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927B1 -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927B1
KR102378927B1 KR1020210122138A KR20210122138A KR102378927B1 KR 102378927 B1 KR102378927 B1 KR 102378927B1 KR 1020210122138 A KR1020210122138 A KR 1020210122138A KR 20210122138 A KR20210122138 A KR 20210122138A KR 102378927 B1 KR102378927 B1 KR 102378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itting
accessory
protrus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민
Original Assignee
강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민 filed Critical 강호민
Priority to KR102021012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927B1/ko
Priority to PCT/KR2022/013614 priority patent/WO20230431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악세사리에 결합되는 악세사리 부재(10); 및 모바일 단말의 설치되어 악세사리 부재(10)와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단말 부재(20); 를 포함하고, 악세사리 부재(10)는 제1기판(11)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돌기(142); 및 제1기판(11)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각각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턱(12); 을 포함하고, 단말 부재(20)는 제2기판(21)의 일면에서 끼움돌기(142)가 삽입되도록 내향된 끼움홈(241); 및 돌출턱(12)과 제1기판(11)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는 돌출블럭(22); 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Accessory fix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 PDA, PMP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는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 전화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을 행할 수 있는 멀티 컨버전스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통신기기들의 활용도 및 사용 인구가 많아짐에 따라 대상 기기의 안전이나 장식, 또 다른 기능의 부가를 위하여 모바일 단말용 악세사리 등이 제작 및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용 악세사리등은 국가, 인종, 연령, 성별 및/또는 기호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제안되었다. 또한, 다양한 악세사리의 등장과 함께 이를 모바일 통신기기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악세사리(예를 들면, 거치대, 핑거 홀더등)용 고정장치 등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용 고정장치는 조립과 탈착이 힘들고, 내구도가 약하여 파손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모바일 통신기기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제품이 출시되었으나,무선 충전을 위해서는 악세사리들을 분리해야된다. 하지만, 종래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는 직선과 회전 운동이 조합된 과정을 통하여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고 있어 무선 충전을 위한 악세사리의 분리 및 결합이 쉽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5326호(2018.06.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에서 악세사리의 부착과 분리가 용이하고, 무선 충전을 위하여 분리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악세사리에 결합되는 악세사리 부재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어 악세사리 부재에 체결되는 단말 부재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결합되고, 악세사리 부재는 제1기판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각각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턱과, 제1기판의 테두리에서 직립된 벽면으로서 돌출턱에서 연장되는 연장턱 및 제1기판의 단부에서 연장턱으로부터 제1기판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가 구비된 끼움판을 포함하고, 단말 부재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끼움돌기가 삽입되도록 제2기판의 일면에서 내향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끼움홈과, 돌출턱과 제1기판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돌출블럭과, 제2기판에서 중심부에서 띠 형상을 이루도록 상향 돌출되는 중심턱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단부에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양각판과, 끼움홈들 사이에서 단부를 형성하는 오목단부를 구비한 양각부를 포함하고, 끼움판은 끼움돌기들 사이에서 연장되어 오목단부에 밀착되는 끼움단부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삭제
위 실시예에서, 단말 부재는 제2기판에서 상향 돌출되어 돌출턱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위 실시예에서 제1기판은 중심부에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되고, 반대 면에서 관통구를 중심으로 돌출 연장되는 결합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기판은 돌출턱 및 끼움돌기 중 적어도 하나의 하측에서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에 고정된 부품과, 악세사리에 고정되는 부품이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악세사리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단말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B'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단말 부재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악세사리 부재가 단말 부재에 체결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은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노트북, PMP, PDA, 태블릿 PC, 스마트폰, 셀룰러폰과 같은 통신 가능한 기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위에서 상술한 기기들은 일예를 위하여 기재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은 통신 유무를 떠나서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는 위에서 정의된 모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는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30, 도 10 참조)에 고정되는 단말 부재(20)와, 대상 악세사리에 고정되어 단말 부재(20)와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악세사리 부재(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부재(20)는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 외면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악세사리 부재(10)는 대상 악세사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일면으로 돌출되고, 반대면에서 단말 부재(20)에 끼움식으로 체결된다.
이와 같은 단말 부재(20)와 악세사리 부재(10)는 추가적인 기구의 결합이나 해제로 인한 조립과 분리가 아닌 끼움식 구조에 의한 것이기에 사용자가 단말 부재(20)와 악세사리 부재(10) 간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결합과 분리의 용이한 효과는 무선 충전 이전에 악세사리를 분리하는 과정이 쉽고, 무선 충전 후 재결합이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악세사리 부재(10)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악세사리 부재(10)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악세사리 부재(10)는 제1기판(11)과, 제1기판(11)의 양측에서 상향 돌출되어 그 사이에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출턱(12)과, 돌출턱(12)으로부터 연장되어 연장턱(13)과, 연장턱(13)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부(14)와, 관통구(15)와, 관통구(15)를 중심으로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결합관(16)을 포함한다.
제1기판(11)은 얇은 두께를 갖는 평판형의 기판으로 형성된다. 제1기판(11)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예로 들면, 원판형을 갖는다. 물론 위와 같은 제1기판(11)의 형상은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로서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기판(11)은 돌출턱(12)의 직하방과, 끼움부(14)의 직하방에 해당되는 영역에서 개방된 공간을 이루도록 관통된 개구(111, 112)를 더 포함한다.
개구(111, 112)는 제1기판(11)과 단말 부재(20)와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기에 결합과정에서 발생 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관통구(15)는 제1기판(11)의 중심부에서 관통 형성된다.
결합관(16)은 제1기판(11)의 반대면에서 관통구(15)를 연장 및 돌출되는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관(16)은 예를 들면, 악세사리에 끼움 또는 체결된다.
돌출턱(12)은 상호 대치된 위치에서 설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돌출턱(12)은 직립된 벽면(122)의 끝단에서 절곡 된 수평면(123)을 구비한 것으로 제1기판(11)의 제1개구(11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된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돌출턱(12)은 절곡 된 수평면(123)과 제1기판(11) 사이에서 단말 부재(20)가 슬라이딩 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턱(12)은 절곡 된 수평면(123)에서 관통된 고정공(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공(121)은 후술되는 단말 부재(20)의 고정돌기(23)가 결합된다.
연장턱(13)은 제1기판(11)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직립된 벽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연장턱(13)은 일측과 반대측의 돌출턱(12)에서 각각 제1기판(11)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끼움판(141)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연장턱(13)은 제1기판(11)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되, 제1기판(11)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아닌 반구형으로 연장된다.
또한, 연장턱(13)은 돌출턱(12)의 직립된 수직면과 동일한 두께를 갖고 연장되는 것으로서 직립된 벽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장턱(13)은 후술하는 제2기판(21)의 진행을 저지하고, 끼움돌기(142)로 안내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끼움부(14)는 연장턱(13)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판(141)과, 끼움판(141)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142)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판(141)은 연장턱(13)의 상단에서 수평 연장되는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끼움판(141)의 직하방은 제1기판(11)에서 개구(111, 112)된 제2개구(111, 112)가 형성된다.
끼움돌기(142)는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끼움돌기(142)는 도 3을 기준으로 관통구(15)가 형성되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끝단이 곡면을 이룬다. 이와 같은 끼움돌기(142)의 결합과정은 후술한다.
단말 부재(20)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단말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단말 부재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말 부재(20)는 제2기판(21)과, 제2기판(21)에서 상향된 돌출블럭(22)과, 상향 돌출된 고정돌기(23)와, 제2기판(21)의 상면에서 양각되어 악세사리 부재(10)와 체결되는 양각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기판(21)은 중심부에서 돌출되어 띠를 이루는 중심턱(211)과, 중심턱(211)을 기준으로 분류되는 테두리 영역(213)과, 접착면(212)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접착면(212)은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30)에 접착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접착면(212)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돌출블럭(22)은 제2기판(21)의 테두리 영역(213)에서 상향 돌출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돌출블럭(22)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서 각각 설치된다. 또한, 돌출블럭(22)은 중심턱(211)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돌출턱(12)의 수평면의 하측에 이격된 공간으로 슬라이딩 된다.
고정돌기(23)는 테두리 영역(213)에서 돌출블럭(22) 이후의 위치에 상향 돌출된다. 고정돌기(23)는 상술한 돌출턱(12)의 고정공(121)에 삽입된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8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악세사리 부재(10)의 돌출턱(12)은 하측의 공간에 돌출블럭(22)이 위치되도록 슬라이딩 된다. 이때, 고정돌기(23)는 돌출턱(12)의 고정공(121)으로 삽입된다.
즉, 단말 부재(20)와 악세사리 부재(10)는 돌출턱(12)의 하측에 돌출블럭(22)이 위치되고, 고정돌기(23)가 돌출턱(12)의 고정공(121)에 삽입되면서 양측 방향에서 상호 결합 될 수 있다.
양각부(24)는 악세사리 부재(10)의 끼움돌기(142)부와 끼움된다. 이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 도 9는 도 1의 'B' 확대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양각부(24)는 중심턱(211)에서 테두리 영역(213)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편평한 면을 이루는 양각판(242)과, 양각판(242)에서 내향된 끼움홈(241)을 포함할 수 있다.
양각판(242)은 상술한 중심턱(21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양각판(242)은 제2기판(21)에서 테두리 영역(213)으로 타원형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양각판(242)은 악세사리 부재(10)의 연장턱(13)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끼움판(141)의 하측 이격된 공간으로 인입된다.
여기서 양각판(242)은 끼움돌기(142) 사이의 끼움판(141)의 끼움단부(143)가 밀착될 수 있도록 중심턱(211)에서 연장되되, 양각판(242)의 최외측 단부 보다 짧은 거리를 갖도록 오목단부(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끼움홈(241)은 양각판(242)의 외면에서 내향되는 오목형의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끼움홈(241)은 고정된 악세사리 부재(10)에 단말 부재(20)가 끼움 될 때, 끼움판(141)의 하측으로 인입되면서 끼움돌기(142)가 체결된다.
여기서 끼움돌기(142)는 끝단이 볼록 형으로 형성되며, 끼움홈(241)은 끼움돌기(142)가 끼움될 수 있도록 타원형 또는 원형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끼움홈(241)에 끼움돌기(142)가 끼움 될 때, 마찰력 또는 걸림이 발생될 수 있도록 끼움홈(241)의 입구의 폭을 내측에 비해 좁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에 설치된 단말 부재(20)와, 악세사리에 결합되는 악세사리 부재(10)의 결합 과정을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단말 부재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악세사리 부재가 단말 부재(20)에 체결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단말 부재(20)는 모바일 단말의 케이스(30) 외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단말 부재(20)의 제2기판(21)은 접착면(212)에 설치된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악세사리 부재(10)는 하면으로 돌출되는 결합관(16)에 악세사리가 설치될 수 있다. 결합관(16)에 체결되는 악세사리는 시중에 판매 중인 제품 또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임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사용자는 악세사리 부재(10)와 단말 부재(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악세사리 부재(10) 또는 단말 부재(20)를 슬라이딩시켜 상호 체결시킨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악세사리 부재(10)의 제1기판(11)을 뒤집은 상태에서 단말 부재(20)의 정면(양각부(24)가 위치한 방향)에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킨다. 이때, 제1기판(11)은 돌출턱(12)의 입구가 돌출블럭(22)의 선단으로 이동되어 돌출턱(12) 하측에 돌출블럭(22)이 수용된다. 아울러 고정돌기(23)는 돌출턱(12)의 고정공(121)으로 삽입된다.
동시에 악세사리 부재(10)의 끼움판(141)은 단말 부재(20)의 양각부(24)의 단부에 밀착된다. 그러므로 악세사리 부재(10)의 끼움돌기(142)는 양각부(24)의 끼움홈(241)으로 끼움되고, 끼움돌기(142) 사이의 끼움판(141) 단부는 끼움홈(241) 사이의 오목단부(243)에 밀착된다.
여기서 제1기판(11)의 연장턱(13)은 제1기판(11)의 테두리 측에서 직립된 벽면을 형성함에 따라 제2기판(21)이 이동중에 이탈됨을 방지하고, 끼움홈(241)이 형성된 양각부(24)가 설정된 위치(끼움돌기(142) 및 끼움단부(143))에 위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기판(11)의 개구(111, 112)는 돌출블럭(22)과 양각판(242)과 접촉되는 영역을 줄일 수 있어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단말부재 또는 악세사리 부재(10) 중 어느 하나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돌기(23)와 고정공(121), 끼움돌기(142)와 끼움홈(241)간의 결합이 이루어져 악세사리 부재(10)와 단말 부재(20)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끼움식 구조는 사용자가 단순히 두 개의 부재들 중 어느 하나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악세사리 부재
11 : 제1기판
12 : 돌출턱
13 : 연장턱
14 : 끼움부
15 : 관통구
16 : 결합관
20 : 단말 부재
21 : 제2기판
22 : 돌출블럭
23 : 고정돌기
24 : 양각부
30 : 단말 케이스
111, 112 : 개구
121 : 고정공
141 : 끼움판
142 : 끼움돌기
143 : 끼움단부
211 : 중심턱
212 : 접착면
213 : 테두리 영역
241 : 끼움홈
242 : 양각판
243 : 오목단부

Claims (7)

  1.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악세사리에 결합되는 악세사리 부재(10)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어 악세사리 부재(10)에 체결되는 단말 부재(20); 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결합되고,
    악세사리 부재(10)는
    제1기판(11)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각각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돌출턱(12);
    제1기판(11)의 테두리에서 직립된 벽면으로서 돌출턱(12)에서 연장되는 연장턱(13); 및
    제1기판(11)의 단부에서 연장턱(13)으로부터 제1기판(11)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142)가 구비된 끼움판(14);을 포함하고,
    단말 부재(20)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끼움돌기(142)가 삽입되도록 제2기판(21)의 일면에서 내향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끼움홈(241);
    돌출턱(12)과 제1기판(11)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돌출블럭(22);
    제2기판(21)에서 중심부에서 띠 형상을 이루도록 상향 돌출되는 중심턱(211)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단부에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끼움홈(241)이 형성되는 양각판(242)과, 끼움홈(241)들 사이에서 단부를 형성하는 오목단부(243)를 구비한 양각부(24); 를 포함하고,
    끼움판(14)은
    끼움돌기(142)들 사이에서 연장되어 오목단부(243)에 밀착되는 끼움단부(143)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단말 부재(20)는
    제2기판(21)에서 상향 돌출되어 돌출턱(12)에 관통 형성된 고정공(121)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3);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기판(11)은
    중심부에 관통된 관통구(15)가 형성되고, 반대 면에서 관통구(15)를 중심으로 돌출 연장되는 결합관(16);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기판(11)은
    돌출턱(12) 및 끼움돌기(142) 중 적어도 하나의 하측에서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111, 112);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KR1020210122138A 2021-09-14 2021-09-14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KR102378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38A KR102378927B1 (ko) 2021-09-14 2021-09-14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PCT/KR2022/013614 WO2023043147A1 (ko) 2021-09-14 2022-09-13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38A KR102378927B1 (ko) 2021-09-14 2021-09-14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927B1 true KR102378927B1 (ko) 2022-03-25

Family

ID=8093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138A KR102378927B1 (ko) 2021-09-14 2021-09-14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8927B1 (ko)
WO (1) WO20230431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47A1 (ko) * 2021-09-14 2023-03-23 강호민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326B1 (ko) 2017-04-07 2018-08-02 장평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196015B1 (ko) * 2020-02-24 2020-12-30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2200070B1 (ko) * 2020-01-29 2021-01-08 주식회사 태영트윈클 핸드백용 잠금장치
KR102259521B1 (ko) * 2021-01-20 2021-06-02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8151B2 (en) * 2012-01-12 2014-04-29 Rokform Llc Case and mount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2378927B1 (ko) * 2021-09-14 2022-03-25 강호민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326B1 (ko) 2017-04-07 2018-08-02 장평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200070B1 (ko) * 2020-01-29 2021-01-08 주식회사 태영트윈클 핸드백용 잠금장치
KR102196015B1 (ko) * 2020-02-24 2020-12-30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2259521B1 (ko) * 2021-01-20 2021-06-02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3147A1 (ko) * 2021-09-14 2023-03-23 강호민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3147A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629B1 (ko) 다용도 홀더
US9103489B2 (en) Terminal stand
US7500866B2 (en) Lid with projections for covering an opening formed a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260375B2 (en) Electronic device and case for the same
US9429268B2 (en) Dock charger with slidable connector
US8300388B2 (en) Accessory strap securing mechanism
KR102193313B1 (ko) 전자 장치
KR102378927B1 (ko)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US9164551B2 (en) Tablet computer
KR20120138429A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191867B1 (ko) 휴대폰 케이스
US20130088826A1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US20110176262A1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80109453A (ko) 전자 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US8203838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157174A1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100159311A1 (en) Electronic device
US11259113B2 (en) Sound enhancement device for cell phone
US7988472B2 (en) Electronic device
CN208190695U (zh) 移动终端
KR200454003Y1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커버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US1132968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non-touch user interface
CN208190693U (zh) 移动终端
KR20150115058A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