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107A -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 Google Patents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107A
KR20150031107A KR20130110637A KR20130110637A KR20150031107A KR 20150031107 A KR20150031107 A KR 20150031107A KR 20130110637 A KR20130110637 A KR 20130110637A KR 20130110637 A KR20130110637 A KR 20130110637A KR 20150031107 A KR20150031107 A KR 20150031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communicating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배
오세홍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0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1107A/ko
Publication of KR20150031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5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belt or har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화기구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시계처럼 착용하다가 통화시에는 통화기를 착용 벨트로부터 탈거시켜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통화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 이어폰 부분 및 마이크 부분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마이크의 소지가 편리하고, 사용자가 착신 상태를 민감하게 알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활용도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등의 통신 본체와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휴대 전화는 모든 개인이 소유하는 생활필수품이 되었다. 그러한 휴대 전화에서 착신 상태임을 알리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첫째는 수신음을 출력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방법이다.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수신음을 출력하도록 설정해 놓은 상태로 사용하지만, 도서관 등에서와 같이 수신음 출력이 타인에게 소음으로 작용하는 등과 같은 경우에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설정해 놓은 상태로 사용한다.
그런데, 진동 발생 모드(mode)로 설정해 놓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첫째, 사용자의 상의 호주머니나 핸드백과 같이 신체와 밀접히 접촉되지 못하는 부분에 휴대 전화를 보관하는 경우 착신 상태임을 알아차리지 못하게 된다.
둘째, 책상 상면 등에 휴대 전화를 놓은 경우 진동 소음이 발생하여 본래의 목적하는 바를 얻을 수 없다.
한편, 종래에는 휴대 전화의 소형화를 통해 휴대성을 좋게 하였지만, 근래에는 휴대 전화의 기능 확장에 따른 다양한 활용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부분을 확장시킴으로써 휴대 전화가 일정 크기 이상으로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보관된 휴대 전화를 꺼내 사용한 후 휴대 전화를 다시 보관하는 것이 그만큼 번거로워졌다.
또한, 휴대 전화는 어느 장소에서나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음성 통화 시에 외부의 소음으로부터 음성 통화를 분리시킬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를 그대로 둔 상태로 통화가 가능하면서도 외부의 소음으로부터 음성 통화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92958호(발명의 명칭 : 이어셋,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와 같이 이어폰과 마이크가 결합된 이어-마이크가 개발되었다.
이어-마이크는 유선형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무선형이 현재 보급되고 있다.
위와 같은 이어-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 통화에 편리한 점은 있지만, 그 소지가 불편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착신 상태를 알리는 진동 발생을 사용자가 항상 인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둘째, 이어-마이크의 소지가 편리한 기술을 제공한다.
셋째, 시계 기능까지 더 융합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는, 결합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 벨트; 및 상기 결합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화기; 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기는, 사용자의 통신 본체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오는 전기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어어폰 부분;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모듈로 제공하는 마이크 부분; 및 상기 통신 모듈, 이어폰 부분, 마이크 부분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부분; 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화기구는 상기 벨트의 결합 부분에 구비되는 진동기; 및 상기 통화기가 상기 착용 벨트의 결합 부분에 결합될 시에 상기 통화기와 상기 진동기를 유선 연결시키는 1 연결 부분; 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화기는 상기 진동기에 유선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 부분에 대응하는 제2 연결 부분을 가지며, 상기 진동기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통신 본체로부터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한다.
상기 통화기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통신 본체로부터 오는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착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화기는 상기 통신 본체로 통신 연결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 부분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화기는,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부분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시계 부분;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어폰 부분은 상기 마이크 부분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통화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통화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의 삽입홈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는, 결합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 벨트; 상기 벨트의 결합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통신 본체로부터 오는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 및 상기 진동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진동기에 결합될 시에 상기 진동기와 유선 연결되는 통화기; 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기는, 사용자의 통신 본체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오는 전기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어어폰 부분;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모듈로 제공하는 마이크 부분; 및 상기 진동기, 통신 모듈, 이어폰 부분, 마이크 부분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부분; 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기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통신 본체로부터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착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진동기는 상기 통신 본체로 통신 연결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 부분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진동기는,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부분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시계 부분; 을 더 포함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계처럼 착용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어-마이크의 소지가 편리하다.
둘째, 시계, 착신 알림, 이어-마이크 기능이 유기적으로 모두 융합되어 있어서 하나의 제품에 의해 다양한 만족을 얻을 수 있다.
넷째, 진동기의 구성까지 융합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 발생이 손목의 피부로 직접 전해지므로 사용자가 착신 상태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의 무선 통화기구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에 있는 측면도이다.
도3은 도1의 무선 통화기구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4는 도1의 무선 통화기구에 적용된 통화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5 내지 도7은 도1의 무선 통화기구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8 및 도9는 도1의 무선 통화기구의 변형예에 따른 무선 통화기구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11은 도10의 무선 통화기구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에 있는 평면도이다.
도12는 도10의 무선 통화기구에 적용된 진동기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13은 도10의 무선 통화기구에 적용된 통화기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14는 도12의 진동기의 변형예에 따른 진동기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15는 도10의 무선 통화기구에 적용된 통화기와 진동기의 탈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의 간결함과 명확함을 위해 중복되거나 주지된 기술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무선 통화기구에 대한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100)에 관한 평면도이고, 도2는 도1의 무선 통화기구(100)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에 있는 측면도이다.
도1 및 도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화기구(100)는 착용 벨트(110) 및 통화기(120)를 포함한다.
착용 벨트(110)는 시계 벨트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 감기는 형태로 착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착용 벨트(110)는 통화기(1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분(111)을 가진다. 결합 부분(111)은 통화기(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통화기(1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의 삽입홈(111a)을 가진다. 따라서 도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통화기(120)가 삽입홈(111a)에 삽입되면서 착용 벨트(110)에 결합된다.
통화기(120)는 도4의 구성도에서와 같이 통신 모듈(121), 이어폰 부분(122), 마이크 부분(123), 진동 부분(124), 디스플레이 부분(125), 입력 부분(126), 시계 부분(127) 및 전원 부분(128)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121)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통신 본체(예를 들면 스마트 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121)은 블루투스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어폰 부분(122)은 마이크로 스피커를 내장하고 있어서 통신 모듈(121)로부터 오는 전기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121)은 통화 시에 사용자의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통신 본체로부터 무선으로 받아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이어폰 부분(122)으로 제공한다.
마이크 부분(123)은 마이크로 마이크를 가지고 있어서 외부로부터 오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모듈(121)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통신 모듈(121)은 사용자의 음성 전기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본체 측으로 송출한다.
진동 부분(124)은 진동자를 가지고 있어서 통신 본체로부터 통신 모듈(121)을 거쳐 오는 착신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하게 된다. 이렇게 진동 부분이 진동하게 되면 사용자는 손목 피부의 진동감을 감지하여 착신 상태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부분(125)은 통신 본체로부터 통신 모듈을 거쳐 오는 착신 신호에 포함된 착신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여기서 착신 정보에는 통화를 요구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이름 등일 수 있다.
입력 부분(126)은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허락하는 명령이나 통화 종료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물론, 디스플레이 부분(125)과 입력 부분(126)은 터치스크린으로 함께 모듈화되게 구현될 수 있다. 도5는 디스플레이 부분(125)과 입력 부분(126)이 함께 모듈화되게 구현된 터치스크린에서 착신 중인 상태의 화면에 대한 일예가 표현되어 있다. 도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 버튼(B1)을 터치하면 상대방과의 통화가 연결되고, 종료 버튼(B2)을 터치하면 상대방과의 통화가 종료된다.
시계 부분(127)은 현재 시간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 부분(125)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분(125)은 현재 시간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러한 시계 부분(127)에 의해 평상시에 사용자는 무선 통화기구(100)를 시계로서 활용하게 된다.
전원 부분(128)은 축전지(128a) 및 커넥터(128b)를 가지고 있으며, 통신 모듈(121), 이어폰 부분(122), 마이크 부분(123), 진동 부분(124), 디스플레이 부분(125), 입력 부분(126) 및 시계 부분(127)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물론, 사용자는 커넥터(128b)를 통해 축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21), 마이크 부분(123), 진동 부분(124), 디스플레이 부분(125), 입력 부분(126), 시계 부분(127) 및 전원 부분(128)은 하우징(H)에 의해 하나로 묶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과 귀의 신체 배치 구조를 고려하여 도6에서와 같이 이어폰 부분(122)은 마이크 부분(123)이 구비된 하우징(H)에 대하여 약 90도 정도로 회전하면서 꺾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위와 같은 무선 통화기구(100)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평상시에 무선 통화기구(100)를 손목에 착용하면서 도7의 화면에서와 같이 시계로서 활용한다.
도7의 상태에서 통화 본체로부터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부분(125)은 도5에서와 같이 착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되고, 진동 부분(124)은 진동을 발생시킨다.
사용자가 손목에 느끼지는 진동을 감지하고 손목시계를 보듯이 화면을 본 후, 도5의 통화 버튼(B1)을 터치하면 통화 연결 명령이 통신 모듈(121)을 통해 통신 본체로 가서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된다.
사용자는 통화기(120)를 착용 벨트(110)로부터 탈거시켜 이어폰 부분(122)을 마이크 부분(123) 측에 대하여 90도 회전시켜 꺾은 상태로 이어폰 부분(122)을 귀에 삽입한 후 통화한다. 이 때,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오는 통화 신호는 이어폰 부분(122)에서 음향으로 출력되고, 사용자의 통화 음성은 마이크 부분(123)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통화 상대방 측으로 송출된다.
그리고 통화가 종료되면, 사용자는 이어폰 부분(122)을 다시 펴서 통화기(120)를 삽입홈(111a)에 삽입시킴으로써 통화기(120)룰 착용 벨트(110)에 결합시킨다.
<제1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
도8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무선 통화기구(200)에 관한 일부가 분리된 상태에 있는 측면도이다.
도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화기구(200)는 착용 벨트(210) 및 통화기(220)를 포함한다.
착용 벨트(210)의 결합 부분(211)에는 진동기(231) 및 제1 연결 부분(232)이 구비된다. 즉, 제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본 변형예에 따른 무선 통화기구(200)는 착용 벨트(210)의 결합 부분(211)에 진동기(231)가 구비된다. 물론, 통화기(220)에는 통신 모듈(221), 이어폰 부분(222), 마이크 부분(223), 디스플레이 부분(225), 입력 부분(226), 시계 부분(227) 및 전원 부분(228)만이 구비된다. 이 때, 전원 부분(228)의 커넥터(228b)는 제1 연결 부분(232)과 연결되어 진동기(231)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연결 부분으로서도 기능한다. 물론, 통신 모듈(221)에서 진동기(231)로 제공되는 진동 발생 신호도 커넥터(228b) 및 제1 연결 부분(232)을 통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도9에서와 같이 착용 벨트(210')의 결합 부분(211')에 진동기(231')의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별도의 보조 축전지(SB)를 더 구비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무선 통화기구에 대한 제2 실시예>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300)에 관한 평면도이고, 도11은 도10의 무선 통화기구(300)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에 있는 평면도이다.
도10 및 도1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화기구(300)는 착용 벨트(310), 진동기(320) 및 통화기(330)를 포함한다.
착용 벨트(310)는 시계 벨트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에 감기는 형태로 착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착용 벨트(310)에는 진동기(3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분(311)을 가진다.
진동기(320)는 도12의 측면 구성도에서와 같이 진동 부분(321), 디스플레이 부분(322), 입력 부분(323), 시계 부분(324), 연결 부분(325), 하우징(326) 및 집게(327)를 포함한다.
진동 부분(321)은 진동자를 가지고 있어서 통신 본체로부터 통화기(330)를 거쳐 오는 착신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부분(322)은 통신 본체 측으로부터 오는 착신 신호에 포함된 착신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입력 부분(323)은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허락하는 명령이나 통화 종료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물론, 디스플레이 부분(322)과 입력 부분(323)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시계 부분(324)은 현재 시간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 부분(322)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부분(322)은 현재 시간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연결 부분(325)은 통화기(330)로부터 오는 신호나 전원을 진동 부분(321), 디스플레이 부분(322), 입력 부분(323), 시계 부분(324)으로 전달한다.
하우징(326)은 진동 부분(321), 디스플레이 부분(322), 입력 부분(323) 및 시계 부분(324)을 묶는다. 이러한 하우징(236)에는 통화기(330)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326a)을 가진다.
집게(327)는 일 측이 하우징(326)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스프링(S)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러한 집게(327)에 의해 진동기(320)는 착용 벨트(310)의 결합 부분(3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통화기(330)는 도13의 측면 구성도에서와 같이 통신 모듈(331), 이어폰 부분(332), 마이크 부분(333) 및 전원 부분(334)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331)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통신 본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어폰 부분(332)은 통신 모듈(331)로부터 오는 전기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한다.
마이크 부분(333)은 외부로부터 오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모듈(331)로 제공한다.
전원 부분(334)은 축전지(334a) 및 커넥터(334b)를 가지고 있으며, 통신 모듈(331), 이어폰 부분(332), 마이크 부분(333), 진동 부분(321), 디스플레이 부분(322), 입력 부분(323) 및 시계 부분(324)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진동 부분(321), 디스플레이 부분(322), 입력 부분(323) 및 시계 부분(324)은 커넥터(334b) 및 연결 부분(325)을 통해 전원 및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받게 된다. 물론, 도14에서와 같이 진동 부분(321'), 디스플레이 부분(322'), 입력 부분(323') 및 시계 부분(324')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진동기(320')에 별도의 보조 축전지(SB)를 구비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15는 진동기(320)와 통화기(330)의 사시도를 통해 진동기(320)와 통화기(330)의 탈착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즉, 진동기(320)의 결합홈(326a)에 통화기(330)가 삽입되거나 탈거되면서 통화기(330)가 진동기(320)에 탈착된다. 여기서 통화기(330)가 결합홈(326a)에 삽입됨으로써 통화기(330)가 결합홈(326)에 결합된 경우에는 커넥터(334b)와 연결 부분(325)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상시에 통화기(330)를 결합홈(326a)에 삽입하여 진동기(320)에 결합시킨 상태로 소지하다가 통화가 필요한 경우 통화기(330)를 진동기(320)로부터 탈거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무선 통화기구
110 : 착용 벨트
111 : 결합 부분
111a : 삽입홈
120 : 통화기
121 : 통신 모듈 122 : 이어폰 부분
123 : 마이크 부분 124 : 진동 부분
125 : 디스플레이 부분 126 : 입력 부분
127 : 시계 부분 128 : 전원 부분

Claims (11)

  1. 결합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 벨트; 및
    상기 결합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화기; 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기는,
    사용자의 통신 본체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오는 전기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어어폰 부분;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모듈로 제공하는 마이크 부분; 및
    상기 통신 모듈, 이어폰 부분, 마이크 부분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결합 부분에 구비되는 진동기; 및
    상기 통화기가 상기 착용 벨트의 결합 부분에 결합될 시에 상기 통화기와 상기 진동기를 유선 연결시키는 1 연결 부분;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화기는 상기 진동기에 유선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 부분에 대응하는 제2 연결 부분을 가지며,
    상기 진동기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통신 본체로부터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기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통신 본체로부터 오는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착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기는 상기 통신 본체로 통신 연결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가능한 착용형 통화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기는,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부분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시계 부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부분은 상기 마이크 부분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통화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통화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의 삽입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8. 결합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 벨트;
    상기 벨트의 결합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통신 본체로부터 오는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 및
    상기 진동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진동기에 결합될 시에 상기 진동기와 유선 연결되는 통화기; 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기는,
    사용자의 통신 본체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오는 전기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어어폰 부분;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모듈로 제공하는 마이크 부분; 및
    상기 진동기, 통신 모듈, 이어폰 부분, 마이크 부분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부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통신 본체로부터 착신 신호가 수신되면, 착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상기 통신 본체로 통신 연결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부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부분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시계 부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KR20130110637A 2013-09-13 2013-09-13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KR20150031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637A KR20150031107A (ko) 2013-09-13 2013-09-13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637A KR20150031107A (ko) 2013-09-13 2013-09-13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107A true KR20150031107A (ko) 2015-03-23

Family

ID=53024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637A KR20150031107A (ko) 2013-09-13 2013-09-13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11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3358A (zh) * 2020-07-06 2020-09-18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存储介质和无线耳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3358A (zh) * 2020-07-06 2020-09-18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移动终端、存储介质和无线耳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98072A (ja) 携帯電話
JP6017172B2 (ja) 軟骨伝導振動源装置および携帯電話
JP6022163B2 (ja) 携帯電話
KR20150031107A (ko)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통화기구
JP5901304B2 (ja) 音声出力装置
KR101545899B1 (ko) 통신 가능한 착용형 무선 진동기구
JP6018786B2 (ja) 携帯電話補助装置および携帯電話
JP5976443B2 (ja) 携帯電話および軟骨伝導振動源装置
JP6053343B2 (ja) 携帯電話
JP6022175B2 (ja) 軟骨伝導振動源装置
JP6030352B2 (ja) 送信受話装置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TW201004379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embedded bluetooth headset
JP6216018B2 (ja) 携帯電話
JP6283731B2 (ja) 携帯電話のための送受話ユニット
JP6316897B2 (ja) 軟骨伝導振動源モジュール
JP6283730B2 (ja) 携帯電話
JP6231158B2 (ja) 対話機器
JP6282027B2 (ja) 携帯電話
JP6022169B2 (ja) 携帯電話および携帯電話のための受話ユニット
JP6027363B2 (ja) 軟骨伝導振動源装置および聴取装置
JP6202781B2 (ja) 携帯電話
JP6178556B2 (ja) 携帯電話
JP6298592B2 (ja) 携帯電話
JP6298591B2 (ja) 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