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058A - 휴대단말기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058A
KR20150115058A KR1020140039250A KR20140039250A KR20150115058A KR 20150115058 A KR20150115058 A KR 20150115058A KR 1020140039250 A KR1020140039250 A KR 1020140039250A KR 20140039250 A KR20140039250 A KR 20140039250A KR 20150115058 A KR20150115058 A KR 20150115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ase
elastic
elastic support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호
김태웅
Original Assignee
박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호 filed Critical 박우호
Priority to KR102014003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5058A/ko
Publication of KR20150115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나 그 케이스의 배면에 탄성편 형태로 제공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평탄하게 형성되고 휴대단말기나 그 케이스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서 일체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상면이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사용시 상면을 누를 때 오목하게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하도록 된 탄성지지부(2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부의 탄성변형에 의한 충격이 고정부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고정부(10)와 탄성지지부(20) 사이에 부분적으로 분리되게 외측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만입된 절개부분(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날개부 없이 고정부가 직접 휴대단말기에 부착, 고정되므로 거치대 사용에 따른 반복적인 탄성적 변형에 의한 접착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동작의 신뢰도가 향상되며, 별도의 날개부를 구비하지 않아 거치대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Stand For Portable Terminal And Case Having Intergral Stand}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 또는 그 케이스의 배면에 제공되어 휴대 또는 사용 시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 휴대단말기를 테이블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휴대단말기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또는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란 용어는 휴대폰(피쳐 폰: Feature Phone), MP3(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1 Audio Layer-3),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laptop) 노트북, 미니 노트북,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스마트폰(smart phone), 차량 거치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휴대용 게임기기(Play Station Portable), 전자사전 등 휴대 가능한 모든 전자단말기를 지칭한다.
상기한 휴대단말기 중에서도 휴대폰과 PDA의 기능이 융합된 스마트 폰은 기존의 음성 통화 중심의 휴대 전화 기능에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PDA의 네트워크 기능과 스케줄 기능, 개인 정보 관리 기능, Wi-Fi를 통한 인터넷 정보 검색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음성 통화는 물론, 화상 통화 및 전송, MP3 기능을 통한 음악 감상과 DMB를 통한 동영상 방송 콘텐츠를 즐길 수 있음과 아울러, GPS를 통한 네비게이션 기능은 물론, 게임을 즐기거나 또는 소설이나 만화 등도 다운로드 받아 볼 수 있는 등 그 놀라운 편의성 및 다양한 기능성으로 인하여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 매년 13%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모바일 기기의 중심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상기한 스마트 폰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기는 하지만, 통상적으로는 음성 전화 외에 고차원적 범용 운영체계(OS: Operating System)를 탑재하고 있으며 제3자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및 작동이 가능하고, 인터넷이 가능한 복합 모바일 기기로 정의될 수 있으며, 기기의 고성능화 및 고집적화 추세에 따라 기기의 민감도는 더욱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주로 손으로 들고 사용하지만, 책상이나 테이블에 올려놓고 방송이나 영화를 보는 경우, 휴대단말기를 책상 위에 눕힌 상태로 올려놓게 되면 눈과 화면의 각도가 지나치게 증가되어 화상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단말기를 책상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종래의 거치대는 별도의 지지수단을 책상이나 차량에 고정하고 그 위에 휴대단말기를 거치시키도록 하였으나, 휴대단말기를 필요에 따라 거치시킬 수 있도록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거치대를 직접 설치하되 사용과 휴대에 불편이 없도록 하는 거치대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예로서, 2013.06.26일 자로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 제10-1281064호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는 전개 상태에서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해 전개상태 또는 절곡상태로 탄성 변형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을 누르는 외력에 의해 절곡상태로 변환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외력에 의해 양단이 전개된 막대형상의 전개 상태를 이루거나 양단이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루며,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 상태에서 X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인 상기 판스프링의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있고, 상기 판스프링은 절곡상태에서의 높이(h1)가 전개 상태에서의 높이(h2)보다 커 절곡상태로 휴대단말기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가 돌출 형성된 외피부재와; 상기 날개부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거치대는 접착부재로 된 결합부재를 만곡된 판스프링에 부착할 수 없으므로 상기한 만곡된 판스프링의 중앙 양측에 평면상 날개부를 형성하고 일체화하여야 하는 구조로 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시 탄성변형에 의해 판스프링의 탄성변형에 의해 양단이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루게 될 때, 거치대 전체에 대하여 탄성변형에 의한 충격이 전달되고 이러한 반복적인 충격에 의해 날개부의 접착성이 저하되어 휴대폰 케이스에서 거치대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2013.06.26 등록 한국 특허 제10-1281064호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에 부착되는 거치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을 위한 날개부를 갖지 않고 휴대단말기 또는 케이스의 배면측에 고정부가 직접 부착, 고정되고 양측부를 이루는 고정부가 후방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테이블에 대하여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개선된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목적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일체화시킴으로써 거치대의 탈락 우려가 전혀 없는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전술한 목적에 더하여, 상기한 고정부의 연장 단부에 의한 의복에의 걸림 현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탄성 변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전술한 목적에 더하여, 더욱 향상된 완충성을 부여할 수 있는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상기한 두 번째 목적에 더하여 VDT 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자파 장해(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완화시킨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첫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휴대단말기나 그 케이스의 배면에 탄성편 형태로 제공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평탄하게 형성되고 휴대단말기나 그 케이스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일체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상면이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사용 시 볼록한 상면을 누르면 오목하게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된 쇼올더부와 자유단부를 가지는 탄성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지지부의 탄성변형에 의한 충격이 고정부에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고정부와 탄성지지부 사이에 절개부에 의한 네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그 저면에 휴대단말기나 그 케이스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양면 접착테이프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크부는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가 휴대단말기나 그 케이스의 배면에서 분리되게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에 인접한 상기 탄성지지부의 쇼올더부는 휴대단말기나 케이스 배면으로부터 이격하게 위치하는 한편, 상기 탄성지지부의 자유단부는 휴대단말기나 케이스 배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의 자유단부는 하향 만곡된 핑거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및 탄성지지부와 네크부가 금속 심재와 그 내외 표면을 피복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휴대단말기 케이스부와 거치대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거치대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 케이스부(50)에 매립되어 휴대단말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로부터 연장되며 볼록 만곡면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한 볼록 만곡면를 누르면 오목하게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며, 휴대단말기 케이스(50)와 분리된 탄성지지부(20)를 가지는 거치대로 구성되는 거치대 일체형 휴대단말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부(20)는 쇼올더부(21)와 자유단부(22)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1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10)와 탄성지지부(20) 사이에 절개부(13)에 의해 형성되는 네크부(11)가 위치하며, 상기 네크부는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20)가 휴대단말기 케이스부(50)의 배면에서 분리되게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10)에 인접한 상기 탄성지지부(20)의 쇼올더부(21)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부(5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하게 위치하는 한편, 상기 탄성지지부(20)의 자유단부(22)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부(50)의 배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는 탄성지지부(20)의 중앙 양측으로 하방 단차를 두고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날개 형상 고정부(10)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 케이스부(50)에 매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의 자유단부는 하향 만곡된 핑거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와 탄성지지부 및 네크부는 금속 심재와 그 내외 표면에 피복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금속 심재는 구리 합금판, 스테인리스강판, 또는 탄소 강판이거나, 또는 표면에 아연, 구리, 은 또는 도금층이 형성된 구리 합금판, 스테인리스강판, 또는 탄소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휴대 단말 케이스부의 모서리부분, 또는 전면 림 부분, 또는 변 부분에 완충성 부여를 위한 융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 케이스부에 매립되어 휴대단말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볼록 만곡의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어 볼록 만곡부를 누르면 오목하게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된 쇼올더부와 자유단부를 가지며, 휴대단말기 케이스와 분리된 탄성지지부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별도의 날개부 없이 고정부가 직접 휴대단말기에 부착, 고정되므로 거치대 사용에 따른 반복적인 탄성적 변형에 의한 접착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동작의 신뢰도가 향상되며, 별도의 날개부를 구비하지 않아 거치대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고,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거치대의 탈락 우려가 전혀 없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며 탄성지지부의 연장단부를 핑거부로 형성할 경우 의복에의 걸림 현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탄성 변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더욱 향상된 완충성과 전자파 장해를 완화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거치대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거치대 사용 시 탄성변형 상태도.
도 4는 도 1의 거치대를 휴대단말기 또는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휴대단말기를 테이블에서 경사지게 배치하도록 탄성 변형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테이블 위에 경사지게 배치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의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의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의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거치대(1)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거치대(1)는 휴대단말기나 그 케이스의 배면에 고정되며 평탄하게 형성된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적어도 일측에,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양측에서 각각 일체로 연장되고 상면이 폭방향 양단에서 중앙으로 볼록하게 원호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사용 시 도면에서 상면쪽으로 오목하게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하는 탄성지지부(20)를 포함한 탄성편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0)는 평탄한 부분으로 저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30)가 부착되어 휴대단말기의 배면이나 케이스의 저면에 부착, 고정된다.
상기 탄성지지부(20)는 고정부(10)의 양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지지부(20)는 고정부(10)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된 다음 연장(22)단부가 고정부(10)와 같은 수평면상에 위치하게 절곡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0)와 탄성지지부(20)는 복원력이 우수한 탄성력을 갖는 구리 합금판, 스테인리스강판, 또는 탄소 강판이거나, 또는 표면에 아연, 구리, 은 또는 도금층이 형성된 구리 합금판, 스테인리스강판, 또는 탄소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와 탄성지지부(20)는 VDT 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자파 장해(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구리 합금판, 스테인리스강판, 또는 탄소 강판이거나, 또는 표면에 아연, 구리, 은 또는 도금층이 형성된 구리 합금판, 스테인리스강판, 또는 탄소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금속 심재의 내외표면을 열가소성 수지로 피복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20)는 그 폭 방향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즉, 탄성지지부(20) 전체 길이방향으로 상면이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이로써, 각 탄성지지부(20)의 볼록한 상면은 사용자가 하방으로 누르면 볼록한 형태의 탄성지지부(20)는 평면 상태로 되면서 상면이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게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와 같은 탄성지지부(20)는 만곡된 곡률반경이 작을수록 변형된 상태는 작은 곡률의 원형의 원호 형상으로 변형된다. 그런데, 탄성지지부(20)가 상면에서 오목하게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될 때 고정부(10)가 양측 탄성지지부(20)들의 반복되는 탄성변형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고정부(10)와 양측의 탄성지지부(20) 사이에 부분적으로 분리되게 외측 모서리에서 내측으로 만입된 절개부분(13)을 형성하여 네크부(11)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탄성지지부(20)의 반복적인 탄성변형에 따른 충격이 고정부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켜 사용에 의한 반복적인 탄성변형의 충격에 대한 고정부(10)의 영향을 저감시키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10)의 저면에는 양면 접착 테이프(30)를 부착함으로써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거치대(1)를 접착 고정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10) 양측에 형성된 상면이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의 탄성지지부(20)들은 사용 시 상면을 사용자가 누를 때, 고정부(10)는 휴대단말기에 고정되는 반면 그 양측의 탄성지지부(20)는 상면을 향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휴대폰과 같은 휴대단말기 거치 시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를, 예컨대, 스마트폰의 케이스(50) 배면에 사용할 때, 사용자는 단순히 케이스(50) 배면에 고정부(10)를 양면 접착테이프(30)로 고정하면 된다. 이때, 고정부(10)는 케이스(50) 배면에 고정된 반면, 양측의 탄성지지부(20)는 케이스(50) 배면에서 분리되어 있지만, 탄성지지부(20)의 자유단부(22)는 케이스(50) 배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사용 시 즉, 주머니에 휴대폰을 넣거나 꺼낼 때 탄성지지부(20)의 자유단부(22)가 주머니에 걸리지 않게 되어 사용에 방해되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휴대폰을 테이블 위에 경사지게 거치시키고자 할 때, 휴대폰의 케이스(50) 저면에 고정된 고정부(10) 양측의 각 탄성지지부(20)의 볼록한 상면을 누르면, 각각의 탄성지지부(20)들은 케이스(50) 배면 측의 상방향, 즉 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50)가 외측에 끼워진 휴대폰을 눕히면 탄성지지부(20)들이 다리 역할을 하여 휴대폰을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게 지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 일체형 케이스(100)의 사시도에 대한 것으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거치대(1)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합성수지로 된 케이스(5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즉, 휴대폰 케이스(50)를 사출 성형할 때,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를 금형(미도시) 내에 미리 안착시켜 인서트 사출성형하며, 이때 고정부(10) 양측의 탄성지지부(20)는 케이스(50)와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거치대(1)의 고정부(10)를 케이스(50)와 일체로 형성하며, 사용 시에는 양측의 탄성지지부(20)가 다리부 역할을 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탄성지지부(20)가 케이스 배면에 고정된 고정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고정부(10)의 어느 일측에만 탄성지지부(20)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100a)의 개략 사시도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 케이스부(50)에 매립되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100a)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양측이 아닌 오로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볼록 만곡의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어 볼록 만곡부를 누르면 오목하게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된 쇼올더부(21)와 자유단부(22)를 가짐과 아울러, 휴대단말기 케이스(50)와는 분리된 탄성지지부(20)가 복수개(도시된 예에서는 2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나머지 사항은 전술한 바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최종적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100b)의 개략 사시도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탄성지지부(20)의 자유단부(22)가 하향 만곡된 핑거부(23)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와 같이 탄성지지부(20)의 연장단부(22)를 핑거부(23)로 형성함으로써, 연장단부(22)가 둥근 볼록 원호 상으로 형성됨에 따른 의복에의 걸림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반대 방향으로의 만곡시 핑거부(23)의 핑거가 외향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거치대(1)의 탄성 변형이 더욱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100b)는 휴대 단말 케이스부(50)의 모서리부분, 또는 전면 림 부분, 또는 변 부분에 완충성 부여를 위한 융기부(51)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주의나 실수로 휴대용단말기를 낙하시킨 경우에도 그 충격을 원활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100c)의 개략 사시도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고정부(10)가 길이방향으로 상면이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탄성지지부(20)의 대략 중앙 양측에 날개 형상으로 하방 단차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한 날개 형상의 고정부(10)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케이스부(50)에 매립되어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높은 사용 편의성을 가짐은 물론, 그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지속적인 탄성적 변형에 의한 접착력 저하의 문제가 거의 없어 향상된 동작 신뢰성을 나타내며 , 별도의 날개부가 없어 단순화에 따른 제조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휴대단말기 케이스는 거치대의 탈락 우려가 전혀 없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며 탄성지지부의 연장단부를 핑거부로 형성할 경우 의복에의 걸림 현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탄성 변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더욱 향상된 완충성과 전자파 장해를 완화시킬 수가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
10 : 고정부
11: 네크부 13 : 절개부
20 : 탄성지지부
21: 쇼올더부 22: 단부
23: 핑거부
30: 양면 접착테이프
50 : 케이스(케이스부)
51: 융기부
100,100a,100b,100c: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

Claims (13)

  1. 휴대단말기나 그 케이스의 배면에 탄성편 형태로 제공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평탄하게 형성되고 휴대단말기나 그 케이스 배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일체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상면이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사용 시 볼록한 상면을 누르면 오목하게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된 쇼올더부(21)와 자유단부(22)를 가지는 탄성지지부(20)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지지부(20)의 탄성변형에 의한 충격이 고정부(10)에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도록 상기 고정부(10)와 탄성지지부(20) 사이에 절개부(13)에 의한 네크부(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는 그 저면에 휴대단말기나 그 케이스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양면 접착테이프(30)가 형성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11)가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20)가 휴대단말기나 그 케이스의 배면에서 분리되게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10)에 인접한 상기 탄성지지부(20)의 쇼올더부(21)는 휴대단말기나 케이스 배면으로부터 이격하게 위치하는 한편, 상기 탄성지지부(20)의 자유단부(22)는 휴대단말기나 케이스 배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20)의 자유단부(22)가 하향 만곡된 핑거부(23)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 및 탄성지지부(20) 및 네크부(11)가 금속 심재와 그 내외 표면을 피복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6. 휴대단말기 케이스부(50)와 거치대(1)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한 거치대(1)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 케이스부(50)에 매립되어 휴대단말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로부터 연장되며 볼록 만곡면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한 볼록 만곡면를 누르면 오목하게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며, 휴대단말기 케이스(50)와 분리된 탄성지지부(20)를 가지는
    거치대 일체형 휴대단말기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20)가 쇼올더부(21)와 자유단부(22)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1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10)와 탄성지지부(20) 사이에 절개부(13)에 의해 형성되는 네크부(11)가 위치하며, 상기 네크부(11)가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탄성지지부(20)가 휴대단말기 케이스부(50)의 배면에서 분리되게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10)에 인접한 상기 탄성지지부(20)의 쇼올더부(21)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부(5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하게 위치하는 한편, 상기 탄성지지부(20)의 자유단부(22)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부(50)의 배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거치대 일체형 휴대단말기 케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가 탄성지지부(20)의 중앙 양측으로 하방 단차를 두고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 일체형 휴대단말기 케이스.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20)의 자유단부(22)가 하향 만곡된 핑거부(23)로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 일체형 휴대단말기 케이스.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와 탄성지지부(20)가 금속 심재와 그 내외 표면에 피복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 일체형 휴대단말기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금속 심재가 구리 합금판, 스테인리스강판, 또는 탄소 강판이거나, 또는 표면에 아연, 구리, 은 또는 도금층이 형성된 구리 합금판, 스테인리스강판, 또는 탄소 강판인 거치대 일체형 휴대단말기 케이스.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휴대 단말 케이스부(50)의 모서리부분, 또는 전면 림 부분, 또는 변 부분에 완충성 부여를 위한 융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 일체형 휴대단말기 케이스.
  13. 제6항에 있어서,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 케이스부(50)에 매립되어 휴대단말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볼록 만곡의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어 볼록 만곡부를 누르면 오목하게 탄성적으로 만곡 변형되어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된 쇼올더부(21)와 자유단부(22)를 가지며, 휴대단말기 케이스(50)와 분리된 탄성지지부(20)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 일체형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20140039250A 2014-04-02 2014-04-02 휴대단말기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 KR20150115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250A KR20150115058A (ko) 2014-04-02 2014-04-02 휴대단말기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250A KR20150115058A (ko) 2014-04-02 2014-04-02 휴대단말기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058A true KR20150115058A (ko) 2015-10-14

Family

ID=5435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250A KR20150115058A (ko) 2014-04-02 2014-04-02 휴대단말기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50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624A (ko) 2016-04-05 2017-10-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리개와 거치대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2234504B1 (ko) 2020-10-07 2021-03-31 김남용 거치용 단말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624A (ko) 2016-04-05 2017-10-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리개와 거치대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2234504B1 (ko) 2020-10-07 2021-03-31 김남용 거치용 단말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1640B2 (en) Protective device for mobile terminal
CN202150610U (zh) 便携式通信装置的扩充底座
US20130031289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detachable assembled electronic device and detachable assemble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20138429A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US9699283B2 (e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US8876076B2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CN112866447A (zh) 一种可折叠终端设备
KR20130074446A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US814528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682404B2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150115058A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및 그 거치대 일체형 케이스
KR20120080809A (ko) 스마트폰 커버
KR101572971B1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KR200491591Y1 (ko) 접이식 휴대폰 거치대
CN208190695U (zh) 移动终端
KR102378927B1 (ko) 모바일 단말의 악세사리 고정장치
KR101717074B1 (ko) 밴드 타입 휴대폰 스탠드
WO2021052099A1 (zh) 一种壳体组件以及电子装置
CN208190694U (zh) 移动终端
CN208190693U (zh) 移动终端
CN208079149U (zh) 移动终端
CN111552349A (zh) 电子设备
KR10174326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CN110572498A (zh) 一种壳体组件的装配方法、壳体组件以及电子装置
KR101871040B1 (ko) 가리개와 거치대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