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309A -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309A
KR20130054309A KR1020130050803A KR20130050803A KR20130054309A KR 20130054309 A KR20130054309 A KR 20130054309A KR 1020130050803 A KR1020130050803 A KR 1020130050803A KR 20130050803 A KR20130050803 A KR 20130050803A KR 20130054309 A KR20130054309 A KR 20130054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auxiliary
auxiliary mobile
coupling member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홍환
Original Assignee
고홍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홍환 filed Critical 고홍환
Priority to KR102013005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4309A/ko
Publication of KR2013005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휴대폰등에 연동되는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와, 상기 모바일기기와 연동되는 보조 모바일기기를 구비하되, 보조 모바일기기가 삽입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구비되어 신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스마트폰의 외형사이즈가 커지면서 휴대하기 불편한 상황이 전개되었을 때 보조 모바일기기를 손목이나 팔에 착용 가능하게 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신체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SUB-MOBILE DEVICE ASSEMBLY}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휴대폰등에 연동되는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기기와, 상기 모바일기기와 연동되는 보조 모바일기기를 구비하되, 보조 모바일기기가 삽입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구비되어 신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스마트폰의 외형사이즈가 커지면서 휴대하기 불편한 상황이 전개되었을 때 보조 모바일기기를 손목이나 팔에 착용 가능하게 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신체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통합기기로서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품이며,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 과거의 휴대폰 단말기는 음성, 메시지 송수신 등의 무선통화기능 자체가 주된 목적이었지만, 근래에는 스마트폰이 발달하면서 무선통화 기능은 단순한 기능의 일부에 지나지 않고,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TV, 네비게이션, SNS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가 확대되고, 크기가 커지며, 인터넷속도, 음성, 동작, 눈동자인식 등의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력으로 사용자가 좀더 편리하게 스마트폰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시장에서는 기업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 스마트폰 단말기가 빠르게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가 커지게 됨으로서, 스마트폰 단말기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산책, 운동등의 간편한 옷차림을 착용하는 경우에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도난 및 분실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스마트폰 단말기를 가방등에 넣어 소지하는 경우에는 수신, 발신통화를 하거나 메시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스마트폰 단말기를 꺼내서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고, 가방에 소지하는 스마트폰 단말기의 진동이나 벨소리를 듣지 못하여 수신전화 및 메시지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체에 장착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특허공개 제10-2009-0046306호『밴드형 휴대 단말기』와 특허공개 제10-2012-0083804호『팔찌 형태로 변형 가능한 휴대 단말기』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 특허공개 제10-2009-0046306호 『밴드형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모듈 및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의 양단에 연결되며 단말기 본체를 손목에 착용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밴드를 포함하되, 단말기 본체의 저면에는 카드를 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카드 탈착부가 포함됨으로써 자주 교체하지 않는 카드나 기타 부품을 안정적으로 접속시켜주는 이점이 있는 밴드형 휴대 단말기를 제시하고,
상기 종래기술 특허공개 제10-2012-0083804호『팔찌 형태로 변형 가능한 휴대 단말기』는 팔찌 형태로 변형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는 제1,2 연성 바디와, 제1,2 링크 바디들과 힌지모듈들, 및 베터리를 포함하고, 제1,2 연성 바디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제1 링크 바디들은 제1 연성 바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제2 링크 바디들은 제2 연성 바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힌지 모듈들은 제1 연성 바디외 제2 연성 바디가 팔찌 형태로 서로 벌어지거나 바 형태로 서로 모아지도록 제1,2 연성 바디의 양단 쪽에서 제1 링크 바디와 제2 링크 바디 사이마다 설치되어 제1 링크 바디와 제2 링크 바디를 서로 회전시키고, 베터리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팔찌 형태로 변형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휴대폰 단말기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기를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최근의 휴대폰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함과 동시에 그 크기가 커짐으로서, 쉽게 손목등에 장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중량감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휴대폰 단말기의 무게에 의하여 쉽게 손목등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단말기 외에 보조단말기를 구비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21782호 『휴대전화기용 보조장치』와 실용신안등록 제20-0374317호 『보조단말기를 이용한 휴대용 이동전화단말기의 수신내용확인장치』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 실용신안등록 제20-0221782호 『휴대전화기용 보조장치』는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휴대전화기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전화기와 데이터 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액정화면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드 스트랩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체온 측정기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된 맥박 측정기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맥박수나 체온 등과 같이 건강에 관련된 요소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베터리의 여유 전력량 및 현위치에서의 통화가능 여부 등, 효과적인 휴대전화기 사용을 위해 미리 파악해두어야 할 사항들을 손쉽게 알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휴대전화기용 보조장치를 제시하고,
상기 종래기술 실용신안등록 제20-0221782호 『휴대전화기용 보조장치』는 제어유니트, 무선송수신기, 안테나로 구성되며 무선기지국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휴대용 이동전화단말기의 수신장치에 있어서 별도의 보조단말기를 이용하여 휴대용 이동전화기 본체에 걸려온 전화의 발신번호, 문자메시지 내용 등을 확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비교적 부피가 크고 무거운 휴대용 이동전화단말기에 수신된 상태 및 내용을 본체 이동전화단말기와 분리되어 있으며 비교적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휴대용 이동전화단말기와 주파수가 한 쌍으로만 작용하며, 제어유니트, 무선송수신기, 안테나, 건전지로 구성된 보조단말기를 이용하여 확인함으로써 소지가 불편하고 통화대기 상태에서도 유해전파 논란이 있는 본체 휴대용 이동전화단말기를 핸드백, 책가방, 서류가방 등에 보관하여 소지의 편리성 및 유해전파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였으며, 차량운전 중에도 착신번호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등 주위환경에 따라 확인이 어려운 착신신호를 손목시계 형태 등 비교적 인체에 가까우며 외부에 노출된 곳에 보관하여 착신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 운동 또는 레져, 차량운전, 학습활동 중에도 착신 상태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보조단말기를 이용한 휴대용 이동전화단말기의 수신내용확인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휴대전화기용 보조장치 또는 보조단말기를 따로 구비함으로써 휴대전화와 연동되는 보조장치 또는 보조단말기를 통하여 휴대전화에 걸려오는 전화 혹은 메시지 수신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보조장치 또는 보조단말기는 단지 메시지 확인 및 착신 상태를 확인할 수 밖에 없으며, 인체에 장착되는 구성요소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쉽게 인체로부터 떨어져 고장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는
모바일기기와 상기 모바일기기와 연동되는 보조 모바일기기를 구비하되, 보조 모바일기기가 삽입되는 결합부재 및 결합부재에 구비되고, 신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간편한 옷차림등을 착용하는 경우 보조 모바일기기를 신체에 착용함으로써 분실의 위험을 줄이고, 편리하게 소지할 수 있고,
결합부재에 이완공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의 인장력을 확보하고, 결합부재의 안착부 일측 또는 양측에 개방부를 구비하여 보조 모바일기기가 상기 결합부재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하고,
신체와 결합되는 고정부재에 복수개의 인장공을 구비하여 고정부재의 인장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신체에 상기 고정부재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는
모바일기기와
상기 모바일기기와 연동되는 보조 모바일기기와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가 삽입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외주연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를 고정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 구비되어 신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는 모바일기기와 상기 모바일기기와 연동되는 보조 모바일기기를 구비하여 모바일기기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소지가 불편해지는 것을 보조 모바일기기를 통하여 간편하게 착용 및 소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가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신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통하여 보조 모바일기기를 신체에 장착가능하게 하므로써 분실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 및 메시지를 빠짐없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결합부재에 이완공을 구비하고, 결합부재의 안착부에 개방부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를 안착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의 인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보조 모바일기기가 쉽게 결할 할 수 있도록 하며,
신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에 복수개의 인장공을 구비하여 고정부재가 수축ㅇ이완 가능하게 하여 신체의 팔이나 손목등에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디자인적 요소를 향상시켜 심미감을 줄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사시도 및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및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모바일기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변형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의 변형례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결합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P)는 모바일기기(P1)와 상기 모바일기기(P1)와 연동되는 보조 모바일기기(10) 및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가 결합하는 결합부재(20)와 상기 결합부재(20)에 구비되고, 신체에 장착되는 고정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바일기기(P1)와 이 모바일기기(P1)와 연동되는 보조 모바일기기(10)를 구성하여 크기가 커서 소지하기 불편한 모바일기기(P1)를 가방이나 핸드백등에 넣은 후에도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를 통하여 모바일기기(P1)로 수신되는 전화 및 메시지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보조 모바일기기(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바일기기(P1)와 보조 모바일기기(10)의 연결설정시에는 상기 모바일기기(P1)가 켜져있는 경우 화면창에서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에 출력되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연결설정메뉴로 들어가고, 연결설정메뉴에서 수동설정과 자동설정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수동설정은 부분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설정은 보조 모바일기기(10)의 전체적인 기능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모바일기기(10)의 정면에는 출력 스피커(11), 카메라(12), 디스플레이부(13)가 구비되며, 상단에는 전원 공급부(14)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음량 조절부(15)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전원 설정부(16) 및 카메라 사이드부(17)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외면의 케이스 재질은 비철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내구성이 강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구성부들은 상기 모바일기기(P1)의 외형에 맞게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보조 모바일기기(10)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기기(P1)와는 달리 모바일기기(P1)의 기능 중 일부만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기능에는 음성통화, 문자메세지, 카메라(12), 알람, 위치확인등의 기능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하나의 실시예를 표현하는 것일 뿐 다른 기능들이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는 모바일기기(P1)에 의해서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동작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에서의 수신음성통화 기능은 알림음과 함께 일반적인 모바일기기(P1)의 화면창과 동일한 영상이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되어, 모바일기기(P1) 또는 보조 모바일기기(10)에서 동일하게 통화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조 모바일기기(10)를 통하여 통화 거절을 하는 경우에도 거절메세지가 출력되고, 이러한 거절메세지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대방에게 거절메세지가 송출되도록 한다.
또한 보조 모바일기기(10)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알림음 또는 진동으로 메시지 수신을 알리고, 모바일기기(P1)와 동일하게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되게 된다.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에는 카메라(12) 기능이 추가로 삽입되게 되는데, 카메라(12) 촬영을 하는 경우에는 사진 및 동영상 파일이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에 저장이 되고, 보조 모바일기기(10)를 통하여 상대방에게 직접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기기(P1)의 설정으로 사진 및 동영상 파일이 상기 모바일기기(P1)에 자동으로 연동되어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에는 알람기능이 추가되어 있는데, 상기 알람기능은 모바일기기(P1)의 알람기능과 연계되지 않고 별도의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모바일기기(P1)와 보조 모바일기기(10)는 상호간에 위치확인 기능을 추가하고 있어 보조 모바일기기(10)를 통하여 모바일기기(P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기기(P1)를 통하여 보조 모바일기기(10)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여 분실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와 모바일기기(P1)는 상호간에 서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되고,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는 상기 모바일기기(P1)를 통하여 무선으로 삭제 및 복원 등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보조 모바일기기(10)가 분실되는 경우에 저장된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이 가능한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P)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가능하도록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보조 모바일기기(10)의 크기는 3.5ㅧ4ㅧ0.8 또는 3ㅧ4ㅧ0.8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조 모바일기기(10)의 또하나의 특징인 다양한 형상을 통하여 디자인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는 점에서 다양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신체장착이 가능한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P)는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가 신체에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가 결합되는 결합부재(20)와 상기 결합부재(20)에 구비되고, 신체에 장착되는 고정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부재(20)는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가 안착되는 안착부(21)와, 상기 안착부(21)의 외주연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테두리를 감싸 밀착되는 고정부(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안착부(21)는 일반적으로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리콘, 우레탄, 금속등의 수축성, 탄력성, 유연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재(20)에는 복수개의 이완공(47)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완공(47)은 일반적으로 상기 결합부재(20)의 상,하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재(20)에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결합부재(20)를 유연하게 하여 쉽게 보조 모바일기기(1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21)에는 일측 또는 양측에 개방부(211)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개방부(211)로 인하여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보다 상기 안착부(21)의 면적이 더 좁게 형성이 되고, 개방부(211)로 돌출되는 보조 모바일기기(10)의 후면을 가압함으로서 상기 결합부재(20)에서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를 쉽게 탈락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개방부(211)가 상기 모바일기기(P1)의 양측면에 구비된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개방부(211)는 상기 안착부(21)의 일측에 하나만 구비되는 것도 무방하다.
나아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0)의 안착부(21)에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가 안착되는 경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부(21)의 외주면 일부 또는 모두에는 고정부(23)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는 상기 고정부(23)가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각 모서리부분과 면접하도록 구비된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고정부(23)는 보조 모바일기기(10)의 모서리가 아닌 각 테두리의 일부에 구비되거나, 테두리 전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상기 각 고정부(23)는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면접하는 부분을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보조 모바일기기(10)의 면적보다 좁은 면적을 구성하도록 하여 억지끼움방식으로 상기 안착부(21)에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따로 구비하지 않아 미관이 수려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도 2 및 도 4 는 상기 결합부재(20)에 구비되는 고정부재(30)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결합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3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부재(30) 역시 상기 결합부재(20)와 동일하게 실리콘 등의 유연성 및 탄력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결합부재(20)의 단부에 연장되어 있으며 팔찌와 같이 손목이나 팔 등에 쉽게 장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재(30)에는 복수개의 인장공(31)이 더 형성이 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고정부재(30)가 관통형(팔찌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손등을 상기 고정부재(30)에 끼워넣음으로써 고정하는 방식으로 탄성력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부재(30)를 늘려 손을 끼우는 경우 상기 인장공(31)으로 인하여 쉽게 늘어나 착용이 용이하며, 또한 탄성력으로 인하여 손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고정분체(33)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 각 고정분체(33)들의 단부에는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부직포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고정분체(33)에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35)를 형성하여 착용전에는 상기 고정분체(33)를 펼쳐 직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착용하는 경우에는 손이나 팔등의 신체부위를 휘감아 상기 굴곡부(35)가 펼쳐져 고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는 상기 결합부재(20)에 보조 모바일기기(1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결합부재(20)에는 제1 및 제2 이동부(24)(25)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24)(25) 각각에 결합되어 구속·활주하고, 각각 제1 및 제2 지그분체(411)(413)와 제3 및 제4 지그분체(431)(433)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 지그세트로 구성되며, 보조 모바일기기(10)를 고정하는 지그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재(30)에는 제1 이동부(24)와 제2 이동부(25)가 서로 교차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24)(25)는 각 지그분체들이 이동하는 곳으로 각각 제1 및 제2 위치조절봉(51)(53)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위치조절봉(51)(53)이 구비되기 위해서 제1 위치조절봉(51)은 제2 위치조절봉(53)보다 하단에 교차되어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제1 및 제2 위치조절봉(51)(53)의 상하배열은 서로 바뀌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위치조절봉(51)(53)에는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를 안착시킬 수 있는 지그분체들이 결합되는데, 상기 지그분체들은 상기 제1 및 제2 위치조절봉(51)(53)과 결합 할 수 있도록 각각의 나사공(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위치조절봉(51)은 제1 지그세트의 제1 및 제2 지그분체(411)(413) 각각의 나사공에 상응하도록 상호 반대방향의 결합 나선을 갖는 제1 및 제2 나사부를 갖고, 제2 위치조절봉(53)은 제2 지그세트의 제3 및 제4 지그분체(431)(433) 각각의 나사공에 상응하도록 상호 반대방향의 결합나선을 갖는 제3 및 제4 나사부(531)(533)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위치조절봉(51)(53)의 단부에는 파지부(55)를 포함하는 위치조절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도면에는 나사형태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 나사부들은 나사산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제1 지그분체(411)와 제2 지그분체(413)는 서로 대응되어 상기 제1 위치조절봉(51)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하게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3 지그분체(431)와 제4 지그분체(433)도 서로 대응하여 동일한 이격거리를 갖고 제2 위치조절봉(53)에 결합되어 잇다. 상기 제1 및 제2 지그분체(411)(413)와 제3 및 제4 지그분체(431)(433)는 각각 제1 및 제2 위치조절봉(51)(53)에 결합되어 있으나, 제 1 위치조절봉(51)과 제2 위치조절봉(53)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제2 위치조절봉(53)을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3 지그분체(431)와 제4 지그분체(433)는 각각 서로 반대방향의 결합나선을 갖는 제3 및 제4 나사부(531)(533)에 각각 결합되어 있게 때문에 상기 파지부(55)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위치조절봉(53)이 회전하게 되고, 각각 반대방향의 결합나선으로 하나의 방향의 회전에도 상기 제3 및 제4 지그분체(431)(43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5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3 및 제4 지그분체(431)(433)는 동일하게 상기 제2 위치조절봉(53)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파지부(5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3 및 제4 지그분체(431)(433)는 상기 제2 위치조절봉(53)의 중심쪽으로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를 안착함에 있어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가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이 중심에 안착되어 고정할 수 있고, 보조 모바일기기(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파지부(55)를 조정하여 지그분체들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보조 모바일기기(1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그세트의 제1 내지 제4 지그분체(411)(413)(431)(433)들은 보조 모바일기기(10)를 안착시킬 수 있는 수용부(45)들을 갖는데, 제1 및 제2 지그분체(411)(431)의 각 수용부(45)는 제3 및 제4 지그분체(431)(433)의 각 수용부(45) 보다 안착면적이 더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는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보조 모바일기기(10)를 상기 각각의 지그분체에 안착시킬 경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각 모서리부분을 동시에 안착시키는 경우 크기를 조정함에 있어 불편함이 많았다. 따라서 제1 및 제2 지그분체(411)(413)의 각 수용부(45)의 면적을 제3 및 제4 지그분체(431)(433)의 각 수용부(45)의 면적보다 크게 구성하여 먼저 보조 모바일기기(10) 면적이 보다 큰 제1 및 제2 지그분체(411)(413)의 각각의 수용부(45)에 안착시키면서 제1 및 제2 지그분체(411)(413)의 간격을 조절한 후, 제3 및4 지그분체(431)(433)의 간격을 조절하여, 안착되지 않은 보조 모바일기기(10)의 모서리를 제3 및 제4 지그분체(431)(433)의 수용부(45)가 지지해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종래 4군데의 모서리 전체의 간격을 동시에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20)에는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13)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28)가 더 구비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0)에는 커버(28)가 내삽되는 수납홈(27)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홈(27)과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재(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부(23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납홈(27)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28)의 양측에 구비되는 돌출돌기(283)가 결합되는 가이드홈(271)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271)은 상기 수납홈(27)과 상기 지지부(231)에 연결되어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커버(28)를 상기 수납홈(27)의 내삽하여 보관하고,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를 결합하는 경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13)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28)를 상기 가이드홈(271)을 따라 수평이동하고, 상기 지지부(231)에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홈(271)을 돌출시킨 후 상기 커버(28)로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디스플레이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데, 이 때 상기 커버(28)에는 절곡부(28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의 측면을 덮은 후 절곡되어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13)를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버(28)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커버(28)의 일측에는 결합공(285)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285)과 대응되는 상기 결합부재(20)의 일측에 결합돌기(29)를 형성하여 상기 커버(28)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를 덮는 경우 상기 결합돌기(29)가 상기 결합공(285)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커버(28)가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10)를 덮는 상태를 유지가능하게 하여 보조 모바일기기(10)의 파손 및 기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P1 : 모바일기기
10 : 보조 모바일기기 11 : 출력 스피커 12 : 카메라
13 : 디스플레이부 14 : 전원 공급부 15 : 음량 조절부
16 : 전원 설정부 17 : 카메라 사이드부
20 : 결합부재 21 : 안착부 211 : 개방부
23 : 고정부 231 : 지지부 24 : 제1 이동부
25 : 제2 이동부 27 : 수납홈 271 : 가이드홈
28 : 커버 281 : 절곡부 283 : 돌출돌기
285 : 결합공 29 : 결합돌기 30 : 고정부재
33 : 고정분체 35 : 굴곡부
31 : 인장공 411 : 제1 지그분체 413 : 제2 지그분체
431 : 제3 지그분체 433 : 제4 지그분체 45 : 수용부
47 : 이완공 51 : 제1 위치조절봉 53 : 제2 위치조절봉
531 : 제3 나사부 533 : 제4 나사부 55 : 파지부

Claims (4)

  1. 모바일기기;
    상기 모바일기기와 연동되는 보조 모바일기기;
    상기 보조모바일기기가 삽입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외주연 일부 또는 모두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를 고정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 구비되어 신체에 장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이완공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는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보조 모바일기기의 탈부착을 위한 개방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복수개의 인장공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KR1020130050803A 2013-05-06 2013-05-06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KR20130054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803A KR20130054309A (ko) 2013-05-06 2013-05-06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803A KR20130054309A (ko) 2013-05-06 2013-05-06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309A true KR20130054309A (ko) 2013-05-24

Family

ID=4866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803A KR20130054309A (ko) 2013-05-06 2013-05-06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430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141A (ko) * 2016-11-23 2018-05-31 오진석 분실 스마트폰 위치 알림 시스템
KR101965114B1 (ko) 2018-10-29 2019-04-02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101965111B1 (ko) 2018-10-10 2019-08-07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102010187B1 (ko) 2018-08-09 2019-08-12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102018001B1 (ko) 2018-11-12 2019-09-03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102010186B1 (ko) 2018-08-09 2019-10-21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102082610B1 (ko) 2019-06-17 2020-02-27 주식회사 일성 특수커넥터를 이용한 논슬립 탈부착식 안전시트
KR102082604B1 (ko) 2019-06-27 2020-02-27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20200036634A (ko)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141A (ko) * 2016-11-23 2018-05-31 오진석 분실 스마트폰 위치 알림 시스템
KR102010187B1 (ko) 2018-08-09 2019-08-12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102010186B1 (ko) 2018-08-09 2019-10-21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20200036634A (ko)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
KR101965111B1 (ko) 2018-10-10 2019-08-07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101965114B1 (ko) 2018-10-29 2019-04-02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102018001B1 (ko) 2018-11-12 2019-09-03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102082610B1 (ko) 2019-06-17 2020-02-27 주식회사 일성 특수커넥터를 이용한 논슬립 탈부착식 안전시트
KR102082604B1 (ko) 2019-06-27 2020-02-27 주식회사 일성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4309A (ko)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US10694837B1 (en) Magnetically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203813827U (zh) 设有蓝牙耳机固定结构的腕式手机
KR101480675B1 (ko) 손목 시계형 스마트 단말기
KR101662617B1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101622606B1 (ko) 와치형 휴대 단말기
US20160317086A1 (en) Quick release system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4007655A (zh) 便于接听电话的智能手表及其手表表带
CN106842889B (zh) 一种设置有蓝牙耳机的手表
JP2014023141A (ja) 携帯情報端末機携行保持具
KR102042871B1 (ko) 배터리가 구비된 스트랩을 가지는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
KR200470456Y1 (ko)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US6973185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be worn on the wrist having flexible battery strap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CN104702742A (zh) 一种将蓝牙耳机放置在腕式手机表带上的方法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US11375056B2 (en) Magnetically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103905702A (zh) 一种带有wifi功能的眼镜摄像机
KR20170072769A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20160094053A (ko) 액세서리형 와치 디바이스
CN210924119U (zh) 一种可穿戴电子设备
CN203490471U (zh) 一种便于进行语音通话的智能手表
CN203206308U (zh) 一种手机防水保护壳
KR200468009Y1 (ko) 휴대폰용 손목지갑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