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461A -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461A
KR20190035461A KR1020180030613A KR20180030613A KR20190035461A KR 20190035461 A KR20190035461 A KR 20190035461A KR 1020180030613 A KR1020180030613 A KR 1020180030613A KR 20180030613 A KR20180030613 A KR 20180030613A KR 20190035461 A KR20190035461 A KR 20190035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ipping
control unit
main bod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봉
Original Assignee
김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봉 filed Critical 김태봉
Publication of KR2019003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어진 한 쌍의 파지부가 원터치 방식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호 접근하도록 하여 다양한 모델의 휴대단말기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전면에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파지유닛과, 한 쌍의 파지유닛이 상대 운동에 의해 본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 쌍의 파지유닛을 각각 본체에 연결시키는 탈착제어유닛과, 한 쌍의 파지유닛이 상대 운동에 의해 상호 벌어지도록 탈착제어유닛을 동작시키는 벌림스위칭유닛과, 한 쌍의 파지유닛이 상대 운동에 의해 상호 접근하도록 탈착제어유닛을 동작시키는 파지스위칭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ONE TOUCH TYPE PORTABLE TERMINAL HOLDER}
본 발명은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벌어진 한 쌍의 파지부가 원터치 방식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호 접근하도록 하여 다양한 모델의 휴대단말기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로 대표될 수 있는 휴대단말기는 개인마다 보유하고 있을 만큼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에는 휴대용 전화기뿐 아니라 차량용 내비게이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휴대용 방송 수신 장치, 디지털 카메라/캠코더 등이 상용되고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위한 다양한 악세사리 산업 또한 함께 발전하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는 차량 운전 중, 또는 학업이나 업무 중에 휴대단말기를 보관하는 등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지라도, 제조자마다 그 크기가 상이하므로, 휴대단말기에 맞추어 홀더를 구입하여 사용하다가 휴대단말기를 다른 모델로 교체하게 되면, 교체된 휴대단말기에 맞추어 거치대를 별도 구입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교체시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함은 물론, 사용 가능한 상태의 거치대가 폐기 처분되는 등 자원 낭비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거치대는 휴대단말기를 장착 및 해제할 때, 다수의 버튼을 조작하거나 물리적인 힘을 가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물리적인 힘이 휴대단말기에 가할 때, 휴대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14837호(발명의 명칭 :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2015. 10. 1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벌어진 한 쌍의 파지부가 원터치 방식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호 접근하도록 하여 다양한 모델의 휴대단말기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전면부에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1파지유닛과 마주보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파지유닛을 포함하는 파지유닛;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대 운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을 각각 상기 본체에 연결시키는 탈착제어유닛;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대 운동에 의해 상호 벌어지도록 상기 탈착제어유닛을 동작시키는 벌림스위칭유닛; 및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대 운동에 의해 상호 접근하도록 상기 탈착제어유닛을 동작시키는 파지스위칭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한 파지쿠션;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탈착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유닛; 상기 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파지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유닛에 치합되는 제1제어유닛; 및 상기 제1제어유닛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1제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파지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제어유닛과 마주보도록 상기 피니언유닛에 치합되는 제2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벌림스위칭유닛은, 상기 제1제어유닛과 상기 제2제어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에서 인입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1파지유닛에 결합되는 제1제어바디부; 및 상기 제1제어바디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피니언유닛에 치합되는 제1랙기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에서 인입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2파지유닛에 결합되는 제2제어바디부; 상기 피니언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제1랙기어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제어바디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피니언유닛에 치합되는 제2랙기어부; 및 상기 제1랙기어부에 적층되도록 상기 제2제어바디부에서 연장되는 제2로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호 접근한 상태에서는 상기 파지스위칭유닛에 상기 제1랙기어부와 상기 제2로드부가 적층되고,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호 멀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파지스위칭유닛에 상기 제1랙기어부와 상기 제2로드부가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제어유닛은, 상기 제2랙기어부가 적층되도록 상기 제1제어바디부에서 연장되는 제1로드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벌림스위칭유닛은, 상기 제1제어유닛 또는 상기 제2제어유닛에 구비되는 연장바디; 상기 연장바디에 결합되는 벌림바디; 상기 본체에서 인입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벌림바디에 구비되는 벌림스위치;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벌림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벌림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스위칭유닛은, 상기 제1제어유닛에 구비되는 제1안착턱; 상기 제1안착턱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제어유닛에 구비되는 제2안착턱; 상기 본체에서 인입 또는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지스위치;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파지스위치를 탄성 지지하는 파지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호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스위치가 상기 본체에 인입되면, 상기 파지스위치에는 상기 제1제어유닛과 상기 제2제어유닛이 적층되고,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호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파지스위치가 돌출되면, 상기 파지스위치에는 상기 제1안착턱과 상기 제2안착턱이 걸림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파지스위치는, 일측이 상기 본체에서 인입 또는 돌출되는 스위칭돌부; 및 상기 제1제어유닛과 상기 제2제어유닛의 적층 및 상기 제1안착턱과 상기 제2안착턱의 걸림 지지를 위해 상기 스위칭돌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걸림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스위치는, 상기 걸림판부에 상기 제1제어유닛과 상기 제2제어유닛이 적층될 때, 상기 제1제어유닛이 지지되는 걸림리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파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따르면, 벌어진 한 쌍의 파지부가 원터치 방식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호 접근하도록 하여 다양한 모델의 휴대단말기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쿠션을 통해 휴대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휴대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제어유닛을 통해 파지유닛의 상대 운동 및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제1파지유닛과 제2파지유닛 사이의 상호 접근과, 제1파지유닛과 제2파지유닛 사이의 벌어짐에 따른 동작을 명확하며, 휴대단말기의 파지 동작과 휴대단말기의 파지 해제 동작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제어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파지스위칭유닛의 인입 또는 돌출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휴대단말기를 안정되게 파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제어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제어유닛과 제2제어유닛이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하여 거치대의 유지 및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벌림스위칭유닛과 탈착제어유닛을 통해 제1파지유닛의 동작만으로도 제2파지유닛을 동작시킬 수 있고, 휴대단말기의 파지 동작 및 해제 동작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스위칭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파지스위치의 동작을 간소화시키고, 탈착제어유닛과의 연계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스위치의 세부 구성을 통해 파지유닛의 벌림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휴대단말기의 파지 동작을 위해 제1파지유닛과 제2파지유닛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적층되는 제1제어유닛과 제2제어유닛에 대응하여 제1제어유닛과 제2제어유닛의 단차를 극복할 수 있고, 탈착제어유닛을 통해 제1제어유닛과 제2제어유닛을 유지 및 보수를 간소화시키며, 제1파지유닛과 제2파지유닛의 사이의 벌어짐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안내경사부를 통해 제1제어유닛과 제2제어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제1파지유닛과 제2파지유닛의 폭 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거치대에서 소음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에서 파지유닛과, 탈착제어유닛과, 벌림스위칭유닛과, 파지스위칭유닛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에서 제1파지유닛과 제2파지유닛이 상호 접근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에서 제1파지유닛과 제2파지유닛이 상호 접근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파지스위칭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a)는 도 3의 I-I 선에 따른 파지스위칭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파지스위칭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에서 제1파지유닛과 제2파지유닛이 상호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에서 제1파지유닛과 제2파지유닛이 상호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파지스위칭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a)는 도 3의 II-II 선에 따른 파지스위칭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파지스위칭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벌림스위칭유닛(40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이 상호 벌어지도록 하고, 파지스위칭유닛(500)의 스위칭 동작 및 벌림스위칭유닛(400)의 탄성력에 의해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이 상호 연동되어 자동으로 상호 접근함으로써,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 사이에 휴대단말기(P)가 파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전면부에 휴대단말기(P)가 안착되는 본체(100)와, 상호 마주보도록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파지유닛(200)과, 한 쌍의 파지유닛(200)이 상대 운동에 의해 본체(100)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 쌍의 파지유닛(200)을 각각 본체에 연결시키는 탈착제어유닛(300)과, 한 쌍의 파지유닛(200)이 상대 운동에 의해 상호 벌어지도록 탈착제어유닛(300)을 동작시키는 벌림스위칭유닛(400)과, 한 쌍의 파지유닛(200)이 상대 운동에 의해 상호 접근하도록 상기 탈착제어유닛(300)을 동작시키는 파지스위칭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전면부에 휴대단말기(P)가 안착되는 상판부(110)와, 상판부(110)에 결합되는 하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부(110)에는 안착되는 휴대단말기(P)가 탄성 지지되는 상판쿠션(111)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는 상판부(110)와 하판부(130) 사이에 구비되고, 탈착제어유닛(300)과 벌림스위칭유닛(4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고정 위치에 하판부(130)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본체고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고정부(14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고정 위치에 하판부(13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다.
본체(100)에는 벌림스위칭유닛(400)에 구비되는 벌림탄성부재(450)를 지지하기 위한 벌림탄성지지부(101)가 구비될 수 있다. 벌림탄성지지부(101)는 벌림탄성부재(450)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고, 벌림탄성부재(45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벌림스위칭유닛(400)에 구비되는 벌림스위치(44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벌림제한부(102)가 구비될 수 있다. 벌림제한부(102)는 한 쌍의 파지유닛(200) 사이의 상호 벌어짐에 대응하여 벌림바디(420)와 벌림스위치(44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탈착제어유닛(300)과 파지스위칭유닛(500)의 걸림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파지유닛(200)은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파지유닛(210)과, 제1파지유닛(210)과 마주보도록 본체(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파지유닛(220)을 포함한다.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한 파지쿠션(212, 22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파지유닛(210)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파지부(211)를 포함하고, 제1파지부(211)에 구비되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한 제1파지쿠션(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파지유닛(220)은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파지부(221)를 포함하고, 제2파지부(221)에 구비되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한 제2파지쿠션(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착제어유닛(300)은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유닛(330)과, 본체(1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파지유닛(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피니언유닛(330)에 치합되는 제1제어유닛(310)과, 제1제어유닛(310)에 적층된 상태에서 본체(100)와 제1제어유닛(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파지유닛(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제어유닛(310)과 마주보도록 피니언유닛(330)에 치합되는 제2제어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벌림스위칭유닛(400)은 제1제어유닛(310)과 제2제어유닛(3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또한, 벌림스위칭유닛(400)은 본체(1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피니언유닛(330)은 피니언축(33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제1제어유닛(310)은 본체(100)에서 인입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제1파지유닛(210)에 결합되는 제1제어바디부(311)와, 제1제어바디부(311)에서 연장되어 피니언유닛(330)에 치합되는 제1랙기어부(312)를 포함한다. 또한, 제1제어유닛(310)은 제2랙기어부(322)가 적층되도록 제1제어바디부(311)에서 연장되는 제1로드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판부(110)와 마주보는 제1제어바디부(311)의 상면과 제1랙기어부(312)의 상면과 제1로드부(313)의 상면은 동일 평편 상에 구비됨으로써, 제1제어유닛(3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제2제어유닛(320)과의 연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랙기어부(312)와 제1로드부(3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가이드부(314)가 구비되어 본체(100) 및 제2제어유닛(320)에서 제1제어유닛(3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2제어유닛(320)은 본체(100)에서 인입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제2파지유닛(220)에 결합되는 제2제어바디부(321)와, 피니언유닛(330)을 기준으로 제1랙기어부(312)와 마주보도록 제2제어바디부(321)에서 연장되어 피니언유닛(330)에 치합되는 제2랙기어부(322)와, 제1랙기어부(312)에 적층되도록 제2제어바디부(321)에서 연장되는 제2로드부(323)를 포함한다.
이때, 상판부(110)와 마주보는 제2제어바디부(321)의 상면과 제2랙기어부(322)의 상면과 제2로드부(323)의 상면은 동일 평편 상에 구비됨으로써, 제2제어유닛(3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제1제어유닛(310)과의 연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랙기어부(322)와 제2로드부(3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2가이드부(324)가 구비되어 본체(100) 및 제1제어유닛(310)에서 제2제어유닛(3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이 상호 접근한 상태에서는 파지스위칭유닛(500)에 제1랙기어부(312)와 제2로드부(323)가 적층된다. 또한,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이 상호 멀어진 상태에서는 파지스위칭유닛(500)에 제1랙기어부(312)와 제2로드부(323)가 지지된다.
벌림스위칭유닛(400)은 제1제어유닛(310) 또는 제2제어유닛(320)에 구비되는 연장바디(410)와, 연장바디(410)에 결합되는 벌림바디(420)와, 본체(100)에서 인입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벌림바디(420)에 구비되는 벌림스위치(440)와, 본체(100)에 대하여 벌림바디(420)를 탄성 지지하는 벌림탄성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벌림스위칭유닛(400)은 벌림바디(420)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벌림지지부(430)가 구비되어 벌림탄성지지부(101)와 함께 벌림탄성부재(45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바디(410)와 벌림바디(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결합부(411)가 구비되고, 연장바디(410)와 벌림바디(420) 중 다른 하나에는 제1결합부(411)와 끼움 결합되는 제2결합부(4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부(411)와 제2결합부(421)의 끼움 결합에 의해 연장바디(410)와 벌림바디(420)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파지스위칭유닛(500)은 제1제어유닛(310)에 구비되는 제1안착턱(510)과, 제1안착턱(510)에 대응하여 제2제어유닛(320)에 구비되는 제2안착턱(520)과, 본체(100)에서 인입 또는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지스위치(530)와, 본체(100)에 대하여 파지스위치(530)를 탄성 지지하는 파지탄성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스위칭유닛(500)은 본체(100)에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되는 승강가이드(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540)는 파지탄성부재(550)를 지지하고 파지스위치(53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파지탄성부재(55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스위치(530)에도 승강가이드(540)가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돌출 형성되는 승강가이드(540)에는 파지탄성부재(550)가 삽입되는 지지홈(54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이 상호 접근한 상태에서 파지스위치(530)가 본체(100)에 인입되면, 파지스위치(530)에는 제1제어유닛(310)과 제2제어유닛(320)이 적층된다. 또한,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이 상호 벌어진 상태에서 파지스위치(530)가 돌출되면, 파지스위치(530)에는 제1안착턱(510)과 제2안착턱(520)이 걸림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안착턱(510)은 제1랙기어부(312)에 함몰 형성된 홈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안착턱(510)은 제1랙기어부(312)에 돌출 형성된 돌기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안착턱(520)은 제2로드부(323)에 함몰 형성된 홈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안착턱(520)은 제2로드부(323)에 돌출 형성된 돌기에 형성될 수 있다.
파지스위치(530)는 일측이 본체(100)에서 인입 또는 돌출되는 스위칭돌부(531)와, 제1제어유닛(310)과 제2제어유닛(320)의 적층 또는 제1안착턱(510)과 제2안착턱(520)의 걸림 지지를 위해 스위칭돌부(531)의 타측에 구비되는 걸림판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스위치(530)는 걸림판부(532)에 제1제어유닛(310)과 제2제어유닛(320)이 적층될 때, 제1제어유닛(310)이 지지되는 걸림리브(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안착턱(510)에는 제1안내경사부(510a)가 구비되고, 걸림판부(532)에는 제1안내경사부(510a)에 대응하여 제2안내경사부(532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안착턱(520)에는 제3안내경사부(520a)가 구비되고, 걸림판부(532) 또는 걸림리브(533)에는 제3안내경사부(520a)에 대응하여 제4안내경사부(533a)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지스위치(530)가 본체(100)에 인입될 때, 제1안내경사부(510a)는 제2안내경사부(532a)와 맞물리고, 제3안내경사부(520a)는 제4안내경사부(533a)와 맞물리므로, 제1제어유닛(310)과 제2제어유닛(320)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의 상호 접근 동작을 원활하게 하며,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에 의해 휴대단말기(P)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보조파지유닛(600)과, 무선충전유닛(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파지유닛(600)은 본체(10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본체(1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단말기(P)를 지지한다.
보조파지유닛(600)은 본체(1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로드부(611)와, 휴대단말기(P)가 지지되도록 보조로드부(611)에 구비되는 보조파지부(612)와, 보조로드부(611)의 슬라이드 이동 여부를 선택하는 왕복스위치(6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파지유닛(600)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하고, 휴대단말기(P)가 탄성 지지되도록 보조파지부(612)에 구비되는 보조쿠션부(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왕복스위치(613)를 가압한 상태에서는 보조로드부(611)의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고, 왕복스위치(613)의 가압이 해제되면 보조로드부(611)를 본체(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무선충전유닛(700)은 본체(100)에 구비되고, 휴대단말기(P)의 안착에 따라 휴대단말기(P)를 충전시킨다. 무선충전유닛(700)은 충전 방식에 대응하여 본체(100)에 내장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무선충전유닛(700)은 충전 방식에 대응하여 본체(100)의 전면에 노출됨에 따라 휴대단말기(P)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무선충전유닛(700)에는 전원의 인가 여부를 선택하는 충전스위치(710)가 포함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P)가 본체(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파지유닛(200)이 휴대단말기(P)를 파지하는 경우, 충전스위치(710)는 온으로 동작되어 무선충전유닛(7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P)의 파지가 해제되는 경우, 충전스위치(710)는 오프로 동작되어 무선충전유닛(7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충전스위치(710)는 파지스위칭유닛(5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파지스위칭유닛(500)이 본체(100)에 삽입되면, 충전스위치(710)는 온으로 동작되고, 파지스위칭유닛(500)이 본체(100)에서 돌출되면, 충전스위치(710)는 오프로 동작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충전스위치(710)는 파지유닛(200)의 제1파지유닛(210)와 제2파지유닛(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파지부(211) 또는 제2파지부(221)가 휴대단말기(P)를 지지하도록 본체(100)에 접근하면, 충전스위치(710)는 온으로 동작되고, 제1파지부(211) 또는 제2파지부(221)가 휴대단말기(P)의 지지를 해제하도록 본체(100)에서 멀어지면, 충전스위치(710)는 오프로 동작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충전스위치(710)는 벌림스위칭유닛(4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벌림스위칭유닛(400)이 본체(100)에서 돌출되면, 충전스위치(710)는 온으로 동작되고, 벌림스위칭유닛(400)이 본체(100)에 삽입되면, 충전스위치(710)는 오프로 동작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이 상호 접근한 상태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스위치(530)의 스위칭돌부(531)는 본체(100)의 전면부에서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걸림판부(532)에는 제1랙기어부(312)와 제2로드부(323)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고, 제2로드부(323)는 제1랙기어부(312)와 본체(100)의 지지판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제1랙기어부(312)에 구비되는 제1안착턱(510)은 걸림리브(533)에 지지되어 제1랙기어부(312)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벌림스위치(440)를 가압하면, 벌림스위치(440)는 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되므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이 상호 멀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벌림바디(420)는 벌림제한부(102)에 지지됨으로써, 벌림스위치(440)의 인입을 제한할 수 있다.
벌림스위치(440)가 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되면, 제1제어유닛(310)과 제2제어유닛(320)은 피니언유닛(330)을 매개로 상대 운동함에 따라 제1안착턱(510)과 제2안착턱(520)이 마주보게 되고, 파지탄성부재(550)의 탄성력에 의해 파지스위치(530)의 스위칭돌부(531)는 본체(100)에서 돌출된다. 이때, 걸림판부(532)는 제1안착턱(510)과 제2안착턱(520) 사이로 이동하므로, 걸림판부(532)의 양단부는 각각 제1안착턱(510)과 제2안착턱(520)에 걸림 지지된다.
여기서, 휴대단말기(P)가 본체(100)의 전면부에 안착되면, 휴대단말기(P)는 파지스위치(530)를 가압하기 때문에 제1안착턱(510)과 제2안착턱(520) 사이에서 걸림판부(532)가 분리되고, 파지탄성부재(550)가 압축된다.
더불어, 벌림탄성부재(45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제어유닛(310)이 본체(100)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고, 피니언유닛(330)을 매개로 제2제어유닛(320)이 연동되어 제2제어유닛(320)도 본체(100)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며, 걸림판부(532)에는 제1랙기어부(312)와 제2로드부(323)가 적층된다.
상술한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따르면, 벌어진 한 쌍의 파지부(211, 221)가 원터치 방식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호 접근하도록 하여 다양한 모델의 휴대단말기(P)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쿠션(212, 222)을 통해 휴대단말기(P)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휴대단말기(P)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탈착제어유닛(300)을 통해 파지유닛(200)의 상대 운동 및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 사이의 상호 접근과,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 사이의 벌어짐에 따른 동작을 명확하며, 휴대단말기(P)의 파지 동작과 휴대단말기(P)의 파지 해제 동작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탈착제어유닛(3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파지스위칭유닛(500)의 인입 또는 돌출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휴대단말기(P)를 안정되게 파지하도록 한다. 또한, 탈착제어유닛(3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제어유닛(310)과 제2제어유닛(320)이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하여 거치대의 유지 및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벌림스위칭유닛(400)과 탈착제어유닛(300)을 통해 제1파지유닛(210)의 동작만으로도 제2파지유닛(220)을 동작시킬 수 있고, 휴대단말기(P)의 파지 동작 및 해제 동작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파지스위칭유닛(5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파지스위치(530)의 동작을 간소화시키고, 탈착제어유닛(300)과의 연계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지스위치(5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파지유닛(200)의 벌림 동작을 명확하게 하고, 휴대단말기(P)의 파지 동작을 위해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호 적층되는 제1제어유닛(310)과 제2제어유닛(320)에 대응하여 제1제어유닛(310)과 제2제어유닛(320)의 단차를 극복할 수 있고, 탈착제어유닛(300)을 통해 제1제어유닛(310)과 제2제어유닛(320)을 유지 및 보수를 간소화시키며,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의 사이의 벌어짐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안내경사부(510a, 520a, 532a, 533a)를 통해 제1제어유닛(310)과 제2제어유닛(3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제1파지유닛(210)과 제2파지유닛(220)의 폭 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거치대에서 소음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본체 101: 벌림탄성지지부 102: 벌림제한부
110: 상판부 111: 상판쿠션 120: 지지판부
130: 하판부 14O: 보조고정부 200: 파지유닛
210: 제1파지유닛 211: 제1파지부 212: 제1파지쿠션
220: 제2파지유닛 221: 제2파지부 222: 제2파지쿠션
300: 탈착제어유닛 310: 제1제어유닛 311: 제1제어바디부
312: 제1랙기어부 313: 제1로드부 314: 제1가이드부
320: 제2제어유닛 321: 제2제어바디부 322: 제2랙기어부
323: 제2로드부 324: 제2가이드부 330: 피니언유닛
331: 피니언축 400: 벌림스위칭유닛 410: 연장바디
411: 제1결합부 420: 벌림바디 421: 제2결합부
430: 벌림지지부 440: 벌림스위치 450: 벌림탄성부재
500: 파지스위칭유닛 510: 제1안착턱 520: 제2안착턱
530: 파지스위치 531: 스위칭돌부 532: 걸림판부
533: 걸림리브 540: 승강가이드 550: 파지탄성부재
510a: 제1안내경사부 532a: 제2안내경사부 520a: 제3안내경사부
533a: 제4안내경사부 600: 보조파지유닛 611: 보조로드부
612: 보조파지부 613: 왕복스위치 614: 보조쿠션부
700: 무선충전유닛 710: 충전스위치 P: 휴대단말기

Claims (10)

  1. 전면부에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1파지유닛과 마주보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파지유닛을 포함하는 파지유닛;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대 운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을 각각 상기 본체에 연결시키는 탈착제어유닛;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대 운동에 의해 상호 벌어지도록 상기 탈착제어유닛을 동작시키는 벌림스위칭유닛; 및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대 운동에 의해 상호 접근하도록 상기 탈착제어유닛을 동작시키는 파지스위칭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 변형 가능한 파지쿠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유닛;
    상기 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파지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유닛에 치합되는 제1제어유닛; 및
    상기 제1제어유닛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1제어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파지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제어유닛과 마주보도록 상기 피니언유닛에 치합되는 제2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벌림스위칭유닛은, 상기 제1제어유닛과 상기 제2제어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에서 인입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1파지유닛에 결합되는 제1제어바디부; 및
    상기 제1제어바디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피니언유닛에 치합되는 제1랙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유닛은,
    상기 본체에서 인입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2파지유닛에 결합되는 제2제어바디부;
    상기 피니언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제1랙기어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2제어바디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피니언유닛에 치합되는 제2랙기어부; 및
    상기 제1랙기어부에 적층되도록 상기 제2제어바디부에서 연장되는 제2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호 접근한 상태에서는 상기 파지스위칭유닛에 상기 제1랙기어부와 상기 제2로드부가 적층되고,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호 멀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파지스위칭유닛에 상기 제1랙기어부와 상기 제2로드부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유닛은,
    상기 제2랙기어부가 적층되도록 상기 제1제어바디부에서 연장되는 제1로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스위칭유닛은,
    상기 제1제어유닛 또는 상기 제2제어유닛에 구비되는 연장바디;
    상기 연장바디에 결합되는 벌림바디;
    상기 본체에서 인입 또는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벌림바디에 구비되는 벌림스위치;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벌림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벌림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스위칭유닛은,
    상기 제1제어유닛에 구비되는 제1안착턱;
    상기 제1안착턱에 대응하여 상기 제2제어유닛에 구비되는 제2안착턱;
    상기 본체에서 인입 또는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지스위치;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파지스위치를 탄성 지지하는 파지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호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스위치가 상기 본체에 인입되면, 상기 파지스위치에는 상기 제1제어유닛과 상기 제2제어유닛이 적층되고,
    상기 제1파지유닛과 상기 제2파지유닛이 상호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파지스위치가 돌출되면, 상기 파지스위치에는 상기 제1안착턱과 상기 제2안착턱이 걸림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스위치는,
    일측이 상기 본체에서 인입 또는 돌출되는 스위칭돌부; 및
    상기 제1제어유닛과 상기 제2제어유닛의 적층 및 상기 제1안착턱과 상기 제2안착턱의 걸림 지지를 위해 상기 스위칭돌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걸림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스위치는,
    상기 걸림판부에 상기 제1제어유닛과 상기 제2제어유닛이 적층될 때, 상기 제1제어유닛이 지지되는 걸림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파지유닛;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안착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를 충전시키는 무선충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KR1020180030613A 2017-09-25 2018-03-16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1900354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254 2017-09-25
KR20170123254 2017-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461A true KR20190035461A (ko) 2019-04-03

Family

ID=6616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613A KR20190035461A (ko) 2017-09-25 2018-03-16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54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424A (ko) * 2018-06-01 2019-12-11 조규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2235288B1 (ko) * 2019-12-24 2021-04-01 김권호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837A (ko) 2014-04-02 2015-10-13 조규호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837A (ko) 2014-04-02 2015-10-13 조규호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424A (ko) * 2018-06-01 2019-12-11 조규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2235288B1 (ko) * 2019-12-24 2021-04-01 김권호 누름방식의 잠금해제구조를 가지는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095B1 (ko)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KR20190035461A (ko) 원터치형 휴대단말기 거치대
US7680521B2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phone
JP6920406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GB2293718A (en) Portable telephone set holder
KR20070040662A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CN101460023A (zh) 滑动机构
US20090290322A1 (en) Enclosure operable between unlocked and locked states and including a switch device
CZ20033147A3 (cs) Rozvodna nízkého napětí
US20120134661A1 (en) Electronic device
EP3821762B1 (en) Slide rail assembly
KR20170065431A (ko) 양방향 슬라이딩 도어의 정위치 멈춤장치
JP6937352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KR100550586B1 (ko) 개폐용 핸들장치
US8690433B2 (en) Sliding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JP2021013720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JP4514533B2 (ja) 携帯型電子機器
CN110278318B (zh) 一种可缩放手机壳
US10479174B2 (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sunroof device having the same
CN102006340A (zh) 滑盖机构及具该滑盖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112890472B (zh) 滑轨总成
CN219813402U (zh) 一种可伸缩拉杆
CN112901656B (zh) 滑轨总成
CN117167611B (zh) 一种电子设备配件
CN112217933B (zh) 一种带无线充电功能的手机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