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732A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732A
KR20160100732A KR1020150023604A KR20150023604A KR20160100732A KR 20160100732 A KR20160100732 A KR 20160100732A KR 1020150023604 A KR1020150023604 A KR 1020150023604A KR 20150023604 A KR20150023604 A KR 20150023604A KR 20160100732 A KR20160100732 A KR 20160100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ircuit board
fixing member
main body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충환
이용희
정태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0732A/ko
Publication of KR2016010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측면에 폭 방향을 따라 수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수용홈에 일 단부가 삽입되고,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갖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타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의 타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밴드, 및 상기 밴드와 체결부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는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인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밴드를 사용자가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전자기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전자기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전자기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중 하나인 와치 타입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손목시계처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데, 다양한 크기의 손목을 갖는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자의 손목 크기에 따라 밴드를 교체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밴드 교체를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공구 없이 밴드를 교체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측면에 폭 방향을 따라 수용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수용홈에 일 단부가 삽입되고,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갖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타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의 타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밴드, 및 상기 밴드와 체결부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는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인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절곡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밴드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탄성을 갖도록 상기 연장부를 향하여 일부가 절곡되며, 끝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는 상기 단턱이 형성되는 부분에서의 수용홈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핀(pin)이고, 상기 핀이 상기 밴드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밴드의 내부에 형성되는 서브 회로기판, 및 상기 수용부 및 고정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양단은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서브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다수의 전극을 가지는 지브라 타입(zebra typ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브 회로기판은 일부가 노출되는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의 전극이 상기 서브 회로기판의 전극에 접촉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는 다수의 전극이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의 전극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극이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는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제2 고정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반경(R)이 상기 수용부의 곡률반경(r)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에는 제2 고정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는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장부와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브 회로기판에는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식별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식별 모듈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식별 모듈 및 인식 모듈에 의해 밴드의 종류가 인식되면 상기 밴드의 종류와 관련된 기본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 없이 원하는 밴드로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체에 수용되는 체결부가 탄성을 가고, 수용홈에는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체결부가 수용홈에 삽입 및 인출되도록 하면서도 과도하게 쉽게 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체결부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관통홀을 통하여 노출되는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본체와 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지브라 커넥터(zebra connector)를 활용함으로써 단말기의 본체와 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밴드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다른 기본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게임, 멀티미디어 재생 등과 같은 기능에 최적화된 밴드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밴드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전자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측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체결부의 삽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절개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단면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체결부에 홈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체결부에 커넥터가 삽입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와 서브 회로기판과의 접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b 및 도 10c는 서브 회로기판의 전면 및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를 도 10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단면도이고, 도 12b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14c는 체결부의 개략도이고, 도 14d는 제2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전자기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전자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기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기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기기(100)와 다른 전자기기(100) 사이, 또는 전자기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전자기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전자기기 내 정보, 전자기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기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전자기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전자기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전자기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전자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전자기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기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기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전자기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기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전자기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기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전자기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전자기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전자기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전자기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전자기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기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전자기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2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기기(200)는 디스플레이부(251)를 구비하는 본체(201) 및 본체(2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2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200)는 도 1의 전자기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201a) 및 제2케이스(2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전자기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기기(2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2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의 윈도우(251a)는 제1 케이스(2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2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201)에는 음향 출력부(252), 카메라(221), 마이크로폰(222), 사용자 입력부(2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본체(201)의 측면에 사용자 입력부(223)가 구비된다.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부(2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이 사용자 입력부(223)를 대신하여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2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2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2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202)는 본체(2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2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202)에는 파스너(fastener; 2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2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2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기기와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는 길이방향으로 곡면을 포함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하는 밴드(202)를 포함하며, 고정부재(220)를 이용하여 본체(201)와 탈부착될 수 있다.
본체(201)는 통상의 손목시계 기능만 하는 시계 본체일 수 있으며, 스마트 와치와 같은 전자기기의 본체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전자기기는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밴드(202)는 강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된 경우 곡면 형태로 형성하거나,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목에 감겨 착용이 가능하다. 밴드(202)의 내부에는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전장부가 제공되며, 상기 전장부에 서브 회로기판(240),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 출력부(154) 및 안테나(미도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본체(201)는 전면에 시간 눈금과 시간을 가리키는 시침, 초침 등을 포함하는 시계 문자판(232)이 위치하고, 상기 밴드(202)와 상기 고정부재(220)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밴드(202)의 측면에 폭 방향을 따라 수용홈(205)이 형성되어 체결부(210)가 삽입된다.
만약, 별도의 전자부품이 실장되지 않은 본체(201)의 경우라도 시계 문자판(232)의 구동을 위해 배터리(292)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92)는 시계 문자판(232)의 구동에만 이용할 수 있고, 밴드(202)에 구비된 전자 부품의 구동 및 디스플레이부(251)가 추가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의 구동은 밴드(202) 자체에 구비된 배터리(293)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1)는 디스플레이부(251),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280)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292)를 구비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21)와 같은 구성이 본체(201)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통상의 시계로 이용할 때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해 출력할 때에만 불투명/반투명하게 변화될 수 있다. 윈도우(251a)에 터치센서를 더 구비하여 입력 및 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201) 자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된 경우 상기 전자 부품들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체결부(210)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201)와 상기 밴드(202)에 구비되는 서브 회로기판(2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체(201)와 밴드(202)가 연결됨으로써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01)에는 디스플레이 기능만 구비된 경우 밴드(202)를 연결하면 밴드(202)에 구비된 안테나(117)를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이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통화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밴드(202)에 구비된 음향출력모듈(152)를 통해 음향정보도 함께 출력가능하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251)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정보를 출력하기 전까지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정보를 출력할 때에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51) 전체가 불투명해질 수 있으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의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2511)만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되고 나머지 부분(2512)은 투명하게 되어 부분적으로 시계 문자판(232)이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부(251)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 문자판이 보이는 상태로 이용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부(251)를 투명하게 전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를 투명하게 전환하기 위한 아이콘(2513)이 디스플레이부(251) 상에 출력될 수도 있고, 물리적인 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51)를 투명하게 제어하여 투명 디스플레이부(251)의 배면에 위치하는 시계 문자판(232)이 보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를 도시한 평면도인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출력되는 정보(2514)의 투명도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51) 배면에 위치하는 시계 문자판(232)이 보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투명도를 제어하기 위해 화면상에 투명도 표시 바(2515)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밴드(202) 내부에 배터리(291)를 내장할 수도 있으나, 크기에 제한이 있으므로 교체 가능한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측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인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는 윈도우(251a) 및 디스플레이 모듈(251b)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안착되는 본체(201)와 상기 본체(201)의 양측에 연결되어 전자기기(2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도록 하는 밴드(2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01)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들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인쇄회로기판(280)이 구비되어 있으며, 배터리(292)가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51)를 이루는 윈도우(251a) 및 디스플레이 모듈(251b)은 본체(201)의 상측에 형성되어 내측을 향하여 리세스되는 리세스부(204)에 수용된다.
상기 본체(201)의 하부에는 커버(203)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01) 및 커버(203)에 의해 내부 공간을 한정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각종 전자부품들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커버(203)는 본체(201)의 배면을 덮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밴드(202)를 본체(201)에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 단부는 상기 본체(201)의 수용홈(205)에 삽입되고, 타 단부는 상기 밴드(202)에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210)를 상기 밴드(20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부재(220)가 필요하며, 고정부재(220)로는 일 예로 축 형상의 핀(pin)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202)에도 상기 고정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0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210)가 상기 본체(201)의 일측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201)의 일측에는 수용홈(20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부(210)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210)가 상기 본체(201)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용홈(205)의 크기는 상기 체결부(210)의 체결부위만큼 형성되는데, 보다 안정적으로 밴드(202)를 체결시키기 위하여는 상기 밴드(202)의 폭과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상기 체결부(210)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밴드(202)의 폭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210)는 플레이트의 일 단부(214)를 말아서 상기 고정부재(220)에 걸쳐진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타 단부는 상기 일 단부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밴드(20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의 중간 일 지점을 중심으로 절곡시키고, 절곡된 부분(211)은 상기 수용홈(205)에 삽입되고, 상기 일 단부(214)는 상기 삽입홈(206)에 삽입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체(201)의 양측으로 밴드(202)가 체결되기 때문에 도면부호를 상기 체결부(210), 고정부재(220) 및 밴드(202)에 대하여 어느 일측에만 표시하였으나, 체결부(210) 및 고정부재(220)에 의해 밴드(202)가 체결되는 부분은 대칭일 수 있다.
도 4의 부분확대도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210)는 일예로 클립(clip) 형상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체결부(210)는 상기 수용홈(205)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용홈(205)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201)에 체결되는 수용부(211)와, 상기 수용부(211)로부터 절곡되도록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져 밴드(202)에 닿도록 형성되는 연장부(212)와, 상기 연장부(212)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밴드(202)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206)에 삽입되어 상기 밴드(202)에 고정되는 고정부(214)와, 상기 수용부(211)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212)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212)를 향하여 일부가 절곡되는 탄성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211)는 상기 수용홈(205)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연장부(212)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220)의 길이보다 다소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본체(201)와 밴드(202)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부재(220)의 폭을 작게 하면 상기 고정부재(220)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201) 및 밴드(202)가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부(210)의 폭을 상기 고정부재(220)의 길이와 같거나 작게 한다. 또는, 상기 삽입홈(206)과 수용홈(205)의 폭과 같거나 작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213)는 상기 체결부(210)가 상기 수용홈(205)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용이하게 삽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탄성을 갖도록 한다.
반드시 탄성부(213)만 탄성을 갖는 것은 아니고, 체결부(210) 전체가 탄성을 갖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213)의 끝단은 자유단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213)가 상기 수용홈(205)에 삽입 또는 인출시에 텐션(tension)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213)는 상기 수용부(211)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부분(2132), 상기 제1 부분(2132)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는 제2 부분(2131), 및 상기 제2 부분(2131)으로부터 연장되어 자유단을 형성하는 제3 부분(21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213)의 제3 부분(2133)은 고정부(214)에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14)의 하부에까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214)가 원통 형상의 고정부재(220)의 외주 일부를 감싸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220)는 양단이 상기 삽입홈(206)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214)가 상기 고정부재(220)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체결부(210)의 타 단부를 밴드(202)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체결부(210)에 고정부재(220)가 결합된 형상의 사시도인데, 상기 고정부재(220)는 원통형이고, 양단에는 작은 돌기(221)가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밴드(202)에 형성되는 삽입홈(206)의 양측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삽입홈(206)의 양측에 작은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20)의 내부에는 스프링(spring)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220)가 보다 원활하게 상기 삽입홈(206)에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21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되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여러 단계에 걸쳐 구부림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부(210)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플레이트의 끝단에서 절곡시켜 고정부(214) 및 상기 고정부(214)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12)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다시 절곡시켜 수용부(211)를 형성한 다음, 수용부(211)의 끝단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다시 절곡시켜 탄성부(213)를 형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213)를 절곡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3 부분(2131,2132,213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3 부분(2133)은 상기 고정부(214)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214)가 고정부재(220)를 단단히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220)가 체결부(210)에 일체화된 것처럼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고정부재(220')가 체결부(2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에서의 고정부재(220')는 상기 체결부(210)와 동일한 틀에서 성형한 다음, 일부를 절곡시킴으로써 제작한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부(210) 및 고정부재(220)에 관통홀(215,216)이 형성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체결부(210)의 삽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체결부(210)가 밴드(202)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201)에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인출되는 과정은 삽입되는 과정의 반대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213)는 직선 형태의 연장부(212)를 향하여 돌출되어 절곡되는 제3 부분(2133)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용홈(205)에는 상기 제3 부분(2133)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턱(208)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3 부분(2133)은 상기 단턱(208)에 걸려 상기 체결부(21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205)의 내측의 높이(H1)는 상기 단턱(208)이 위치한 부분의 높이(H2)보다 크다. 상기 수용부(211)는 상기 연장부(212)와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11)가 상기 수용홈(205)으로 삽입되며, 상기 수용부(211)의 높이(H3)는 대략 상기 수용홈(205)의 내측의 높이(H1)와 같거나 수용홈(205)의 내측의 높이(H1)보다 작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210)가 수용홈(205)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턱(208)에 의해 상기 체결부(2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부(211)가 걸리게 된다. 상기 수용부(211)가 걸리게 되는 걸림력을 극복하도록 체결부(210)를 보다 강하게 밀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11)는 단턱(208)을 통과하게 된다. 계속하여 체결부(210)를 밀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205)의 내측에 형성되는 격벽(207)에까지 체결부(210)가 도달하게 되며, 상기 격벽(207)에 막혀 상기 체결부(210)는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격벽(207)은 본체(201)에 수용되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한정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213)는 상기 수용홈(205)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장부(212)를 향하여 탄성 변형을 하게 되고,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삽입되게 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변형된다. 도 6c에서는 제1 부분(2132)가 상기 단턱(208)에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d에서는 제2 부분(2131)이 단턱(208)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203) 중 상기 연장부(212)를 향하여 절곡되는 제2 부분(2131)이 단턱(208)에 걸쳐짐으로써 일단 상기 수용홈(205)에 상기 체결부(210)가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210)가 단턱(208)에 의해 외부로 쉽게 인출되지 않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절개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단면도로 밴드가 정지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7c는 도 7b에서 밴드(202)가 회전한 상태의 측면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홈(206)은 상기 고정부(214)가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3 부분(2133)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밴드(202)가 본체(20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 탄성부(213)가 밴드(202)에 걸리지 않게 된다. 즉, 도 7b에서와 같이 밴드(202)가 본체(201)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201)와 밴드(202)의 측면이 거의 접촉되는 상태에 있으며, 상기 탄성부(213)의 끝단, 즉 제3 부분(2133)은 고정부(214)와는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밴드(202)가 본체(201)를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체결부(210)는 단턱(208)에 걸려 외부에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고, 밴드(202)만 회전하면서 상기 제3 부분(2133)이 고정부(214)에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홈(206)을 고정부(214) 뿐만 아니라 제3 부분(2133)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밴드(202)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부분(2133)은 상기 고정부(214)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부분(2131)은 상기 단턱(208)으로부터 이격된다.
다만, 상기 탄성부(213)가 과도하게 노출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210)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201)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280)과 밴드(202)의 내부에 배치되는 서브 회로기판(2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체결부(210)에 관통홀(215,216)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체결부(210)에 커넥터(230)가 삽입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230)와 서브 회로기판(240)과의 접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일부를 도 10의 AA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210)의 전면 및 후면, 즉 수용부(211)와 고정부(214)에는 각각 제1 및 제2 관통홀(215,2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 체결부(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221')는 고정부재(220)의 끝단에 양측으로 돌출되어 앞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밴드(202)의 삽입홈(206)에 체결된다.
이때, 일부는 상기 체결부(2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215,216)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커넥터(230)를 배치하면, 상기 커넥터(230)가 본체(201)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280)에 접촉된다. 상기 커넥터(230)는 다수의 전극(231)을 갖는 지브라 커넥터(230,zebra connector)일 수 있으며, 전기적인 접촉을 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280)에도 다수의 전극(281)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230)와 인쇄회로기판(280)의 접촉에 의해 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밴드(202)에는 배터리(293) 또는 안테나(117) 등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들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서브 회로기판(240)이 밴드(202)에 내장된다. 나아가, 상기 밴드(202)에는 디스플레이(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밴드(202)는 제1 및 제2 밴드(202a,202b)로 구분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밴드(202)의 내부에 공간을 마련한다. 상기 밴드(20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서브 회로기판(240)은 인쇄회로기판(280)과 상기 커넥터(2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230)와 서브 회로기판(240)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상기 서브 회로기판(240)의 표면에 전극(241)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서브 회로기판(240)은 다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일 예로 절연층 상에 구리와 같은 도체가 배치되고, 상기 도체 상에 절연필름이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데, 상기 도체가 노출되도록 서브 회로기판(240)의 일부를 벗김으로써 전극(231)을 노출시킨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회로기판(240)의 상면 일부를 벗기면 도체 부분이 노출되는데, 이 부분을 전극(241)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회로기판(240)의 전극(241)은 커넥터(230)의 하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커넥터(230)의 하면에도 전극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기의 서브 회로기판(240)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서브 회로기판(240)은 휘어지는 성질을 가지며,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단한 소재의 기판이 복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플렉서블 기판이 개재될 수도 있고, 서브 회로기판(240) 전체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서브 회로기판(240)은 밴드(202)에 실장된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 출력부(154) 및 무선통신부(110) 등을 제어하는 IC(283)가 실장되고, IC(283)는 본체(201)과 연결된 경우 본체(201)도 제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 마이크(122), 광 출력부(154) 및 안테나(117) 등은 서브 회로기판(240)과 별도로 밴드(202)에 실장될 수도 있으나,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회로기판(240) 상에 실장될 수도 있다.
밴드(202)의 일측 및/또는 타측에 위치하는 서브 회로기판(2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브 회로기판(240)이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더라도, 밴드(202)의 단부가 본체(201)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분리된 서브 회로기판(24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회로기판(240)의 일면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광 출력부(154) 및 IC(283)가 위치할 수 있다. 서브 회로기판(240)의 타면에는 마이크(122), 안테나(117), IC(283) 및 내장 배터리(293)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배치는 변경 가능하며, 상기 구성 이외에 더 많은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202)가 본체(201)와 탈착 가능하므로 기존의 악세사리를 활용하여 그 기능을 확장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결합되는 본체(201)에 따라 다른 형태로 이용 가능하고 밴드만으로도 스마트 기기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280)의 단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B부분의 확대 사시도인데, 인쇄회로기판(280)은 대략 본체(201)의 단면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80)의 양측에는 다수의 전극(28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281)도 앞서 설명한 서브 회로기판(240)에서의 전극(241)과 마찬가지로 절연층이 벗겨진 상태로 도체 부분이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도체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2b에서 인쇄회로기판(280)의 측면에 형성되는 오목한 부분에 전극(281)이 형성된다. 다만, 반드시 전극(281)이 형성되는 부분이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될 필요는 없고, 상기 커넥터(230)의 전극(231)과 쉽게 접촉될 수 있으면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230)의 일측에서는 인쇄회로기판(280)과 측면에서 접촉이 이루어지고, 커넥터(230)의 타측에서는 서브 회로기판(240)의 전극(241)에 두께 방향으로 접촉이 이루어져, 상기 서브 회로기판(240)이 인쇄회로기판(2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서브 회로기판(240)의 전극(241)은 커넥터(230)에서의 전극(231)의 개수만큼 형성될 필요는 없고, 커넥터(230)의 전극(231) 다수가 서브 회로기판(240)의 전극(241) 하나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커넥터(230)의 다수의 전극(231) 중 일부만 접촉되더라도 안테나(117), 디스플레이 또는 배터리(293)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서브 회로기판(240)에 세 개의 전극(2411,2412,2413)을 형성하는 경우, 커넥터(230)에서의 전극 또한 다수의 전극이 제1 내지 제3 그룹(2311,2312,2313)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그룹(2311,2312,2313)에 속하는 전극들이 각각 안테나(117) 및 배터리(293)를 작동시키고, 밴드(202)의 종류를 인식하도록 하는 전극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그룹(2311)에 속하는 전극 중 하나만이라도 서브 회로기판(240)에 형성되는 안테나(117)를 작동시키는 전극(2411)과 접촉하면 안테나(117)가 작동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및 제3 그룹(2312,2313)에 속하는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씩의 전극이 서브 회로기판(240)에 형성되는 배터리(293)를 작동시키는 전극(2312)과, 밴드(202)의 종류를 인식하는 전극(2413)과 접촉된다면 배터리(293)를 작동시키거나, 밴드(202)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그룹(2311,2312,2313) 중 어느 하나가 밴드(202)가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그룹(2313)이 밴드(202)의 연결을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면, 본체(201)에는 밴드(202)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모듈(246)이 구비되고, 상기 밴드(202)에는 종류마다 다른 식별 모듈(247)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식별 모듈(247)이 전극(2413)에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식별 모듈(247)은 상기 밴드(202)에 대한 정보를 가진 칩(chip) 형태일 수 있으며, 이를 인식하는 인식 모듈(246) 또한 칩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본체(201)에 결합되는 밴드(202)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밴드(202)가 게임과 관련된 밴드인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에는 게임에 관련된 화면이 자동으로 기본 화면으로 표시되고, 음악 또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재생과 관련된 밴드인 경우에는 음악 또는 동영상 등의 재생을 위한 화면이 기본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또는, 헬스케어(health care)와 관련된 밴드인 경우에는 심박, 체온, 날씨 등과 관련된 화면이 기본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여러 종류의 밴드를 상기 본체(201)에 체결함으로써 기본 화면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밴드(202)의 종류에 따라 밴드(202) 및 서브 회로기판(240)에 구비되는 부품들의 종류가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밴드(202)가 게임과 관련된 밴드라면 밴드(202)에는 게임 캐릭터 또는 게임 화면 내의 특정 부분을 상, 하, 좌, 우로 이동시키는 방향키( 미도시)가 돔(dome)키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고, 서브 회로기판(240)에는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회로부(미도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밴드(202)가 멀티미디어 재생과 관련된 경우라면 상기 밴드(202)에는 음향 출력부(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구비되거나, 음향 출력홀(예를 들면, 이어폰 삽입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회로기판(240)에는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는 회로 또는 칩이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밴드(202)가 헬스케어와 관련된 경우에는 상기 서브 회로기판(240)에 심박센서, 체온센서, 온습도 센서 등이 배치되고, 이들을 제어하는 회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밴드(202)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에 기본 화면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체(201)와 밴드(202)에 구비되는 식별 모듈(247) 및 인식 모듈(246)에 의해 가능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한 디스플레이부(251)는 영상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때에는 시계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영상정보를 출력할 때에는 불투명해진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인데,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230)의 다수의 전극(231) 중 일부의 전극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51)와 상기 서브 회로기판(240)이 연결되거나 디스플레이부(251)가 장착된 본체(201)와 서브 회로기판(240)이 연결되면,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251)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251)를 이용한 출력기능을 활성화한다.
상기 본체(201)와 서브 회로기판(240)을 연결하는 전극(231)은 시그널 라인(signal line)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의 분해사시도인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10)에 제1 및 제2 관통홀(215,216)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210)에 커넥터(230)를 형성하는 구성은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커넥터(230)가 더 추가되고, 체결부(210)에 제1 및 제2 관통홀(215,216)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13에서는 커넥터(230)가 본체(201)의 일측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201)의 양측에 커넥터(2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브 회로기판(240)은 상기 밴드(202)의 일측 또는 양측에 분리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밴드(202)의 양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230)가 상기 본체(201)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 본체(201)의 일측에만 커넥터(23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20)와 체결부(210)는 분리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홈(205)에 제2 고정부재(222)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211)를 상기 제2 고정부재(222)를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밴드(202)를 상기 본체(201)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 고정부재(222)는 상기 고정부재(220)과 마찬가지로 양단에 돌출되는 돌기(22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05)의 양측면에는 상기 삽입홈(206)에서와 마찬가지로 작은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4b는 도 14a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4c는 체결부(210)의 단면도이고, 도 14d는 제2 고정부재(222)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제2 고정부재(222)가 추가된 전자기기(200)의 분해 사시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고정부재(222)를 상기 고정부재(220)와 유사하게 상기 본체(201)의 수용홈(205)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체결부(210)가 제2 고정부재(222)에 걸쳐진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수용홈(205)의 하부 공간이 앞선 실시예에서보다는 넓게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211)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재(222)를 감싸기 때문에 탄성부(233)는 없어도 되며, 수용홈(211)에 단턱(208)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수용부(211)가 제2 고정부재(222)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고정부재(222)의 반경(R)이 상기 수용부(211)가 형성하는 곡률반경(r)보다 크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체결부(211)가 상기 제2 고정부재(222)에 체결될 때 보다 견고하게 체결된다.
도 14에서는 커넥터(230)를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15에서와 같이 커넥터(230)를 배치할 수 있으며, 커넥터(230)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도 8에서와 같이 고정부재(220,222)는 상기 체결부(210)와 일체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30)는 본체(201)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201)의 타측에는 고정부재(220,222)가 체결부에 분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230)에 의한 인쇄회로기판(280)과 서브 회로기판(240)의 전기적인 연결은 앞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한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인데, 수용부(211)가 경사진 것을 제외하고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6에서와 같이 수용부(211)를 상기 연장부(212)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체결부(210)의 수용홈(205)에의 삽입 및 인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11)가 연장부(212)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경우에는 상기 단턱(208)에 의해 상기 수용부(211)와 탄성부(213)가 연결되는 부분(2132)이 걸려 체결부(210)를 상기 수용홈(205)에 삽입하거나 상기 수용홈(205)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러나,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수용부(211)와 연장부(212)가 이루는 각이 예각이 되도록 함으로써 수용부(211)와 탄성부(213)이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단턱(208)을 쉽게 넘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측면에 폭 방향을 따라 수용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수용홈에 일 단부가 삽입되고,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갖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타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의 타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밴드; 및
    상기 밴드와 체결부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는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인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절곡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밴드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탄성을 갖도록 상기 연장부를 향하여 일부가 절곡되며, 끝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부의 높이는 상기 단턱이 형성되는 부분에서의 수용홈의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핀(pin)이고, 상기 핀이 상기 밴드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밴드의 내부에 형성되는 서브 회로기판; 및
    상기 수용부 및 고정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양단은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서브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다수의 전극을 가지는 지브라 타입(zebra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회로기판은 일부가 노출되는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의 전극이 상기 서브 회로기판의 전극에 접촉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에는 다수의 전극이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의 전극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극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제2 고정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반경(R)이 상기 수용부의 곡률반경(r)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제2 고정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장부와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회로기판에는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식별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식별 모듈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모듈 및 인식 모듈에 의해 밴드의 종류가 인식되면 상기 밴드의 종류와 관련된 기본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50023604A 2015-02-16 2015-02-16 전자기기 KR20160100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604A KR20160100732A (ko) 2015-02-16 2015-02-16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604A KR20160100732A (ko) 2015-02-16 2015-02-16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732A true KR20160100732A (ko) 2016-08-24

Family

ID=5688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604A KR20160100732A (ko) 2015-02-16 2015-02-16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07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1253A (zh) * 2021-12-23 2022-02-25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
WO2023022396A1 (ko) * 2021-08-19 2023-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착탈 가능한 착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396A1 (ko) * 2021-08-19 2023-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착탈 가능한 착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14081253A (zh) * 2021-12-23 2022-02-25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
CN114081253B (zh) * 2021-12-23 2023-08-22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119B2 (en) Watch type terminal
US10061358B2 (en) Mobile terminal
US9629268B2 (en) Mobile terminal
US9665068B2 (en) Smart bracelet
US9729688B2 (en) Mobile terminal
KR101727512B1 (ko) 이동 단말기
CN110431829B (zh) 移动终端
EP2947539B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ystem having the same
KR20160139470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12497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00732A (ko) 전자기기
KR20160064489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51015A (ko) 와치 타입 단말기
KR20150144092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80705A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KR101587178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7974B1 (ko) 이동 단말기
KR101592942B1 (ko) 이동단말기
KR20160028800A (ko) 전자 디바이스
KR20150130821A (ko) 이동단말기
KR20160014908A (ko) 접속단자 모듈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57227A (ko) 와치 타입 단말기
KR20180067858A (ko) 이동 단말기
KR20180085262A (ko) 이동 단말기
KR20170124750A (ko) 접속부재 및 이동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