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769A -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 Google Patents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769A
KR20170072769A KR1020160051474A KR20160051474A KR20170072769A KR 20170072769 A KR20170072769 A KR 20170072769A KR 1020160051474 A KR1020160051474 A KR 1020160051474A KR 20160051474 A KR20160051474 A KR 20160051474A KR 20170072769 A KR20170072769 A KR 20170072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headset
wristwatch
present
watch body
hea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권
Original Assignee
오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권 filed Critical 오영권
Priority to KR102016005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2769A/ko
Publication of KR20170072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통신단말기인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목시계의 테두리를 이루는 베젤(BEZEL)을 이용한 무선통신 헤드셋 어셈블리와 상기 헤드셋 어셈블리가 장착된 손목시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스마트와치 같은 손목시계형 웨어러블전자기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특히나 효율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는, 상면에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에 안착부가 형성된, 시계바디와, 마스터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사운드정보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시계바디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계바디의 바디케이스 또는 베젤으로 역할하는 상기 마스터단말기의 슬레이브단말기인 블루투스헤드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클래식 손목시계의 기본 구성요소인 베젤을 기반으로 한 블루투스헤드셋을 이용하여, 클래식 손목시계의 미려함을 유지하면서도 사용 편의성 및 휴대성이 향상된 블루투스헤드셋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헤드셋의 휴대성과 이용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편안한 착용감과,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시계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는 블루투스헤드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손목시계는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을 포함하여 외관을 주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하나의 손목시계로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을 이용하면 기존 블루투스헤드셋보다 휴대성 및 이용의 편의성이 높아지며, 분실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가 있고, 시계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BLUETOOTH HEADSET AND WRISTWATCH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조통신단말기인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손목시계의 테두리를 이루는 베젤(BEZEL)을 이용한 무선통신 헤드셋 어셈블리와 상기 헤드셋 어셈블리가 장착된 손목시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단말기의 보조단말기인 블루투스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근거리 이동 무선통신시스템으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술은 주로 10미터 안팎의 단거리에 위치한 스마트폰, 노트북, MP3플레이어, 프린터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을 무선링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으로써, 전력소모가 적고, 소형 마이크로 칩 형태로 제작가능하며, 저렴하여 여러 장치에 두루 쓰인다.
블루투스를 장착한 기기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마스터(Master)단말기와 이를 수신하는 복수의 슬레이브(Slave)단말기들로 구성된다. 현재 마스터단말기로는 스마트폰, 노트북에, 슬레이브단말기로는 헤드셋, 핸즈프리, 마우스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가장 강세를 보이는 헤드셋에 있어서, 특히 통화 시에 휴대폰을 직접 꺼내지 않아도 블루투스 링크를 이용하여 헤드셋을 통해 간편하게 전화할 수 있고, 음성인식이 발전한 현시대에 간단한 통화나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작업은 휴대폰을 직접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블루투스헤드셋도 여전히 마스터단말기와 따로 휴대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휴대 중에 분실하거나 파손할 위험성이 높다. 또, 블루투스헤드셋을 필요하지 않은 때에도 착용하고 다니게 되면, 착용부위의 신체에 불편함과 부담을 주게 되어 착용자들의 손에서 멀어지기 십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시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와치에 관한 것이다. 손목시계는 손목에 끼워서 사용하는 소형 시계로,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표시부를 감싸는 바디케이스를 포함하는 시계바디와, 시계바디를 손목에 고정하는 브레이슬렛으로 구성된다. 또한, 디자인적 요소로서 표시부의 주변을 둘러싸는 베젤이 포함되기도 한다.
이러한 기존의 손목시계는, 디자인요소를 변경하려면 시계 자체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지출되는 문제가 있었고, 항상 착용자의 손에 붙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부주의하게 움직이면 시계바디의 바디케이스는 쉽게 상처를 입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스마트워치 같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있어서, 외부의 충격을 입는 경우 내부부품이 파손될 수 있어 기기의 보호를 위해서는 착용에 신중함이 요구되는 점에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블루투스헤드셋의 휴대성과 이용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편안한 착용감과,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시계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는 블루투스헤드셋을 제공한다. 특히, 액세서리의 역할을 하는 손목시계의 디자인의 중요성에 있어서, 종래기술이 그 구현에 있어 사이즈의 한계 또는 그 탈착 방법 등에 있어, 손목시계의 외관의 미려함과 무게, 디스플레이 인식 등의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지 않은 반면, 본 발명은 클래식 손목시계의 기본 구성요소인 베젤을 기반으로 한 블루투스헤드셋을 이용하여, 클래식 손목시계의 미려함을 유지하면서도, 사용 편의성 및 휴대성이 향상된 블루투스헤드셋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손목시계는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을 포함하여 외관을 주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하나의 손목시계로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손목시계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블루투스헤드셋은, 기존 블루투스헤드셋보다 휴대성 및 이용의 편의성이 높아지며, 분실 또는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가 있고, 시계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시계는 상면에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에 안착부가 형성된 시계바디와, 마스터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사운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시계바디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계바디의 바디케이스 또는 베젤로 역할하는 상기 마스터단말기의 슬레이브단말기인 블루투스헤드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시계바디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의 바닥면 또는 내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은,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의 하우징의 내측면, 외측면 또는 배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의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어 회전 가능한 귀걸이 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시계바디와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은 후크결합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은,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부를 구성하는 관절 링크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움직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은 상기 표시부의 일부만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시계바디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시계바디와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은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를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시계바디의 외측면에는 외결합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의 내측면에는 내결합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결합턱과 상기 내결합턱이 엇갈리게 결속됨으로써 상기 시계바디와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은, 상기 손목시계바디로부터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의 탈착을 감지하여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가능하게 하는 탈착감지센서 및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이 상기 손목시계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미사용상태를 감지하여 오프기능을 수행가능하게 하는 수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이 상기 손목시계에 안착되면,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의 소모전력을 충전하도록, 상기 손목시계는 배터리와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은 상기 손목시계와 연동하는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이 상기 손목시계에 결합될 때 상기 손목시계의 전력으로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을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은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 가능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복수의 부분은 커플러에 의해서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평상시 착용하는 손목시계의 기본구성요소를 이용함으로써, 그 미려함을 유지하면서도, 마스터기기와 별도로 블루투스헤드셋을 휴대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이러한 휴대편의성으로 인해 분실의 위험이 감소하며,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발명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효과는 발명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고 있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100)과 손목시계(200)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100)과 손목시계(200)의 결합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300)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40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300)의 관절부(310)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관절부(3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시계바디(610)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 블루투스헤드셋(500)과 손목시계(600)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블루투스헤드셋(500)과 손목시계(600)의 결합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블루투스헤드셋(700)의 하우징(701) 전체가 손목시계의 표시부(811)의 테두리를 이루는 경우를 나타낸 블루투스헤드셋(700)과 손목시계(8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블루투스헤드셋(700) 의 배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블루투스헤드셋(100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시계바디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블루투스헤드셋(110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손목시계의 표시부(900)가 블루투스헤드셋과 별도로 손목시계로부터 탈착되는 경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이 착용자의 귀에 장착 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안과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센서",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100)과 손목시계(2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마스터단말기의 슬레이브단말기인 블루투스헤드셋(100)에 관한 것으로서, 손목시계(20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손목시계(200)는 시계의 중심요소인 시계바디(210)를 구비하며, 시계바디(210)의 상면에는 표시부(211)가 형성되고, 시계바디(210)의 외곽테두리에는 안착부(212)가 형성된다. 표시부(211)는 시간을 나타내거나,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써, 아날로그시계다이얼이나 디지털액정화면이 포함될 수 있으며, 표시부(21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입력부의 역할도 한다.
표시부(211)의 외곽테두리에는, 외곽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표시부(211)를 둘러싸며, 블루투스헤드셋(100)이 안착되는 안착부(212)가 형성된다. 안착부(212)는 블루투스헤드셋(100)이 시계바디(210)에 장착 및 지지가 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요소로써, 블루투스헤드셋(100)과 맞닿는 면이므로 블루투스헤드셋(100)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서는 블루투스헤드셋(100)이 안착되는 안착부(212)가 표시부(211)와 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안착부(212)는 표시부(211)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예로 안착부(212)는 시계 바디(2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100)은 표시부(211)의 외곽테두리의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루투스헤드셋(100)은 도 1에 도시된 Y방향(수직 방향)으로 탈착될 수 있다.
블루투스헤드셋(100)의 하우징(101)의 내측면(101c)에는 귀걸이 팁(110)이 형성된다. 귀걸이 팁(110)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1)의 내측면(101c)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1)의 내측면(101c)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는 것은, 귀걸이 팁(110)이 분리되기 전에는 하우징(101)의 내측면(101c)과 귀걸이 팁(110)의 내측면이 동일한 면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귀걸이 팁(110)은 버튼(미도시) 등의 조작에 의해서 분리되고 회전축(11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귀걸이 팁(110)을 이용해서 블루투스헤드셋(100)이 착용자의 귀에 착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귀걸이 팁(110)이 하우징(101)의 내측면(101c)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귀가 큰 사용자 또는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 등을 고려하여, 실시 예에 따라 귀걸이 팁(110)은 하우징(101)의 외측면(101b) 또는 배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블루투스헤드셋(100)은 안착부(212)에 안착되면, 블루투스헤드셋(100)의 소모전력을 충전하도록, 손목시계(200)는 배터리를 내장하고, 외부로부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충전단자(미도시)를 시계바디(210)의 한 부분에 포함한다. 블루투스헤드셋(100)은 상기 손목시계(200)와 연동하는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블루투스헤드셋(100)이 상기 손목시계(200)에 결합할 때 상기 손목시계(200)의 전력으로 상기 블루투스헤드셋(100)을 충전한다. 충전모듈은 전기적 접촉방식이나, 자기유도무선충전방식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루투스헤드셋(100)은 블루투스헤드셋(100)의 마스터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사운드정보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장치(150)가 착용자의 이주(耳柱, tragus, 귓바퀴의 앞쪽에 있는 볼록 튀어나온 부위)가 위치하는 부근에 구비된다. 사운드출력장치(150)는 스피커가 아닌, 진동에 의한 골전도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블루투스헤드셋(100)의 내부에는 손목시계바디(210)로부터 블루투스헤드셋(100)의 탈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탈착감지센서(153) 및 수면감지센서(154)가 더 포함된다. 이는 블루투스헤드셋(100) 사용하지 않는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고, 작동에 필요한 동작의 구분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최대화할 수 있다. 탈착감지센서(153)와 수면감지센서(154)의 형태는 물리적, 기능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데, 일 실시 예로, 스마트와치의 블루투스헤드셋으로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와치로 전화가 오면 스마트와치가 블루투스헤드셋을 콜링(Calling)하여 블루투스헤드셋의 기능이 온(On)되며, 통화가 끝날 경우 스마트와치로부터 통화종료 신호를 수신받은 블루투스헤드셋은 수면모드로 전환된다.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블루투스헤드셋(100)과 손목시계(200)의 결합이 해제되어, 블루투스헤드셋(100)의 충전모듈이 손목시계(200)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게 되면, 블루투스헤드셋(100)은 손목시계(200)로부터 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러한 상황을 감지함으로써, 수면 모드가 해제되고 그 기능이 온(On)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탈착감지센서(153) 및 수면감지센서(154)는 착용자의 이주가 위치하는 부근에 구비된 사운드출력장치(150)와 대응하여, 블루투스헤드셋(100)을 착용했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무게균형을 이루는 곳에 위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데이터입력부(151) 및 데이터변환부(152)를 더 포함하여 그 자체로서 보청기로 사용되거나, 스마트폰의 입력 장치 및 보청기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청기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입력부(151)는 오직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카메라, 마이크로폰 또는 동작감지센서와 같은 입력장치가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카메라 및 마이크가 모두 내장된 블루투스헤드셋(100)의 경우라면 입력된 이미지데이터 및 사운드데이터가 근거리 통신으로 마스터단말기에 전달되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블루투스헤드셋(100)이 구비하는 센서에 있어서도, 탈착감지센서(153) 및 수면감지센서(154)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착용자 정보 또는 헤드셋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센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로 든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편,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고, 이를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와치와 같은 마스터기기에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100)과 손목시계(200)의 결합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부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통해 아래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100)이 손목시계바디(210)와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헤드셋(100)에는 상기 손목시계바디와 탈착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라킹유닛(Locking Unit)을 포함하는데, 라킹유닛은 두 개 이상 포함되어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루투스헤드셋(100)과 손목시계(200)는 후크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루투스헤드셋(100)의 하우징(101)의 내부에 후크 수용홈(121)이 형성되고, 시계바디(210)의 내부에 후크 걸림쇠(223)를 갖는 후크(2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시계바디(210)의 외측면에 라킹해제버튼(221)이 형성되고, 라킹해제버튼(221)은 블루투스헤드셋(100)과 시계바디(210)의 결합의 해제를 도울 수 있다. 라킹해제버튼(221)은 후크(2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라킹해제버튼(221)을 누르면 라킹해제버튼(221)이 버튼수용홈(231)으로 후퇴하면서 후크(222)가 시계바디(210)의 내측으로 후퇴하여 블루투스헤드셋(100)과 손목시계(200)가 분리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라킹해제버튼(221) 및 후크(222)가 시계바디(210)에 형성되었으나, 라킹해제버튼 및 후크가 블루투스헤드셋(100)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루투스헤드셋(100)과 손목시계(200)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루투스헤드셋(100)의 하우징(101)의 내측면에 암나사(131)가 형성되고, 시계바디(210)의 외측면에 수나사(241)가 형성될 수 있다. 블루투스헤드셋(100)의 하우징(101)을 시계바디(210)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블루투스헤드셋(100)과 시계바디(2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방식으로 블루투스헤드셋(100)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1)이 금속재질로 제작되더라도,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블루투스헤드셋(100)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1)의 소재를 고무, 우레탄, 실리콘, TPU등과 같은 탄성있는 소재로 하여, 블루투스헤드셋(100) 그 자체가 신축하여 손목시계바디(210)에 끼워질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블루투스헤드셋을(100)을 구비하는 손목시계(2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블루투스헤드셋(100)은 시계바디(210)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계바디(210)의 바디케이스 또는 베젤으로 역할한다. 이는 스마트와치 같은 손목시계형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특히나 효율이 있다. 본 발명에서 손목시계(200)와 블루투스헤드셋(100)은 상호 결합관계 및, 본 발명의 손목시계(200)가 스마트와치인 경우 상호연동하는 시스템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블루투스헤드셋(100)은 소정의 개수의 관절부를 포함하여 시계바디(210)와 분리되었을 때, 착용자의 귀에 장착하기 편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상세한 내용은 바로 아래에서 서술할 블루투스헤드셋(300)을 구비하는 손목시계(400)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300)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4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블루투스헤드셋(100) 및 손목시계(200)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시계바디(410)의 상면에 형성된 표시부(411)의 외곽테두리에는, 외곽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표시부(411)를 둘러싸며, 블루투스헤드셋(300)이 안착되는 안착부(4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300)은 표시부(411)의 외곽테두리의 일부만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목시계(400)의 시계바디(410)에는 더 많은 기능요소를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헤드셋(300)의 탈착 방식도 다양해지는데, 이러한 탈착 방식의 일 실시 예로써, 도 5에 도시된 Y방향(수직 방향)으로 탈착할 수 있을뿐더러, X방향(수평 방향)으로 끼워 탈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손목시계(400)는 외부로부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충전단자(413)를 시계바디(410)의 안착부(412)가 형성되지 않은 한 부분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300)은, 착용자의 귀에 장착하기 편한 형태로 변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관절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300)의 관절부(31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관절부(3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절부(310)는 블루투스헤드셋(300)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관절부(310)는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하여 시계바디(410)와 분리하는 경우 자동으로 기억된 형상으로 변형되어 착용자의 귀에 편안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관절 링크(310A. 310B)가 서로 결합하여 관절부(310)를 구성한다. 어느 하나의 관절 링크(310A)는 걸림 돌기(311)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관절 링크(310B)에는 걸림 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관절부(310)를 구성하는 복수의 관절 링크(310A, 310B)는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서로 움직일 수 있다. 걸림 홈(312)에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316)이 형성되고, 각각의 관절 링크(310A, 310B)에는 토션 스프링의 암이 안착되는 안착홈(313)이 형성된다. 안착홈(313)의 외측으로는 방수 등의 목적으로 관절부(310)와 다른 공간을 분리시키는 분리벽(314)이 형성된다. 분리벽(314)에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홈(315)이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시계바디(610)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 블루투스헤드셋(500)과 손목시계(60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블루투스헤드셋(500)과 손목시계(600)의 결합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부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블루투스헤드셋(300) 및 손목시계(400)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시계바디(610)와 블루투스헤드셋(500)의 탈착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표시부(611)의 외곽테두리에 형성된 걸림홈(621a)과, 블루투스헤드셋(500)에 상기 걸림홈(621a)에 대응하는 걸림돌기(521a)가 포함된 라킹유닛을 하나 이상 포함하게 되는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표시부(611)의 외곽테두리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블루투스헤드셋(500)에 걸림홈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라킹유닛은 블루투스헤드셋(500)의 외측 일면에 형성되고, 시계바디(610)와 블루투스헤드셋(500)의 결합을 해제를 도우는 수단으로 걸림돌기(521a)의 라킹해제버튼(5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라킹해제버튼(520)을 누르면 걸림돌기(521a)가 블루투스헤드셋(500)의 내측으로 후퇴하여 블루투스헤드셋(500)과 시계 바디(610)가 분리된다.
*또한, 상술한 라킹유닛에는 안착부(612)와 닿는 블루투스헤드셋(500)의 일면에, 라킹해제버튼(520)을 누르면 돌출되어 나와서, 블루투스헤드셋의 분리를 도와주는 돌출스프링(523)을 더 포함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수단이 다른 결합수단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므로, 하나의 또 다른 결합방법의 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블루투스헤드셋(700)의 하우징(701) 전체가 손목시계의 표시부(811)의 테두리를 이루는 경우를 나타낸 블루투스헤드셋(700)과 손목시계(8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블루투스헤드셋(700)의 배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블루투스헤드셋(300) 및 손목시계(400)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헤드셋(700)과 손목시계(800)를 결합하는 방법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블루투스헤드셋(700)의 하우징(701)의 내측면 (701c)에는 내결합턱(721a)이, 표시부(811)의 외측테두리에는 외결합턱(821a)이 돌출 형성되는데, 블루투스헤드셋(700)의 관절부(710)를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양쪽에서 힘을 주면 블루투스헤드셋(700)이 시계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바뀌고, 이를 시계바디(810)의 상면에서 외결합턱(821a)과 내결합턱(721a)이 엇갈리게 결합한 후 회전하여 결속한다. 그리고 블루투스헤드셋(700)에는 안착부(812)와 맞닿는 면에 다수개의 걸림쇠(722a)가 돌출 형성되어서, 시계바디(810)의 안착부(812)에 형성된 걸림돌기(822a)와 결합하여 더욱 견고하게 결합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블루투스헤드셋(100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시계바디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블루투스헤드셋(110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술한 블루투스헤드셋(100, 300, 500, 700)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블루투스헤드셋(1000, 1100)의 하우징(1010, 1110)은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고, 상기 복수의 부분에 연결된 커플러에 의해서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형성된다. 커플러는 블루투스헤드셋(1000, 1100)의 하우징(1010, 1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평상시에는 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커플러는 슬리브(1012, 1112)와 로드(1013, 1113)를 포함한다. 슬리브(1012, 1112)는 로드(1013, 1113)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로드(1013, 1113)와 결합된다. 하우징(1010, 1110)의 일 부분에는 슬리브 수용공(1011, 1111)이 형성되고, 슬리브(1012, 1112)가 슬리브 수용공(1011, 11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들 구성을 통해서, 사용자가 블루투스헤드셋(1000, 1100)의 하우징(1010, 1110)을 잡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블루투스헤드셋(1000, 110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관절부(310, 510)와 함께 제공되면 그 사용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손목시계의 표시부(900)가 블루투스헤드셋과 별도로 손목시계로부터 탈착되는 경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이 착용자의 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헤드셋(300)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특정 실시 예와 도면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와 도면으로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블루투스헤드셋
101: 하우징 101a: 하우징의 상면
101b: 하우징의 외측면 101c: 하우징의 내측면
110: 귀걸이 팁
111: 회전축
121: 후크 수용홈
131: 암나사
150: 출력장치 151: 데이터입력부
152: 데이터변환부 153: 탈착감지센서
154: 수면감지센서 155: 전원공급부

Claims (7)

  1. 손목시계에 있어서,
    상면에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에 안착부가 형성된 시계바디; 및
    마스터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사운드정보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의 외곽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표시부를 둘러싸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 되고, 상기 시계바디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시계바디의 바디케이스 또는 베젤으로 역할하는 상기 마스터단말기의 슬레이브단말기인 블루투스헤드셋;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바디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의 바닥면 또는 내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바디와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은 후크결합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은, 하나 이상의 관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부를 구성하는 관절 링크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바디와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은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를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바디의 외측면에는 외결합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의 내측면에는 내결합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결합턱과 상기 내결합턱이 엇갈리게 결속됨으로써 상기 시계바디와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이 상기 손목시계에 안착 되면,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의 소모전력을 충전하도록,
    상기 손목시계는 배터리와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은 상기 손목시계와 연동하는 충전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이 상기 손목시계에 결합할 때 상기 손목시계의 전력으로 상기 블루투스헤드셋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KR1020160051474A 2016-04-27 2016-04-27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20170072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474A KR20170072769A (ko) 2016-04-27 2016-04-27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474A KR20170072769A (ko) 2016-04-27 2016-04-27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132A Division KR101662617B1 (ko) 2015-05-19 2015-12-17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769A true KR20170072769A (ko) 2017-06-27

Family

ID=5951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474A KR20170072769A (ko) 2016-04-27 2016-04-27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27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3813A (zh) * 2019-02-25 2019-04-12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穿戴设备
KR20190051228A (ko)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부일신소재 카본 복합재를 이용한 손목시계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9718A (ko) * 2018-04-13 2019-10-23 오영권 러그를 이용하여 베젤이 장착 및 분리되는 손목 시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228A (ko)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부일신소재 카본 복합재를 이용한 손목시계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9718A (ko) * 2018-04-13 2019-10-23 오영권 러그를 이용하여 베젤이 장착 및 분리되는 손목 시계
CN109613813A (zh) * 2019-02-25 2019-04-12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穿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617B1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100642310B1 (ko)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US8072393B2 (en) User interface for a head mounted display
US11985472B2 (en) Magnetic earphones holder
US12015889B2 (en) Magnetic earphones holder
KR20170072769A (ko)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US10466653B2 (en) Smart glasses and wristwatch including the same
KR101659030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CN101095369A (zh) 带有耳机功能的腕表
EP2367364A1 (en) Wireless audio headset with an ear-piece
KR101678645B1 (ko) 스마트 안경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20160137302A (ko)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CN109729476B (zh) 一种电子系统
CN111741388A (zh) 穿戴式电子装置
KR20160070998A (ko) 웨어러블 단말기
CN210183373U (zh) 一种耳挂式移动电话
KR20050112617A (ko) 탈착 가능한 손목시계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KR20150080705A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KR20150031107A (ko)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KR101545899B1 (ko)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진동기구
CN115708360A (zh) 电子设备及扬声器
WO2018213336A1 (en) Magnetic earphones holder
WO2016087954A1 (en) Bi-stable shape audio device
KR20160068136A (ko) 이어커프 형태의 웨어러블 스마트 주변장치
KR20150059927A (ko) 스위치 모듈 분리형 핸즈프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