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456Y1 -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0456Y1 KR200470456Y1 KR2020130004438U KR20130004438U KR200470456Y1 KR 200470456 Y1 KR200470456 Y1 KR 200470456Y1 KR 2020130004438 U KR2020130004438 U KR 2020130004438U KR 20130004438 U KR20130004438 U KR 20130004438U KR 200470456 Y1 KR200470456 Y1 KR 2004704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 member
- wrist
- groove
- portable terminal
- magn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를 손목에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거치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중 조작이 용이하며, 부착된 상태에서 휴대폰 단말기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정면에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커버와, 손목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손목 장착구를 자력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자력 결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중 조작이 용이하며,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로 수평 이동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정면에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커버와, 손목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손목 장착구를 자력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자력 결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중 조작이 용이하며,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로 수평 이동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를 손목에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거치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중 조작이 용이하며,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폰 단말기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스마트폰 등),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들은 음성통화는 물론 화상통화, 동영상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시청, 인터넷 사용 등의 다양한 부가기능들이 추가되면서 현대인들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중에 사용이 가능한 이점 때문에 그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나, 휴대시 많은 불편한 점 또한 지니고 있다.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보편적으로 이동중에 휴대 단말기를 손에 파지하거나, 혹은 주머니 또는 핸드백과 같은 가방에 넣어 이동하는데, 전자의 경우, 양손을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하고, 주머니에 넣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미관상 좋지 않으며, 가방에 넣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전화 벨소리 등을 인지할 수 없는 등의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에 고리형 줄을 부착하여 손목에 걸거나, 혹은 목걸이형 줄을 부착하여 목에 걸어서 소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줄의 형태로 신체에 고정되므로 신체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가 함께 움직여 여전히 사용상에 불편함이 초래되었고, 별도로 전선, 스위치, 이어폰, 마이크 등을 구비함에 따라 착용이 번잡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손목 시계와 결합한 제품들이 출시되었으나, 고가이면서도 오히려 기존의 휴대 단말기보다 실용성이 저하되어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휴대 단말기를 손목에 거치하기 위한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들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9-0046393호(공개일 : 1999. 07. 05), 대한민국 공개실용 20-1999-004242호(공개일 : 1999. 01. 25),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05485호(등록일 : 2003. 02. 12),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112617호(공개일 : 2005. 12. 0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24887호(등록일 : 2007. 05. 28)가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 제안된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들은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손목 밴드 또는 손목 시계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동 또는 운동시에도 휴대 단말기의 소지가 편리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는 밴드 또는 벨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감아 고정하거나, 혹은 거치장치의 장착홈에 휴대 단말기를 억지 끼움으로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휴대 단말기를 장착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거치장치에 장착되면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방향 전환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후 장착된 상태로 수평 이동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한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정면에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배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홈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에는 접착제를 통해 제1 자석부재가 부착된 커버와, 상기 제1 자석부재가 자력 결합되는 제2 자석부재가 접착제를 통해 상면에 부착된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된 벨트를 포함하는 손목 장착구를 포함하는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는 상기 홈부와 상기 제1 자석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석부재의 자기장이 상기 커버의 정면에 장착된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자석부재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목 장착구는 사용자의 손목과 접촉하는 상기 제2 본체의 하면에 설치되고,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르면, 정면에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커버와, 손목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손목 장착구를 자력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자력 결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휴대가 간편하고, 이동중 조작이 용이하며,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로 수평 이동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버의 배면에 차폐부재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자석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자석부재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이 상기 커버에 장착된 휴대 단말기로 전달되는 것을 차폐하여 휴대 단말기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손목 장착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커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손목 장착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커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은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100)는 휴대 단말기(200)가 정면의 수용부에 긴밀하게 장착되는 커버(110)와, 상면에 자력에 의해 커버(110)의 배면이 결합되는 손목 장착구(12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손목 장착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커버(110)는 제1 본체(111)를 포함한다. 제1 본체(111)는 정면에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200)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휴대 단말기의 외관과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되고 휴대 단말기에 긴밀하게 장착되기 위해 가죽이나 섬유 등 연질 소재로 제작되거나, 혹은 폴리카보네이트 등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111)의 배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홈부(111a)가 마련되어 있고, 홈부(111a)에는 접착제(112)를 통해 제1 자석부재(113)가 부착된다. 이때, 접착제(112)의 재료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제1 자석부재(113)가 홈부(111a)에 안정적으로 접착되기 위하여 접착력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본체(111)의 배면에 형성된 홈부(111a)와 제1 자석부재(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본 고안에 따른 홈부(111a)와 제1 자석부재(113)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형 이외에도,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등과 같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자석부재(113)는 자성을 갖는 자석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자석에 비해 집적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큰 자력을 발생하는 네오디윰(NDFeB) 자석을 사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부재(113)는 홈부(111a)에 부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뿐만 아니라, 측면 또한 접착제(112)를 통해 홈부(111a)에 부착된다. 즉, 접착제(112)를 통해 제1 자석부재(113)와 홈부(111a) 간의 접착면적을 증대시켜 흔들림 발생시 제1 자석부재(113)가 홈부(11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목 장착구(120)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기 위하여 접착제(112)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1 자석부재(113)의 상면이 제1 본체(111)의 배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거나, 혹은 조금 돌출되도록 제1 자석부재(113)의 두께는 홈부(111a)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접착제(112)의 두께를 고려하여 홈부(111a)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즉, 홈부(111a)의 깊이를 'D'라 하고, 제1 자석부재(113)의 두께를 'T1'이라하고, 제1 자석부재(113)가 접착된 후 응고된 상태에서의 접착제(112)의 두께를 'T2'라 하면, 제1 자석부재(113)의 두께 'T1'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T1 ≥ D - T2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장착구(120)는 제2 본체(121)와, 제2 본체(12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된 벨트(122)를 포함한다.
제2 본체(121)는 상면에 홈부(121a)가 마련되어 있고, 홈부(121a)에는 제2 자석부재(124)가 접착제(123)를 통해 부착된다. 제2 본체(121)의 양측부에는 벨트(122)와 체결되기 위해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는 벨트(122)의 구조에 따라 걸이 구조 또는 힌지(또는 피봇)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본체(121)의 상면에 마련된 홈부(121a)와 제2 자석부재(1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본 고안에 따른 홈부(121a)와 제2 자석부재(124)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형 이외에도,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등과 같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접착제(123)의 재료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제2 자석부재(124)가 홈부(121a)에 안정적으로 접착되기 위하여 접착력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자석부재(124)는 제1 자석부재(113)와 마찬가지로 자성을 갖는 자석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자석부재(113)와 동일한 네오디윰(NDFeB) 자석을 사용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석부재(124)는 홈부(121a)에 부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뿐만 아니라, 측면 또한 접착제(123)를 통해 홈부(121a)에 부착된다. 즉, 접착제(123)를 통해 제2 자석부재(124)와 홈부(121a) 간의 접착면적을 증대시켜 흔들림 발생시 제2 자석부재(124)가 홈부(12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자석부재(113)와 동일하게, 제2 자석부재(124)는 제1 자석부재(113)와 자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부착되기 위하여 접착제(123)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2 자석부재(124)의 상면이 제2 본체(121)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거나, 혹은 조금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이를 위해 제2 자석부재(124)의 두께는 홈부(121a)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접착제(123)의 두께를 고려하여 홈부(121a)의 깊이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벨트(122)는 제2 본체(121)의 양측부와 걸이 체결 방식 또는 힌지(또는 피봇) 체결 방식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벨트(122)는 가죽, 천,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에 있어서도 제한을 두지 않고 공지된 손목시계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손목 착용구(120)를 손목에 착용할 때, 손목에 직접 접촉되는 제2 본체(121)의 하면에는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는 동시에 벨트(122)로부터 손목 피부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를 일정 부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드러운 촉감과 완충성을 제공하는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패드(12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100)는 커버(110)의 제1 본체(111)에 부착된 제1 자석부재(113)와, 손목 착용구(120)의 제2 본체(121)에 부착된 제2 자석부재(124)가 자력에 의해 상호 강하게 자력 결합된다.
제1 자석부재(113)를 제2 자석부재(124)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1 자석부재(113)를 제2 자석부재(124)에 대하여 수직방향, 즉 상방으로 강한 힘으로 잡아 당기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자석부재(113, 124) 간의 강한 자력에 의해 제1 자석부재(113)는 제2 자석부재(124)로부터 분리되지 않지만, 제1 자석부재(113)를 수직방향이 아닌 제2 자석부재(124)에 대해 수평방향(화살표 참조)으로 밀면, 작은 힘으로도 제1 자석부재(113)는 제2 자석부재(124)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부재(113)를 제2 자석부재(124)의 상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전(화살표 참조)시키면, 작은 힘으로도 제1 자석부재(113)는 제2 자석부재(124)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자석의 특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00)가 장착된 커버(110)가 손목 착용구(120)에 자력으로 강하게 결합된 상태에서도, 원하는 방향으로 휴대 단말기(200)를 이동하거나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커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커버(130)는 도 3에 도시된 커버(110)와 마찬가지로, 제1 본체(131)와, 제1 자석부재(1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130)는 홈부(131a) 내부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접착제(132)를 통해 부착된 차폐부재(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석부재(133)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은 제1 자석부재(133)의 전방(손목 장착구 방향)뿐만 아니라, 후방(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방향)으로도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 자석부재(133)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휴대 단말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자기장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전자기기들 간의 전류 흐름을 방해하여 오동작을 유발시키는 한편, 전자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제1 자석부재(133)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이 제1 자석부재(133)의 후방, 즉 제1 본체(131)의 정면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대략 통 구조로 이루어진 차폐부재(134)를 홈부(131a) 내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차폐부재(134)의 내부에는 제1 자석부재(133)를 부착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자석부재(133)의 전기장은 차폐부재(134)로 인해 후방에 장착된 휴대 단말기로 전달되지 못하고 차단된다.
차폐부재(134)는 비교적 얇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철, 규소, 니켈, 납, 알루미늄, 철과 규소 합금, 또는 철과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차폐부재(134)는 제1 자석부재(133)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110, 130 : 커버 120 : 손목 착용구
111, 131 : 제1 본체 112, 123, 132 : 접착제
113, 133 : 제1 자석부재 121 : 제2 본체
122 : 벨트 124 : 제2 자석부재
125 : 접촉패드 134 : 차폐부재
110, 130 : 커버 120 : 손목 착용구
111, 131 : 제1 본체 112, 123, 132 : 접착제
113, 133 : 제1 자석부재 121 : 제2 본체
122 : 벨트 124 : 제2 자석부재
125 : 접촉패드 134 : 차폐부재
Claims (4)
- 정면에 휴대 단말기(200)가 장착되는 제1 본체(111)와, 상기 제1 본체(111)의 배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홈부(111a)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111a)에는 접착제(112)를 통해 제1 자석부재(113)가 부착되어 있되, 상기 제1 자석부재(113)는 하면과 측면이 상기 접착제(112)를 통해 상기 홈부(111a)에 부착되어 있는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커버(110);
상면에 홈부(121a)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자석부재(113)가 자력 결합되는 제2 자석부재(124)가 접착제(123)를 통해 상기 홈부(121a)에 부착되어 있되, 상기 제2 자석부재(124)는 하면과 측면이 상기 접착제(123)를 통해 상기 홈부(121a)에 부착되어 있는 제2 본체(121)와, 상기 제2 본체(121)의 양측부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된 벨트(122)를 포함하는 손목 장착구(120); 및
상기 제2 본체(121)와 상기 벨트(122) 사이에는 개재되며, 걸이 구조 또는 힌지 구조로 이루어진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자석부재(113)의 두께(T1)는 상기 제1 자석부재(113)의 상면이 상기 제1 본체(111)의 배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거나, 돌출되도록 상기 홈부(111a)의 깊이(D)에서 상기 접착제(112)의 두께(T2)를 뺀 값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손목 장착구(120)는 사용자의 손목과 접촉하는 상기 제2 본체(121)의 하면에 설치되고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접촉패드(1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부재(113)와 상기 제2 자석부재(124)로는 서로 동일한 네오디윰(NDFeB) 자석을 사용하며,
상기 커버(110)는 상기 홈부(111a)와 상기 제1 자석부재(11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석부재(113)의 자기장이 상기 커버(110)의 정면에 장착된 상기 휴대 단말기(2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폐부재(13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차폐부재(134)는 금속재질로 상기 제1 자석부재(113)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4438U KR200470456Y1 (ko) | 2013-06-03 | 2013-06-03 |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4438U KR200470456Y1 (ko) | 2013-06-03 | 2013-06-03 |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0456Y1 true KR200470456Y1 (ko) | 2013-12-16 |
Family
ID=5357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4438U KR200470456Y1 (ko) | 2013-06-03 | 2013-06-03 |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0456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12623B2 (en) | 2014-09-16 | 2017-04-04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KR101766475B1 (ko) * | 2015-11-12 | 2017-08-08 | 박성동 | 착탈식 모바일 단말기 거치장치 및 그 사용방법 |
KR101794685B1 (ko) | 2016-12-14 | 2017-12-01 | 주식회사 파워툴 | 거치장치가 갖추어진 에어 건 |
WO2019235737A1 (ko) * | 2018-06-08 | 2019-12-12 | Kang Beang Suk | 주름자석 크립을 이용한 손목 거치형 스마트폰 케이스 |
KR102163065B1 (ko) * | 2019-11-21 | 2020-10-07 | 주식회사 이븐도우 | 차량용 방향제 용기 |
WO2021157784A1 (ko) * | 2020-02-05 | 2021-08-12 |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 휴대가 가능한 rfid 및 바코드 통합리더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0312Y1 (ko) * | 2006-02-03 | 2006-06-30 | 김민준 | 부속부착구 |
KR101020434B1 (ko) * | 2010-10-11 | 2011-03-09 | 주식회사 이피텍 | 이동통신단말기용 거치유니트 |
-
2013
- 2013-06-03 KR KR2020130004438U patent/KR20047045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0312Y1 (ko) * | 2006-02-03 | 2006-06-30 | 김민준 | 부속부착구 |
KR101020434B1 (ko) * | 2010-10-11 | 2011-03-09 | 주식회사 이피텍 | 이동통신단말기용 거치유니트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12623B2 (en) | 2014-09-16 | 2017-04-04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KR101766475B1 (ko) * | 2015-11-12 | 2017-08-08 | 박성동 | 착탈식 모바일 단말기 거치장치 및 그 사용방법 |
KR101794685B1 (ko) | 2016-12-14 | 2017-12-01 | 주식회사 파워툴 | 거치장치가 갖추어진 에어 건 |
WO2019235737A1 (ko) * | 2018-06-08 | 2019-12-12 | Kang Beang Suk | 주름자석 크립을 이용한 손목 거치형 스마트폰 케이스 |
KR102163065B1 (ko) * | 2019-11-21 | 2020-10-07 | 주식회사 이븐도우 | 차량용 방향제 용기 |
WO2021157784A1 (ko) * | 2020-02-05 | 2021-08-12 |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 휴대가 가능한 rfid 및 바코드 통합리더기 |
KR20210099909A (ko) * | 2020-02-05 | 2021-08-13 |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 휴대가 가능한 rfid 및 바코드 통합리더기 |
KR102358901B1 (ko) * | 2020-02-05 | 2022-02-07 |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 휴대가 가능한 rfid 및 바코드 통합리더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0456Y1 (ko) | 손목 착용 타입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 |
KR101629434B1 (ko) | 매직 스트랩 | |
US20070259704A1 (en) | Mobile phone receiving bag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 | |
US9408021B2 (en) | Bluetooth headset | |
US10321218B2 (en) | Ear device for fixing earphone | |
KR102680467B1 (ko) | 웨어러블 기기의 충전 장치 | |
US11330093B2 (en) | Magnetically connectable grip and connector for electronics | |
KR20130054309A (ko) | 신체장착형 보조 모바일기기 어셈블리 | |
CN106842889B (zh) | 一种设置有蓝牙耳机的手表 | |
US9065890B2 (en) | Wrist-worn mobile telephone | |
KR200465394Y1 (ko) | 이중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 |
US10750271B1 (en) | Ear buds with detachable harness strap | |
US20160286944A1 (en) | Magnetic attachment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100879543B1 (ko) | 휴대용 전자기기 모듈 | |
CN103458640A (zh) | 一种可佩戴电子设备的绑带及一种可佩戴电子设备 | |
KR20120080809A (ko) | 스마트폰 커버 | |
KR101280783B1 (ko) |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 |
CN104702742A (zh) | 一种将蓝牙耳机放置在腕式手机表带上的方法 | |
EP3163900B1 (en) | Terminal device | |
EP2367364A1 (en) | Wireless audio headset with an ear-piece | |
KR101910101B1 (ko) |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케이스 | |
CN210298018U (zh) | 一种耳挂式耳机 | |
RU154014U1 (ru) |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KR101177361B1 (ko) | 휴대폰 전자파 차단용 패널 | |
KR20110109668A (ko) |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