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008A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008A
KR20160090008A KR1020150009734A KR20150009734A KR20160090008A KR 20160090008 A KR20160090008 A KR 20160090008A KR 1020150009734 A KR1020150009734 A KR 1020150009734A KR 20150009734 A KR20150009734 A KR 20150009734A KR 20160090008 A KR20160090008 A KR 20160090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rotating
case
main body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훈
현영진
박홍석
이상진
송수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0008A/ko
Publication of KR2016009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밴드; 양측에 상기 밴드의 단부가 끼워지는 밴드 체결부를 구비하며, 전면에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을 적어도 일면에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외주면 중 일부를 감싸며,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결합되는 이동핀; 및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에 내부에 끼워지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핀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회전시킨다.

Description

전자기기{A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모듈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 중 항상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손목에 차는 이동 단말기나 안경처럼 쓸 수 있는 이동 단말기와 같이 사용자가 악세사리처럼 착용가능한 웨어러블 이동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 중 워치형 단말기는 본체부의 양 단부에 사용자에 손목에 감기는 줄이 각각 결합되어 손목시계와 유사한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중 상면에는 사용자가 모니터 하는 내용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구비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워치형 단말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도록 본체 및 줄로 구성된 디자인으로 정형화되어,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기에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 예를 들면, 본체의 일면에만 디스플레이모듈이 구비되므로 본체의 배면 활용도가 떨어지는 점, 외형을 변형시킴으로써 단말기를 조작하는 UI(User interface)등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체를 뒤집을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밴드; 양측에 상기 밴드의 단부가 끼워지는 밴드 체결부를 구비하며, 전면에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을 적어도 일면에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외주면 중 일부를 감싸며,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결합되는 이동핀; 및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에 내부에 끼워지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핀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회전시키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디스플레이모듈의 상면 및 하면이 바뀌도록 디스플레이모듈을 뒤집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디스플레이모듈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다른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아날로그 시계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전자기기에서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을 회전시키기므로, 조작이 쉽고 제품의 조립공정도 간단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모듈의 배면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핀과 이동핀의 결합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시도.
도 6은 회전부와 회전핀이 회전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모듈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제 2 회전부와 제 3 회전부를 분리시킨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제 1 회전부와 제 2 회전부를 분리시킨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기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기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손목에 감겨 시계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단말기의 기능을 갖는 워치형 단말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기기(1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기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기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기기(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기기(10)와 다른 전자기기(10) 사이, 또는 전자기기(1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기기(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는 터치 센서(125)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기기(1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기기(1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기기(1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1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기기(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기기(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기기(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기기(1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기기(1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기기(1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기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IC를 포함하며, 대표적인 IC로 AP(application processor)을 들 수 있다. AP는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연산 및 제어를 담당하고 있으며, 각 부품의 제어를 위해 AP이외에 복수개의 IC를 포함할 수 있다. IC는 기판 위에 실장되어 기판상에 구현된 회로를 통해 신호를 주고 받으며 각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기기(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기기(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기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10)는 길이방향으로 곡면을 포함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하는 밴드(130)를 포함하며, 힌지핀(139)을 이용하여 본체(100)와 탈부착될 수 있다.
밴드(130)는 강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된 경우 곡면 형태로 형성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손목에 감겨 착용이 가능하다. 밴드(130)의 내부에는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전장부가 제공되며, 상기 전장부에 밴드기판(185),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및 안테나(미도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밴드기판(185)은 휘어지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밴드기판(185)은 단단한 소재의 기판이 복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플렉서블 기판이 개재될 수도 있고, 상기 밴드기판(185) 전체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밴드기판(185)은 밴드(130)에 실장된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출력부(254) 및 무선통신부(110) 등을 제어하는 IC(미도시)가 실장되고, IC(미도시)는 본체(100)와 연결된 경우 본체(100)도 제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및 안테나(117) 등은 밴드기판(185)과 별도로 밴드(130)에 실장될 수도 있으나, 밴드기판(185)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밴드(13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하는 밴드기판(185)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도 있고, 양 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밴드기판(185)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분리되어 있더라도, 밴드(130)의 단부가 본체(100)와 연결되거나, 밴드(13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분리된 밴드기판(185)은 연결될 수 있다.
일측의 밴드기판(185)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IC(미도시)가 위치하고, 외장 배터리(191)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가 위치할 수 있다. 타측의 밴드기판(185)에는 마이크(122), 안테나(117), IC(미도시) 및 내장 배터리(193)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배치는 변경 가능하며, 상기 구성 이외에 더 많은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밴드(130) 단부에 밴드(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릿(132)이 위치하며, 본 실시예에서 슬릿(132)은 밴드(130)의 양 단부에 하나씩 형성되며 슬릿(132)에 의해 밴드(130)의 양 단부는 2개의 분할단부(133)로 구획된다. 상기 슬릿(132)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분할단부(133)의 개수도 증가한다.
밴드(130)가 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분할단부(133)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할단부(133)는 밴드(130)의 두께방향으로 상하로 휘어질 수 있으며, 슬릿(132)에 의해 구획된 분할단부(133)는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밴드(130)의 단부, 즉 분할단부(133)의 측면에서 너비방향으로 연장된 체결홀(134)을 더 포함한다. 본체(100)와 체결을 위해 힌지핀(139)이 상기 체결홀(134)에 체결된다. 본체(100)은 상기 힌지핀(139)이 관통하는 힌지홀(101b)을 포함한다.
밴드(130)를 관통하는 힌지핀(139)은 도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홀(134)과 힌지홀(101b)의 내측에 위치하는 접속링(188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링(188a)은 밴드(130)의 체결홀(134) 내측에 구비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링 형태의 부재로 상기 접속링(188a)의 단부는 밴드(130)에 실장된 밴드기판(185)과 연결된다.
상기 본체(100)는 전면 및 후면에 시간 눈금과 시간을 가리키는 시침 초침등을 포함하는 시계 문자판 또는 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모듈(151)와, 전면에 홀(101c)을 구비하며 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안착되는 케이스(10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별도의 케이스를 통해 상기 시계 문자판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와, 상기 전자기기(10)의 제어를 위한 회로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전면 및 후면을 형성하는 윈도우(151a)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해된다. 즉, 상기 디세플레이모듈(151)의 전면(151a)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배면(151b, 도 3b 참조)에는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기계식 시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식 시계로는 방사상으로 숫자가 시계 방향으로 배치되며, 시침과 분침을 통해 시각을 가리키는 아날로그 시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에는 상기 밴드(130)와 상기 힌지핀(139)을 통해 결합되는 밴드 체결부(101a)를 양측에 구비된다. 밴드 체결부(101a)는 밴드(130)의 너비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의 밴드(130) 체결돌기와 상기 밴드(130) 체결돌기에 형성된 힌지홀(101b)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홀(101b)에 힌지핀(139)이 삽입되어 본체(100)와 밴드(130)가 체결된다.
상기 본체(100)은 통상의 손목시계 기능만 하는 시계본체일 수 있다. 통상의 시계도 시계의 줄을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밴드 체결부(101a)를 구비하며, 상기 밴드 체결부(101a)의 상기 힌지홀(101b)에 상기 힌지핀(139)을 이용하여 상기 밴드(130)를 교체할 수 있는 바, 통상의 본체(100)에도 본 발명의 스마트 팔찌를 체결할 수 있다.
별도의 전자부품가 실장되지 않은 디스플레이모듈(151)의 경우라도 시계 문자판의 구동을 위해 상기 배터리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시계 문자판의 구동에만 이용할 수 있고, 상기 밴드(130)에 구비된 전자 부품의 구동 및 디스플레이부가 추가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구동은 밴드(130) 자체에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1)의 측면에는 상기 배터리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107)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51)은 통상의 시계로 이용할 때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정보를 디스플레이모듈(151)을 통해 출력할 때에만 불투명/반투명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터치센서를 더 구비하여 입력 및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모듈(151) 자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된 경우 상기 전자 부품들 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힌지홀(101b) 내측에도 접속링(188a)이 구비되어 상기 접속링(188a)을 통해 본체(100) 내부의 회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와 상기 밴드(130)가 연결됨으로써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디스플레이 기능만 구비된 경우 상기 밴드(130)를 연결하면 상기 밴드(130)에 구비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이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통화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상기 밴드(130)에 구비된 음향출력모듈(152)를 통해 음향정보도 함께 출력가능하다.
밴드(130)의 단부를 통해 본체(100)와 연결하는 것 이외에 힌지핀(139)을 통해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컴퓨터와 같은 외부 단말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1)의 일측에는 버튼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부(170)는 상기 케이스(101)의 측면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통해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로 끼워져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버튼부(170)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시침과 분침의 조절이나, 상기 전자기기(10)가 워치형 단말기 일 경우, 전원의 온오프, 화면 활성화, 기타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써 기능하는 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버튼부(170)는 상기 케이스(101)의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의해 조작되는 몸체부(171)와, 상기 몸체부(171)에 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에 끼워지는 삽입부(17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1)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단차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03)는 상기 내주면 중 상기 케이스(101)의 후면 측 내주면이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돌출되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차부(103)를 기준으로 상기 단차부(103)의 전방 측 내주면은 상기 단차부(103)의 후방 측 내주면에 비해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03)의 상면에는 후방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에 후술할 회전핀(1010)이 안착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1)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안착되는 안착부(104)가 상기 케이스(101)의 원주로부터 중심을 향해 연장되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104)의 전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배면이 안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배면이 사용자의 손목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핀과 이동핀의 결합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시도 이며, 도 6은 회전부와 회전핀이 회전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차부(103)에는 회전핀(1010)이 안착된다. 상기 회전핀(1010)은 중앙에 홀을 갖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핀(1010)의 상면에는 톱니(10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170) 중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에 끼워지는 삽입부(17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을 회전시키는 이동핀(1020)이 끼워진다. 상기 이동핀(1020)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외주면 중 일부를 감싸며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버튼부(130)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이동핀(1020)은 상기 케이스(101)의 내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호 형상으로 복수로 구비되는데, 도 5를 기준으로 3시부터 6시까지 대략 90도의 중심각을 이루는 호형상의 제 1 이동핀(1020)과 9시부터 12시까지 대략 90도의 중심각을 이루는 호형상의 제 2 이동핀(104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이동핀(1020)과 상기 제 2 이동핀(1040)은 케이스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여 배치된다.
상기 이동핀(1020)은 상기 제 1 이동핀(1020)을 기준으로 몸체(1021)와, 상기 몸체(1021)의 일단에서 중앙에 상기 버튼부(170)의 삽입부(172)가 끼워지는 홀(1024)이 형성되는 회전부(1022)와, 상기 몸체(1021)의 타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와 결합되는 결합부(1026)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핀(1020)의 몸체의 재질은 탄성 변형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026)는 상기 몸체(1021)의 내면에서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외측면에 형성된 홀(미도시)에 끼워지며 상기 이동핀(1020)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1022)의 내주면 및 상기 삽입부(172)의 외주면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버튼부(170)의 삽입 정도에 따라 단차홈 및 돌기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17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부(1022)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1022)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핀(1010)의 상면에 형성된 톱니(1012)에 맞물리도록 기어부(102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10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핀(1010)이 함께 회전되고, 상기 회전핀(1010)의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 2 이동핀(1040)의 회전부(1022)도 상기 회전핀(1010)의 톱니(1012)에 맞물리며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171)의 회전과 함께 상기 회전부(1022)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핀(1010)이 회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핀(1010)의 회전에 따라 반대편에 있는 제 2 이동핀(1040)도 함께 회전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상, 하면을 뒤집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시도 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일면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는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시계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전면 또는 후면을 상기 전자기기(10)의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반대면을 상기 케이스(101)에 전면에 배치하길 원할 경우, 먼저 상기 버튼부(17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세히, 도 7을 기준으로 상기 버튼부(17)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이동핀(1020)은 상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 1 이동핀(1020)의 회전부(10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핀(1010)이 회전되며 상기 제 2 이동핀(1040)도 상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이동핀(1020) 및 제 2 이동핀(1040)에 결합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1)의 전방으로 빠져나와 전면과 후면이 뒤집어지며 회전된다.
한편, 상기 이동핀(1020)의 몸체(1021)는 탄성 변형 소재로 제작되므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상기 케이스(101)에서 완전히 빠져나온 상태에서는 변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계속 상기 버튼부(17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핀(1020)의 몸체(1021)는 부채꼴의 호 형상으로 복원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전면 및 후면이 바뀐 상태로 상기 케이스(101)의 내주면에 안착된다.
최초에는 상기 제 1 이동핀(1020)과 제 2 이동핀(1040)은 3시에서 6시 사이, 9시에서 12시 사이의 케이스(101)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었다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을 전, 후면을 뒤집을 경우 상기 제 1 이동핀(1020)과 제 2 이동핀(1040)은 12시에서 3시사이, 6시에서 9시 사이로 상기 케이스(101)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한편, 사용자는 다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을 뒤집을 경우에는 이전과 반대로 상기 버튼부(17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회전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회전 시 상기 케이스(101)의 전면에 배치되는 면이 기계식 시계 면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배면을 활성화 함으로써 상기 기계식 시계의 둘레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어두운 공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배면을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아날로그 시계를 확인하기 위한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 중 상기 케이스(101)의 전면에 배치되는 면에만 동작을 활성화하고, 상기 케이스(101)의 배면에 배치되는 면에 구동은 정지시킴으로써 배터리를 절약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시도 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 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모듈의 결합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디스플레이모듈의 회전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20)는 적어도 일면에 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이 배치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듈(200)과, 상기 회전 모듈(2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감기는 밴드(1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300)는 제 1 실시 예의 본체(100)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상기 본체(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전 모듈(200)을 통해 상기 본체(300) 자체가 회전된다.
상기 회전 모듈(200)은 일면이 상기 케이스(101)의 외면상에 형성된 결합부(101e)와 결합되는 제 1 회전부(210)와, 일단이 상기 제 1 회전부(210)의 타면에 형성되는 홈(212)의 내주면 일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회전부(220)와, 상기 제 2 회전부(220)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밴드(130)가 끼워지는 홈(231)이 형성되는 제 3 회전부(2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회전부(210)는 상기 본체(300)와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300)의 외면 중 일부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회전부(210) 일면 중심에는 제 1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1)의 외면상에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101e)의 상면에도 상기 제 1 홀에 대응되는 제 2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나사가 상기 제 1 홀과 제 2 홀에 각각 끼워져 상기 제 1 회전부(210)와 상기 본체(300)를 결합시킨다(도 15참조). 따라서, 상기 본체(300)는 상기 제 1 회전부(21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부(210)의 타면에는 상기 제 2 회전부(220) 및 제 3 회전부(230)가 끼워지는 끼움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회전부(220)는 일단이 상기 제 1 회전부(210)의 끼움홈(212)의 내주면 일측에 힌지 결합(미도시)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회전부(220)는 일단이 상기 끼움홈(212)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끼움홈(212)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부(220)의 타단은 상기 제 3 회전부(230)의 일단과 힌지 결합(222)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회전부(220)는 상기 제 3 회전부(23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3 회전부(230)의 일면에는 내부를 향하여 함몰 형성되는 홈(231)이 구비되고, 상기 홈(231)의 내주면에는 상기 힌지핀(139)이 관통하는 힌지홀(101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회전부(230)의 홈(231)에 상기 밴드(130)가 결합된다.
상기 제 2 회전부(220) 및 제 3 회전부는 상기 제 1 회전부(210)의 내부에 형성된 끼움홈(212)에 끼워졌다가 상기 본체(300)를 뒤집을 경우 상기 끼움홈(212)에서 이탈되며 각각 상대 회동 된다.
한편, 상기 제 1 회전부(210)와 상기 제 2 회전부(220)와 상기 제 3 회전부(230)가 서로 접촉되는 면에는 재질을 자성체로 두어 상호 자력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회전부(210)와 상기 제 2 회전부(220)가 접촉되는 면과, 상기 제 2 회전부(220)와 상기 제 3 회전부(230)가 접촉되는 면에 자력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각각의 회전부(210, 220, 230)가 분리될 경우 분리되는 회전부가 예측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회전부(210)와 상기 제 2 회전부(220)사이의 자력은, 상기 제 2 회전부(220)와 상기 제 3 회전부(230) 사이의 자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회전모듈(200)이 서로 자력 및 힌지로 인해 결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본체(300)를 회전시킬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호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30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제 2 회전부와 제 3 회전부를 분리시킨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제 1 회전부와 제 2 회전부를 분리시킨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본체(300)를 회전시켜 상기 본체(300)의 상면을 하면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본체(300)의 하면을 상면으로 이동시킬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300)의 하면 중 일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회전부(220)와 제 3 회전부(230)의 자력이 해제되며 상기 제 2 회전부(220)는 도 14와 같이 상기 제 3 회전부(230)와 힌지(222)에 의해 상대 회전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해 상기 제 2 회전부(220)와 상기 제 1 회전부(210)의 자력을 해제시키면, 도 15와 같이 상기 제 1 회전부(210)와 상기 제 2 회전부(220)도 상대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본체(300)를 상기 제 1 회전부(210)에 대하여 회전 시킬 수 있고, 상기 본체(300)를 뒤집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는 본체와 손목간에 거리가 짧기 때문에 회전시킬 수 없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20)는 상기 본체(300)가 사용자의 손목에서 상승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본체(300)가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1 회전부(210)와 상기 제 2 회전부(220) 및 제 3 회전부(230)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져 상호간에 결합이 해제될 수 있도록 몸체의 일부가 함몰되는 함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함몰홈을 통해 각 회전부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0)의 상, 하면이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뒤집어진 경우, 각 회전부의 접촉면에 접촉되는 동작만으로도 자력에 의해 결합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밴드;
    양측에 상기 밴드의 단부가 끼워지는 밴드 체결부를 구비하며, 전면에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을 적어도 일면에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외주면 중 일부를 감싸며,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결합되는 이동핀; 및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에 내부에 끼워지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핀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회전시키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핀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에 결합되는 제 1 이동핀과, 상기 제 1 이동핀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중심에 대해 대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2 이동핀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핀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외주면을 감싸는 호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회전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배치되며, 내면 중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여 상기 몸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단차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차부에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부에 맞물려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2 이동핀을 이동시키는 링 형상의 회전핀이 안착되는 전자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핀의 상면에는 상, 하 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톱니에 맞물리도록 기어부가 형성되는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핀의 재질은 탄성 변형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일면에는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시계가 구비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전자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버튼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핀과 상기 제 2 이동핀이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다시 끼워짐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뒤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내부에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모듈이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듈; 및
    상기 회전 모듈에 단부가 끼워져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모듈은
    상기 본체가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면 중 일부와 결합되는 제 1 회전부;
    일단이 상기 제 1 회전부에 형성된 끼움홈의 내주면 일측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회전부; 및
    상기 제 2 회전부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밴드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는 제 3 회전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부 및 제 3 회전부는,
    상기 제 1 회전부에 형성된 홈의 내부에 끼워졌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홈에서 이탈되며 각각 상대 회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부와 상기 제 2 회전부, 상기 제 3 회전부는,
    자력을 통해 상호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부와 상기 제 2 회전부 사이의 자력은, 상기 제 2 회전부와 상기 제 3 회전부 사이의 자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부에서 상기 본체와 접촉되는 면에는 상기 면을 관통하여 제 1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를 관통하여 제 2 홀이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제 1 홀 및 제 2 홀에 각각 끼워져 상기 본체를 상기 제 1 회전부에 대하여 상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나사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며, 사용자에 의해 푸쉬 또는 회전 조작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일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면 중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밀어내기 위한 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끼움부의 단부 사이의 길이는, 상기 파지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의 단부 사이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일면에는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아날로그 시계가 구비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전자기기.
KR1020150009734A 2015-01-21 2015-01-21 전자기기 KR20160090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734A KR20160090008A (ko) 2015-01-21 2015-01-21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734A KR20160090008A (ko) 2015-01-21 2015-01-21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008A true KR20160090008A (ko) 2016-07-29

Family

ID=56617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734A KR20160090008A (ko) 2015-01-21 2015-01-21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00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3084A (zh) * 2016-10-25 2019-04-16 金承栽 可转换智能手表
CN114690608A (zh) * 2020-12-29 2022-07-01 诺斐有限公司 具有可逆表壳的钟表
CN115236964A (zh) * 2022-07-25 2022-10-25 歌尔科技有限公司 腕戴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3084A (zh) * 2016-10-25 2019-04-16 金承栽 可转换智能手表
CN109643084B (zh) * 2016-10-25 2021-02-23 金承栽 可转换智能手表
CN114690608A (zh) * 2020-12-29 2022-07-01 诺斐有限公司 具有可逆表壳的钟表
EP4023100A1 (en) * 2020-12-29 2022-07-06 Nove Limited Reversible timepiece
US11754977B2 (en) 2020-12-29 2023-09-12 Nove Limited Timepiece with reversible watch case
CN114690608B (zh) * 2020-12-29 2024-05-17 诺斐有限公司 具有可逆表壳的钟表
CN115236964A (zh) * 2022-07-25 2022-10-25 歌尔科技有限公司 腕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913B1 (ko) 스마트 팔찌
EP3291045B1 (en) Wearable smart device
CN106210185B (zh) 移动终端
KR101595384B1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KR20170037050A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및 무선충전장치
US20090143117A1 (en) Mobile terminal
JP2009544193A (ja) 携帯型モジュール式多機能通信装置
US9411456B2 (en) Embedded light-sensing component
CN103427224B (zh) 移动终端
KR20150081169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81249A (ko) 스마트 와치
KR101637368B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KR20160090008A (ko) 전자기기
KR20170006075A (ko) 이동 단말기
KR101659030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70028719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55577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70021147A (ko) 이동 단말기
KR20170142467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64489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170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조립방법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60100732A (ko) 전자기기
KR20150080705A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KR20160128701A (ko)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