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753U -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753U
KR20200001753U KR2020190000422U KR20190000422U KR20200001753U KR 20200001753 U KR20200001753 U KR 20200001753U KR 2020190000422 U KR2020190000422 U KR 2020190000422U KR 20190000422 U KR20190000422 U KR 20190000422U KR 20200001753 U KR20200001753 U KR 202000017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plate
mobile terminal
protrusion
mou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512Y1 (ko
Inventor
남동훈
Original Assignee
남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동훈 filed Critical 남동훈
Priority to KR2020190000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12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7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4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with resilient means to eliminate extraneous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가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의 중심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상판; 상기 상판을 수용하며 일면의 중심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돌출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덮개부; 상기 상판 및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홀(hole)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을 통해 하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홀에 삽입된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며, 미는 힘의 작용 시 압축되어 부피가 줄어들고 당기는 힘의 작용 시 복원되며,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결합부 내의 결합에 의해 반복적인 당기는 힘의 작용 시에도 상기 상판과 상기 바디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IRON PLATE INSIDE UPPER PLATE}
아래의 실시예들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스마트폰이나 PDA, PMP 등과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를 말하는 것으로, 모바일 통신기기 기술의 발전에 의해 음성통화와 더불어 문자전송이나 영상통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통신기기들이 널리 보급되었다.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성과 더불어 외형적으로도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은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더욱 더 큰 비중으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영상 컨텐츠의 개발 및 공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영상물을 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를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들고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를 유지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게 되면 사용자의 손이나 어깨, 목 등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용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내비게이션 기능으로 사용하거나 핸즈프리 기능 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차량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거치대를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하우징을 가로 또는 세로로 집게 형태로 잡거나 스마트폰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공간이 설치되어 비교적 크기가 크고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4282호는 이러한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4282호
실시예들은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는 원뿔 형상으로 구성하여 휴대 단말기의 파지 및 거치를 용이하게 하고, 금속판을 이용하여 외부에 고정된 자석부와 결합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들은 후면 중심부에 돌출부를 갖는 금속판을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덮개부 내에 삽입하여 실리콘 상판을 구성하고, 실리콘 상판을 바디와 볼트 형태의 체결부재를 통해 나사 결합함으로써,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덮개부가 상판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의 중심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상판; 상기 상판을 수용하며 일면의 중심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돌출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덮개부; 상기 상판 및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홀(hole)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을 통해 하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홀에 삽입된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며, 미는 힘의 작용 시 압축되어 부피가 줄어들고 당기는 힘의 작용 시 복원되며,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결합부 내의 결합에 의해 반복적인 당기는 힘의 작용 시에도 상기 상판과 상기 바디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의 나사부에 삽입되는 와셔(wash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셔는, 표면이 코팅처리 되어,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체결부재의 나사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의 하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연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의 하부 외주면에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은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며, 상기 링 부재는, 연질로 이루어진 상기 바디에 작용하는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으로 인해 상기 홈부가 변형되어 상기 돌기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PVC, 고무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덮개부의 상면을 통해 외부에 구비된 자석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어, 상기 하판에 결합된 상기 휴대 단말기를 거치 가능하다.
상기 덮개부는, 후면의 중심부의 적어도 일부에 개방된 홈부와, 상기 홈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슬릿부를 포함하고, 소정의 탄성을 가져, 상기 홈부 및 상기 복수의 슬릿부를 통해 내부에 상기 상판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상판 및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는 링 형상의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로부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미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경사부와 연결되는 링 형상의 중단부와, 상기 중단부로부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로 직경이 커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미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판을 수용하는 링 형상의 하단부를 포함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상단부는, 상기 홀이 형성된 상면을 통해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 주변 및 상기 덮개부의 중심부의 적어도 일부에 개방된 홈부와 밀착되며,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바디부 내에 상기 제1 바디부가 수용되거나 상기 제2 바디부의 상기 하단부 내에 상기 중단부 및 제2 경사부가 수용된 후, 다시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바디부의 상기 하단부 내에 상기 중단부,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1 바디부가 수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디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는 원뿔 형상으로 구성하여 휴대 단말기의 파지 및 거치를 용이하게 하고, 금속판을 이용하여 외부에 고정된 자석부와 결합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후면 중심부에 돌출부를 갖는 금속판을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덮개부 내에 삽입하여 실리콘 상판을 구성하고, 실리콘 상판을 바디와 볼트 형태의 체결부재를 통해 나사 결합함으로써,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덮개부가 상판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의 압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 및 덮개부와 체결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 및 덮개부와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 덮개부 및 체결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판 및 덮개부와 결합되는 바디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차로 커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판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는 하판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파지 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고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바닥 또는 별도의 장치에 지지 시 사용자가 스크린을 쉽게 볼 수 있는 각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는 상판(110), 덮개부(120), 바디(130), 체결부재(150) 및 하판(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파지 또는 거치를 위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는 와셔(140) 및 링 부재(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11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111)으로 이루어지며, 상판(110)의 일면의 중심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판(110)의 돌출부(112)는 체결부재(150)와의 결합을 통해 바디(1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판(110)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자석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됨으로써 하판(160)에 결합된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는 상측에 금속판이 구비되어 차량 등에 부착된 자석부와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차량 등에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110)은 소정 두께의 원판 형상의 금속판(1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판(110)은 원판 형상뿐 아니라 다각형상 다양한 디자인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아래에서는 원판 형상을 하나의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상판(110)의 중심부에는 홀이 형성되고, 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112)가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13)이 형성되어 볼트 형상의 체결부재(150)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1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 형상의 체결부재(150)와 나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부(120)는 금속판(111)으로 이루어진 상판(11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등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120)의 일면의 중심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덮개부(120) 내부에 상판(110)의 금속판(111)을 수용할 수 있게 하며, 상판(110)의 돌출부(112)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12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진 PVC, 고무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판(111)으로 이루어진 상판(110)이 덮개부(120)의 상면을 통해 외부에 구비된 자석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덮개부(120)는 후면 중심부의 적어도 일부에 개방된 홈부(121)가 구성될 수 있으며, 작은 홈부(121)를 통해 내부에 상판(110)을 삽입하기 위해 홈부(12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의 슬릿부(122)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탄성을 가진 덮개부(120)는 홈부(121) 및 복수의 슬릿부(122)를 통해 내부에 상판(110)을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며, 덮개부(120)를 상판(110)과 분리 후 다른 디자인의 덮개부(120)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판(110)에 다양한 디자인의 덮개부(120)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심미적인 효과는 물론, 특정 로고, 그림, 문자 등을 통해 광고 효과도 줄 수 있다.
바디(130)는 상판(110) 및 덮개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판(110)의 돌출부(112)를 수용하는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13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직경이 점차 커지는 연질의 원통 형상 또는 원뿔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파지를 용이하게 하거나 지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13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며, 미는 힘의 작용 시 압축되어 부피가 줄어들고 당기는 힘의 작용 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상판(110)의 돌출부(112)와 결합부재(150)의 결합에 의해 반복적인 당기는 힘의 작용 시에도 상판(110)과 바디(13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130)를 휴대 단말기와 부착되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는 원뿔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기 위해 바디(130)의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부분을 파지하게 되며, 이 때 휴대 단말기와 손가락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있어 자연스럽게 손가락이 휘어 감는 형상이 되므로 보다 편하게 휴대 단말기를 감싸듯이 파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130)는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바디부는 상판(110)과 결합되는 링 형상의 상단부(131)와, 상단부(131)로부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미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제1 경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부는 제1 바디부의 제1 경사부(132)와 연결되는 링 형상의 중단부(133)와, 중단부(133)로부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로 직경이 커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미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제2 경사부(134)와, 제2 경사부(134)와 연결되고 하판(160)을 수용하는 링 형상의 하단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130)에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제2 바디부 내에 제1 바디부가 수용되거나 제2 바디부의 하단부(135) 내에 중단부(133) 및 제2 경사부(134)가 수용된 후, 다시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제2 바디부의 하단부(135) 내에 중단부(133), 제2 경사부(134) 및 제1 바디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바디부의 상단부(131)는 홀이 형성된 상면을 통해 상판(110)의 돌출부(112) 주변 및 덮개부(120)의 중심부의 적어도 일부에 개방된 홈부(121)와 밀착됨으로써, 상판(110)으로부터 덮개부(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부의 상단부(131)의 재질을 미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제1 경사부(132) 및 제2 경사부(134)보다 단단한 재질로 구성하여, 반복적으로 작용되는 미는 힘 및 당기는 힘에도 홀이 형성된 제1 바디부의 상단부(131)가 찢어지거나 내부에 수용되는 체결부재(150)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체결부재(150)는 바디(130)의 내부 공간을 통해 하측에서 삽입되어 바디(130)의 홀에 삽입된 상판(110)의 돌출부(112)와 결합됨으로써, 상판(110) 및 덮개부(120)와 바디(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체결부재(150)는 머리부(151) 및 나사산이 구성된 몸체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15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판(110)의 돌출부(11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이 구성되어, 상기 홀에 체결부재(150)를 수용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150)의 몸체부(152)에 삽입되는 와셔(140)(washer, 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와셔(140)는 볼트 형태의 체결부재(150)의 몸체부(152)에 끼워져 바디(130)의 상단부(131)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와셔(140)는 중심에 홀(142)이 형성된 링 형상(14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와셔(140)는 표면이 매끄럽게 코팅처리 되어 상판(110)의 돌출부(112)와 체결부재(150)의 나사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나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고정액을 나사에 칠한 후 코팅이 되어있는 와셔(140)를 나사와 우레탄 사이에 넣어 나사를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하판(160)은 바디(13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면(161)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하판(160)의 하면(161)에는 휴대 단말기와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판(16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원판 형상뿐 아니라 다각형상 다양한 디자인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하판(160)은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에 따라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는 링 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 부재(17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디(130)의 하부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바디(130)는 연질로 이루어지며 바디(130)의 하부 외주면에는 복수의 홈부(136)가 형성될 수 있고, 하판(160)은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부(162)가 형성되어 바디(130)의 하단부(135)에 수용된 상태로 하판(160)의 돌기부(162)가 바디(130)의 홈부(136)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링 부재(170)는 바디(130)의 하부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연질로 이루어진 바디(130)에 작용하는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으로 인해 홈부(136)가 변형되어 돌기부(16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링 부재(170)의 내주면에는 바디(130)의 돌기부(162)의 끝단을 수용하는 홈(17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압축된 바디(130)를 복원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판(110), 덮개부(120) 및 바디(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파지하여 당기는 경우, 바디(130)의 하부에 구성된 홈부(136)가 하판(160)의 돌기부(162)를 고정시켜야 하나, 이 경우 힘이 돌기부(162)에 집중되어 바디(130)의 홈부(136)가 늘어날 수 있다. 이 때 링 부재(170)를 바디(130)의 하부에 한번 더 감싸주어 집중되는 힘을 양측으로 분산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므로 우레탄 바디(130)의 홈부(136)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링 부재(170)는 하판(160)의 돌기부(162)가 바디(130)의 홈부(136)에 결합된 형상을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외관상 깔끔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디(130)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는 원뿔 형상으로 구성하여 휴대 단말기의 파지 및 거치를 용이하게 하고, 금속판을 이용하여 외부에 고정된 자석부와 결합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후면 중심부에 돌출부(112)를 갖는 금속판을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덮개부(120) 내에 삽입하여 실리콘 상판(110)을 구성하고, 실리콘 상판(110)을 바디(130)와 볼트 형태의 체결부재(150)를 통해 나사 결합함으로써,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덮개부(120)가 상판(110)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의 압축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의 바디(130)에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제2 바디부 내에 제1 바디부가 수용되거나 제2 바디부의 하단부(135) 내에 중단부(133) 및 제2 경사부(134)가 수용된 후, 다시 바디(130)에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제2 바디부의 하단부(135) 내에 중단부(133), 제2 경사부(134) 및 제1 바디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바디(130)에 한번의 큰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제2 바디부의 하단부(135) 내에 중단부(133), 제2 경사부(134) 및 제1 바디부가 한번에 수용될 수 있다.
하판(160)은 바디(13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접착층 등을 통해 하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는 휴대 단말기를 파지 또는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판(16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원판 형상뿐 아니라 다각형상 다양한 디자인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상판(110) 및 하판(160)이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판(110)의 크기를 하판(160)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하여 미는 힘을 통해 압착시킨 후 당기는 힘을 통해 바디(130)를 팽창시킬 때,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상판(110)을 파지하여 당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 및 덮개부와 체결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의 상판(110) 및 덮개부(120)와 체결부재(150)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덮개부(120)가 결합된 상판(110)의 돌출부(112)에 체결부재(150)가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120)의 내부에 수용된 상판(110)을 보여주기 위해 덮개부(120)의 일부가 절단된 상태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판(110) 및 덮개부(120)와 체결부재(150)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상판(110) 및 덮개부(120)와 체결부재(150) 사이에 배치되는 바디(130)를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은 덮개부(120) 내부에 수용되며, 상판(110)의 돌출부(112)가 덮개부(120)의 후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판(110)의 돌출부(112) 내에 볼트 형태의 체결부재(150)가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원통 형상의 상판(110)의 돌출부(1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구성되어 볼트 형태의 체결부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150)의 나사산 부분에는 링 형상의 와셔(140)가 끼워져 상판(110)의 돌출부(112)와 체결부재(150)의 나사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 및 덮개부와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이 수용된 덮개부(120)의 후면에 바디(1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바디(130)의 결합을 위해 덮개부(120)의 후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판(110)의 돌출부(112)와 체결부재(150)를 결합시킴으로 그 사이에 바디(130)의 적어도 일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 덮개부 및 체결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100)의 상판(110), 덮개부(120) 및 체결부재(150)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상판(110)은 후면의 중심부에 구성된 돌출부(112)를 중심으로 외부에 덮개부(12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덮개부(12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PVC, 고무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판(110)의 외부에 특정 디자인을 덮어 씌워주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덮개부(120)는 후면 중심부의 적어도 일부에 개방된 홈부(121)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판(110)보다 작은 홈부(121)를 통해 내부에 상판(110)을 삽입하기 위해 홈부(121)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의 슬릿부(122)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탄성을 가진 덮개부(120)는 홈부(121) 및 복수의 슬릿부(122)를 통해 내부에 상판(110)을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며, 덮개부(120)를 상판(110)과 분리 후 다른 디자인의 덮개부(120)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부(120)의 내부에 상판(110)을 삽입 후, 덮개부(120)의 홈부(1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판(110)의 돌출부(112)에 바디(130)의 홀을 끼우고, 바디(130)의 내부 공간으로 볼트 형태의 체결부재(150)를 삽입하여 돌출부(112)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볼트 형태의 체결부재(150)에 링 형상의 와셔(140)를 삽입 후 나사 결합함으로써 나사 결합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판(110) 및 덮개부(120)를 결합시킨 후, 상판(110)의 돌출부(112)와 체결부재(150)의 나사 결합을 통해 바디(130)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당기는 힘의 작용 시에도 상판(110) 및 덮개부(120)와 연질의 바디(13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속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상판의 돌출부와 볼트 형태의 체결부재의 나사 결합을 통해 덮개부가 씌워진 상판과 바디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당기는 힘에 의해 덮개부가 씌워진 상판과 바디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덮개부의 개방된 홈부에 바디의 상단부를 밀착시킨 후 체결부재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개방된 홈부를 막아 덮개부가 상판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디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차로 커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판의 하측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파지 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고 편안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바닥 또는 별도의 장치에 지지 시 사용자가 스크린을 쉽게 볼 수 있는 각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상판을 통해 차량 등에 부착된 자석부와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차량 등에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휴대 단말기는 스마트폰뿐 아니라, 내비게이션(navigation),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플레이어,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전화, 태블릿 PC, 스마트기기뿐만 아니라 휴대를 위하여 소형화된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의 중심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상판;
    상기 상판을 수용하며 일면의 중심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돌출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덮개부;
    상기 상판 및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홀(hole)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을 통해 하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홀에 삽입된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면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하판
    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며, 미는 힘의 작용 시 압축되어 부피가 줄어들고 당기는 힘의 작용 시 복원되며,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결합부 내의 결합에 의해 반복적인 당기는 힘의 작용 시에도 상기 상판과 상기 바디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나사부에 삽입되는 와셔(washer)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셔는,
    표면이 코팅처리 되어,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체결부재의 나사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의 하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연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의 하부 외주면에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은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며,
    상기 링 부재는, 연질로 이루어진 상기 바디에 작용하는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으로 인해 상기 홈부가 변형되어 상기 돌기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PVC, 고무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덮개부의 상면을 통해 외부에 구비된 자석부와 자성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어, 상기 하판에 결합된 상기 휴대 단말기를 거치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후면의 중심부의 적어도 일부에 개방된 홈부와, 상기 홈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슬릿부를 포함하고,
    소정의 탄성을 가져, 상기 홈부 및 상기 복수의 슬릿부를 통해 내부에 상기 상판을 수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상판 및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는 링 형상의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로부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미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경사부와 연결되는 링 형상의 중단부와, 상기 중단부로부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로 직경이 커지며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미는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와 연결되고 상기 하판을 수용하는 링 형상의 하단부를 포함하는 제2 바디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의 상단부는,
    상기 홀이 형성된 상면을 통해 상기 상판의 상기 돌출부 주변 및 상기 덮개부의 중심부의 적어도 일부에 개방된 홈부와 밀착되며,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바디부 내에 상기 제1 바디부가 수용되거나 상기 제2 바디부의 상기 하단부 내에 상기 중단부 및 제2 경사부가 수용된 후, 다시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2 바디부의 상기 하단부 내에 상기 중단부,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1 바디부가 수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20190000422U 2019-01-29 2019-01-29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0492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22U KR200492512Y1 (ko) 2019-01-29 2019-01-29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22U KR200492512Y1 (ko) 2019-01-29 2019-01-29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53U true KR20200001753U (ko) 2020-08-06
KR200492512Y1 KR200492512Y1 (ko) 2020-10-28

Family

ID=72038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22U KR200492512Y1 (ko) 2019-01-29 2019-01-29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417U (ko) * 2021-08-19 2023-02-28 남동훈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27Y1 (ko) * 2013-10-15 2014-01-16 (주)디지탈포디 휴대 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KR200472994Y1 (ko) * 2014-03-12 2014-06-03 김호철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KR200479290Y1 (ko) * 2015-11-17 2016-01-12 김호철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KR200484282Y1 (ko) 2017-02-24 2017-08-22 (주)유윈씨앤티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27Y1 (ko) * 2013-10-15 2014-01-16 (주)디지탈포디 휴대 단말기용 자석 거치대
KR200472994Y1 (ko) * 2014-03-12 2014-06-03 김호철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KR200479290Y1 (ko) * 2015-11-17 2016-01-12 김호철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KR200484282Y1 (ko) 2017-02-24 2017-08-22 (주)유윈씨앤티 휴대단말기 거치용 기능성 스마트 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417U (ko) * 2021-08-19 2023-02-28 남동훈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512Y1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667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0490903Y1 (ko) 거울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101062570B1 (ko)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US20120305422A1 (en) Portable device protector case
US20180013463A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an angle adjustable phone hanger ring
KR200466549Y1 (ko) 단말기용 핑거 홀더
JP2016515783A (ja) モバイル機器のアクセサリ及びそれを有するモバイル機器の車両装着装置
US11330093B2 (en) Magnetically connectable grip and connector for electronics
KR200475504Y1 (ko) 이동통신기기의 거치장치
KR200492512Y1 (ko)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101753520B1 (ko) 스마트폰 거치대
US20230051385A1 (en) Car mobile phone connection device
KR102074577B1 (ko) 칩이 내장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110064815A (ko)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스타일러스 펜 겸용 내장형 안테나 장치
KR101967449B1 (ko)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210087794A (ko) 탈부착 가능한 휴대용단말기의 고리형 손잡이 구조체
KR101951925B1 (ko) 전자기기 장착 기능의 모바일용 거치대
US2012001404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endant attachment system
US20070269290A1 (en) Housing structure with protecting pad
CN215488948U (zh) 多功能电子设备支架
US8184844B2 (en) Microphone mounter
US2013003498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connector thereof
KR20180032805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
KR101825743B1 (ko) 모바일 거치대
WO2021247751A1 (en) Magnetically connectable grip and connector for electro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