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690Y1 -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690Y1
KR200476690Y1 KR2020140005808U KR20140005808U KR200476690Y1 KR 200476690 Y1 KR200476690 Y1 KR 200476690Y1 KR 2020140005808 U KR2020140005808 U KR 2020140005808U KR 20140005808 U KR20140005808 U KR 20140005808U KR 200476690 Y1 KR200476690 Y1 KR 200476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front cover
portable terminal
groove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로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로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로젠
Priority to KR2020140005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6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전면 커버에 엄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연질의 끼움수단을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한 손만 가지고 전면커버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로부터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면으로 덮이는 전면커버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외측에는 엄지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연질의 손가락 끼움부가 고정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omitted}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전면커버를 한 손으로 쉽게 열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폰 등의 고가의 휴대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이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폴더 구조의 보호 케이스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반적인 폴더 구조의 보호 케이스는 등록실용 20-0462038에 잘 나타나 있다.
도1은 이러한 종래의 폴더 타입 보호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스마트폰(1)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커버(10)와, 휴대폰의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20)와, 상기 전면커버(20)를 상기 후면커버(10)에 젖힘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마트폰(1)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면커버(20)를 닫아 스마트폰(1)의 디스플레이부위를 보호하고, 스마트폰(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면커버(20)를 젖혀서 디스플레이부위를 개방시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플립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은 전화를 받거나 또는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들고 다른 한 손으로 전면커버를 열어야 하므로, 두 손을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왼손에 휴대 단말기를 들고, 오른손으로 필기 등의 다른 작업을 하고 있을 때 전화가 걸려오면, 오른손으로 하던 작업을 중단하고 전면커버를 열어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왼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들고 있는 경우에도, 손에 쥐고 있는 상태로서 별다르게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는 구조가 없으므로, 손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여 떨어뜨리는 경우에 휴대 단말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전면 커버에 엄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연질의 끼움수단을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한손만 가지고 전면커버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로부터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면으로 덮이는 전면커버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외측에는 엄지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연질의 손가락 끼움부가 고정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를 수용한 보호 케이스를 왼손이나 오른손으로 쥔 상태에서 손가락 끼움부에 삽입된 엄지 손가락에 의해 한 손으로 전면커버를 여닫을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있음과 아울러 손가락 끼움부에 끼워진 엄지 손가락에 의해 손에 고정될 수 있어 보호 케이스가 손에서 이탈하여 낙하됨으로써 휴대 단말기가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해 손가락 끼움부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손가락 끼움부의 탈부착 구조의 예를 보인 도.
도4는 도3에 의한 손가락 끼움부가 전면커버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5는 손가락 끼움부의 탈부착 구조의 다른 예를 보인 도.
도6은 손가락 끼움부의 탈부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
도7은 후면커버에 손을 끼울 수 있는 후방 밴드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도.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 2부터 도면 7까지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후면커버(10)와 전면커버(20), 그리고 결합수단(30)의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거나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구체적인 구조는 설명하지 않으며, 본 고안에서 추가된 손가락 끼움부(40)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해 엄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가락 끼움부(40)가 전면커버(20)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도로서, 손가락 끼움부(40)는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며, 흡사 골무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골무 형태는 끝부분이 막혀 있으므로, 엄지 손가락이 끼워졌을 때 첫째 마디까지만 삽입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왼손이나 또는 오른손 바닥에 휴대 단말기(1)가 수용된 보호 케이스를 올려놓고 쥔 다음 엄지 손가락을 전면커버(20)의 손가락 끼움부(40)에 끼우게 되면, 엄지 손가락만을 움직여 전면커버(20)를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엄지 손가락의 자연스러운 파지를 위하여 손가락 끼움부(40)는 그 개방된 부위가 전면커버(20)에서 연결부(3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사선 형태로 설치되고, 또한 손으로 보호 케이스를 쥐었을 때 엄지 손가락의 끝마디가 위치하는 부위에 손가락 끼움부(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서 전면커버(20)를 열거나 닫기 위해서 손가락 끼움부(40)에 엄지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의 회전이 쉬우며, 또한 엄지 손가락의 끝마디 부분에서의 회전 거리가 가장 크므로 전면커버(20)를 완전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손가락 끼움부(40)가 연질로 되어 있으므로, 주머니 등에 보호 케이스를 수납하는 경우에 납작하게 눌려질 수 있어서 돌출된 부분에 의한 휴대의 불편함이 없게 된다.
또한, 전면커버(20)를 열지 않고 휴대하는 상태에서도 엄지 손가락을 손가락 끼움부(40)에 끼우고 있게 되면, 자칫 손에서 보호 케이스를 놓치더라도 엄지 손가락이 손가락 끼움부(40)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낙하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손가락 끼움부(40)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3은 손가락 끼움부(40)의 탈부착 구조를 보인 도로서, 전면커버(20)에는 손가락 끼움부(40)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홈은 개방홈(21)과 은닉홈(22)의 형태를 갖는다.
개방홈(21)은 전면커버(20)의 외측으로 노출된 형태이며, 은닉홈(22)은 개방홈(21)으로부터 전면커버(20)의 내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다.
이러한 개방홈(21)과 은닉홈(22)은 도2에서와 같이 손가락 끼움부(40)가 설치되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손가락 끼움부(40)의 하측에는 상기 개방홈(21)과 은닉홈(220)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41)가 형성되는데, 그 형태는 예로서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도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삽입부(41)를 개방홈(21)에 먼저 끼운 다음 은닉홈(22)쪽으로 밀게 되면 삽입부(41)의 하측이 은닉홈(22)의 내측으로 끼워져서 손가락 삽입부(40)가 전면커버(2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인 것이다.
물론, 손가락 삽입부(40)의 탈부착을 위한 고정 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홈 구조가 전면커버(20)에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홈에 걸맞게 손가락 끼움부(40)의 삽입부(41)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손가락 끼움부(41)를 굳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면커버(20)로부터 이를 분리하여 따로 보관할 수 있다.
도5는 손가락 끼움부(40)의 다른 탈부착 구조를 보인 도로서, 전면커버(20)에는 암 스냅버튼(23)이 구비되고, 손가락 끼움부(40)의 하측에는 숫 스냅버튼(42)이 구비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인 것이다.
도6은 손가락 끼움부(40)의 또 다른 탈부착 구조를 보인 도로서, 전면커버(20)에는 금속판(24)이 구비되고, 손가락 끼움부(40)의 하측에는 자석(43)이 구비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인 것이다.
물론, 전면커버(20)에 자석이 구비되고, 손가락 끼움부(40)에 금속판이 구비된 구조도 가질 수 있다.
도7은 후면커버(10)에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끼워서 후면커버(10)도 손에 고정할 수 있도록 밴드 또는 장갑형태의 후방 끼움부(50)가 구비된 형태를 보인 도이다.
따라서 엄지 손가락으로는 전면커버(20)를 여닫고, 다른 손가락은 후방 끼움부(50)에 의해 후면커버(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손에서 보호 케이스가 이탈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는 것이다.
10 : 후면커버
20 : 전면커버
21 : 개방홈
22 : 은닉홈
23 : 암 스냅버튼
24 : 금속판
30 : 결합수단
40 : 손가락 끼움부
41 : 삽입부
42 : 숫 스냅버튼
43 : 자석
50 : 후방 끼움부

Claims (8)

  1.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로부터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면으로 덮이는 전면커버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외측에는 엄지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연질의 골무형태로 된 손가락 끼움부가 고정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끼움부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는 홈이 형성되되, 일부가 개방된 개방홈의 상태이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개방홈과 연결되면서 전면커버의 내측으로 은닉되는 은닉홈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손가락 끼움부에는 삽입부가 형성되되, 그 삽입부는 상기 개방홈을 통해 삽입되어 은닉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는 금속판 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손가락 끼움부에는 자석 또는 금속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는 암 스냅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손가락 끼움부에는 상기 숫 스냅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끼움부에는 양면 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에는 손을 끼우기 위한 후방 끼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8. 삭제
KR2020140005808U 2014-07-31 2014-07-31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KR200476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808U KR200476690Y1 (ko) 2014-07-31 2014-07-31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808U KR200476690Y1 (ko) 2014-07-31 2014-07-31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690Y1 true KR200476690Y1 (ko) 2015-03-23

Family

ID=5304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808U KR200476690Y1 (ko) 2014-07-31 2014-07-31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69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20080809A (ko) * 2011-01-10 2012-07-18 강혁수 스마트폰 커버
KR101267636B1 (ko) * 2012-11-09 2013-05-27 원무웅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KR101364700B1 (ko) * 2013-11-28 2014-02-20 김성진 파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0809A (ko) * 2011-01-10 2012-07-18 강혁수 스마트폰 커버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267636B1 (ko) * 2012-11-09 2013-05-27 원무웅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KR101364700B1 (ko) * 2013-11-28 2014-02-20 김성진 파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275B2 (en)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tronic device
US9723116B2 (en) Restraining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EP2717660A1 (en) Back-face protection cover for tablet terminal
KR200437885Y1 (ko)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20090120980A1 (en) Accessory Cas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265220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20090001546U (ko)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TW201423334A (zh) 平板電腦終端機用附屬裝置
US20080041898A1 (en) Waterproof and portable strap for carrying small-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6040898A (ja) 保護ケース
KR101364700B1 (ko) 파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ES2768695T3 (es) Traje de protección
US9432073B2 (en) Housing-protect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68850B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KR200476690Y1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파지 장치
KR200473012Y1 (ko) 휴대폰 케이스
CN105655792A (zh) 一种卡连接器保护装置及电子设备
JP5913696B1 (ja) 電子機器カバー
KR20047214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US20180375542A1 (en) Protective tool
KR200476691Y1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끼움 장치
KR200472778Y1 (ko)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KR20150083709A (ko) 모바일 기기 케이스
JP2017099807A (ja) 電子機器カバー
KR20130007097U (ko) 이어폰선 수납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