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467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467A
KR20170142467A KR1020160075972A KR20160075972A KR20170142467A KR 20170142467 A KR20170142467 A KR 20170142467A KR 1020160075972 A KR1020160075972 A KR 1020160075972A KR 20160075972 A KR20160075972 A KR 20160075972A KR 20170142467 A KR20170142467 A KR 20170142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nection
signal
unit
hous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964B1 (ko
Inventor
차영도
송현수
이봉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964B1/ko
Priority to US16/310,393 priority patent/US10804047B2/en
Priority to PCT/KR2016/006986 priority patent/WO2017217579A1/ko
Publication of KR20170142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바디, 제1 신호부, 제2 신호부, 그리고 신호연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연결 모듈은, 바디에 형성된 홀(hole)에 배치되어 홀을 차폐할 수 있다. 신호연결 모듈은, 제1 신호부와 제2 신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신호부는, 각종 회로기판이 될 수 있다. 제2 신호부는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 또는 안테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디에 형성된 홀(hole)을 방수하면서 홀을 사이에 둔 양 구성요소 사이에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방수 기능에 대한 요구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외측 구성에 대한 방수 기능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에 형성된 홀(hole)에 대한 방수 기능을 위한 구성이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디에 형성된 홀(hole)을 방수하면서 홀을 사이에 둔 양 구성요소 사이에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홀 형상의 바디홀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디홀의 일 측에 위치하며, 전기신호를 처리하는 제1 신호부; 상기 바디홀의 타 측에 위치하는 제2 신호부; 및 상기 바디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홀을 차폐하고, 상기 제1 신호부와 상기 제2 신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연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연결 모듈은, 상기 제1 신호부와 상기 제2 신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연결부; 상기 바디홀에 위치하여 상기 신호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지지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홀을 차폐하는 방수패킹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호연결부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신호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일부가 비전도성(electrically non-conductive)인 하우징 바디;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 측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우징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리드는, 복수 개로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며, 상기 신호연결부는, 상기 복수 개의 하우징 리드 중 인접하는 두 개의 하우징 리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신호연결부는, 신호연결부 바디; 및 상기 신호연결부 바디의 일 측에서 연장되되 절곡되어 형성된 신호연결부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홀(hole)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신호연결부 바디의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중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신호연결부 절곡부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측면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중공부와 연통하며 상기 신호연결부 절곡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웰은, 상기 신호연결부 절곡부의 두께에 대응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신호연결부 절곡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신호연결부 절곡부의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홀에 인접하며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형상의 스토퍼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신호연결부 바디는, 일 측에 상기 제1 신호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신호연결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신호연결단자는, 외부에 노출된 복수 개의 면(surface)을 형성하며, 상기 신호연결부 절곡부는 일측에 상기 제2 신호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신호연결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신호연결단자는, 외부에 노출된 복수 개의 면(surfac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연결단자는, 상기 제1 신호부에 컨택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연결단자는, 상기 제2 신호부에 고정되어 제2 신호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부는, 메인 회로기판, 터치 회로기판, 그리고 디스플레이 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부는, 입력수신유닛과 안테나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유닛은, 상기 바디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전기신호와 전자기파를 상호 변환하는 안테나 송수신부; 및 상기 안테나 송수신부와 상기 신호연결부를 연결하는 안테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바디에 형성된 홀(hole)을 방수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홀을 사이에 둔 양 구성요소 사이에 전기신호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5는, 도 1 이동 단말기를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기존의 방수부재가 적용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도 1 이동 단말기를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신모듈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 입력수신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내지 도 11은, 도 8 신호연결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 신호연결 모듈을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 신호연결 모듈을 C-C'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6의 신호연결 모듈이 제1 신호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신호연결 모듈과 안테나 유닛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coordinate system)은 직교좌표계로서 카테시안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는 XYZ 좌표계이다. 본 명세서에서 XYZ 좌표계는 왼손방향(left handed direction)이다. 즉 왼손으로 X축에서 Y축으로 감았을 때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이 Z축이 된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도 1 및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는 바(bar)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는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런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런트 케이스(101)와 함께 이동 단말기(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재는 윈도우(151a)와 프런트 케이스(101) 사이,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내지 제4 조작유닛(123a, 123b, 123c, 123d),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이어폰잭(13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및 제3 조작유닛(123b, 123c), 마이크로폰(122), 이어폰잭(130) 및 인터페이스부(160) 가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제4 조작유닛(123d)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바디(BD)는, 프런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그리고 후면커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일체로 형성되어, 리어 케이스(102)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바디(BD)는,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런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조작유닛(123a, 123b, 123c, 123d)은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조작유닛(123a, 123b, 123c, 123d)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조작유닛(123a, 123b, 123c)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제4 조작유닛(123d)은,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지문 정보는 제어부(180)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push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조작유닛(123a, 123b, 123c)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및 제3 조작유닛(123b, 123c)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바디(BD)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제4 조작유닛(123d)이 구비될 수 있다. 제4 조작유닛(123d)은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지문 정보 획득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바디(BD)의 후면에 배치된 사용자 입력부(123)를 의미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바디(BD)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바디(BD)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바디(BD)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바디(BD)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60)는 심트레이(SIM Tray, 210)와 입출력 포트(119)를 포함할 수 있다. 심트레이(210)는 심카드(SIM card)를 적재할 수 있다. 심트레이(210)는 심카드(SIM card)의 교체 및/또는 교환을 위해 이동 단말기(10)의 내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입출력 포트(119)는, 이동 단말기(10)에 제공되는 전력의 통로가 될 수 있다. 입출력 포트(119)는, 이동 단말기(10)와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전자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정보 및 전기신호 등의 입출력 통로가 될 수 있다.
바디(BD)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바디(BD)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바디(BD)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이동 단말기(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바디(BD)에 내장되거나, 바디(BD)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3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의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 커버(103, 도 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가 후면 커버(103, 도 1)와 일체로 형성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적어도 일부는 메탈(metal)로 구성되기 용이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가 후면 커버(103, 도 1)와 일체로 형성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강성 확보에 유리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는, 리어 케이스(102)에 체결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가 리어 케이스(102)에 체결되면, 이동 단말기(10) 내부에 위치하는 전자부품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프런트 케이스(101) 배면에, 배터리(191), 메인 회로기판(181), 음향 출력부(152b), 및 이어폰잭(130)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기판(181)에,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제3 조작유닛(123c)이 연결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전자부품이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이동 단말기(1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이동 단말기(1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윈도우(151a)와 디스플레이 패널(151b)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1b)에 터치 회로기판(135)과 디스플레이 회로기판(131)이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런트 케이스(101)에 수용될 수 있다. 터치 회로기판(135)과 디스플레이 회로기판(131)은, 메인 회로기판(181)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192)는, 프런트 케이스(101)의 배면에 형성되어 배터리(191)를 수용할 수 있다.
도 4 및 5는, 도 1 이동 단말기를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기존의 방수부재가 적용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에 기존의 방수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5는 도 4 이동 단말기에서 기존의 방수부재 및 버튼이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서 A의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조작유닛(123b)는, 버튼(BTN), 기존의 방수부재(WPP), 그리고 기존의 신호발생부(MTU)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BTN)은, 이동 단말기(1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BTN)은 푸시(push)됨으로써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버튼(BTN)이 획득한 기계적 입력(mechanical input)은, 기존의 신호발생부(MTU)에 전달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기존의 버튼(BTN)의 외측 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버튼 수용영역(BTR)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BTN)이 푸시될 때 버튼(BTN)의 이동 경로가 요구될 수 있다. 버튼(BTN)의 이동 경로는, 버튼(BTN)과 유격을 가질 수 있다. 버튼(BTN)의 이동 경로는, 바디(BD)에 형성된 홀(hole)일 수 있다. 바디(BD)에 형성된 홀(hole)을 통해 바디(BD)의 내부로 액체 등이 유입될 수 있다. 바디(BD)에 형성된 홀(hole)은, 도 5에 도시된 방수부재 수용영역(WPR)일 수 있다.
기존의 방수부재(WPP)는, 방수부재 수용영역(WPR)에 위치할 수 있다. 기존의 방수부재(WPP)는, 방수부재 수용영역(WPR)에 끼워져 방수부재 수용영역(WPR)을 차폐할 수 있다. 기존의 방수부재(WPP)는, 버튼(BTN)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기존의 방수부재(WPP)는, 버튼(BTN)의 푸시 작동에 의한 기계적 마모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기존의 방수부재(WPP)는, 버튼(BTN)의 푸시 동작시 버튼(BTN)에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방수부재(WPP)에 의해 버튼(BTN)에 제공되는 마찰력은, 사용자(user)의 푸시감(sense of pushing)을 저하시킬 수 있다.
기존의 신호발생부(MTU)는, 도 5에 도시된 신호발생부 수용영역(FPR)에 위치할 수 있다. 기존의 신호발생부(MTU)는, 버튼(BTN)에 의해 제공된 기계적 압력 또는 힘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기존의 신호발생부(MTU)는, 발생된 전기신호를 메인 회로기판(181)에 전달하기 위해 별도의 FPCB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별도의 FPCB는, 바디(BD)의 내부 공간을 소모할 수 있다.
기존의 방수부재(WPP)가 적용된 이동 단말기(10)의 바디(BD)는, 신호발생부(MTU)가 제공받은 기계적 압력 또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구조물로서 바디월(body wall, WL)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발생부 수용영역(FPR)과 바디월(WL)은, 바디(BD)의 내부 공간을 소모할 수 있다.
도 6 및 7은, 도 1 이동 단말기를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신모듈(500)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신모듈(500)이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7은, 도 6 이동 단말기에서 입력수신모듈(600) 및 버튼(BTN)이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서 B의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조작유닛(123b)는, 입력수신모듈(500)과 버튼(BTN)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BTN)은, 이동 단말기(10)의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버튼(BTN)은 푸시(push)됨으로써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버튼(BTN)은, 도 7에 도시된 버튼 수용부(221)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BTN)이 획득한 기계적 입력은, 입력수신모듈(500)에 전달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버튼(BTN)의 이동 경로는, 버튼 수용부(221)에 형성될 수 있다.
입력수신모듈(500)은, 신호연결 모듈(300)과 입력수신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수신유닛(400)의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기존의 신호발생부(MTU)의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입력수신유닛(400)은, 버튼(BTN)으로부터 제공받은 기계적 압력 또는 힘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입력수신유닛(400)은, 버튼 수용부(221)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수신유닛(400)은, 그 자체로 방수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입력수신유닛(400)은, 신호연결 모듈(300)에 고정될 수 있다. 입력수신유닛(400)은, 신호연결 모듈(300)에 납땜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호연결 모듈(300)은, 입력수신유닛(400)에 컨택하여 연결될 수 있다. 신호연결 모듈(300)은, 입력수신유닛(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호연결 모듈(300)은, 입력수신유닛(400)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신호연결 모듈(300)은, 제공받은 전기신호를 메인 회로기판(181)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연결 모듈(300)은, 메인 회로기판(181)에 연결되기 위한 별도의 FPCB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신호발생부(MTU)와 차이점을 가질 수 있다.
신호연결 모듈(300)은, 바디홀(223)에 위치할 수 있다. 신호연결 모듈(300)은, 바디홀(223)을 차폐할 수 있다. 신호연결모듈(300)은, 입력수신유닛(400)으로부터 기계적 압력을 제공받지 않을 수 있다. 신호연결모듈(300)은, 바디홀(223)에 고정될 수 있다. 신호연결모듈(300)은, 입력수신유닛(400)으로부터 기계적 압력을 제공받는 경우, 바디홀(223)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연결 모듈(300)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10)의 바디(BD)는, 바디(BD) 내부의 공간 중에서 버튼(BTN)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서 버튼(BTN)으로부터 제공받은 기계적 압력을 견딜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버튼 수용부(221)는, 홀(hol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튼 수용부(221)는, 외부에 연통될 수 있다. 버튼 수용부(221)는, 버튼(BTN)을 수용할 수 있다. 버튼 수용부(221)는, 버튼(BTN)이 푸시 작동시 움직이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버튼 수용부(221)의 크기는, 버튼(BTN)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버튼 수용부(221)는, 입력수신유닛(400)을 수용할 수 있다. 버튼 수용부(221)의 크기는, 입력수신유닛(400)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버튼 수용부(221)의 내측벽의 적어도 일부는, 입력수신유닛(400)이 제공받은 기계적 압력의 적어도 일부를 견딜 수 있다.
바디홀(223)은, 홀(hol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홀(223)은, 버튼 수용부(221)에 연통될 수 있다. 바디홀(223)의 단면은, 버튼 수용부(221)의 단면과 오버랩될 수 있다. 바디홀(223)의 단면은 버튼 수용부(221)의 단면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바디홀(223)의 형상은, 신호연결 모듈(3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은, 도 6 입력수신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신모듈(500)은, 신호연결 모듈(300)과 입력수신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연결 모듈(300)은, 신호연결부(310), 하우징(330), 그리고 방수패킹(35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수신유닛(400)은, 푸시컨택부(410)와 입력수신 PCB(42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컨택부(410)는, 표면 장착 기술(surface mounting technology)이 적용된 구성일 수 있다. 푸시컨택부(410)는, 돔(dom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푸시컨택부(410)는, 버튼(BTN)에 의해 기계적 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푸시컨택부(410)는, 버튼(BTN)에 의한 기계적 압력이 푸시컨택부(410)에 전달되면, 버튼(BTN)에 의한 기계적 압력이 푸시컨택부(410)에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푸시컨택부(410)의 적어도 일부는, 복원력(restoring force)을 가질 수 있다.
입력수신 PCB(420)는, 푸시컨택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수신 PCB(420)는, 푸시컨택부(420)로부터 제공받은 기계적 압력을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입력수신 PCB(42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수신 PCB(420)는, 상기 FPCB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a structure)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수신 PCB(420)는, 신호연결 모듈(300)에 부착될 수 있다. 입력수신 PCB(420)는, 신호연결부(310)와 하우징(33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입력수신 PCB(420)는 신호연결부(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내지 도 11은, 도 8 신호연결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 신호연결 모듈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 신호연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연결 모듈(300)은, 신호연결부(310), 하우징(330), 그리고 방수패킹(350)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연결부(310)는, 하우징(330)의 일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신호연결부(310)는, 하우징(330)의 일 측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신호연결부(310)는, 하우징(330)에 의해 감싸지되, 양 단을 외부에 노출할 수 있다. 신호연결부(310)는, 양 단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신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신호연결부(310)는, 바디홀(223)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신호부는, 바디(BD)의 일 측에 배치되어 전기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1 신호부는, 바디홀(223)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부는, 메인 회로기판(181), 터치 회로기판(135), 그리고 디스플레이 회로기판(131)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2 신호부는, 바디(BD)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신호부는, 바디홀(223)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신호부는, 예를 들어 입력수신유닛(400)일 수 있다. 바디홀(223)은, 제1 신호부와 제2 신호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신호연결부(31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연결부(310)는, 제1 신호연결부(310a)와 제2 신호연결부(3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연결부(310a)와 제2 신호연결부(310b)는, 이격될 수 있다. 제1 신호연결부(310a)와 제2 신호연결부(310b)는,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제1 신호연결부(310a)와 제2 신호연결부(310b)는, 하우징(3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신호연결부(310)는, 제1 신호연결단자(320), 제2 신호연결단자(325)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신호연결단자(320)는, 신호연결부(310)의 일 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신호연결단자(320)는 제1 신호부(18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신호연결단자(325)는, 신호연결부(310)의 타 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신호연결단자(325)는 제2 신호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신호연결단자(320)는, 제1 신호부에 컨택(contact)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신호연결단자(320)는, 신호연결 모듈(300)이 이동하여 위치를 변경하면, 제1 신호부와 다른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제2 신호연결단자(320)는, 제2 신호부에 밀착하여 제2 신호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호연결부(310)의 적어도 일부는 전도성(conductive)일 수 있다. 신호연결부(310)는, 금속(meta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연결부(310)는, 구리(copper), 금(gold), 은(silver), 알루미늄(aluminum), 아연(zinc), 청동(brass), 니켈(nickel), 철(iron), 주석(t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연결부(310)는, 신호연결부 바디(311)와 신호연결부 절곡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연결부 절곡부(312)는, 신호연결부 바디(311)의 일 측에서 연장되되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신호연결부(310a)는, 제1 신호연결부 바디(311a)와 제1 신호연결부 절곡부(3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신호연결부(310b)는, 제2 신호연결부 바디(311b)와 제2 신호연결부 절곡부(312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30)은, 신호연결부(310)를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330)은, 절연체(insu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30)은, 유전체(dielectric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30)은, 방수패킹(350)을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330)은, 하우징 바디(331), 하우징 리드(333), 하우징 오목부(335) 그리고, 하우징 중공부(337)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리드(333)는, 하우징 바디(331)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리드(333)의 연장된 방향은, 신호연결부(3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하우징 리드(333)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리드(333)는, 제1 내지 제3 하우징 리드(333a, 333b, 33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하우징 리드(333a, 333b, 333c)는,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하우징 리드(333a, 333b, 333c)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리드(333b)는, 제1 신호연결부(310a)와 제2 신호연결부(3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오목부(335)는, 하우징 바디(331)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오목부(335)는, 하우징 바디(331)의 외측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오목부(335)는, 방수패킹(350)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 중공부(337)는, 하우징 바디(331)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중공부(337)는, 하우징 바디(331)의 일 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잇다. 하우징 중공부(337)는, 신호연결부(310)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 중공부(337)는, 신호연결부 바디(311)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 중공부(337)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중공부(337)는, 제1 하우징 중공부(337a)와 제2 하우징 중공부(33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중공부(337a)는 제1 신호연결부(310a)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중공부(337b)는 제2 신호연결부(310b)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 웰(332)은, 하우징 바디(331)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웰(332)은, 하우징 바디(331)의 외측면에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 웰(332)은, 하우징 중공부(337)에 연통할 수 있다. 하우징 웰(332)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웰(332)은, 제1 하우징 웰(332a)와 제2 하우징 웰(332b)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웰(332)은, 신호연결부(31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 웰(332)은, 신호연결부 절곡부(312)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 웰(332)은, 신호연결부 절곡부(312)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웰(332)의 깊이가 신호연결부 절곡부의 두께에 대응되면, 신호연결부 절곡부(312)의 연장된 면과 나란한 하우징 바디(331)의 외측면과 신호연결부 절곡부(312)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신호부(400)를 신호연결부(310)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방수패킹(350)은, 하우징 바디(331)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방수패킹(350)은, 하우징 오목부(335)에 끼워질 수 있다. 방수패킹(350)은, 바디홀(223)을 차폐할 수 있다. 방수패킹(350)은,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방수패킹(350)은, 탄성력 또는/및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방수패킹(350)은, 바디홀(223)에 밀착될 수 있다. 방수패킹(350)은, 하우징 바디(331)에 밀착될 수 있다.
도 12는, 도 9 신호연결 모듈(300)을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 신호연결 모듈(300)을 C-C'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하우징(330)의 단면 중 하우징 리드(333)가 포함된 단면을 나타낸다. 하우징 리드(333)는, 하우징 바디(33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리드(333)가 연장된 방향은, 신호연결부 바디(3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방수패킹(350)은, 방수패킹 바디(351)와 방수패킹 링(352)을 포함할 수 잇다. 방수패킹 바디(351)는, 하우징 오목부(335)에 위치할 수 있다. 방수패킹 바디(351)는, 하우징 바디(331)에 밀착할 수 있다. 방수패킹 링(352)은, 방수패킹 바디(35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방수패킹 링(352)은, 방수패킹 바디(351)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수패킹 링(352)은, 바디홀(223)에 밀착할 수 있다.
도 13은, 하우징(330)의 단면 중 신호연결부(310)가 포함된 단면을 나타낸다. 신호연결부(310)의 일부는 하우징 바디(331)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연결부 바디(311)의 일부는 하우징 바디(331)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신호연결부(310)의 일부는 하우징 리드(333)에 접하거나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연결부 바디(310)의 일부 면(surface)은, 하우징 리드(33)에 접하거나 마주할 수 있다.
신호연결부(310)는, 외부에 노출되는 복수 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연결부(310)는, 제1 신호연결단자(320)와 제2 신호연결단자(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연결단자(320)는, 신호연결모듈(300)의 외부에서 볼 때 제2 신호연결단자(325)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신호연결단자(320)는, 복수 개의 노출되는 면(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연결단자(320)는, 신호연결부 바디(311)의 제1 면(321), 제2 면(322), 그리고 제3 면(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연결단자(320)는, 제1 신호부(18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호연결부 바디(311)의 제1 면(321), 제2 면(322), 그리고 제3 면(323)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신호부(18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신호연결단자(325)는, 신호연결부 절곡부(312)의 제1 면(326) 및 제2 면(3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신호연결단자(325)는 제2 신호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호연결부 절곡부(312)의 제1 면(326) 및 제2 면(327)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신호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호연결부 절곡부(312)의 제1 면(326)은, 신호연결부 절곡부(312)의 제2 면(327)에 비하여 넓은 접촉면을 가질 수 있어서 제2 신호부(400) 연결에 유리할 수 있다.
제2 신호연결단자(325) 또는 신호연결부 절곡부(312)는, 하우징 바디(331)와 단차(STP)를 형성할 수 있다. 단차(STP)는, 하우징 바디(331)의 외측면에서 신호연결부 절곡부(312)가 돌출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제2 신호연결단자(325) 또는 신호연결부 절곡부(312)는, 돌출부(PRT)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PRT)는, 신호연결 모듈(300)이 바디홀(223)에 삽입될 때 스토퍼(stopper)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돌출부(PRT)는, 신호연결 모듈(300)이 바디홀(2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에서 내부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PRT)에 대응한 형상이 바디홀(223)의 입구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도 6의 신호연결 모듈(300)이 제1 신호부(18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부(181)는, 메인 회로기판(1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부(181)는, PCB 연결부재(182)를 포함할 수 있다.
PCB 연결부재(182)는, 제1 신호부(181)와 신호연결 모듈(300)을 연결할 수 있다. PCB 연결부재(182)는, 전도성(conductive)일 수 있다. PCB 연결부재(182)는, 탄성력 또는/및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PCB 연결부재(182)는, 제1 신호연결단자(320)에 컨택(contact)할 수 있다. PCB 연결부재(182)는, 신호연결부 바디(311)의 제3 면(323)에 컨택(contact)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PCB 연결부재(182)는, 신호연결부 바디(311)의 제1 면(321) 또는 제2 면(322)에 컨택할 수 있다.
바디홀(223)에 인접하여 스토퍼 영역(STR)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영역(STR)은, 신호연결부(310)의 돌출부(PRT)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영역(STR)은, 신호연결부 절곡부(312)가 하우징 바디(311)에 대해 형성하는 단차(STP)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영역(STR)은, 신호연결 모듈(300)이 바디홀(223)에 배치된 상태에서 바디(BD)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신호연결 모듈(300)과 안테나 유닛(600)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안테나 유닛(600)은 신호연결 모듈(300)과 결합하여 안테나 모듈(700)을 형성할 수 있다. 안테나 유닛(600)은, 안테나 송수신부(610)와 안테나 연결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연결 모듈(300)에 연결되는 제2 신호부(600)는, 안테나 유닛(600)일 수 있다.
신호연결 모듈(300)은 안테나 유닛(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호연결 모듈(300)의 제2 신호연결단자(325)는, 안테나 유닛(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신호연결 모듈(300)은, 제1 신호부(181)로부터 전기신호를 제공받아 안테나 유닛(600)에 전달할 수 있다.
안테나 연결부(620)는, 신호연결 모듈(300)과 안테나 송수신부(6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안테나 연결부(620)는, 신호연결 모듈(300)의 제2 신호연결단자(3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연결부(620)는, 신호연결 모듈(300)에서 안테나 송수신부(610)로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안테나 연결부(620)는, 안테나 송수신부(610)에서 신호연결 모듈(300)로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안테나 연결부(620)는, 금속성의 개스킷일 수 있다. 안테나 연결부(620)는, 전도성(electrical conductivity)을 가지는 접착성 물질(adhesive or bonding material)일 수 있다. 안테나 연결부(620)는, 안테나 송수신부(610)를 바디(BD)에 고정할 수 있다.
안테나 송수신부(610)는, 바디(BD)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송수신부(610)는, 바디(BD)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송수신부(610)는, 바디(BD)의 메탈 케이스(metal case)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안테나 송수신부(610)는, 안테나 연결부(620)로부터 전기신호를 제공받아 전자기파로 변환하여 이동 단말기(10)의 외부로 방사할 수 있다. 안테나 송수신부(610)는, 외부에서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 연결부(62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이동 단말기 101: 프런트 케이스
102: 리어 케이스 103: 후면커버
151: 디스플레이부 181: 메인 회로기판
223: 바디홀 300: 신호연결 모듈
400: 입력수신유닛 600: 안테나 유닛

Claims (15)

  1. 홀 형상의 바디홀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디홀의 일 측에 위치하며, 전기신호를 처리하는 제1 신호부;
    상기 바디홀의 타 측에 위치하는 제2 신호부; 및
    상기 바디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홀을 차폐하고, 상기 제1 신호부와 상기 제2 신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연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연결 모듈은,
    상기 제1 신호부와 상기 제2 신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연결부;
    상기 바디홀에 위치하여 상기 신호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지지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홀을 차폐하는 방수패킹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연결부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신호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일부가 비전도성(electrically non-conductive)인 하우징 바디;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 측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우징 리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리드는, 복수 개로 형성되되 서로 이격되며,
    상기 신호연결부는, 상기 복수 개의 하우징 리드 중 인접하는 두 개의 하우징 리드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연결부는,
    신호연결부 바디; 및
    상기 신호연결부 바디의 일 측에서 연장되되 절곡되어 형성된 신호연결부 절곡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홀(hole)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신호연결부 바디의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중공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신호연결부 절곡부에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측면에 오목한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중공부와 연통하며 상기 신호연결부 절곡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웰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웰은,
    상기 신호연결부 절곡부의 두께에 대응한 깊이를 가지는,
    이동 단말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연결부 절곡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신호연결부 절곡부의 연장된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홀에 인접하며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한 형상의 스토퍼 영역을 형성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연결부 바디는, 일 측에 상기 제1 신호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신호연결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신호연결단자는, 외부에 노출된 복수 개의 면(surface)을 형성하며,
    상기 신호연결부 절곡부는 일측에 상기 제2 신호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신호연결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신호연결단자는, 외부에 노출된 복수 개의 면(surface)을 형성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연결단자는, 상기 제1 신호부에 컨택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연결단자는, 상기 제2 신호부에 고정되어 제2 신호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부는,
    메인 회로기판, 터치 회로기판, 그리고 디스플레이 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인,
    이동 단말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부는,
    입력수신유닛과 안테나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인,
    이동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유닛은,
    상기 바디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전기신호와 전자기파를 상호 변환하는 안테나 송수신부; 및
    상기 안테나 송수신부와 상기 신호연결부를 연결하는 안테나 연결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60075972A 2016-06-17 2016-06-17 이동 단말기 KR101830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972A KR101830964B1 (ko) 2016-06-17 2016-06-17 이동 단말기
US16/310,393 US10804047B2 (en) 2016-06-17 2016-06-29 Mobile terminal
PCT/KR2016/006986 WO2017217579A1 (ko) 2016-06-17 2016-06-29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972A KR101830964B1 (ko) 2016-06-17 2016-06-17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467A true KR20170142467A (ko) 2017-12-28
KR101830964B1 KR101830964B1 (ko) 2018-04-04

Family

ID=6066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972A KR101830964B1 (ko) 2016-06-17 2016-06-17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04047B2 (ko)
KR (1) KR101830964B1 (ko)
WO (1) WO20172175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294A (ko) * 2019-02-18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키 조립체의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3093B (zh) * 2021-05-25 2023-04-14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车载终端的蓝牙通信方法及系统
US11862894B1 (en) * 2021-09-16 2024-01-02 Lunar Energy, Inc. Electromechan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6338B2 (en) * 2004-11-29 2008-09-16 Olympus Imaging Corp. Switch mechanism usable underwater
JP4352178B2 (ja) * 2005-06-09 2009-10-28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押釦スイッチの防水構造及び電子機器
US8089017B2 (en) * 2008-10-07 2012-01-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ealed dome switch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659020B1 (ko) * 2010-02-18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158899B2 (en) * 2010-03-04 2012-04-17 Pioneer & Co., Inc. Waterproof operating device
CN102195015B (zh) * 2010-03-18 2014-04-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组件及具有电池盖组件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266704B1 (ko) * 2011-09-09 2013-05-22 주식회사 팬택 방수 키 구조체
KR101934714B1 (ko) * 2012-11-28 2019-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버튼 장치
WO2015047359A1 (en) * 2013-09-29 2015-04-02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Waterproof port for electronic devices
KR102212156B1 (ko) * 2014-09-22 2021-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 방수장치
US9627797B2 (en) * 2015-07-21 2017-04-18 Apple Inc. Ejection assembly with plug fea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294A (ko) * 2019-02-18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키 조립체의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891577A4 (en) * 2019-02-18 2022-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WATERPROOF STRUCTURE OF A SENSOR KEY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04047B2 (en) 2020-10-13
US20190259551A1 (en) 2019-08-22
WO2017217579A1 (ko) 2017-12-21
KR101830964B1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54910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9668A (ko) 안테나를 구비하는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KR20160129336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10558833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91797B1 (ko) 이동 단말기
KR20180049916A (ko) 이동 단말기
KR101830964B1 (ko) 이동 단말기
EP3343884A1 (en) Mobile terminal
KR20190037739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57286A (ko) 이동 단말기
US20170078461A1 (en) Mobile terminal
KR20160023438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1147A (ko) 이동 단말기
KR101641486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17204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70083907A (ko) 이동 단말기
KR101689612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5503B1 (ko) 이동 단말기
KR20200019412A (ko) 이동 단말기
KR1015780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50543A (ko) 이동 단말기
KR101587178B1 (ko) 이동 단말기
KR101575599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