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288B1 -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5288B1 KR102235288B1 KR1020190174214A KR20190174214A KR102235288B1 KR 102235288 B1 KR102235288 B1 KR 102235288B1 KR 1020190174214 A KR1020190174214 A KR 1020190174214A KR 20190174214 A KR20190174214 A KR 20190174214A KR 102235288 B1 KR102235288 B1 KR 1022352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smartphone
- arms
- release
- lock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상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잠금 및 잠금 해제구조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의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상판부를 구비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대해 대각의 4 방향으로 신축되는 제1 내지 4암과, 상기 제1 내지 4암에 대해 신장되는 방향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내주측에서 외주방향으로의 걸림구조를 가지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대와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상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잠금 및 잠금 해제구조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대중적으로 보급되고 네비게이션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춤에 따라 보행중인 경우 뿐만 아니라 이동중인 차량이나 자전거, 오토바이 등에서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환경에 적합하도록 거치대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거치대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제안되고 있는데, 고정형식에 따라 크게 스마트폰의 양측 면에 밀착되어 기계적 마찰력에 의하여 고정하는 방식과, 자성체의 자력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대해 마찰력을 통하여 고정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차량의 대쉬보드에 고정되는 부위와, 각도를 가변할 수 있는 부위와 양측의 벽면 사이에 소정의 안착공간을 마련하여 이에 스마트폰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지지하게 된다.
자성체의 자력을 이용하는 방식은, 소정의 거치대 전면에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스마트폰의 후면에 자석이나 금속과 같은 자성체를 부착하여 상호 간의 자력을 통하여 지지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스마트폰 거치대들은 모두 고정력이 약화되거나 충격에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고, 특히 진동과 충격이 많은 자전거나 모터사이클의 경우에는 적용에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53325호는 종래기술의 스마트폰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스마트폰 거치대는 파지부(10)와, 지지부(20)와, 프레임(30)과, 부착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파지부의 제1 바디(11)와 제2 바디(12)는 탄성부재(15)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15)는 제2 바디(12)가 제1 바디(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다음에, 제2 바디(12)가 상기 탄성부재(15)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파지부(10)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누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거치대도 종래의 거치대와 같이 견고한 고정은 어려우며 사실상 실내에 고정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거치대의 경우 탄성복원력을 통하여 소정의 바디가 스마트폰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충격에 의하여 바디가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동되거나 체결부위에 유격이 발생되는 경우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폰이 거치대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자전거나 모터사이클의 주행시에는 거치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스마트폰이 파손되거나 심각한 경우 인체의 상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원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17019호로서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잠금구조가 본체 후면에 형성되고 암들이 수축된 상태에서 당기는 방식으로 록킹을 해제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면서도 스마트폰의 탈착이 용이한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면에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바디부(1000), 상기 바디부에서 상호 연동되어 대각 방향으로 신축되는 제1 내지 4암(2100, 2200, 2300, 2400), 상기 제1 내지 4암이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하는 조작부(3000), 상기 조작부에 대해 제1 내지 4암이 신장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고정하는 잠금부재(1700) 및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제1 내지 4암의 신장을 허용하도록 하는 해제부(4000)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테두리의 내주측으로 돌출되어 잠금부재에서 외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걸림치(3300)를 구비하고, 상기 해제부는 잠금부재를 조작부의 내주방향으로 이동시켜 걸림치와 걸림돌기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해제부는 바디부의 측방으로 노출되고 누름동작에 의하여 잠금부재의 걸림돌기를 조작부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해제부의 누름동작의 제거시 걸림돌기와 걸림치의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해제부에 형성되는 구동면(4040)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피동면(1740)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는, 테두리의 외주측으로 돌출되어 마찰력을 통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마찰치(31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판부에 놓여진 스마트폰에 대해 무선충전 전력의 송신이 가능한 충전모듈(510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잠금부재의 작용으로 인하여 각 암들이 해제부의 조작 없이 임의적으로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스마트폰이 거치대에서 이탈되지 않아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제부가 누름방향으로 잠금을 해제하기 때문에 한 손으로의 조작도 가능하여 조작상의 편리성은 극대화되며, 조작부에서 조작부위와 록킹부위와 암들의 구동부위를 기능적,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외부 사용 환경에서 오염의 가능성이 낮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상판부가 탈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암들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잠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잠금부재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상판부가 탈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암들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잠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잠금부재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면의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상판부를 구비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대해 대각 4 방향으로 신축되는 제1 내지 4암과, 상기 제1 내지 4암에 대해 신장되는 방향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내주측에서 외주방향으로의 걸림구조를 가지는 해제부를 포함하는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스마트폰이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통신 장치를 의미하며 일반적인 휴대 전화기는 물론 화면을 구비하고 이동성을 가지는 PDA, 네비게이션, 태블릿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는 자전거나 모터사이클은 물론 후술될 바와 같은 연결부에 장착되는 고정구조에 따라 가구, 차량 등의 다양한 장치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신장이란 각 암들이 바디부에 대해 길게 인출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수축이란 바디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가 줄어드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상측에서 바라볼 때 바디부(1000)는 상판부(1100)와 제1 내지 제4암(2100, 2200, 2300, 2400)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상판부(1100)의 면에는 스마트폰의 후면이 밀착되거나 인접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판부(1100)와 제1 내지 제4암 대부분은 스마트폰에 가려지고 암들의 말단부위인 안착홈부(2010)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판부(1100)가 배치되는 부위를 상부로 이에 반대되어 베이스부(도 3의 1200)부위를 하부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바디부(1000)는 선택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직사각 형태보다는 제1 내지 제4암이 배치되는 부위가 직사각 형태보다는 내측으로 형성되고, 조작부(3000)가 배치되는 측이 노출되는 동시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바디부(1000)의 전방측은 외곽이 대략 여섯개의 모서리를 가지는 팔각형의 일부의 형태를 이루고, 후방측도 이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전후측을 연결하는 부위가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후 및 좌우측 변 부위에 제1암(2100), 제2암(2200), 제3암(2300) 및 제4암(2400)이 대각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내지 4암은 말단에 스마트폰의 모서리측을 감싸는 형태로 안착홈부(2010)를 구비하며, 이러한 안착홈부(2010)는 대략 직각 형태를 가지는 스마트폰 모서리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을 구비한다. 다만, 상기 안착홈부(2010)의 형태는 반드시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안착홈부(2010)는 최소한 스마트폰의 모서리의 두 개의 변의 일부와 전면 및 후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내지 4암은 신축 가능하되, 어느 하나가 독립적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하지 않도록 상호 연동되어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연동 과정은 랙앤피니언의 구조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조작부(3000)는 제1 내지 4암의 연동작동을 위한 연결과, 신축작동의 잠금 및 해제와, 수축동작의 구동력을 제공하는바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3000)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오목한 중심부위의 양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미관적인 이점도 제공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 상기 조작부(3000)가 직접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소정의 레버나 와어 등에 의하여 외부에 연결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디부(1000)의 일부에서 이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다이얼 형태의 조작부(3000) 외주측이 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노출 형태는 선택적이다.
상기 조작부(3000)의 외주측에는 마찰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소정의 돌기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테두리의 내주측에는 소정의 고정을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 조작부(3000)는 기어 형태로 이루어지되 외곽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마찰력을 제공받는 부위와, 잠금부재에 의하여 잠금될 수 있는 부위와, 암들과 동력을 교환하는 부위로서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상판부(1100)의 일부에는 충전모듈(5100)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충전모듈(5100)은 무선충전 트랜스미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무선충전 리시버에 무선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충전모듈(5100)은 전원라인(5110)으로부터 오토바이의 배터리 등 외부전력을 입력받아 무선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거치대로서의 기능시 상판부(1100)에 충전모듈(5100)이 구비되는 경우 단순 거치하는 과정에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충전모듈(5100)은 전원라인(51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적절한 전압의 출력으로 변환하는 USB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저면도이다.
바디부(1000)의 하측에는 베이스부(1200)가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1200)는 대략 상판부(1100)의 외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부(1200)도 '8'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판부(1100)와 베이스부(1200)의 사이에는 제1암(2100), 제2암(2200), 제3암(2300) 및 제4암(2400)이 신축가능하도록 소정의 신축 가이드공간 및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00)의 일부에는 사용자의 조작, 더욱 정확하게는 누름 동작에 의하여 잠금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스위치 형태의 해제부(40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제부(4000)는 잠금부재를 통하여 조작부(3000) 측의 걸림 및 걸림 해제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제1 내지 4암의 신축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해제부(4000)는 조작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상판부(1100) 내지는 베이스부(1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오른손잡이의 경우 상측에서 바라볼 때 우측에 배치되는 것이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베이스부(1200)의 아래쪽에는 연결부(5000)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5000)에는 흡착판, 후크, 고정고리, 클립 등의 다양한 고정수단이 연결되어 장착되는 장비나 부위에 대응될 수 있도록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이러한 연결부(5000)와 베이스부(1200)의 결합은 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힌지 구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볼조인트 형태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상판부가 탈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하게 암들이 수축된 상태에서는 외곽이 대략 직사각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참고한다.
각각의 암들은 말단의 안착홈부(2010)와, 안착홈부(2010)로부터 바디부(1000)측으로 이어지며 상판부(1100) 및/또는 베이스부(1200)의 가이드공간에 슬라이딩 이동이 안내되는 가이드로드(참조번호 미표시)와, 가이드로드로부터 연장되며 랙기어를 구비하는 랙부(20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랙부(2030)에 대응되도록 조작부(3000)는 대략 중심측에 피니언부(3200)를 구비하며, 상기 피니언부(3200)와 랙부(2030)는 암의 선형이동 동작을 조작부(300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거나, 조작부(3000)의 회전운동을 암의 신축이동 동작으로 전환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로드는 길이방향으로 슬릿(참조번호 미표시)을 포함하고 베이스부(1200)에 형성되는 돌기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인입출의 선형 운동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는 직선 운동의 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00)와 피니언부(3200)는 일체로서 구성되고 동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암과의 배치관계를 고려하면 상기 피니언부(3200)는 조작부(3000)의 중심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부(3200)의 외주측에는 제1암(2100), 제2암(2200), 제3암(2300) 및 제4암(2400)에 형성되는 랙부(2030)가 치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하게 수축된 상태에서 가이드로부와 랙부(2030)의 연결부위는 피니언부(3200)의 외곽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가이드로드에 비하여 랙부(2030)들은 피니언부(3200)의 작동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단차진 형태를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조작부(3000)의 외주측과 내주측은 서로 기능을 달리하는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되어 후술한다.
도시된 상태에서는 조작부(30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암들의 수축이 이루어지고,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암들이 신장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조작부(3000)에서 외곽 내주측에 배치되는 걸림치(도 5의 3300)들은 이러한 작동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시계방향에 배치되는 부위의 경사도가 높고 반대면에서의 경사가 낮은 형태로 구성되어 시계방향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방향성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피니언부(3200)에의 치합관계를 고려하면 암들의 상하방 배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바, 조작부(3000)에 인접하여서는 우후방으로 신장되는 제3암(2300)과 좌전방으로 신장되는 제4암(2400)이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3암(2300)과 제4암(2400)의 상방으로는 적층된 형태로서 좌후방으로 신장되는 제1암(2100)과 우전방으로 신장되는 제2암(2200)이 평행하게 배열되며, 마찬가지로 피니언부(3200)에 랙부(2030)가 치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배열에 따라 상방에서 바라볼 때 제1 내지 4암은 마름모 형태로서 피니언부(3200)를 감싸도록 배열되며 피니언부(3200)에 치합됨에 따라 신장 및 수축이 상호 연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치상태에 따라 각 안착홈부(2010)의 높이는 상호 대응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가 조정되어야 하는바,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되는 제1암(2100) 및 제2암(2200)의 안착홈부(2010)의 높이보다 제3암(2300) 및 제4암(2400)의 안착홈부(2010)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고 상호 상단부의 위치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암들의 조작을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도록 해제부(4000)가 측면에 구비될 수 있음은 상기와 같으며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후술한다.
한편, 전후측에서 소정의 공간이 암들의 사이, 정확하게는 제1암(2100)과 제3암(2300)의 사이인 후방과 제2암(2200)과 제4암(2400)의 사이인 전방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은 외곽에서 암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수용부(1210)가 형성되어 소정의 소자나 기판 등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에서 암들이 탈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조작부(3000)는 베이스부(1200)의 상측에 형성되는 소정의 원형 안착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전체적으로 원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3000)는 소정의 돌기들이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기어 내지는 마찰치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외곽에 링 형태로 돌출되는 테두리 부위의 외주측은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바디부(1000)의 외곽에 노출되는 마찰치(3100)이고, 상기 테두리 부위의 내주측은 잠금부재에 의하여 걸림 및 해제 가능한 걸림치(33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로부터 이격되어 중심측에는 피니언부(3200)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마찰치(3100)와 걸림치(3300)가 형성되는 테두리부위보다 피니언부(3200)의 높이가 더 높다.
상기 마찰치(3100)의 경우 손가락이나 추가적인 부재와의 결합 등을 고려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걸림치(3300)의 경우 잠금부재와의 일방의 동작 허용 -수축되는 방향- , 타방의 동작 제한 - 신장되는 방향- 의 이중의 기능을 가지도록 원주방향으로 일방과 타방에 있어 형태적 차이를 가지게 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시된 형태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경사가 완만하고 시계방향으로는 경사가 반경방향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해제부(4000)는 누름동작에 의하여 잠금해제가 가능하며, 이는 사용자가 당기는 동작에 의하지 않고 누르는 동작으로 스마트폰을 탈거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오토바이나 자전거를 탈 때나 물건을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한손으로 누름동작을 통하여 스마트폰을 거치상태에서 탈거할 수 있음은 사용자의 편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해제부(4000)는 버튼의 형태로서 베이스부(1200)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200)에는 해제부(4000)의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요홈 내지는 돌기 등 다양한 선형 가이드수단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제부(4000)의 일부와 잠금부재를 덮는 형태로 커버부(4100)가 베이스부(1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버부(4100)는 잠금부재와 조작부(3000)의 연결상태와 잠금부재의 해제부(4000)의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도 6은 도 5에서 커버부가 탈거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해제부의 누름동작을 통하여 잠금이 해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잠금부재(1700)는 전방이 커버부(4100)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으며 베이스부(1200)에 형성되는 잠금작동공간에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부재(1700)는 조작부(3000)의 테두리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부(3000)의 테두리 내주측에는 양측으로 경사도가 다른 걸림치(3300)들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잠금부재(1700)의 단부에서는 외주방향(도시된 예에서 대략 후방)으로는 걸림돌기가 형성될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는 걸림치(33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탄성부(17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테두리에서 외곽측으로 힘을 받아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173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탄성부(1730)의 일단은 베이스부(1200)에 지지되고 타단은 잠금부재(1700)에 형성되는 돌부(1720)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돌부(1720)는 걸림돌기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1730)의 내주측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상태에 따라 잠금부재(1700)는 탄성부(17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잠금부재(1700)가 조작부(3000)의 테두리 내주측에 형성되는 걸림치(3300)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수축되는 방향의 회전 즉,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치합된 부위의 경사도가 낮으므로 탄성부(1730)를 변형하게 하면서 걸림돌기와 걸림치(3300)의 유격이 발생하면서 회전을 허용하고, 신장되는 방향의 회전 즉, 시계방향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치합된 부위의 경사도가 높으므로 회전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해제부(4000)의 동작과의 연동 동작을 위하여 잠금부재(1700)의 후방측 면에는 경사진 형태로서 피동면(1740)이 형성되고, 이에 접촉하고 있는 해제부(4000)의 부위도 경사진 형태로 구동면(4040)이 된다. 도 7의 도시사항을 참고하면, 해제부(4000)를 눌러서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구동면(4040)의 이동에 따라 피동면(1740)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부(173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걸림돌기를 조작부(3000)의 내주방향으로 이격시켜 걸림치(3300)와의 치합상태를 해제하고 암들의 신장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된 화살표는 손가락으로 눌리는 방향을 나타내며,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 탄성부(1730)가 압축된 상태에서 복원하면서 잠금부재(1700)를 조작부(3000)의 외곽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걸림돌기와 걸림치(3300)의 걸림상태를 만들어 낸다. 이때 해제부(4000)도 다시 베이스부(1200)의 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변화된다.
상기 해제부(4000)에는 눌려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해제홈(4010)이 형성되고 베이스부(1200)에 형성되는 돌출부위가 삽입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잠금부재와 해제부를 후방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부재(1700)는 탄성부(1730)가 삽입되는 가이드공간(1710)을 구비하며 탄성부의 일단에 삽입되는 돌부(1720)가 가이드공간(171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잠금부재(1700)의 걸림돌기(1750)는 조작부(3000)의 걸림치(3300)의 형상에 대응되어 치합될 수 있으며, 다만 가상의 링을 형성하였을 때 외주측으로 형성되는 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1750)는 원주방향의 일방과 타방에서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짐은 상기와 같다.
상기 잠금부재(1700)의 피동면(1740)에 대응하여 해제부(4000)의 면은 구동면(4040)으로서 기능하며 상호 이동방향을 고려하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따라, 스마트폰의 장착 과정을 살펴보면 각 암들이 바디부(100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수축된 상태에서 이용자는 조작부(3000)를 조작하거나 어느 하나 이상의 암을 인출하는 동작을 통하여 신장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신장 동작을 위하여 해제부(4000)의 조작에 따라 잠금부재(1700)의 잠금상태의 해제가 필요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아래쪽을 파지한 상태를 고려하면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으로 측면의 해제부(4000)를 눌러 잠금 오프상태를 이루고, 다른 손으로 조작부(3000)를 회전시키거나 암의 단부측을 손으로 파지하여 인출하는 동작으로서 신장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동작들은 한 손으로도 가능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암들에 신장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받을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부재(미도시)들이 배치되어 해제부(4000)를 조작하면 자동적으로 암들이 벌어지게 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스마트폰의 크기보다 더 큰 형태로 네 모서리측의 안착홈부(2010)를 대략 위치시키면 상판부(1100)의 면에 스마트폰을 안착한 다음 각 암들을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베이스부(1200)에 인입하거나 조작부(3000)를 회전시켜 각 스마트폰의 모서리 부위가 안착홈부(2010)에 정확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축동작은 잠금부재(1700)의 잠금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해제부(4000)의 조작이 불필요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렇게 스마트폰이 고정되면, 잠금부재(1700)의 작용으로 인하여 각 암들이 해제부(4000)의 조작 없이 임의적으로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스마트폰이 거치대에서 이탈되지 않을 것이다. 이는 작동상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또한, 해제부가 누름방향으로 잠금을 해제하기 때문에 한 손으로의 조작도 가능하여 조작상의 편리성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에서 조작부위와 록킹부위와 암들의 구동부위를 기능적/구조적으로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외부 사용 환경에서 오염의 가능성이 낮고, 내구성과 작동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바디부 1100...상판부
1200...베이스부 1210...수용부
1700...잠금부재 1710...가이드공간
1720...돌부 1730...탄성부
1740...피동면 2010...안착홈부
2030...랙부 2100...제1암
2200...제2암 2300...제3암
2400...제4암 3000...조작부
3100...마찰치 3200...피니언부
3300...걸림치 4000...해제부
4010...해제홈 4040...구동면
4100...커버부 5000...연결부
5100...충전모듈 5110...전원라인
1200...베이스부 1210...수용부
1700...잠금부재 1710...가이드공간
1720...돌부 1730...탄성부
1740...피동면 2010...안착홈부
2030...랙부 2100...제1암
2200...제2암 2300...제3암
2400...제4암 3000...조작부
3100...마찰치 3200...피니언부
3300...걸림치 4000...해제부
4010...해제홈 4040...구동면
4100...커버부 5000...연결부
5100...충전모듈 5110...전원라인
Claims (5)
- 전면에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상판부와 상판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바디부(1000);
상기 바디부에서 상호 연동되어 대각 방향으로 신축되는 제1 내지 4암(2100, 2200, 2300, 2400);
상기 제1 내지 4암에 형성되는 랙부의 직선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피니언부(3200)와 테두리 부위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일부가 바디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손으로 조작되는 마찰치(3100)와 테두리 부위의 내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걸림 및 걸림 해제 기능을 하는 걸림치(3300)를 구비하는 조작부(3000);
상기 조작부의 걸림치에 걸림되어 제1 내지 4암이 신장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고정하도록 걸림돌기(1750)가 형성되는 잠금부재(1700); 및
상기 잠금부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제1 내지 4암의 신장을 허용하도록 하는 해제부(4000);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부는,
바디부의 측면에서 누름동작에 의하여 잠금부재를 조작부의 반경방향의 내주측으로 선형이동 되도록 함으로써 걸림돌기와 걸림치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해제부의 누름동작의 제거시 걸림돌기와 걸림치의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해제부에 형성되는 구동면(4040)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피동면(1740)을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양측 일부가 바디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판부에 놓여진 스마트폰에 대해 무선충전 전력의 송신이 가능한 충전모듈(5100)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4214A KR102235288B1 (ko) | 2019-12-24 | 2019-12-24 |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4214A KR102235288B1 (ko) | 2019-12-24 | 2019-12-24 |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5288B1 true KR102235288B1 (ko) | 2021-04-01 |
Family
ID=7544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4214A KR102235288B1 (ko) | 2019-12-24 | 2019-12-24 |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528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19665A (ko) * | 2012-08-07 | 2014-02-17 | 강인식 | 휴대폰 거치대 |
KR20140140236A (ko) * | 2013-05-29 | 2014-12-09 | 조규호 |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
KR101717019B1 (ko) * | 2016-05-04 | 2017-03-15 | 박은주 |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KR20190035461A (ko) * | 2017-09-25 | 2019-04-03 | 김태봉 |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
-
2019
- 2019-12-24 KR KR1020190174214A patent/KR1022352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19665A (ko) * | 2012-08-07 | 2014-02-17 | 강인식 | 휴대폰 거치대 |
KR20140140236A (ko) * | 2013-05-29 | 2014-12-09 | 조규호 |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
KR101717019B1 (ko) * | 2016-05-04 | 2017-03-15 | 박은주 |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KR20190035461A (ko) * | 2017-09-25 | 2019-04-03 | 김태봉 |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7019B1 (ko) |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
US7757919B2 (en) | Carrying case with screen-protecting snap | |
US11993301B2 (en) | Unlocking device with pause function | |
US9010597B2 (en) | Headrest mount for tablet computer and method | |
US20120103855A1 (en) |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 |
KR101542196B1 (ko) |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 |
US20140126126A1 (en) | Electronic device | |
US20160105593A1 (en) | Mounting adapter | |
KR101832625B1 (ko) | 휴대 전자기기의 회전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 거치대 및 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 |
RU2005127984A (ru) | Пылесос | |
KR200490903Y1 (ko) | 거울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
JP2019091985A (ja) | 携帯端末保持具 | |
JP2024529212A (ja) | 磁気吸着スタンド付き保護シェル | |
JP6810732B2 (ja) | 携帯端末機用スタンド | |
US10955730B2 (en) | Multi-configuration mounting system | |
US20240148131A1 (en) | Protective case with device grip storage | |
KR102235288B1 (ko) |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 | |
WO2003069896A1 (fr) | Dispositif d'enregistrement/de lecture magnetique | |
WO2017115569A1 (ja) | 制御装置、制御ユニット及び撮像ユニット | |
WO2016121891A1 (ja) | 携帯端末ホールド用カバー | |
KR20190034643A (ko) | 모바일 폰 및 신축 가능 셀카봉으로 변환 가능한 그 후방 패널 | |
CN101116085A (zh) | 用于便携式电子装置的直接安装盒 | |
US8444102B2 (en) | Apparatus for holding handheld devices | |
KR20160125056A (ko) | 모바일기기 파지용 액세서리 | |
CN214037526U (zh) | 移动终端支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