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718A - 러그를 이용하여 베젤이 장착 및 분리되는 손목 시계 - Google Patents

러그를 이용하여 베젤이 장착 및 분리되는 손목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718A
KR20190119718A KR1020180043027A KR20180043027A KR20190119718A KR 20190119718 A KR20190119718 A KR 20190119718A KR 1020180043027 A KR1020180043027 A KR 1020180043027A KR 20180043027 A KR20180043027 A KR 20180043027A KR 20190119718 A KR20190119718 A KR 20190119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case
bezel
disposed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054B1 (ko
Inventor
오영권
Original Assignee
오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권 filed Critical 오영권
Priority to KR102018004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05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69Cases and fixed parts with a special shap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베젤을 교체할 수 있는 손목 시계를 제공하고, 상기 손목 시계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1러그;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장착 및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제1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러그를 이용하여 베젤이 장착 및 분리되는 손목 시계{WRIST WATCH ON WHICH BEZEL IS MOUNTED AND SEPARATED USING LUG}
본 발명은 러그를 이용하여 베젤이 장착 및 분리되는 손목 시계에 관한 것이다.
손목 시계는 시간, 날짜 및 날씨 등 다양한 정보를 전달해 줄 뿐만 아니라, 의상 컨셉을 완성시켜주는 패션 아이템이기도 하다. 착용자는 장소와 상황에 어울리는 의상 컨셉을 위해 손목 시계를 변경하여야 한다. 따라서 수요자는 디자인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손목 시계를 구매해야 하므로, 비용 지출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착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시계의 베젤(Bezel)이 쉽게 손상(스크래치)되는 문제가 있다.
만약, 손목 시계에서 기존의 베젤을 분리하고 다른 디자인을 가지는 새로운 베젤을 장착할 수 있다면, 하나의 손목 시계로 다양한 디자인을 나타낼 수도 있고, 손목 시계를 변경하지 않고 손상된 베젤만을 새로운 베젤로 교체하여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한 기기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해, 손목 시계에 스마트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이러한, 손목 시계를 "스마트 워치"라고 호칭한다.
"스마트 워치"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일 예로,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데이터 전송, 컨텐츠 이용 및 감상, 영상 통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베젤을 교체할 수 있는 손목 시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손목 시계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1러그;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장착 및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제1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베젤에는 무선 통신 칩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러그와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1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베젤을 상측으로 미는 제1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핀을 수용하는 제1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러그와 상기 케이스의 힌지 결합의 회전축과 상기 제1러그와 상기 제1핀의 힌지 결합의 회전축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홀에 수용되고, 상기 제1러그를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중심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링과, 상기 베젤의 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그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본체와,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는 제1-1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그의 제1본체와 상기 베젤의 플랜지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분 중 하나에는 제1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1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젤이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1홈에 수용되고, 상기 베젤이 상기 케이스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1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중심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링과, 상기 베젤의 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그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본체와,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는 제1-1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그의 제1본체와 상기 베젤의 플랜지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분 사이에는 패킹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중심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링과, 상기 베젤의 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그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본체와,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는 제1-1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그의 제1본체와 상기 베젤의 플랜지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마그네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제1러그의 제1본체에 배치되는 제1-1마그네트와, 상기 베젤의 플랜지에 배치되는 제1-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이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1마그네트의 N극과 상기 제1-2마그네트의 S극은 상호 대향하고, 상기 제1-1마그네트의 S극과 상기 제1-2마그네트의 N극은 상호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2러그와,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3러그와,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4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제1러그와 상기 제2러그와 상기 제3러그와 상기 제4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러그와 상기 제2러그를 연결하여 상기 제1러그와 상기 제2러그의 회전을 연동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제3러그와 상기 제4러그를 연결하여 상기 제3러그와 상기 제4러그의 회전을 연동하는 제2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목 시계는 러그 유닛을 회전시키는 직관적인 방법으로 베젤을 손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유닛이 러그 유닛의 회전을 제한하므로, 평상 시, 베젤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베젤과 러그 유닛 사이에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거나 마그네트 유닛이 배치되거나 패킹 부재가 배치되므로, 베젤이 가이드되어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목 시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손목 시계에 베젤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손목 시계에 베젤이 분리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손목 시계에서 베젤이 장착된 것과 분리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스, 디스플레이부, 러그 유닛 및 핀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러그 유닛, 핀 유닛, 샤프트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러그, 제1핀, 제1홀 및 제1샤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베젤과 제1러그에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있거나, 패킹 부재가 배치되거나, 마그네트 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손목 시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손목 시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목 시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손목 시계에 베젤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손목 시계에 베젤이 분리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손목 시계에서 베젤이 장착된 것과 분리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스, 디스플레이부, 러그 유닛 및 핀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러그 유닛, 핀 유닛, 샤프트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러그, 제1핀, 제1홀 및 제1샤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베젤과 제1러그에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있거나, 패킹 부재가 배치되거나, 마그네트 유닛이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손목 시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손목 시계(1)는 케이스(10), 밴드(10-2), 버튼(10-1), 디스플레이부(20), 베젤(30), 러그 유닛(40), 핀 유닛(50), 탄성 유닛(60), 샤프트 유닛(70), 패킹 부재(80), 마그네트 유닛(90) 및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손목 시계(1)가 "스마트 워치"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손목 시계(1)가 "스마트 워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손목 시계(1)는 주변의 기기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않는 "디지털 시계"일 수도 있고, 초침과 분침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시계"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손목 시계(1)가 "디지털 시계"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0)는 터치 스크린이 지원되지 않는 액정(LCD, 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고, "아날로그 시계"인 경우 숫자가 표시된 다이얼(Dial)일 수 있다.
케이스(10)는 손목 시계(1)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일 수 있다. 케이스(10)는 중심 부분(c)과 가장자리 부분(s)으로 구분될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케이스(10)의 중심 부분(c)이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10)의 중심 부분(c)은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보다 수직 방향 위상이 높을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케이스(10)가 단차가 형성된 원통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케이스(10)는 단차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일 수도 있다.
케이스(10)의 중심 부분(c)에는 디스플레이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상측에는 베젤(3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젤(30)은 케이스(10)의 중심 부분(c) 및 가장자리 부분(s)의 적어도 일부분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에는 러그 유닛(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러그 유닛(40)은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과 힌지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의 측면에는 버튼(10-1)이 배치될 수 있다.
버튼(10-1)은 "홈 버튼"일 수 있으며, 착용자는 버튼(10-1)을 클릭하여 수행 중인 작업을 마무리하고, 홈 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에는 복수 개의 홀(11,12,13,14)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복수 개의 홀(11,12,13,14)은 상호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10)의 복수 개의 홀(11,12,13,14)은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복수 개의 홀(11,12,13,14)에는 핀 유닛(50)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복수 개의 홀(11,12,13,14)의 개수는 핀 유닛(50)의 개수와 일대일 대응할 수 있다. 즉, 케이스(10)의 제1홀(11)에는 핀 유닛(50)의 제1핀(51)이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10)의 제2홀(12)에는 핀 유닛(50)의 제2핀(52)이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10)의 제3홀(13)에는 핀 유닛(50)의 제3핀(53)이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10)의 제4홀(14)에는 핀 유닛(50)의 제4핀(54)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착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 유닛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케이스(10)의 중심 부분(c)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에는 시간 정보, 블루투스 연결 여부, 통화 아이콘, 메시지 아이콘 및 캘린더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착용자는 디스플레이부(20)를 터치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베젤(30)은 케이스(10)와 함께 손목 시계(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손목 시계(1)의 전체적인 디자인은 베젤(30)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베젤(30)은 케이스(10)의 상측에 장착 및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손목 시계(1)에서 베젤(30)은 교체형일 수 있다. 베젤(30)은 러그 유닛(40)의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핀 유닛(50)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분리될 수 있다.
베젤(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적어도 일부(중심 부분)를 상측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착용자는 베젤(30)로부터 노출된 디스플레이부(20)의 이미지를 시청할 수 있다. 즉, 베젤(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베젤(30)에는 무선 통신 칩이 내장되어, 슬레이브 단말기(Slave terminal)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젤(30)은 손목 시계(1)의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과 블루투스 통신하여 손목 시계(1)에서 재생되는 통화나 미디어 컨텐츠의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는 헤드셋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베젤(30)은 다양한 스마트 기기(일 예로,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와 무선 통신할 수도 있으며, 마스터 단말기(Master terminal)에 클릭 정보나 음향 정보를 입력하는 마우스 또는 마이크 폰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베젤(30)이 분리되어 손목 시계(1)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베젤(30)은 디스플레이부(2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디스플레이부(20)의 상측에 배치되는 링(31)과, 링(3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케이스(10)의 가장자리(s)에 배치되는 플랜지(3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젤(30)의 링(31)은 중심에 수직 방향으로 개방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원형으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 예로, 베젤(30)의 링(31)은 사각 형태일 수도 있다. 베젤(30)의 링(31)에서 경 방향 외측 부분에는 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테이퍼(Taper)가 형성될 수 있다.
베젤(30)의 플랜지(32)는 베젤(30)의 링(31)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젤(30)의 플랜지(32)는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 및 러그 유닛(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젤(30)의 플랜지(32)의 하면은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의 상면과 대향할 수 있고, 베젤(30)의 플랜지(32)의 내주면은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의 외주면과 대향할 수 있고, 베젤(30)의 플랜지(32)의 외주면은 러그 유닛(40)과 대향할 수 있다.
베젤(30)은 플랜지(30)가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되고, 플랜지(30)가 러그 유닛(40)에 의해 가압되어, 케이스(1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지만, 착용자는 러그 유닛(40)을 회전시킴으로써, 베젤(30)에 인가되는 압력을 낮추거나 없애, 베젤(30)을 케이스(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러그 유닛(40)은 베젤(30)을 장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해, 회전 구동하는 유닛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러그 유닛(40)은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과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착용자는 러그 유닛(40)을 아래로 밀어 러그 유닛(40)을 정회전시킬 수 있다. 착용자는 러그 유닛(40)을 위로 밀어 러그 유닛(40)을 역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러그 유닛(40)의 정회전에 의해 핀 유닛(50)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러그 유닛(40)의 역회전에 의해 핀 유닛(50)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핀 유닛(50)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베젤(30)은 상측으로 밀려 케이스(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핀 유닛(50)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의 상면이 평탄해져, 베젤(30)이 케이스(10)에 장착될 수 있다.
러그 유닛(40)에는 밴드(10-2)가 배치될 수 있다. 밴드(10-2)는 손목 시계(1)를 착용자의 손목에 묶어, 손목 시계(1)를 착용자의 손목에 장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밴드(10-2)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브레이슬릿(Bracelet) 형태 또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트랩(Strap)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밴드(10-2)는 2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측 밴드(10-2)는 제1러그(41)와 제2러그(42)에 배치되어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타측 밴드(10-2)는 제3러그(43)와 제4러그(44)에 배치되어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착용자가 손목 시계(1)를 장착하는 경우, 일측 밴드(10-2)의 일측 단부와 타측 밴드(10-2)의 타측 단부는 버클(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러그 유닛(40)은 제1러그(41), 제2러그(42), 제3러그(43) 및 제4러그(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러그(41)는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제1러그(41)는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본체(41-1)와,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과 힌지 결합하는 제1-1커넥터(41-2)와, 제1핀(51)과 힌지 결합하는 제1-2커넥터(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는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에는 일측 밴드(10-2)가 결합할 수 있고, 착용자는 제1러그(41)를 아래로 눌러 제1러그(4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러그(41)의 제1-1커넥터(41-2)는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에서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러그(41)의 제1-1커넥터(41-2)는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과 힌지 결합하여, 제1러그(4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러그(41)의 제1-2커넥터(41-3)는 제1러그(41)의 제1-1커넥터(41-2)의 내측 단부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러그(41)의 제1-2커넥터(41-3)는 제1핀(51)과 힌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러그(41)와 케이스(10)의 힌지 결합의 회전축과 제1러그(41)와 제1핀(51)의 힌지 결합의 회전축은 평행할 수 있다. 즉, 제1-1커넥터(41-2)의 회전축과 제1-2커넥터(41-3)의 회전축은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러그(41)가 회전하여 틸팅되더라도, 제1핀(51)은 함께 기울어지지 않고 제1홀(11)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러그(41)의 제1-2커넥터(41-3)는 제1러그(41)의 제1-1커넥터(41-2)에서 제2러그(42)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편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핀(51)이 베젤(30)의 플랜지(32)의 외곽 부분에 위치하여, 베젤(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측으로 밀 수 있다.
제2러그(42), 제3러그(43) 및 제4러그(44)의 구조에는 제1러그(41)의 구조가 유추적용될 수 있다. 즉, 제2러그(42)도 제1러그(41)와 마찬가지로, 제2본체(42-1), 제2-1커넥터(42-2) 및 제2-2커넥터(42-3)을 포함할 수 있고, 제3러그(43)도 제1러그(41)와 마찬가지로, 제3본체(43-1), 제3-1커넥터(43-2) 및 제3-2커넥터(43-3)를 포함할 수 있고, 제4러그(44)도 제1러그(41)와 마찬가지로, 제4본체(44-1), 제4-1커넥터(44-2) 및 제4-3커넥터(4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러그(42)의 제2-2커넥터(42-3)는 제2러그(42)의 제2-1커넥터(42-2)에서 제1러그(41)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편 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3러그(43)의 제3-2커넥터(43-3)는 제3러그(43)의 제3-1커넥터(32-2)에서 제4러그(44)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편 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4러그(44)의 제4-2커넥터(44-3)는 제4러그(44)의 제4-1커넥터(44-2)에서 제3러그(43)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편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핀(52), 제3핀(53) 및 제4핀(54)은 제1핀(51)과 마찬가지로, 베젤(30)의 플랜지(32)의 외곽 부분에 위치하여, 베젤(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측으로 밀 수 있다.
또한, 제2러그(42)와 케이스(10)의 힌지 결합의 회전축과 제2러그(42)와 제2핀(52)의 힌지 결합의 회전축은 평행할 수 있다. 즉, 제2-1커넥터(42-2)의 회전축과 제2-2커넥터(42-3)의 회전축은 평행할 수 있다.
제2핀(52), 제3핀(53) 및 제4핀(54)은 제1핀(41)과 마찬가지로, 제2러그(42), 제3러그(43) 및 제4러그(44)가 회전하여 틸팅되더라도, 함께 기울어지지 않고 케이스(10)의 가장자리(s)의 제2홀(12), 제3홀(13) 및 제4홀(14)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러그(41)와 제2러그(42)는 상호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러그(41)와 제2러그(42)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러그(41)와 케이스(10)의 힌지 결합의 회전축과 제2러그(42)와 케이스(10)의 힌지 결합의 회전축은 동일한 축일 수 있다. 나아가 제1러그(41)와 제2러그(42)의 회전은 샤프트 유닛(70)의 제1샤프트(71)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제1러그(41)와 제2러그(42)의 회전을 연동시키면 제1핀(51)과 제2핀(52)이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위상에 위치하여, 베젤(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제1러그(41)와 제2러그(42)는 일측 밴드(10-2)에 의해 묶여 있으므로, 제1러그(41)와 제2러그(42)의 회전을 연동하는 것이 구조 상 바람직하다.
제3러그(43)와 제4러그(44)는 상호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러그(43)와 제4러그(44)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러그(43)와 케이스(10)의 힌지 결합의 회전축과 제4러그(44)와 케이스(10)의 힌지 결합의 회전축은 동일한 축일 수 있다. 나아가 제3러그(43)와 제4러그(44)의 회전은 샤프트 유닛(70)의 제2샤프트(72)에 의해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3러그(43)와 제4러그(44)도 제1러그(41)와 제2러그(42)와 마찬가지로 베젤(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밀어낼 수 있고, 타측 밴드(10-2)와의 관계에서 바람직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러그(41)의 반대편에 제3러그(43)가 배치될 수 있고(그 역도 성립), 제1러그(41)와 제3러그(43)는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러그(42)의 반대편에 제4러그(44)가 배치될 수 있고(그 역도 성립), 제2러그(42)와 제4러그(44)는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러그(41)와 제4러그(44)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과 제2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의 교점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러그(42)와 제3러그(43)도 마찬가지로 제1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과 제2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의 교점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러그(41), 제2러그(42), 제3러그(43) 및 제4러그(44)의 상호 보완적인 대칭 구조에 의해, 베젤(30)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케이스(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핀 유닛(50)은 러그 유닛(40)의 회전(정회전)에 의해 수직 방향(상측)으로 구동하여 베젤(30)을 상측으로 미는 유닛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핀 유닛(50)은 러그 유닛(40)과 힌지 결합할 수 있으며,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11,12,13,14)에 수용될 수 있다.
핀 유닛(50)은 제1핀(51), 제2핀(52), 제3핀(53) 및 제4핀(54)을 포함할 수 있따. 제1핀(51)은 제1러그(41)의 제1-2커넥터(41-3)와 힌지 결합할 수 있고,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의 제1홀(11)에 수용될 수 있다. 제2핀(52)은 제2러그(42)의 제2-2커넥터(42-3)와 힌지 결합할 수 있고,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의 제2홀(12)에 수용될 수 있다. 제3핀(53)은 제3러그(43)의 제3-2커넥터(43-3)와 힌지 결합할 수 있고,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의 제3홀(13)에 수용될 수 있다. 제4핀(54)은 제4러그(44)의 제4-2커넥터(44-3)와 힌지 결합할 수 있고,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의 제4홀(14)에 수용될 수 있다.
탄성 유닛(60)은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의 복수 개의 홀(11,12,13,14)에 수용되어, 러그 유닛(40)을 탄성 지지하는 유닛일 수 있다. 탄성 유닛(60)은 입체 나선 형태를 가지는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이 경우, 핀 유닛(50)은 탄성 유닛(6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유닛(60)은 제1탄성 부재(61), 제2탄성 부재(미도시), 제3탄성 부재(미도시) 및 제4탄성 부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 부재(61)의 상측 단부는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에는 제1탄성 부재(61)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돌출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탄성 부재(61)의 하측 단부는 제1러그(41)의 제2커넥터(4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러그(41)는 제1탄성 부재(61)에 의해 역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받게 된다. 그 결과, 평상 시, 제1러그(41)는 회전이 제한되고 베젤(30)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2탄성 부재, 제3탄성 부재 및 제4탄성 부재에는 제1탄성 부재(61)가 유추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탄성 부재의 상측 단부는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에 형성된 제2돌출턱(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2탄성 부재의 하측 단부는 제2러그(42)의 제2커넥터(4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러그(42)는 제2탄성 부재에 의해 역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받아, 베젤(3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3탄성 부재의 상측 단부는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에 형성된 제3돌출턱(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3탄성 부재의 하측 단부는 제3러그(43)의 제3커넥터(4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러그(43)는 제3탄성 부재에 의해 역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받아, 베젤(3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4탄성 부재의 상측 단부는 케이스(10)의 가장자리 부분(s)에 형성된 제4돌출턱(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4탄성 부재의 하측 단부는 제4러그(44)의 제4커넥터(44-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제4러그(44)는 제4탄성 부재에 의해 역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받아, 베젤(30)을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베젤(30)을 가이드하고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설명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베젤(30)의 수직 방향 이동은 케이스(10)의 단차 구조에 의한 케이스(10)의 중심 부분(c)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하는 구조는 베젤(30)을 원주 방향에서 가이드하기 위한 구조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제1러그(41)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제2러그(42), 제3러그(43) 및 제4러그(44)에도 유추적용될 수 있다.
도 8의 (1)과 도 8의 (2)는, 돌기와 홈에 의해 베젤(30)을 가이드하고 고정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를 위해, 베젤(30)의 플랜지(32)와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분(플랜지의 외주면과 제1본체의 내주면) 중 하나에는 제1홈(31-1)이 형성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1돌기(3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1)은 베젤(30)의 플랜지(32)에 제1돌기(31-2)가 형성되어 있고,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에 제1홈(31-1)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2)는 베젤(30)의 플랜지(32)에 제1홈(31-1)이 형성되어 있고,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에 제1돌기(31-2)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베젤(30)이 케이스(10)에 장착되는 경우, 제1돌기(31-2)는 제1홈(31-1)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베젤(30)이 케이스(10)에서 분리되는 경우, 제1돌기(31-2)는 제1홈(31-1)에서 이탈될 수 있다.
착용자는 제1돌기(31-2)가 제1홈(31-1)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베젤(30)을 원주 방향으로 돌려 장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돌기(31-2)와 제1홈(31-1)에 의해, 베젤(30)이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나아가 제1돌기(31-2)와 제1홈(31-1)이 끼임 결합을 함으로써, 베젤(3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돌기(31-2)와 제1홈(31-1)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돌기(31-2)가 베젤(30)의 플랜지(32)에 형성된 경우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를 향하여(외측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돌기(31-2)가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에 형성된 경우 베젤(30)의 플랜지(32)를 향하여(내측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제1돌기(31-2)가 제1홈(31-1)에 수용될 때나 제1돌기(31-2)가 제1홈(31-1)으로부터 이탈할 때, 제1돌기(31-2)과 제1홈(31-1)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도 8의 (3)은, 패킹 부재(80)에 의해 베젤(3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 경우, 패킹 부재(80)는 링 형태일 수 있고, 러그 유닛(40)과 베젤(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비록 도 8의 (3)에서는 패킹 부재(80)가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와 베젤(30)의 플랜지(32) 사이에 배치된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패킹 부재(80)는 제1 내지 제4러그(41,42,43,44)의 제1 내지 제4본체(41-1,42-1,43-1,44-1)와 베젤(30)의 플랜지(32)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4), 도 8의 (5) 및 도 8의 (6)은, 마그네트 유닛(90)의 자기력에 의해 베젤(30)을 가이드하고 고정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를 위해, 베젤(30)의 플랜지(32)와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마그네트(9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마그네트(91)는 단일의 마그네트로, 베젤(30)의 플랜지(32)에 배치되거나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4)는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에 제1마그네트(91)가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베젤(30)의 플랜지(32)에서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와 대향하는 부분은 자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마그네트(91)의 적어도 일부는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에서 베젤(30)의 플랜지(32)와 대향하는 부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는 제1마그네트(91)와 자성 물질의 인력에 따라, 베젤(30)을 원주 방향으로 돌려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제1마그네트(91)와 자성 물질의 인력에 의해 베젤(3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8의 (5)는 베젤(30)의 플랜지(32)에 제1마그네트(91)가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제1러그(41)의 제1본체(41)에서 베젤(30)의 플랜지(32)와 대향하는 부분은 자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마그네트(91)의 적어도 일부는 베젤(30)의 플랜지(32)에서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와 대향하는 부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는 제1마그네트(91)와 자성 물질의 인력에 따라, 베젤(30)을 원주 방향으로 돌려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제1마그네트(91)와 자성 물질의 인력에 의해 베젤(3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마그네트(91)는 2개의 마그네트로 베젤(30)의 플랜지(32)와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마그네트(91)는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에 배치되는 제1-1마그네트(91-1)와 베젤(30)의 플랜지(32)에 배치되는 제1-2마그네트(9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6)은 베젤(30)의 플랜지(32)와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 모두에 제1마그네트(91)가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베젤(30)이 케이스(1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1마그네트(91-1)의 N극과 제1-2마그네트(91-2)의 S극은 상호 대향할 수 있고, 제1-1마그네트(91-1)의 S극과 제1-2마그네트(91-2)의 N극은 상호 대향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자는 제1-1마그네트(91-1)와 제1-2마그네트(91-2)의 인력에 따라, 베젤(30)을 원주 방향으로 돌려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제1-1마그네트(91-1)와 제1-2마그네트(91-2)의 인력에 의해 베젤(3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베젤(30)과 러그 유닛(40)이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작되어 비자성을 띄는 경우, 제1-1마그네트(91-1)를 제1러그(41)의 제1본체(41-1)의 내부에 내장하고 제1-2마그네트(91-2)를 베젤(30)의 플랜지(32)의 내부에 내장하여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 및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손목 시계(1)의 다양한 전자 부품(일 예로, 디스플레이부, 베젤 등)을 제어하거나, 외부(분리된 베젤, 스마트 폰 등)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케이스(10)의 내부에 내장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목 시계(2)의 다른 실시예는 제1러그(41)와 제2러그(42)가 연결되어 단일의 부재로 존재할 수 있고, 제3러그(43)와 제4러그(44)가 연결되어 단일의 부재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러그(41)와 제2러그(42)를 연동하고, 제3러그(43)와 제4러그(44)를 연동하기 위한 샤프트 유닛(70)은 생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2: 손목 시계
10: 케이스
10-1: 버튼
10-2: 밴드
20: 디스플레이부
30: 베젤
40: 러그 유닛
50: 핀 유닛
60: 탄성 유닛
70: 샤프트 유닛
80: 패킹 부재
90: 마그네트 유닛

Claims (10)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1러그; 및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장착 및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제1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에는 무선 통신 칩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러그와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1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베젤을 상측으로 미는 제1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핀을 수용하는 제1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러그와 상기 케이스의 힌지 결합의 회전축과 상기 제1러그와 상기 제1핀의 힌지 결합의 회전축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에 수용되고, 상기 제1러그를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중심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링과, 상기 베젤의 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그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본체와,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는 제1-1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그의 제1본체와 상기 베젤의 플랜지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분 중 하나에는 제1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1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젤이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1홈에 수용되고,
    상기 베젤이 상기 케이스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1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중심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링과, 상기 베젤의 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그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본체와,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는 제1-1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그의 제1본체와 상기 베젤의 플랜지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분 사이에는 패킹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중심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보다 위로 돌출되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젤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링과, 상기 베젤의 링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그는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본체와,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는 제1-1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러그의 제1본체와 상기 베젤의 플랜지에서 상호 대향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1마그네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그네트는 상기 제1러그의 제1본체에 배치되는 제1-1마그네트와, 상기 베젤의 플랜지에 배치되는 제1-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젤이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1마그네트의 N극과 상기 제1-2마그네트의 S극은 상호 대향하고, 상기 제1-1마그네트의 S극과 상기 제1-2마그네트의 N극은 상호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2러그와,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3러그와, 상기 케이스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와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4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젤은 상기 제1러그와 상기 제2러그와 상기 제3러그와 상기 제4러그의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러그와 상기 제2러그를 연결하여 상기 제1러그와 상기 제2러그의 회전을 연동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제3러그와 상기 제4러그를 연결하여 상기 제3러그와 상기 제4러그의 회전을 연동하는 제2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
KR1020180043027A 2018-04-13 2018-04-13 러그를 이용하여 베젤이 장착 및 분리되는 손목 시계 KR10207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027A KR102070054B1 (ko) 2018-04-13 2018-04-13 러그를 이용하여 베젤이 장착 및 분리되는 손목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027A KR102070054B1 (ko) 2018-04-13 2018-04-13 러그를 이용하여 베젤이 장착 및 분리되는 손목 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718A true KR20190119718A (ko) 2019-10-23
KR102070054B1 KR102070054B1 (ko) 2020-01-28

Family

ID=6846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027A KR102070054B1 (ko) 2018-04-13 2018-04-13 러그를 이용하여 베젤이 장착 및 분리되는 손목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622A1 (en) * 2020-06-04 2021-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etachable ornamental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8203B (zh) * 2020-02-27 2021-07-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93U (ja) * 1991-05-15 1994-04-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時計のベゼル固定装置
JPH07146380A (ja) * 1993-04-20 1995-06-06 Blancpain Sa 取り外し可能なベゼルを用いた時計ケース
JPH10282256A (ja) * 1997-04-04 1998-10-23 Seiko Instr Inc 回転ベゼル付時計外装
JP2002098780A (ja) * 2000-09-26 2002-04-05 Casio Comput Co Ltd 電子腕時計
KR200295408Y1 (ko) 2002-08-19 2002-11-18 손욱 탈착이 가능하고 색상을 띤 커버 및 베젤을 갖는 손목시계
JP2015108512A (ja) * 2013-12-03 2015-06-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転ベゼル付時計
WO2015158014A1 (zh) * 2014-04-18 2015-10-22 天津华宁电子有限公司 一种矿用手自一体式电磁先导阀
KR20150126116A (ko) 2014-05-02 2015-11-11 김귀탁 교체 가능한 패션 시계
KR101662617B1 (ko) 2015-05-19 2016-10-06 오영권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20170072769A (ko) * 2016-04-27 2017-06-27 오영권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93U (ja) * 1991-05-15 1994-04-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時計のベゼル固定装置
JPH07146380A (ja) * 1993-04-20 1995-06-06 Blancpain Sa 取り外し可能なベゼルを用いた時計ケース
JPH10282256A (ja) * 1997-04-04 1998-10-23 Seiko Instr Inc 回転ベゼル付時計外装
JP2002098780A (ja) * 2000-09-26 2002-04-05 Casio Comput Co Ltd 電子腕時計
KR200295408Y1 (ko) 2002-08-19 2002-11-18 손욱 탈착이 가능하고 색상을 띤 커버 및 베젤을 갖는 손목시계
JP2015108512A (ja) * 2013-12-03 2015-06-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転ベゼル付時計
WO2015158014A1 (zh) * 2014-04-18 2015-10-22 天津华宁电子有限公司 一种矿用手自一体式电磁先导阀
KR20150126116A (ko) 2014-05-02 2015-11-11 김귀탁 교체 가능한 패션 시계
KR101662617B1 (ko) 2015-05-19 2016-10-06 오영권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KR20170072769A (ko) * 2016-04-27 2017-06-27 오영권 블루투스헤드셋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시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622A1 (en) * 2020-06-04 2021-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etachable ornamental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054B1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1508B1 (en) Wearable smart device
US20190368608A1 (en) Gasket for smartwatch cover
EP2937744B1 (en) Wearable device
US7946758B2 (en) Modular movement that is fully functional standalone and interchangeable in other portable devices
KR102514733B1 (ko) 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436163B2 (en) Locking pins for a wearable device
KR101548465B1 (ko) 스마트 워치용 배터리 장치
KR102070054B1 (ko) 러그를 이용하여 베젤이 장착 및 분리되는 손목 시계
KR102239820B1 (ko) 보호 커버
CA3023065A1 (en) Module-driven smartwatch
WO2014134497A1 (en) Wearable mobile device
CN103869683B (zh) 内装部件的定位结构、钟表以及内装部件的定位方法
CN109643084B (zh) 可转换智能手表
KR20160123936A (ko) 스마트 와치
KR20150081213A (ko) 보호 커버
TW201637376A (zh) 具有可替換功能單元的模組化穿戴式智慧帶
CN108351616A (zh) 电子设备和操作这种电子设备的方法
CN203299524U (zh) 一种磁指示手表
CN103293939A (zh) 一种磁指示手表
US9787346B2 (en) Configurable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70003710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102588809B1 (ko) 회전 가능한 부재의 유동 제한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5489256B1 (ja) 操作ボタン誤操作防止具および電子機器
KR20160090008A (ko) 전자기기
WO2022042097A1 (zh) 智能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