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971B1 -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971B1
KR101572971B1 KR1020140017958A KR20140017958A KR101572971B1 KR 101572971 B1 KR101572971 B1 KR 101572971B1 KR 1020140017958 A KR1020140017958 A KR 1020140017958A KR 20140017958 A KR20140017958 A KR 20140017958A KR 101572971 B1 KR101572971 B1 KR 101572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clip
substrate
plat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986A (ko
Inventor
노승태
이지연
조정현
김진수
Original Assignee
협진커넥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협진커넥터(주) filed Critical 협진커넥터(주)
Priority to KR1020140017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9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5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clips or resilient members, e.g.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B 기판 표면에 실장되어 전자 부품 간에 전기적 접속을 유지해주는 표면 실장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 측면에 클립형으로 끼워지도록 기판 표면에 실장되는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기판의 두께를 이루는 측면에 끼워지는 공간이 조성된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기판 주위에 배치된 대상물과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단자는 클립부를 중심으로 멀티로 구현할 수 있는 있어 기판의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다수의 대상물과 접속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CLIP TYPE CONTACT TERMINAL ON THE BOARD}
본 발명은 PCB 기판 표면에 실장되어 전자 부품 간에 전기적 접속을 유지해주는 표면 실장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 측면에 클립형으로 끼워지도록 기판 표면에 실장되는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으로 음성이나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안테나가 구비된다. 안테나는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분된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의 경박단소와 공간확보를 위하여 내장형 안테나가 주로 적용된다.
이동통신단말기용 내장형 안테나는 인쇄 패턴의 안테나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덮개에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에 내장된 안테나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사이에는 접속단자를 통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단자는 PCB 기판 표면에 실장된 상태에서 덮개에 마련된 안테나의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 내지는 신호 전달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표면 실장 접속단자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기판 실장형 접속단자는 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을 프레스 및 포밍 가공을 통해 제작되는 것으로, 기판의 표면에 고정되는 바닥판(1)과, 안테나와 같은 대상물과 직접 접점을 이루는 접속부(4)와, 접속부(4)에 접속이 가해지는 경우에 접속부(4)에 탄성을 부여해주는 탄성부(2)와, 접속부(4)와 탄성부(2)를 수평으로 이어주는 연장부(3)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판에 실장된 접속단자는 접속부(4)에 대상물이 접속되면 접속부(4)는 탄성부(2)의 탄성 변형에 의해 일정 높이 아래 방향으로 가동하여 대상물과 접속상태를 유지하다가, 대상물과의 접점이 해제되는 경우에 탄성부(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종래의 표면 실장 접속단자는 평판 형태를 이루는 바닥판이 기판의 표면에 납땜을 통해 고정된다. 그런데 납땜 공정을 통해 접속단자를 기판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초래한다.
첫째,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접속단자는 그 크기가 매우 작은 소형 부품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기판에 납땜 공정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납땜 공정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둘째, 접속단자의 오랜 사용에 따른 접속부의 반복적인 하중으로 인해 납땜의 견고성 저하되어 접속단자가 기판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기판에 실장된 접속단자의 변형 또는 파손으로 인한 접속단자의 교체 시에 변형 또는 파손된 접속단자를 기판에 분리하는 과정에서 기판이 손상될 수 있고, 심한 경우에 기판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 경우에 기판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22314호(2012.03.1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26735호(2013.03.14.)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73197호(2013.07.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납땜 공정에 의하지 않고서도 기판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접속단자로 기판의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는 기판의 두께를 이루는 측면에 끼워지는 공간이 조성된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기판 주위에 배치된 대상물과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단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단자는 평판 형태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서 바닥판의 위로 둥글게 구부려지는 제1탄성부와, 상기 제1탄성부로부터 연장되어 위로 볼록한 곡선형의 제1접속부를 포함하는 제1접속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클립부는 상기 바닥판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 수평판과, 상기 상부 수평판의 끝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면 수직판과 상기 측면 수직판의 끝에서 상기 바닥판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부 수평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판과 함께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기판의 측면에 끼워지는 공간이 조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과 상기 하부 수평판에는 상기 클립부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절개된 탄지편이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클립부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와 직각을 이루면서 제1접속단자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기판의 측면에 배치된 대상물과 접속하는 제2접속단자가 더 형성된다. 제2접속단자에서 대상물과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2접속부는 기판의 상하 방향으로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클립부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가 형성된 반대쪽에 상기 제1접속단자와 대칭된 형태를 갖는 제3접속단자가 더 절곡 형성되어 하나의 접속단자로 기판의 여러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대상물과 멀티로 접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접속단자를 기판의 측면에 끼우는 방식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종래 납땜 공정에 의한 고정 방식에 비해 조립 시간은 물론 작업 공정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기판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접속단자의 교체 시에 기판이 전혀 손상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하나의 제품으로 기판의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다수의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다수의 접속단자를 일체로 구현할 수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의 뒤쪽 일 측에서 바라본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의 뒤쪽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의 뒤쪽 정면에서 바라본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의 앞쪽 정면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의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가 기판에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에서 제2접속단자에서 제2접속부의 구조가 다른 것을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가 이동통신용단말기에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을 상세하기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앞쪽', '뒤쪽', '전면' 및 '후면'의 방향 기준은 접속단자에서 접속부의 끝부분이 향하는 방향을 '앞쪽' 및 '전면'으로 정한 것이며 그 반대 방향을 '뒤쪽' 또는 '후면'으로 정한 것이고, 그리고 접속부가 가동되는 방향인 '상하 방향' 또는 '측 방향'의 기준은 수평 자세로 설치된 기판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가 기판에 실장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는 PCB 기판(40, 이하, ‘기판’이라 함)에 납땜 고정되는 방식이 아니라, 기판(40)의 측면에 끼워지는 클립부(20)를 통해 기판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는 방식이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는 기판의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2개의 전자부품(이하, ‘대상물’이라 함)과 접속 가능한 이중 접속단자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는 제1접속단자(10), 클립부(20) 및 제2접속단자(30)가 일체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접속단자(10)(30)는 클립부(20)를 매개로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1접속단자(10)는 클립부(20) 위쪽에서 기판의 상하 방향으로 가동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기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한 제1대상물과 접속한다. 그리고 제2접속단자(30)는 클립부(20)의 측면(기판에 끼워지는 반대 방향의 측면)에서 기판의 측면 방향으로 가동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기판의 측면에 위치한 제2대상물과 접속한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어진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는 구리합금 또는 금 합금과 같은 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 띠 형상의 판재를 가공하여 일체로 제작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클립부(20), 제1접속단자(10) 및 제2접속단자(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1접속단자(10)는 바닥판(11), 제1탄성부(12), 제1연장부(13) 및 제1접속부(14)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상기 바닥판(11)은 평판 형상으로 이동통신단말기 등에 내장된 기판의 윗면 또는 아랫면에 위치되게 놓인다.
상기 제1탄성부(12)는 바닥판(11)의 후면에서 일정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위로 둥글게 구부러진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형태를 이루면서 제1접속부(14)에 제1대상물의 접점시에 제1접속부(14)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며 탄성 변형되는 부분으로, 접점 해제시에는 제1접속부(14)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연장부(13)는 제1탄성부(12)의 끝에서 상기 바닥판(11)과 상하 서로 마주보게 수평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이다.
상기 제1접속부(14)는 기판의 상하 방향으로 가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서 제1대상물과 직접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제1연장부(13)의 끝에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상향 경사지다가 상단이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그 끝부분이 바닥판(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 또는 반타원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1접속부(14)의 볼록한 윗면에는 제1대상물과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평탄한 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엠보싱(14a)이 형성된다.
한편, 제1접속단자(10)에는 제1접속부(14)의 과도한 눌림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15)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5)는 제1접속부(14)를 밑에서 받쳐주는 부분으로서, 제1접속부(14)에 충격 등의 규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짐으로 인해 제1탄성부(12)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15)는 제1접속부(14)의 바로 아래의 바닥판(11)에서 제1접속부(14)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로 돌출된 "∩" 모양을 가지면서 제1접속부(14)의 하강 높이를 제한한다.
그리고 앞서 간단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는 기판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는 수단인 클립부(20)가 마련된다.
상기 클립부(20)는 제1접속단자(10)와 일체로 제작된다. 구체적으로 클립부(20)는 제1접속단자(10)의 바닥판(11) 아래에서 기판의 두께를 이루는 측면이 수용되는 공간, 즉 측면에 끼워지는 공간이 조성되게 제1접속단자(10)의 바닥판(11)으로부터 일체로 절곡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립부(20)는 제1접속단자(10)의 바닥판(11)으로부터 연장 및 절곡되는 상부 수평판(21), 측면 수직판(22) 및 하부 수평판(23)으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는 “ㄷ”모양을 가지면서 기판의 측면에 끼워진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상부 수평판(21)은 평판 형상으로 제1접속단자(10)의 바닥판(11) 일 측면(기판에 끼워지는 반대 방향으로의 바닥판(11) 측면) 끝에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다. 상부 수평판(21)은 클립부(20)가 기판에 끼워질 때 바닥판(11)과 함께 기판의 윗면에 위치된다.
상기 측면 수직판(22)은 평판 형상으로 상부 수평판(21)의 끝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절곡 연장된다. 측면 수직판(22)은 클립부(20)가 기판에 끼워질 때 기판의 측면에 위치된다.
상기 하부 수평판(23)은 평판 형상으로 측면 수직판(22)의 끝에서 제1접속단자(10)의 바닥판(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면서 그 끝부분이 제1접속단자(10)의 바닥판(11) 끝부분까지 수평하게 연장된다. 하부 수평판(23)은 클립부(20)가 기판에 끼워질 때 기판의 아랫면에 위치된다.
정리하면, 상기 클립부(20)는 제1접속단자(10)의 바닥판(11)의 일 측면으로부터 수평, 수직 및 다시 수평하게 연장되어 제1접속단자(10)의 바닥판(11)과 함께 전체적으로“ㄷ”모양을 갖으면서 기판의 측면에 끼워진다. 이때, 상부 수평판(21)과 하부 수평판(23)은 측면 수직판(22)의 높이(대략 기판 두께의 높이)로 서로 이격되어 기판의 측면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한다.
그리고 상기 클립부(20)는 탄성을 갖는 얇은 띠의 금속 소재가 “ㄷ”모양으로 절곡된 형상의 특성상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통해 기판에 용이하게 끼워짐과 아울러 기판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클립부(20)가 기판에 끼워질 때에 클립부(20)는“ㄷ”모양을 이루는 윗면(바닥판 (11)과 상부 수평판(21))과 아랫면(하부 수평판(23))이 자체 탄성에 의해 기판 바깥쪽으로 쉽게 벌어짐으로써 기판에 용이하게 끼워진다. 그리고 클립부가 기판에 끼움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클립부(20)는 외측으로 벌어진 윗면(바닥판 (11)과 상부 수평판(21))과 아랫면(하부 수평판(23))이 기판 쪽으로 탄성 복원되는 복원력에 의해 기판에 견고하게 끼움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접속단자가 클립부(30)를 통해 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1접속단자(10)의 바닥판(11)과 클립부(30)의 하부 수평면(23) 가운데 부분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기판을 향하는 방향(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발휘되는 탄발력을 통해 기판의 위, 아래에서 눌러주는 탄지편(24a)(24b)이 각각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각 탄지편(24a)(24b)은 바닥판(11) 또는 하부 수평면(23)에서 한쪽 변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이 소재 두께 전체로 절개되고, 절개된 부분은 그 끝부분이 클립부(30)의 내측 공간(기판이 수용되는 공간)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다. 이때, 각 탄지편(24a)(24b)은 접속단자가 기판에 끼워지는 반대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다.
이로 인해, 클립부(20)가 기판에 기워질 때 기판이 클립부(20)의 내부 공간에서 각 탄지편(24a)(24b)의 경사면을 따라 지나감에 따라 각 탄지편(24a)(24b)은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다시 기판을 향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기판을 위아래에서 눌러줌으로써 접속단자가 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접속단자(30)는 클립부(20)의 측면 수직판(22)에서 클립부(20)의 내부 공간으로 절곡되어 제2대상물과 접속되는 것으로, 제1접속단자(10)와는 서로 직각을 이룬다.
이러한 제2접속단자(30)는 제2탄성부(32), 제2연장부(33) 및 제2접속부(34)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상기 제2탄성부(32)는 측면 수직판(22)의 후면에서 제1접속단자(10) 방향으로 둥글게 구부러진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형태를 이루면서 제2접속부(34)에 제2대상물의 접점시에 제2접속부(34)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며 탄성 변형되는 부분으로, 접점 해제시에는 제2접속부(24)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연장부(33)는 제2탄성부(32)의 끝에서 측면 수직판(22)의 전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2접속부(34)는 제1접속단자(10)의 제1접속부(14)와 마찬가지로 제2연장부(33)의 끝에서 제2연장부(33)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위로 볼록한 형상, 즉 제2연장부(33)의 끝에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상향(제1접속부(10)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다가 상단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그 끝부분이 하향(제1접속부(10)의 방향으로) 경사지는 반원 또는 반타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8 참조).
그런데 상술한 제2접속부(34)의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형 접속단자가 기판 실장 시에 제2접속부(34)가 기판(40)의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휴대폰은 휘어진 형상 또는 휘어짐이 가능하게 구현되고, 이에 따라 휴대폰의 후면을 마감하는 후면커버 역시 매우 얇으면서도 유연한 재질로 제작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클립형 접속단자의 제1접속단자가 이러한 휴대폰의 후면커버에 내장된 안테나와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2접속단자에서 제2접속부가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후면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면커버를 누르거나 또는 휴대폰 전체를 구부리는 외력(기판의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제2접속부의 측면에 가해짐으로써 제2접속단자의 변형이 발생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클립형 접속단자에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2접속부(34)를 기존 표면 실장 접속단자의 접속부와 달리 새로운 방식으로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상향 경사진 제2연장부(33)의 끝에는 평판 형상으로 수직면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수직 연장판(35)이 형성되고, 제2접속부(34)는 이 수직 연장판(35)의 폭을 이루는 상부 측면 또는 하부 측면의 끝에서 형성된다.
상기 제2접속부(34)는 상기 수직 연장판(35)의 상부 측면(또는 하부 측면)의 끝에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수직 연장판(35)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다가 상단이 수직 연장판(35)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그 끝부분이 수직 연장판(25)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 또는 반타원의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제2접속부(34)는 접속단자의 길이 방향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연장되는 반원 또는 반타원의 형태가 아니라, 접속단자의 폭 방향의 어느 한 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연장되는 반원 또는 반타원의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형 접속단자가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기판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접속단자의 제2접속부는 곡선을 이루는 면이 기판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2접속부에 기판의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다른 대상물의 접촉이 이루어지더라도 대상물이 제2접속부의 상하 방향으로의 곡선을 따라 부드럽게 미끄러짐으로써 대상물과의 걸림으로 인한 제2접속단자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제2접속부(34)의 볼록한 면에는 제2대상물과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평탄한 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엠보싱(34a)이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제2접속단자(30)가 클립부(20)의 내측 공간으로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클립부(2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제2접속단자(30)는 클립부(20)의 측면 수직판(22) 후면에서 제1접속단자(10)의 반대 방향으로 둥글게 구부러지는 탄성부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의 기판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는 ‘ㄷ’자 형태를 갖는 클립부(20)의 개구부를 기판(40)에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에, 클립부(20)를 기판의 두께를 이루는 어느 일 측면에 끼워서 밀어 넣음으로써 끼움 고정이 완료된다.
이때, 클립형 접속단자는 클립부(20)의 자체 탄성복원력과 더불어 각 탄지편의 탄발력을 통해 기판(4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클립형 접속단자의 교체 시에는 클립형 접속단자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기판(40)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기판(4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는 기판에 어떠한 손상을 주지도 않고서도 기판에 손쉽게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클립형 접속단자를 기판에 실장 조립하는 SMD 공정 시에 노즐 흡착 부위로 흡착부(20), 보다 정확하게는 흡착부(20)의 수직 측면판(22)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MD 조립 공정 관련하여, 노즐 흡착 부위로 탄성부를 통해 가동되는 접속단자를 이루는 면이 아닌 흡착부(20)를 이루는 면을 이용하게 되면 흡착 노즐의 흡착력에 의해 각 접속단자의 변형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가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용단말기에 기판에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접속단자(10)가 기판(40)의 위쪽(후면커버(50) 쪽)을 향하고 제2접속단자(30)는 기판(40)의 측면 쪽(배터리(미도시) 쪽)을 향하도록 클립부(30)를 통해 기판(40)에 실장된다.
따라서 후면커버(50)가 휴대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경우에 후면커버(50)의 내측에 설치되는 NFC 안테나와 같은 제1대상물(60)이 제1접속단자(10)와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휴대폰 단말기의 배터리 수용 공간의 측면방향으로 배터리(미도시, 제2대상물)가 끼워지면 배터리의 외부단자와 제2접속단자(30) 간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는 하나의 접속단자로 기판의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한 대상물과 접속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부(20)를 기준으로 제1접속부(10)의 반대 방향으로 제3접속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접속부(70)는 제1접속부(10)와 대칭 구조를 이루면서 기판의 아랫면에 위치하여 기판의 아래에 위치한 대상물과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는 휴대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 PMP, 네비게이션 등의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 : 제1접속단자 11 : 바닥판
12 : 제1탄성부 13 : 제1연장부
14 : 제1접속부 15 : 스토퍼
20 :클립부 21 : 상부 수평판
22 :측면 수직판 23 : 하부 수평판
24a,24b : 탄지편
30 : 제2접속단자 32 : 제2탄성부
33 : 제2연장부 34 : 제2접속부
35 : 수직 연장판 30 : 측면 연결부
40 : 기판 70 : 제3접속부

Claims (10)

  1.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 접속단자로,
    상기 기판의 두께를 이루는 측면에 끼워지는 공간이 조성된 'ㄷ'자 형태의 클립부(20)와,
    상기 클립부(20)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기판 주위에 배치된 대상물과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단자는 클립부(20)의 일측에 마련된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1접속단자(10)와 직각을 이루면서 제1접속단자(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기판의 측면에 배치된 대상물과 접속하는 제2접속단자(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단자(10)는 평판 형태의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의 후면에서 바닥판(11)의 위로 둥글게 구부려지는 제1탄성부(12)와, 상기 제1탄성부(12)로부터 연장되어 위로 볼록한 곡선형의 제1접속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20)는 상기 바닥판(11)의 폭을 이루는 어느 한쪽 끝에서 상기 바닥판(11)의 아래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20)는 상기 바닥판(11)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 수평판(21)과, 상기 상부 수평판(21)의 끝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면 수직판(22)과 상기 측면 수직판(22)의 끝에서 상기 바닥판(11)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부 수평판(23)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판(11)과 함께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기판의 측면에 끼워지는 공간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과 상기 하부 수평판(23)에는 상기 클립부(20)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 절개된 탄지편(24a)(24b)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단자(30)는 상기 측면 수직판(22)의 후면에서 둥글게 구부러진 제2탄성부(32)와, 상기 제2탄성부(32)로부터 상기 측면 수직판(22)의 전면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연장부(33)와, 상기 제2연장부(33)로부터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제1접속단자(10)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제2접속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32)는 상기 측면 수직판(22)의 후면에서 상기 제1접속단자(1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연장부(33)가 상기 클립부(2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단자(30)는 상기 제2연장부(33)의 끝에서 평판 형상으로 수직면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수직 연장판(35)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접속부(34)는 상기 연장판(35)의 폭을 이루는 상부 측면 또는 하부 측면의 끝에서 일정 곡률을 갖는 곡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20)에는 상기 제1접속단자(10)가 형성된 반대쪽에 상기 제1접속단자(10)와 대칭된 형태를 갖는 제3접속단자(70)가 더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KR1020140017958A 2014-02-17 2014-02-17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KR101572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958A KR101572971B1 (ko) 2014-02-17 2014-02-17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958A KR101572971B1 (ko) 2014-02-17 2014-02-17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986A KR20150096986A (ko) 2015-08-26
KR101572971B1 true KR101572971B1 (ko) 2015-11-30

Family

ID=5405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958A KR101572971B1 (ko) 2014-02-17 2014-02-17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7677B (zh) * 2016-06-07 2019-05-28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弹片连接器
KR102355943B1 (ko) * 2017-03-31 2022-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접속 장치
KR102582689B1 (ko) 2018-08-13 202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접속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904635A (zh) * 2019-01-09 2019-06-18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弹片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955Y1 (ko) 2002-07-30 2002-11-04 주식회사 팬택 휴대폰의 안테나 접점구조
CN203439145U (zh) 2013-07-30 2014-02-19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加油口门、加油口门弹片及安装支架
KR200475131Y1 (ko) 2014-07-14 2014-11-10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휴대 단말기용 이어 소켓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955Y1 (ko) 2002-07-30 2002-11-04 주식회사 팬택 휴대폰의 안테나 접점구조
CN203439145U (zh) 2013-07-30 2014-02-19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加油口门、加油口门弹片及安装支架
KR200475131Y1 (ko) 2014-07-14 2014-11-10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휴대 단말기용 이어 소켓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986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6032B2 (en) Bracket assembly,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CN107800830B (zh) 弹片、电路板组件、移动终端和移动终端的装配方法
US8184443B2 (en) SIM card retention assembly
US8597058B2 (en) Card holder
KR101572971B1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KR101556936B1 (ko)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US858178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module
KR101372079B1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TWI267227B (en) Antenna device
KR1015277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촉단자
US10193215B2 (en) Antenna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7988490B2 (en) Retaining clip for connector
US8368835B2 (en) Grounding mechanism for liquid crystal module
KR20160110074A (ko)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모듈
KR20160101652A (ko)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모듈
CN108565552B (zh) 天线装置、连接结构及终端设备
KR20150097360A (ko)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KR101433217B1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CN214849019U (zh) 天线组件及电子设备
JP4241575B2 (ja) 小型アンテナ
CN108232449B (zh) 天线装置、连接结构及终端设备
KR20150095371A (ko)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US20140055966A1 (en) Positioning structure for audio video jack
KR101443526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KR20150089257A (ko) 측방향 변형방지를 위한 표면 실장형 접속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