 및 용도에 따라 단말기의 방향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회전장치를 목표된 각도지점에 멈추게 하는 회전동력전달 실행체인 레버의 큰 원통 내에서의 작동공간으로 본 고안 장치의 손목착용 시 정방향이 되는 큰 원통을 세로로 절반 나누어 오른쪽 측면둘레<도4의 414a>에 만곡된 구조로 성형 설치된 회전장치제어부로서 회전방향안내통로구조의 프레임<도4의 414b>, 회전동력발생부로 동원된 일단의 토션 탄성체<도4의 417>, 큰 원통속에 설치되어 선회장치작동부재가 장착된 작은 원통<도4의 416>, 그리고 마지막으로 만곡된 안내통로 구조의 프레임 상에서 탄성체가 뒤틀리지 않은 원상태로 회전레버<도4의 417>의 끝단이 수평상태 인 0°가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토션 탄성체가 원래 뒤틀려지며 동작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150°~160°쯤에 원통의 측면 상단둘레에 장치된 상면이 삼각호형태의 상승 장치능동조작부재인 걸림턱<도4의 406>과 같은 위의 부재들을 장착한 큰 원통<도4의 415>과 그 원통 바로 밑 상승장치부로 구성되고 그 구성은 앞의 상승 장치능동조작부재인 삼각호형의 걸림턱에 대응하는 상승 장치피동조작부재로 채택된 관절프레임에 지지 및 고정되는 레버<도4의 405, 407>, 그리고 그 레버의 동력에 의해 동작을 실행하게 조작하는 기구로 채택된 끝단의 단면이 뾰족한 사면형인 푸시핀<도4의 409>, 역시 끝단의 단면이 사면형인 상승동력장치의 탄성 체결잠금체로서의 수놈 걸림쇠<도4의 412>, 그에 대응하여 채택된 사면형 구조의 암놈 걸림쇠<도4의 411>, 슬라이딩 자동잠금장치 동작을 유도하는 사면형의 프레임으로 성형 설치된 암놈잠금걸림쇠보관부<도4의 413>, 그리고 그 보관부안에서 암놈잠금체의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체판<도4의 410>으로 구성되며 상세 도시된 바에 따라 상승장치부 내의 각 부재의 기능동작이 근본적으로 물리적 요소에서부터 원활해지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딩동작을 채택하고 그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각 부재의 형태와 구조를 전체 모두 끝단이 뾰족한 사면형 구조로 특성 된다.
본 도면에 도시된 회전동작(turning system)의 원리 및 과정은 먼저 무게와 부피가 가장 작으며 경제적으로도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회전동력발생부재로서 일단의 탄성체인 도시된 토션 탄성체가 채용되고 패스닝 밴드에 결속되어 고정된 큰 원통내에 설치된 회전장치제어부<도4의 414b>에서 동작되는 그 탄성체의 손과 팔 역할의 레버<도4의 417>가 본체케이스프레임에 성형 설치된 그 레버의 동작 공간 및 보관함 <도4의 403>을 밀어서 구동트레인벨트전체를 회전케 한다.
또한 그 회전탄성체 레버의 동작은 만곡된 프레임 구조로 제어되고 또한 탄성체의 탄발력을 이용한 자동 원위치기능으로 반자동 메카니즘의 회전동작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편의· 기호· 용도에 따라, 고안된 편의장치에 탑재된 단말기를 회전시키면 탄성체의 레버가 걸림턱(도4의 423>, -걸림턱은 회전 시 토션 탄성체의 레버가 이동하는 공간인 수평 안내통로<도4의 419>보다 높이를 높 혀 구성하고 다음으로 안내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레버가 먼저 45°고정 홈과 연결된 걸림턱<도4의 423>에 걸리게 되었을 때 탑재된 단말기를 눌러 레버가 그 걸림턱 밑에 장치된 고정 홈의 안내통로<도4의 420>에 유도 되도록 하여 토션 탄성체의 원상복원 탄발력으로 그 고정 홈에 자동 삽입 고정되도록 하고 반대로 그 걸림턱이 유도하는 고정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지 않으려면 탑재된 단말기를 다음의 고정 홈이 유도하는 안내통로까지 끝까지 당겨 회전시켜 안내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레버가 걸림턱의 안내통로로 유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지정된 고정 홈에 같은 원리로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 및 만곡된 안내통로<도4의 418, 421>에 의해 유도되어 고정 홈에 삽입됨에 따라 당연히 토션 탄성체의 레버는 방향각도에 따라 뒤틀려지는 메카니즘으로 각각의 다른 위치방향을 가진 고정 홈 지점에서 단말기를 밀어 누르면 뒤틀린 탄성체의 반발탄성과 홈 안내통로프레임의 만곡형 물리적 구조에 따른 레버의 자동 슬라이딩 동작이 유발되면서 방향고정 홈에 자동 삽입되어 고정된다.
반대의 동작으로 회전고정 후 원위치동작 원리는 앞의 회전고정에 대한 설명에 덧붙여 상설하면 본 고안 장치에 탑재된 단말기를 손목에 착용하여 휴대하기 위해 단말기를 정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즉 세로 종 방향으로 똑바로 세우기 위해 회전시킨 경우 회전장치부에서의 메카니즘은 회전동력발생부인 토션 탄성체의 레버는 90°까지 비틀어져서<도4c참조> 회전방향 안내통로 프레임<도4의 414b> 상단 고정 홈<도4의 421 안내통로의 홈>에 고정된 상태가 되며 이후 고안된 단말기 편의장치 사용을 위해 손목에 착용된 고안장치 상단의 단말기를 손목 안쪽으로 당기면 회전장치의 능동조작부재<도3의 307, 도7의 704>인 걸림턱이 상대 피동조작부재인 푸시핀<도4의 401>과 연결된 걸림턱<도3의 311, 도7의 705 >을 그 걸림턱의 동작통로 밑쪽으로 밀게 되면서<도7a 그림참조> 관절장치가 설치된 푸시핀의 끝단이 접히면서 개구부<도4의 402>에서 튀어나와 회전력 발생장치 탄성체의 동력전달실행체인 레버<도4의 417>를 밀어 만곡된 회전방향 안내통로프레임<도4의 414b>에 설치된 회전제어 고정 홈에서 회전탄성체의 레버가 탈루됨으로써 이미 손목에서의 단말기 착용 휴대를 위해 인체의 손에 의한 회전동작으로 뒤틀린 토션 탄성체의 물성으로 그 뒤틀림에 대한 반발동작의 탄발력에 의해 토션 회전탄성체의 레버는 구동트레인벨트내의 본체 케이스를 밀어 구동트레인벨트전체가 자동 원위치 회전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승동작(raising up system)의 원리 및 과정은 앞의 원위치회전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설하면 먼저 본체케이스내의 큰 원통은 회전원반 축을 사이에 두고 본체케이스와 이격 분리되어 패스닝 밴드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케이스와 분리되어 동작되는 메카니즘으로 구동트레인벨트가 원위치 회전될 때는 고정된 큰 원통내의 뒤틀린 토션 탄성체의 원상복원 탄발력을 이용하여 토션 탄성체의 레버가 큰 원통과 원반 축으로 연결된 본체케이스를 밀어서 큰 원통둘레 주위를 맴 돌게 하여 원위치 회전하게 됨으로써 손목 착용상태에서 본체케이스가 정 방향의 세로 종으로 위치되었을 때 본체케이스 하단부에 설치된 상승장치 피동조작부재 인 레버<도4의 405>도 본체케이스의 원위치 회전 시 같이 회전되면서 본체케이스가 가로 횡으로 완전히 눕게 되는 180°까지 원위치 회전이동 하는 중에 큰 원통의 상단 측면 150°~160°위치에 설치된 상승장치 능동조작부재인 걸림턱<도4의 406>에 걸려 레버의 앞부분이 뒤로 제 껴지는 순간 그 레버의 지지 및 고정프레임 중앙에 설치된 회전힌지프레임의 동작변환 기능에 의한 원 동작의 역동작으로 뒷부분은 앞으로 제 껴지며 상승장치부의 레버시스템을 밀어 상승장치조작부재의 일단인 푸시핀<도4의 409>으로 하여금 상승장치부의 암놈 잠금걸림쇠<도4의 411>를 그 걸림쇠 보관부<도4의 413>속으로 밀어 넣게 함으로써 동시에 수놈 잠금걸림쇠<도4의 412>는 암놈 잠금걸림쇠에서 이탈되고 상승 동력발생 탄성장치<도3의 317>에 연결된 수놈 잠금걸림쇠와 결합된 동체케이스의 하단덮개<도3의 303>는 상승 동력발생 탄성장치의 원위치하려는 탄발력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역시 그 덮개와 연결된 모든 케이스의 덮개 및 그 케이스에 탑재된 단말기가 동시에 위로 상승하는 원리이다<도9,10그림참조>.
그리고 본체케이스가 가로 횡 방향 상태로의 원위치 회전 후 다시 세로 종 방향으로 회전 시 앞의 원위치 회전동작과 반대의 메카니즘으로 고정된 큰 원통 내에 설치된 상승장치 능동조작부재인 걸림턱<도4의406>에 상승장치 피동조작부재인 레버<도4의 405>가 걸려 레버의 앞부분은 앞으로 제 껴지면서 회전힌지프레임의 동작변환 기능에 의한 원 동작의 역동작으로 뒷부분은 뒤로 제 껴 지더라도 도4에서 도시된 바에 따라 본체케이스 하단 상승장치부의 레버<도4의 405> 뒤편은 아무런 기계장치가 없음으로써 레버의 단순한 회전관절동작만 일어날 뿐이다 <도4a참조>.
회전동작에 의한 각각의 위치방향을 가지는 고정 홈의 기능 및 효과는 회전장치제어부인 회전방향안내통로구조의 프레임<도4의 414b> 상에서 토션 탄성체가 뒤틀리지 않은 원상태로 회전레버<도4의 417>의 끝단이 수평상태로 0°가되어 탑재된 단말기가 가로 횡으로 완전히 눕게 되는 지점<도4의 419>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방향이 시계반대방향 (좌측방향)으로 회전 시 +45°가되어 탑재된 단말기가 시계반대방향 대각선으로 눕게 되는 지점<도4의 420>, 앞과 같은 방향으로 +90°가되어 탑재된 단말기가 세로 종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지점<도4의 421>, 그리고 앞과 반대인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45°가되어 탑재된 단말기가 시계방향 대각선으로 눕게 되는 지점<도4의 418>으로서의 기능상 여하튼 여러 위치방향을 가지게 함으로써 고안된 편의장치에 탑재된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탑재된 단말기를 편의 및 용도에 따라 회전시켜 가면서 단말기의 사용위치 방향을 앞에서 설명된 여러 각도로 자유로이 변환시키고 나아가 회전장치부(turning system)와 선회장치부(rotary motion system)를 연동시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자세에 따라서도 선회되는 손목둘레의 어떤 지점이든지 원하는 지점에서 단말기를 고정시킨 채 단말기의 사용위치 방향까지 자유자재로 변환가능 하도록 하여 안출된 편의장치에 탑재된 단말기의 이용이 기존에 손으로 쥐고 사용하는 단말기의 사용보다 훨씬 더 편리하게 구성했다.
도5는 회전원리 및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도시로서 도5a는 패스닝 밴드에 결속된 상태에서의 손목 위쪽 등 및 손목 아래쪽 배에서 실현된 도4c의 421에 대응된 1실시예로서의 회전동작과정 도시이며 도5b는 420, 도5c는 419, 도5d는 418에 대응된다.
도6은 동체케이스의 큰 원통 내 작은 원통<도4의 416>의 구조와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설하면, 먼저 작은 원통 중앙 아래에는 피동 걸림턱보관부<도6의 503>가 동작하는 직사각형의 공간으로 밑면이 뚫리고 측면에 피동 걸림턱보관부 이동간<도6의 504>의 안내통로로서 측면을 따라 긴 홈<도6의 505>이 설치된 직사각형의 케이스프레임<도6의 501>으로 구성되며
선회제어장치 피동조작부재이며 선회동력 피동전달 실행부재로서의 앞의 피동걸림턱<도6의 502, 도3의 314>은 동체케이스덮개의 90°회전 상태로 상승 시 그 걸림턱의 측면이 선회제어장치 능동조작부재인 걸림턱<도6의 509, 도3의 306>과 부딪혀 아래로 밀리면서 원상복원의 탄성장치가 장착된 직사각형의 케이스형태인 그 걸림턱보관부<도6의 503> 속으로 아무런 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들어가게끔<도6b, 도7b참조> 즉 그 피동걸림턱이 능동걸림턱의 상승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피동걸림턱의 형태를 먼저 부딪치는 부분이 최소화되면서 자연스러운 물리적 동작인 슬라이딩 동작이 유도되도록 능동걸림턱에 부딪히는 피동걸림턱의 측면을 사면형으로 하기 위해 피동 걸림턱의 형태를 윗 모서리가 둥근 산모양의 삼각형 형태<도6의 502>로 구성하며
앞의 피동걸림턱보관부는 피동걸림턱이 보관되는 직사각형의 케이스형태로서 그 걸림턱 바로 아래 원상복원 탄성장치가 설치되고, 또한 그 케이스 전면 하단 왼쪽 끝과 후면 하단 오른쪽 끝에 둥근 봉으로 된 돌아선 방향의 ㄱ자형태의 다리<도6의 515>가 설치되며, 선회장치제어 조작부재의 일단인 회전힌지프레임에 고정된 레버<도6의 507>를 앞의 둥근 봉 다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마찰 없이 밀도록 원통형 관 모양의 그 다리 보관부<도6의 508>가 설치되고, 마지막으로 그 피동걸림턱보관부 측면 상단 중앙에는 원활한 슬라이딩동작을 위해 사면형의 윗 모서리가 둥근 누운 삼각형 형태로서 그 보관부의 동작공간인 케이스프레임 측면에 설치된 안내통로로서의 긴 홈을 따라 움직이는 그 보관부의 이동 실행체로서 앞에서 설명된 삼각형 모양의 이동간<도6의 504>으로 구성되고 그 피동걸림턱 다리 아래에는, 작은 원통 외부에 있는 패스닝 밴드내에 장착된 선회장치탄성출입걸림쇠<도6의 514>와 스트링<도6의 506>으로 연결되어 피동걸림턱의 운동 동력을 이용하여 그 스트링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방법으로 작은 원통 내부에서 그 걸림쇠의 작동을 제어 및 가동케 조작하는 조작부재로서 회전힌지프레임이 장착된 레버<도6의 507>로 구성되며 그리고 그 아래에는 작은 원통과 그 원통 외부에 있는 패스닝 밴드를 결속 및 지지하는 역할<도6a 참조> 즉 동체케이스내의 작은 원통과의 결속됨으로 인해 동체케이스 나아가 구동트레인벨트를 패스닝 밴드와 결합시키는 밴드· 벨트 결합장치부재의 기능과 함께 좌· 우 양편에 탄성장치를 장착한 걸림쇠<도6의 514>를 장착하여 외부 패스닝 밴드 내에서 선회동작실행을 실제 제어하는 선회동작제어부재로서도 기능하며 또한 그 걸림쇠와 연결된 양쪽의 스트링을 작은 원통과 결합된 양쪽 관 구멍<도6의 512>을 통해 작은 원통내의 회전힌지프레임을 갖춘 레버<도6의 507>에 연결되도록 하는 선회장치제어 스트링 통로부재로도 기능하며 그리고 그 통로관 외부 좌· 우 양편에 선회실행부재인 바퀴<도6의 511>가 장착될 수 있도록 바퀴장착 홈<도6의 513>을 갖춘 선회바퀴 축으로서 선회장치부 기능까지 담당하는 바퀴가 달린 긴 원통형의 관<도6의 510>으로 구성된다.
도7은 도6에서 상세 설명된 선회동작 제어장치 피동조작부재로서의 피동 걸림턱<도7의 702, 도6의 502>의 기능은 중략하고 또 하나의 다른 기능인 선회동력 피동전달 실행부재로서, 작은 원통에 설치된 피동걸림턱 에 이끌려 구동트레인벨트전체가 선회하게 되는 동작원리와 상승장치부재인 각 케이스 덮개의 상승 시 앞의 피동걸림턱과 그에 대응된 능동걸림턱 <도7의 701, 도6의 509>의 상호 동작하는 메카니즘 원리를 도시한 것으로 상설하면, 먼저 선회장치부의 선회동작원리는 상· 하의 능동걸림턱이 피동걸림턱을 상· 하 양쪽 중 어느 한편으로 직사각형의 피동걸림턱보관부의 동작프레임<도6의 501> 가장자리 끝까지 견인하게 되면 피동걸림턱은 능동걸림턱의 동력을 그 프레임 가장자리에 전하게 되고 이어서 본체케이스와 큰 원통을 지지 및 고정하고 있는 원반형태의 회전동작부재<도4의 404>까지 그 동력이 전해져 동체케이스를 밀게 되며 동시에 동체케이스의 중간덮개 <도7의 706>도 이격된 끝단의 덮개<도7의 707>에 접하여 능동걸림턱의 동력이 맨 하단 독립날개케이스덮개의 이동한계지점 및 본체 동력전달 지점까지 이르러 마침내 본체케이스에 전해지게 함으로써 선회하게 하는 메카니즘으로 피동걸림턱과 중간덮개가 각각 동시에 동체케이스를 밀게 됨으로써 구동트레인벨트전체가 선회동작 하게 된다.
상승장치부의 상승 동작원리에서 상· 하 양쪽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피동걸림턱을 사이에 두고 가로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능동걸림턱과 피동걸림턱사이에 간격<도7의 703>을 두는 이유는 그 이격 거리 사이를 왕복하는 운동 동력으로 선회제어장치부재인 선회장치 걸림쇠의 조작동력을 확보하려는 이유도 있지만 그기에 더하여 동체케이스가 종에서 횡으로 90°도 방향전환 시 능동걸림턱만 동체케이스와 같이 회전하고 그 케이스 안에 내장되어 있으면서도 본체케이스와 회전원반 축으로만 연결되어 실제 분리된 큰 원통은 패스닝 밴드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못함으로써 당연히 큰 원통 속 작은 원통 중앙에 장치된 피동걸림턱은 능동걸림턱과 같이 회전하지 않으면서 능동걸림턱 중간에 세로 종 방향으로 끼여 있는 상태로서<도7b참조> 능동걸림턱의 90°회전 시 상· 하 양쪽의 능동걸림턱과 피동걸림턱이 서로 부딪치지 않고 동체케이스가 방향 전환되려면 상· 하 양쪽의 각 능동걸림턱은 최소한 피동걸림턱의 가로길이만큼 피동걸림턱과 이격거리<도7의 703>를 유지해야 한다.
도7a에서 도시되고 연속으로 도8, 9,10을 통하여 상세 보충하여 도시하는 안출된 편의장치의 핵심 편의기능을 설명하면, 먼저 통화 시에 있어 동체케이스 중간덮개에 결속되어 탑재된 단말기를 안출된 편의장치와 연동하여 사용하기 위해 인체의 손으로 사용 순서에 따라 손목 위쪽으로 밀어 손목 안쪽으로 당기는 한 번의 이어진 단발동작으로 선회제어장치 피동조작부재 및 선회동력 피동전달 실행부재인 피동걸림턱<도7의 702>이 상대되는 능동걸림턱<도7의 701>에 걸려 피동걸림턱보관부의 동작공간인 직사각형의 케이스프레임 하단 가장자리 끝까지 밀리면서 앞의 선회동작원리설명에 따라 선회장치제어부재인 걸림쇠의 동작이 해제되며 동체케이스뿐 아니라 동체케이스에 통제되는 구동트레인벨트전체를 견인하여 위 손목 등에서 아래 손목 배까지 선회되게 하고 동시에 도4의 회전동작원리에서 상세 설명된 대로 동체케이스덮개 안쪽 상단 오른편의 회전장치 능동조작부재인 걸림턱<도7의 704>이 상대되는 회전장치 피동조작부재인 걸림턱<도7의 705>을 밀어 회전동력전달실행체인 토션 탄성체의 레버를 만곡된 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제어 고정 홈에서 탈루시켜 구동트레인벨트의 회전동작이 실행되려는 상태에서 아래 쪽 손목 배까지 선회 이동한 구동벨트상의 단말기는 자동적인 기계동작으로 90°회전하게 되면서 도4의 상승원리에서 설명된 대로 상승장치부내의 상승장치 피동조작부재인 레버<도4의 405>가 상승장치 능동조작부재인 걸림턱<도4의 406>에 걸려 그 구동벨트의 회전동력으로 일련의 기계적 메카니즘 동작에 따라 앞의 레버에 의해 통제되는 상승장치조작부재의 실행체인 푸시핀<도4의 409>이 상승장치 걸림쇠의 작동을 해제하게 됨으로써 수놈 잠금걸림쇠<도4의 412>와 결합된 동체케이스의 하단덮개<도3의 303>를 상승시키게 되고 역시 그 덮개와 연결된 모든 케이스의 덮개 및 그 케이스에 탑재된 단말기가 동시에 위로 상승하는<도9,10그림참조> 일련의 연쇄동작에 따른 안출된 편의장치의 메카니즘으로 단말기 사용을 위해 단말기를 손에 쥐어 귀에 갖다 대고 통화하는 기존의 인체공학적인 편의효과를 가져오게 하면서도 단말기를 손으로 잡지 않고서도 자연스럽게 통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앞의 안출된 인체의 손동작을 대신한 일련의 연쇄동작을 필요로 하는 통화가 아닌 단순한 정보검색 및 교환 그리고 DMB시청을 위한 안출된 편의장치 기능의 메카니즘은 통화시의 편의기능과 다르게 단말기를 인체의 귀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 단지 앞의 단순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만 수행되는 것으로 평상시 단말기가 안출된 편의장치에서 구부러진 상태로 보관 및 휴대되는 상황에서 그 기능의 수행을 위해 우선 단말기의 전개동작, 다음으로 선회동작,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체의 손에 제어되는 수동 회전동작만 기능케 하면 됨으로써 자동 회전 및 상승 기능을 유발하게 하는 탑재된 단말기를 손목 안쪽으로 당기는 대신에 즉 동체케이스 덮개 안쪽 오른편 상단의 회전장치 능동조작부재인 걸림턱<도7의 704>이 상대되는 회전장치 피동조작부재인 걸림턱<도7의 705>을 밀어 회전동작을 조작하지 못하도록 탑재된 단말기를 손목 바깥쪽 위로 밀어 운동 동력을 확보함으로써 즉 동체케이스 중간덮개의 시동 동력으로 동체케이스와 패스닝 밴드에 장착된 전개구동 조작부재들<도3의 308, 325>을 결합 및 조작되게 하여 탄성 관절장치에 의해 구동벨트가 전개되게 하고 동시에 선회제어장치 조작부재인 피동걸림턱<도7의 702>이 상대되는 능동걸림턱<도7의 701>에 걸려 피동걸림턱보관부 동작공간 프레임 상단 가장자리 끝까지 밀리면서 앞의 선회동작원리설명에 따라 선회제어장치부재인 걸림쇠의 동작이 해제되어 선회구동이 준비된 상태에서 회전장치 능동조작부재인 걸림턱<도7의 704>이 상대되는 회전장치 피동조작부재인 걸림턱<도7의 705>을 밀어 자동 회전되지 않도록 먼저 단말기를 탑재한 구동트레인벨트가 세로 종 방향으로 똑바로 세워진 채 선회하는 통화시의 선회상태가 아닌 시계반대방향 대각선으로 비스듬히 누운 상태<도4의 420>로 선회되어야 하며 따라서 자동회전대신 수동회전으로 인체의 손을 사용하여, 회전동력전달 실행체인 레버를 회전제어장치 프레임내의 회전제어 고정 홈에 고정 및 탈루시키는 방법으로 탑재된 단말기를 원하는 방향의 각도까지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써 고안된 편의장치에 탑재된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훨씬 더 자유롭고 편리하게 사용자의 편의 및 용도,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고안된 편의장치의 회전동작, 선회동작을 적절하게 반복하면서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8은 도7a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선회동작부재인 1실시예로서 선회장치 걸림턱의 조작에 의해 차례로 실현되는 안출된 편의장치기능의 2실시예로서 일련의 메카니즘으로 구성되는 연쇄구동동작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도시이며 도9, 도10은 도7b에서 도시된 상승장치부의 상승원리에 따른 원형 및 각형 트레인 편의장치의 상승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1~도14에서 도시된 내용은 도1에서 구동트레인벨트의 구성설명에서 구동벨트를 구성하는 각 케이스별로 기 설명되어 인용된 내용이다.
도15는 패스닝 밴드와 밴드내의 선회장치부와 전개구동 피동조작부재 그리고 밴드-벨트체결부인 암놈과 수놈 체결장치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도3의 1단계 동작원리 끝부분에서 설명된 수놈 체결장치부재의 구성 및 원리는 대략 중략하고 설명하면, 도시된 바에 따라 패스닝 밴드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으로 원활한 회전을 위해 밴드의 두께를 양 측면은 얇게 상면과 하면의 중앙은 두껍게 구성된 가로 오발형의 대체적으로 둥근 링 형태이며 그 내부에 일단의 선회장치제어부재인 톱니 걸림턱<도15의 605>과 그에 대응된 양편에 걸림쇠와 바퀴가 달린 선회이동 축(<도15의 619, 도6의510>a wheel axle of rotary motion)을 보관한 단면이 직사각형인 관으로 구성되며 그 관 겉 표면에는 선회이동 축<도15의 619>과 작은 원통<도15의 601>이 합체되며 그 축에 장착된 좌· 우 양편의 선회장치제어 걸림쇠<도6의 514>와 연결된 스트링<도6의 506>이 보관되며 동작하는 좌<도15의 617>· 우<도15의 618>양편의 기립된 통로관이 선회 동작하는 이동통로로서 패스닝 밴드 손목 안쪽둘레에 걸쳐 손목 등 위에서부터 손목 아래 배까지 좌 통로<도15의 604>와 우 통로<도15의 603>가 설치되며, 그 패스닝 밴드 내 통로 위아래에 선회이동 축에 장착된 바퀴가 선회동작 시 이탈되지 않도록 바퀴이탈방지 턱<도15의 602>이 장치되며 또한 밴드-벨트체결장치부재인 암놈 걸림턱<도15의 613>의 보관부로서 그 걸림턱의 작동 후 자동 원위치시키는 탄성체가 설치된 직사각형의 케이스프레임<도15의 612>과 앞의 케이스프레임을 보관하며 암놈과 수놈 체결장치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공간인 직사각형의 큰 케이스프레임<도15의 614> 및 암놈 걸림턱에 연결된 스트링<도15의 615> 그리고 그 걸림턱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재인 원형톱니바퀴<도15의 606> 및 그 바퀴 안에서 바퀴의 동력으로 스트링을 풀었다 감았다 하면서 암놈 걸림턱의 동작을 통제하는 스트링실패<도15의 616>로 구성 도시된다.
도16은 패스닝 밴드에 있어 밴드 관절부, 체결부, 그리고 슬라이딩 벤드길이연장조절부를 도시한 것으로 이미 앞의 도면에서 설명된 내용에 대한 부연설명으로, 도시에 따라 패스닝 밴드와 구동벨트의 넓이는 탑재되는 단말기의 넓이와 어느 정도 비슷해야 하지만 버클부<도16의 803>는 적당한 넓이로 인체의 손이 가장 잡기 편한 넓이로 구성하면 됨으로써 대체적으로 패스닝 밴드의 넓이보다 좁게 구성되어질 수 있으며 손목 안쪽 둘레에 걸쳐지며 버클부와 체결되는 일측의 암놈체결부재(female combining module)인 끝단은 도시된 대로 상면 상 ㄷ자 모양으로 그것의 끝단 안쪽 측면 가로 단면상에 유도삽입통로 및 체결 홈<도16의 801>을 조성함에 있어 체결 홈이 위치하는 위쪽은 그 깊이와 넓이를 얕고 좁게 하면서 아래쪽은 깊고 넓게 하여 수놈 체결부(male combining module)로 버클부재인 돌출된 탄성출입걸림쇠<도16의 805>가 자연스럽게 특수삽입통로로 유도되어 체결 홈에 삽입됨으로써 잠기도록 구성되고<도16c그림참조> 암놈 체결부재인 끝단 안쪽 측면 세로 단면 상단에 관절장치가 장착된 시계의 2단 연장이음줄<도16의 802>을 차용하여 설치하고 그 연장이음줄의 반대편은 버클부<도16의 803> 중앙에 관절장치로 고정되어 동작하게 하고 그 이음줄로 이어진 버클부는 뒤가 뚫인 사각형의 케이스형태로 그 케이스 양 측면에 밴드길이조절이동간<도16의 812>과 관절장치에 의해 고정<도16의 804>되어 단말기가 탑재된 편의장치가 손목에서 탈착될 때 접혀진 연장이음줄을 관절장치의 동작으로 자연스럽게 펴지도록 구성하며 그 버클 케이스 내부에는 수놈 체결장치를 장착하여 회전힌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체결장치를 해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능동레버<도16의 806>와 연결된 탄성스위치<도16의 808>를 누르면 도시된 바에 따라 회전힌지프레임의 동작변환 기능에 의한 원 동작의 역동작으로 바뀐 동력을 제공받은 피동레버<도16의 807>와 연결된 탄성출입걸림쇠<도16의 805>가 회전힌지프레임에 고정된 피동레버의 역동작으로 체결 홈에서 뒤로 당겨져 버클부속으로 후퇴됨으로 인하여 버클부의 체결장치가 해제되는 메카니즘으로 구성되고 탈착 시 패스닝 밴드 상단 손목의 바깥쪽 옆에 밴드관절부<도16의 813>가 설치되어 역시 밴드길이조절이동간<도16의 812>과 관절장치로 연결된 버클부와 동시에 패스닝 밴드도 같이 꺽 이게 되어 접혀있던 연장이음줄이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펴짐으로써 시계 줄 보다 손목에서의 탈·부착이 더욱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끝으로 밴드길이조절부재는 일 측의 손목 안쪽 둘레에 걸쳐진 패스닝 밴드 편에 장착된 암놈체결부재와 상대된 수놈체결부재가 장착된 타 측의 손목 바깥쪽 둘레에 걸쳐진 패스닝 밴드 끝단 내부 좌·우 양편에 회전힌지프레임레버<도16의 816>가 설치되고 그 레버의 일 측 끝단 안쪽으로는 밴드길이능동조절부재로서 2개의 톱니 수놈 걸림쇠<도16의 810>가 장착되며 타 측 끝단 바깥쪽에는 스위치탄성출입동작의 동력원인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으면서 패스닝 밴드 외부에 장착되는 탄성스위치<도16의 811>와 연결된 레버<도16의 815>와 관절장치로 서로 결합되게 구성되고 그에 상응되며 앞의 밴드길이 능동조절부재인 수놈 톱니걸림쇠에 제어되는 밴드길이 수동조절부재로서 암놈 톱니걸림턱<도16의 809>이 길이대로 바깥 측면부분에 설치되고 또한 패스닝 밴드 끝단 내부 좌우양편에 설치된 이동통로 프레임<도16의 814> 속에서 패스닝 밴드 내부와 외부를 이동함으로써 밴드길이가 조절되게 하는 직사각형의 판(a plate)형태로서의 밴드길이조절이동간<도16의 812>으로 구성됨에 따른 메카니즘은 밴드길이조절부재인 수놈 톱니걸림쇠와 암놈 톱니걸림턱의 결합으로 밴드길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밴드길이조절을 위하여 밴드길이조절스위치<도16의 811>를 누르게 되면 회전힌지프레임의 동작변환기능에 의한 역동작으로 수놈 톱니걸림쇠가 뒤로 제 껴지며 암놈 톱니걸림턱과 분리되면서 밴드길이조절이동간의 패스닝 밴드 내부와 외부를 이동하는 동작으로 패스닝 밴드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진다.
도17은 앞 도16에서 상세 설명된 패스닝 밴드의 버클부 및 밴드 관절부의 개폐동작에 대한 이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1실시예의 그림으로 패스닝 밴드 상단 수놈체결장치부재인 버클부가 설치된 쪽인 손목의 바깥쪽 옆으로 구동트레인벨트의 관절장치와 상응되는 지점 바로 아래에 밴드관절부<도16의 813>를 설치함으로써 고안장치에 탑재된 단말기의 손목에서의 탈착 시 단말기 및 패스닝 밴드 상단에 설치된 구동트레인벨트 그리고 패스닝 밴드의 탈착을 위한 관절동작이 연동되어 동시에 일어나도록 각 구성부의 관절장치를 서로 상응된 지점에 설치하여 고안 장치에 탑재된 단말기가 손목에서 접혀진 상태로 착용되어 휴대되는 상태에서도 버클장치를 해제하는 일회의 단발동작으로 편리하게 탈착되는 메카니즘을 도시한 것이다.
도18과 도25는 뒤에 설명되는, 앞으로의 기술의 진전에 따라 곧 상용화되어 대중화 될, 디스플레이뿐 아니라 메모리, 배터리까지 모두 완전히 휘어질 수 있는 이동단말기의 물성의 효용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 앞의 단말기가 탑재되지 않은 bare상태(도18) 및 탑재된 상태(도25)의 원형트레인편의장치에 대한 도시로서 각형트레인편의장치에 비하여 구동트레인벨트가 구부러진 상태로 손목에 착용되어 휴대될 때 구부러진 벨트 아래 패스닝 밴드와의 사이에 낭비되는 공간이 없어 벨트와 밴드가 외관상·공간상으로도 분리된 공간 없이 완벽하게 서로 접한 채 합체되어 그 편의장치의 크기가 각형에 비해 현저히 작아짐으로써 착용과 휴대가 훨씬 간편한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19, 도21, 도23에서 먼저 도19는 역시 뒤에 설명되는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 및 대중화가 이루어진 이동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성 중 부분적으로 플렉시블기술이 기 개발되어 당장 상용 가능한 부분기술을 차용하여 본 편의장치에 체화될 수 있는 이동단말기로 새로이 구성하여 사용되게 함으로써 미래 플렉시블단말기의 플렉시블기술이 아직 불충분하여 그 단말기가 현재 상용화되기에는 무리가 있는 상태에서도 현재까지 개발된 불충분한 플렉시블기술만으로도 완전한 플렉시블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똑같은 효과를 가져 오게 하는 본 고안 장치의 기능으로 얼마든지 실생활에서 플렉시블단말기의 편리함을 만끽하게 하는 목적으로서 단말기가 탑재되지 않은 bare상태의 각형트레인편의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21은 기존단말기를 삼면·삼단계로 구부러지도록 상·하 양편에 관절장치를 달아 그 편의장치에 탑재를 위해 체화되도록 고안된 단말기가 결속되어 탑재된 편의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23 역시 현재 기술적으로 완전히 개발되어 즉시 상용화가 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기술만을 적극 활용하여 기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교체·채용하고 도21의 기존단말기와 같은 원리로 구부러지도록 상·하 양편에 관절장치를 설치하여 편의장치에 체화되도록 안출되어진 단말기가 탑재된 상태 표시의 도시이다.
도20은 기존의 스마트폰인 이동단말기를 본 편의장치에 탑재되도록 한 외관의 변경 및 기능 추가와 더불어 그 내부 기능유닛의 배치구조도 재구성함에 따른 새로운 형태로서의 안출된 단말기로 구성됨을 나타낸 것으로서 외부케이스 뒷면에 안출된 편의장치와 결속되게 하는 체결장치는 도2에서 상세 설명되었으므로 중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안출된 단말기의 단면도인 도20a와 상면·측면 사시도인 도20b로 도시되며 상술하면 <31> <32>는 메모리회로부(memory kit), <33>은 배터리부(battery kit), <35> <36>은 구동트레인벨트의 탄성 관절장치가 설치된 지점과 일치되게 그 장치 바로 위 상단지점에 설치되어 벨트와 단말기의 관절장치가 서로 상응 연동되도록 구성된 탄성관절장치부(elastic hinge unit), <37>은 하단 화면표시창(the lower end display module), <38>은 중간 화면표시창(the middle display module), <39>는 상단 화면표시창(the upper end display module), <40>은 통화연결버튼 및 편의장치의 기능구동을 위한 손잡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단말기를 밀고 당기는 손잡이 겸 통화연결 버튼부(a pull & button unit)로서 단말기 측면에 세로로 길게 설치되며 통화수신시 그 손잡이를 잡고 고안된 편의장치를 구동하는 순간 동시에 통화연결이 되도록 하며 하단화면 표시창에는 본 안출된 단말기가 와치폰형태로서 시계기능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안출된 단말기의 삼면 혹은 다면으로 구부러져 휴대되는 특성을 적극 활용하여 기존 스마트단말기의 시계화면표시기능을 응용하면서 본 편의장치와 더 잘 어우러지도록 그 기능의 개선 및 보완으로 진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기호 및 편의에 따라 손목 안쪽 날 부근의 한쪽 면에는 상시 시계화면<34>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일반시계 및 와치폰의 시간확인을 위해 시계화면이 위쪽 손목 등에 위치함으로 인한 인체역학상 항상 손목 안쪽 날을 돌려 손목 등 위의 시계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해결하도록 구성됨.
도22는 현재 개발되어 당장 상용화할 수 있는 구부러지는 화면표시창(the flexible display)의 채용으로 화면표시창이 기존의 스마트단말기의 화면표시창과 같이 일체의 하나의 창으로 구성됨으로 인해 앞 도21의 단말기와 비교하여 화면표시창이 여러 개로 나누어지는 단점이 극복된 단말기로서 화면표시창 아래에 관절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21의 단말기와 동일한 구조 및 구성 그리고 이에 따른 메카니즘으로 구성된다.
도24는 앞으로의 기술의 진전에 따라 곧 상용화되어 대중화될, 디스플레이뿐 아니라 메모리, 배터리까지 모두 완전히 휘어질 수 있는 이동단말기와 관련하여, 원래의 본 편의장치의 기획 의도로서 새로운 단계의 휘어질 수 있는 물성을 백분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물성의 단말기가 진정한 웨어러블폰으로 진화되어 인류의 통신 및 정보운용의 생활체계가 더 윤택해지도록 일조하는데 의의를 두고 안출된 편의장치로서 예측컨대 세계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플렉시블스마트폰의 디자인은 현 스마트폰 디자인의 기능 및 효율적 한계 상 플렉시블기능이 새로이 추가된다고 하여 원래의 기존 스마트폰 디자인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되고 따라서 현재의 대동소이한 스마트폰 디자인에 단지 유연성만 추가되는 것으로 예상하여 일단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 스마트단말기의 형태로 구성되어 질것 같으며 그리고 완전히 플렉시블해진 스마트단말기의 경우 본 편의장치에 탑재되기 위해 특별한 장치의 구성이 없어도, 본 편의장치와 합체될 간단한 체결장치의 구성만으로도, 즉시 편의장치에 탑재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지는 특성으로 그 물성이 최대한 실생활에 적용 되도록 하기 위해 본 편의장치가 안출되기에 이르렀다.
01: 하단독립날개케이스 <downward segment case wing>
02: 하단중간독립날개케이스 <downward in-between segment case wing>
03: 동체케이스 < moving body case>
04: 상단중간독립날개케이스 <upward in-between segment case wing>
05: 상단독립날개케이스 <upward segment case wing>
06: 구동 트레인 벨트 <moving train belt>
07: 고정밴드 <fastening band>
08: 밴드 관절부<the hinge unit of fastening band>
09: 밴드 연장 및 관절부<the drawing out and pushing in unit of fastening band>
10: 밴드 버클부<the buckle unit of fastening band>
11: 밴드-벨트 체결해제장치인 전개구동 피동 조작부재(조작간)
12: 밴드-벨트 체결해제장치인 전개구동 능동 조작부재(조작간)

Claims (11)

  1. 안출된 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는 기존의 이동 단말기를 삼면·삼단계로 구부러지게 관절장치를 갖추게 한 기기의 변형과 나아가 가까운 장래에 양산 될 것으로 보는, 특별한 관절장치 없이도 연성을 갖춘 플렉시블단말기에 이 장치와 체결되도록 결합장치를 갖추게 하여 이 장치에 체화된 새로운 단말기(bendable smart phone)와 그 단말기를 체결하여 탑재하는 체결 및 탑재부, 구부러지고 펴지게 하는 관절 및 전개부, 선회하게 하는 선회부, 회전하게 하는 회전부, 그리고 상승하게 하는 상승부로 조직된 시스템 및 단말기와 앞의 시스템을 갖춘 장치가 하나의 일체된 유기체처럼 순차적 메카니즘의 연쇄동작으로 기능하며 필요에 따라 이런 연속동작을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작동 할 수도 있게 하기위한 일단의 방편으로 위에 열거된 시스템 내에서의 기능별 유닛(부)을 독립된 케이스에 장착 보관하고 연속구동시스템의 실현을 위해 각 케이스를 트레인처럼 체인화 시켜 실질적으로 인체의 손대신 위에 열거 안출된 시스템상의 각 기능을 수행하는 연쇄구동트레인벨트(moving train belt)와 단말기의 선회동작이 가능토록 단면이 직사각형인 관으로 링의 형태 이면서 인체의 손목형상에 따라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이며 선회동작이 원활하도록 가급적 라운드 형태를 지향하는 가로오발 형으로서 앞의 벨트를 손목에 지지 및 고정하는 지지 및 고정밴드(fastening band)로 구성되어 이동 단말기가 손목에 구속된 상태에서도 인체공학적으로 기존의 독립폰을 이용하는 자세 및 형태 그대로 손으로 쥐지 않고도 손에 쥐고 사용하는 것보다 더 편리하게 통화, 정보검색 및 교환, 그리고 dmb시청 등으로 스마트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이용토록 하여 종래에는 단말기에서 손을 해방시키게 만드는 와치형 스마트단말기 휴대편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체결 및 탑재부(combining·separating and loading unit)를 설치하여 안출된 단말기를 체결하여 탑재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특징의 와치형 스마트단말기 휴대편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관절 및 전개부(bending and spreading unit)를 채용하여 안출된 단말기를 구부리고 펼 수 있게 하여 손목에서 휴대와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의 특징을 가진 와치형 스마트단말기 휴대편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선회부(rotary motion unit)가 채용되어 폰을 위쪽 손목 등에서 아래 손목 배 쪽까지 이동 가능케 하며 이동 중에 사용편의 및 목적에 따라 이동통로 어떤 지점에서든지 멈춘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끔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특징의 와치형 스마트단말기 휴대편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회전부(turning unit)가 채용되어 이동 단말기의 이용방향을 사용편의 및 목적에 따라 제4항의 선회부와 연동하여 이동통로中 어떤 구간 어떤 지점에서든지 從(90°), 半從(45°)에서 橫(0°), 半橫(-45°)으로 아니면 그 반대로 단말기의 방향을 여러 각도로 자유자재로 바꾸어 가는 특징으로서 방향전환의 유도 및 실시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와치형 스마트단말기 휴대편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승부(raising up unit)를 채용함으로써 통화 시 단말기를 아래 쪽 손목에서 위 쪽 손바닥위로 상승시켜 기존의 자연스런 통화자세로 단말기를 손에 쥐고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 오도록 하기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특징의 와치형 스마트단말기 휴대편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의 패스닝 밴드는 밴드를 손목에 고정하는 버클부내 일 측의 암놈체결부재끝단에 유도삽입통로를 조성함에 있어 체결 홈이 위치하는 위쪽은 그 깊이와 넓이를 얕고 좁게 하면서 아래쪽은 깊고 넓게 하여 수놈체결부재인 탄성 출입걸림쇠가 자연스럽게 특수삽입통로로 유도되어 홈에 삽입됨으로써 잠기도록 특수 고안된 버클부와 단말기의 손목에서의 탈착 시 패스닝 밴드 상단 손목의 바깥쪽 옆 밴드상부에 장착된 구동트레인벨트의 관절장치와 상응되는 지점 바로 아래에 밴드관절부를 설치하여 단말기 및 구동트레인벨트 그리고 패스닝 밴드의 탈착을 위한 관절동작이 연동되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하여 고안 장치에 탑재된 단말기가 손목에서 접혀진 상태로 착용되어 휴대되는 상태에서도 버클장치를 푸는 일회의 단발동작으로 역시 관절이 설치된 버클부와 연동하여 동시에 패스닝 밴드도 같이 꺽 이게 되어 접혀있던 연장 이음줄이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펴짐으로써 시계 줄 보다 손목에 탈·부착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 기능의 밴드버클부와 밴드관절부가 채용된 와치형 스마트단말기 휴대편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연장밴드는 밴드길이를 임의로 편리하게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밴드길이연장조절부가 채용된 와치형 스마트단말기 휴대편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본 단말기편의장치에 체화되는 단말기는 휘어지지 않는 바 형태의 기기와 상용화단계의 휘어지는 화면표시창 기술만을 차용하여 새로이 구성된 바 형태의 기기에 구동트레인벨트의 관절장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관절장치를 설치하여 삼면, 삼단계로 접어지게 함으로 인한 외관의 변경 및 기능 추가와 더불어 삼단계의 삼면 화면표시창 중 중간 창을 포함한 2면의 display module아래에는 memory kit이 배치되며 나머지 1면 아래에는 battery unit으로 구성할 수 있음에 따른 내부 기능모듈의 배치구조도 새롭게 구성하며 삼면으로 구부러지는 특성을 적극 활용하여 사용자의 기호 및 편의에 따라 손목 안쪽 측면의 손목 날에 위치된 화면표시창에는 기존 단말기의 시계화면기술을 응용 보완하여 상시시계화면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래의 와치로서의 충실한 기능도 포함한다.
  10. 제9항에 있어서 안출된 편의장치에 탑재될 단말기의 다른 형태로서 앞으로의 기술의 진전에 따라 display module, memory kit, battery unit 등 단말기의 구성요소가 모두 휘어지는 단말기의 경우 특별한 관절장치 없이도 연성을 갖추게 되어 본 편의장치와 합체될 간단한 체결장치의 구성만으로도 즉시 편의장치에 탑재될 수 있는 그런 편리한 물성적 특성을 활용한 진정한 웨어러블폰으로 구성되게끔 안출되어진 편의장치로서 제9항에 있어서의 상시시계화면기능이 준용된 와치형 스마트단말기 휴대편의장치 .
  11. 본 고안 장치에는 탑재된 단말기에 통화연결 및 고안 장치의 기능구동을 위한 손잡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손잡이 겸 버튼부를 설치하여 통화수신시 구동 손잡이를 잡고 고안 장치를 구동하는 순간 동시에 통화연결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KR1020140007417A 2014-01-21 2014-01-21 와치형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 KR101558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417A KR101558730B1 (ko) 2014-01-21 2014-01-21 와치형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417A KR101558730B1 (ko) 2014-01-21 2014-01-21 와치형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037A true KR20150087037A (ko) 2015-07-29
KR101558730B1 KR101558730B1 (ko) 2015-10-08

Family

ID=5387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417A KR101558730B1 (ko) 2014-01-21 2014-01-21 와치형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7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1888A (zh) * 2018-08-09 2018-11-0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智能操控手柄的可穿戴装置
CN110557489A (zh) * 2018-05-31 2019-12-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硅胶套及其终端
CN115882887A (zh) * 2022-12-06 2023-03-31 无锡学院 一种腕表式通讯终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7489A (zh) * 2018-05-31 2019-12-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硅胶套及其终端
CN108721888A (zh) * 2018-08-09 2018-11-0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智能操控手柄的可穿戴装置
CN108721888B (zh) * 2018-08-09 2024-02-06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智能操控手柄的可穿戴装置
CN115882887A (zh) * 2022-12-06 2023-03-31 无锡学院 一种腕表式通讯终端
CN115882887B (zh) * 2022-12-06 2023-09-12 无锡学院 一种腕表式通讯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730B1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80837B (en) Supporting device
US10156775B2 (en) Extensible mobile recording device holder
TW200915048A (en) Datchable connection mechanism
KR20180116722A (ko) 라운드지지바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반자동 힌지장치
KR20150087037A (ko) 와치형스마트단말기편의장치
JPH0897891A (ja) 自動オープン式折り畳み携帯電話機
EP2764289A1 (en) A holding device for mobile electric devices
JP2013121508A (ja) 腕時計用バンドまたはベルトの留め金
JP2011024206A (ja) ロック機構及びこれを用いる携帯電子装置
CN102528789A (zh) 能够叠合和延伸的扩展器
US7725143B2 (en) Spring loaded sliding cover for mobile phone or PDA
CN201480247U (zh) 自动伞的安全装置
CN101107786A (zh) 具有两个相互转动或滑动部件的便携式设备及其连接装置
KR101649647B1 (ko) 휴대기기 거치대
CN204717306U (zh) 便携式手机自拍杆
CN206181140U (zh) 一种手机托架
KR20190034643A (ko) 모바일 폰 및 신축 가능 셀카봉으로 변환 가능한 그 후방 패널
CN206530645U (zh) 不用按开关可即时锁住及释放一绳子的装置
CN102729227B (zh) 电池包安装结构
JP2007059669A (ja) 電子機器収納ケース
CN106998865B (zh) 可压缩跑步袋
CN208114260U (zh) 一种多功能携带用装置、无人机及其遥控器
WO2019214751A1 (zh) 一种车载手机支架
CN217899026U (zh) 双壁波纹管连接器
JP2002000329A (ja) 電子機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