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417U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417U
KR20230000417U KR2020210002579U KR20210002579U KR20230000417U KR 20230000417 U KR20230000417 U KR 20230000417U KR 2020210002579 U KR2020210002579 U KR 2020210002579U KR 20210002579 U KR20210002579 U KR 20210002579U KR 20230000417 U KR20230000417 U KR 202300004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plate
metal
magnet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017Y1 (ko
Inventor
남동훈
Original Assignee
남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동훈 filed Critical 남동훈
Priority to KR2020210002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017Y1/ko
Priority to PCT/KR2022/009275 priority patent/WO2023022360A1/ko
Publication of KR202300004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4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0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자성 기반 착탈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고, 중앙 영역이 개방된 자석 부재를 포함하고, 자석 부재의 중앙 영역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가 마련된 자성 플레이트, 및 자석 부재의 자성을 기반으로 자성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한 금속 부재 및 금속 부재가 자석 부재에 결합될 때, 수용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체결 플레이트 포함하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MAGNETIC-BASED ATTACHABLE STRUCTURE OF PORTABLE TERMINAL HOLDER}
다양한 실시예들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석과 금속의 자성 결합을 기반으로 서로에 착탈 가능한 착탈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그립되거나, 바닥 또는 외부 기기에 대해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후에, 휴대용 단말기에 다시 부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새로운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용이하게 탈부착되게 하는 착탈 구조체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착탈 구조체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고, 중앙 영역이 개방된 자석 부재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트, 및 상기 자석 부재의 자성을 기반으로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한 금속 부재를 포함하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착탈 구조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자석 플레이트가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고, 금속 플레이트가 자석 플레이트에 자기적으로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장착되어, 사용자가 금속 플레이트를 자석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것 이외의 불필요한 작용에 저항하면서, 자석 플레이트와 금속 플레이트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견고하게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가 자석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사용자는 금속 플레이트의 미러를 사용하거나, 자석 플레이트를 별도의 금속 외벽에 부착시켜, 휴대용 단말기를 금속 외벽에 거치시키거나,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무선 충전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단면도들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이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과 정면도들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장치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도록 구현되는 착탈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착탈 구조체에 결합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의 단면도들이다. 여기서, 도 3은 자석 플레이트(120)에 대해, 금속 플레이트(13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는 자석 플레이트(120)에 대해, 금속 플레이트(13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도 6 및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의 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도 6 및 도 7에서, (a)는 휴대용 단말기(10)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의 사시도이고, (b)는 휴대용 단말기(10)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의 정면도이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착탈 구조체(110) 또는 바디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 구조체(110)는 휴대용 단말기(10)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착탈 구조체(110)는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휴대용 단말기(10)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착탈 구조체(110)는 자석 플레이트(120) 및 금속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 플레이트(120)와 금속 플레이트(130)는 상호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자석 플레이트(120)는 실질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에 부착 가능하다. 자석 플레이트(120)는 자석 부재(121), 자석 커버(123) 및 차폐 접착 부재(12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석 플레이트(120)는 미리 정해진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자석 부재(121)는 중앙 영역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자석 부재(121)에는, 중앙 영역에 관통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자석 부재(121)는 원형의 링 구조 또는 다각형의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들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자석 부재(121)의 관통 홀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들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석 부재(121)는 미리 정해진 직경을 갖고, 관통 홀은 자석 부재(1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자석 커버(123)는 자석 부재(121)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이 때, 자석 커버(123)에는, 수용부(125)가 마련될 수 있다. 수용부(125)는 자석 부재(121)의 중앙 영역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부(125)는 자석 부재(121)의 관통 홀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125)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125)는 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용부(125)의 높이는 자석 플레이트(120)의 두께와 대략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125)는 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용부(125)의 높이는 자석 플레이트(12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자석 커버(123)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폐 접착 부재(127)는 휴대용 단말기(10)에 접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차폐 접착 부재(127)는 양면 테이프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차폐 접착 부재(127)는 일 면을 통해 자석 부재(121) 또는 자석 커버(123)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차폐 접착 부재(127)는 반대되는 면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에 접착 가능하다. 이를 통해, 자석 플레이트(120)는 차폐 접착 부재(127)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차폐 접착 부재(127)는, 자석 플레이트(120)가 휴대용 단말기(10)에 부착된 동안, 자석 부재(121)의 자성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를 격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 접착 부재(127)는 우수한 열전도성과 자성 흡수 능력을 동시에 갖는 복합체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폐 접착 부재(127)는 두 개의 점착층들 및 점착층들 사이의 전도성 기재층을 포함하며, 전도성 기재층이 자성 차폐 및 접지 능력을 가질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130)는 자석 플레이트(120)에 착탈 가능하다. 이 때, 금속 플레이트(130)는 자석 부재(121)의 자성을 기반으로, 자성 플레이트(120)에 착탈 가능하다. 아울러, 금속 플레이트(130)는 구조적으로 자성 플레이트(120)에 착탈 가능하다. 금속 플레이트(130)는 금속 부재(131) 및 체결 플레이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금속 플레이트(130)는 미러(137)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금속 부재(131)는 자성 부재(121)의 자성을 기반으로, 자성 플레이트(120)에 착탈 가능하다. 즉, 금속 부재(131)는 자성 부재(121)와의 자성 결합을 통해 자성 플레이트(120)에 장착되고, 자성 부재(121)와의 자성 분리를 통해 자성 플레이트(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금속 부재(131)는 자석 부재(121)에 대응하는 형성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금속 부재(131)는 중앙 영역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자석 부재(121)에는, 중앙 영역에 관통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금속 부재(131)는 원형의 링 구조 또는 다각형의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금속 부재(131)의 관통 홀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부재(131)는 미리 정해진 직경을 갖고, 관통 홀은 금속 부재(1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금속 부재(131)의 직경은 자석 부재(121)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금속 부재(131)의 관통 홀의 직경은 자석 부재(121)의 관통 홀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체결 플레이트(133)는 금속 부재(131)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으면서, 자성 플레이트(120)에 체결 가능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플레이트(133)는 합성수지 재료,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 플레이트(133)는 지지 플레이트(134) 및 돌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34)는 금속 부재(131)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134)의 직경은 금속 부재(131)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134)는 금속 부재(131)를 사이에 두고, 자석 플레이트(120)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35)는 지지 플레이트(13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35)는 수용부(125)에 삽입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돌출부(135)의 직경은 수용부(125)의 직경과 대체로 유사하며, 돌출부(135)의 형상은 수용부(125)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35)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들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35)의 두께는 수용부(125)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금속 플레이트(130)가 자석 플레이트(120)에 장착된 동안, 돌출부(135)와 수용부(125)가 맞물려 있을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돌출부(135)는 금속 부재(131)의 관통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금속 부재(131)는 돌출부(135)를 에워쌀 수 있다.
미러(137)는 돌출부(135)의 노출된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금속 플레이트(130)가 자성 플레이트(120)에 장착된 동안, 미러(137)는 착탈 구조체(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금속 플레이트(130)가 자성 플레이트(120)로부터 분리된 동안, 미러(137)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미러(137)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들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미러(137)의 직경은 돌출부(135)의 직경과 같거나, 돌출부(135)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돌출부(135)와 미러(137)의 두께들의 합은 수용부(125)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돌출부(135)가 금속 부재(131)의 관통 홀을 통과하고, 금속 부재(131)가 돌출부(135)를 에워싸는 경우, 미러(137)는 금속 부재(131)의 내측에서 돌출부(135)에 부착될 수 있다.
바디부(140)는 착탈 구조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40)는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플레이트(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140)는 금속 플레이트(130)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140)는 금속 플레이트(130)에 착탈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40)는 착탈 구조체(11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에 착탈 가능하다. 이 때, 휴대용 단말기(10)에 장착되었을 때, 바디부(140)는 그리고, 바디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그립되거나, 외부 표면, 예컨대 바닥 또는 외부 기기에 대해 휴대용 단말기(1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0)를 지지할 때, 바디부(140)는 외부 표면에 대해 다양한 각도들로 휴대용 단말기(1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바디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용 단말기(10)를 지지할 수 있다. 바디부(140)는 바닥 플레이트(141), 상단 플레이트(143), 및 바디 구조체(147)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플레이트(141)는 실질적으로 금속 플레이트(13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플레이트(141)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들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플레이트(141)는 합성수지 재료,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단 플레이트(143)는 바디 구조체(147)를 사이에 두고, 바닥 플레이트(141)의 맞은 편에 배치도리 수 있다. 여기서, 상단 플레이트(143)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들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플레이트(143)는 합성수지 재료,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상단 플레이트(143)에는, 다양한 유형들의 액세서리부(도시되지 않음)들이 장착될 수 있다.
바디 구조체(147)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그립되거나, 외부 표면, 예컨대 바닥 또는 외부 기기에 대해 휴대용 단말기(10)를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10)를 지지할 때, 상단 플레이트(143)가 바닥 또는 외부 기기에 접촉됨에 따라, 바디 구조체(147)가 휴대용 단말기(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 구조체(147)는 바닥 플레이트(141)와 상단 플레이트(143)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 구조체(147)는 합성수지 재료,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바디 구조체(147)의 직경은 바닥 플레이트(141)의 직경보다 작고, 상단 플레이트(143)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 구조체(147)의 직경은, 사용자가 바디 구조체(147)의 둘레를 따라 손가락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값일 수 있다. 여기서, 바디 구조체(147)의 직경은 바닥 플레이트(141)와 상단 플레이트(143) 사이에서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바디 구조체(147)의 직경은 바닥 플레이트(141)에 가까울수록 크고, 상단 플레이트(143)에 가까울수록 작을 수 있다.
그리고, 바디 구조체(147)는 변형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바디 구조체(147)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 구조체(147)는 바닥 플레이트(141)에 결합되는 제 1 바디와 상단 플레이트(143)에 결합되는 제 2 바디를 포함하고,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는 서로에 대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바디 또는 제 2 바디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제 1 바디와 제 2 바디 사이에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구조체(110)가 휴대용 단말기(10)에 부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자석 플레이트(120)가 휴대용 단말기(10)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차폐 접착 부재(127)가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플레이트(130)가 자석 플레이트(1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자석 부재(121)의 자성을 기반으로, 금속 부재(131)가 자석 부재(121)에 대해 자성 결합됨에 따라, 금속 플레이트(130)가 자석 플레이트(120)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돌출부(135)가 수용부(125)의 내측에 삽입되어, 돌출부(135)와 수용부(125)가 맞물림에 따라, 금속 플레이트(130)가 자석 플레이트(1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금속 플레이트(130)가 자석 플레이트(120)에 자기적으로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장착되어, 사용자가 금속 플레이트(130)를 자석 플레이트(1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것 이외의 불필요한 작용에 저항하면서, 자석 플레이트(120)와 금속 플레이트(130)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40)가 휴대용 단말기(10)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그립되거나, 외부 표면, 예컨대 바닥 또는 외부 기기에 대해 휴대용 단말기(10)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플레이트(130)가 자석 플레이트(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130)가 자석 플레이트(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금속 플레이트(130)의 미러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자석 부재(121)의 자성을 기반으로, 자석 플레이트(120)가 별도의 금속 외벽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휴대용 단말기(10)가 금속 외벽에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가 금속 외벽에 거치된 상태로, 휴대용 단말기(10)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금속 플레이트(130)가 분리된 상태로, 휴대용 단말기(10)에 대해 무선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의 착탈 구조체(110)를 제공하며, 착탈 구조체(110)는 휴대용 단말기(10)에 부착되고, 중앙 영역이 개방된 자석 부재(121)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트(120), 및 자석 부재(121)의 자성을 기반으로 자성 플레이트(120)에 착탈 가능한 금속 부재(131)를 포함하는 금속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성 플레이트(120)에는, 자석 부재(121)의 중앙 영역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125)가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속 플레이트(130)는, 금속 부재(131)가 자석 부재(121)에 결합될 때, 수용부(125)의 내측에 삽입되는 돌출부(135)가 형성된 체결 플레이트(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성 플레이트(120)는, 휴대용 단말기(10)에 부착되면서, 자석 부재(121)의 자성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를 격리시키는 차폐 접착 부재(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속 부재(131)는, 중앙 영역이 개방되어, 돌출부(135)에 의해 통과됨에 따라, 돌출부(135)를 에워싸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속 플레이트(130)는, 금속 부재(131)의 내측에서 돌출부(135)에 부착된 미러(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금속 플레이트(130)에 결합되고, 금속 플레이트(130)가 자성 플레이트(120)에 장착되었을 때, 휴대용 단말기(10)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그립되거나, 외부 표면에 대해 휴대용 단말기(10)를 지지하도록 구현되는 바디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착탈 구조체(11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가 휴대용 단말기(10)에 대해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자석 플레이트(120)가 휴대용 단말기(10)에 부착되고, 금속 플레이트(130)가 자석 플레이트(120)에 자기적으로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장착되어, 사용자가 금속 플레이트(130)를 자석 플레이트(1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것 이외의 불필요한 작용에 저항하면서, 자석 플레이트(120)와 금속 플레이트(130)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가 견고하게 휴대용 단말기(10)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130)가 자석 플레이트(12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사용자는 금속 플레이트(130)의 미러(137)를 사용하거나, 자석 플레이트(120)를 별도의 금속 외벽에 부착시켜, 휴대용 단말기(10)를 금속 외벽에 거치시키거나, 휴대용 단말기(10)에 대해 무선 충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 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 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 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예: 제 3 구성 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술한 구성 요소들의 각각의 구성 요소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 요소는 복수의 구성 요소들 각각의 구성 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통합 이전에 복수의 구성 요소들 중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5)

  1.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착탈 구조체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고, 중앙 영역이 개방된 자석 부재를 포함하는 자성 플레이트; 및
    상기 자석 부재의 자성을 기반으로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한 금속 부재를 포함하는 금속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착탈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는,
    상기 자석 부재의 중앙 영역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금속 부재가 상기 자석 부재에 결합될 때,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체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착탈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플레이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면서, 상기 자석 부재의 자성으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격리시키는 차폐 접착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착탈 구조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중앙 영역이 개방되어, 상기 돌출부에 의해 통과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를 에워싸도록 구현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금속 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돌출부에 부착된 미러
    를 더 포함하는,
    착탈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상기 자성 플레이트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그립되거나, 외부 표면에 대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도록 구현되는 바디부
    를 포함하는,
    착탈 구조체.
KR2020210002579U 2021-08-19 2021-08-19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KR200497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579U KR200497017Y1 (ko) 2021-08-19 2021-08-19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PCT/KR2022/009275 WO2023022360A1 (ko) 2021-08-19 2022-06-29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579U KR200497017Y1 (ko) 2021-08-19 2021-08-19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417U true KR20230000417U (ko) 2023-02-28
KR200497017Y1 KR200497017Y1 (ko) 2023-07-04

Family

ID=8524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579U KR200497017Y1 (ko) 2021-08-19 2021-08-19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7017Y1 (ko)
WO (1) WO2023022360A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669Y1 (ko) * 2002-05-03 2002-08-13 전소은 휴대폰 액세서리
JP3193818U (ja) * 2014-08-07 2014-10-23 裕雄 范 ミラーを具えたホルダ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KR20160090986A (ko) * 2015-01-22 2016-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KR20160122968A (ko) * 2015-04-15 2016-10-25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20170002976U (ko) * 2016-02-16 2017-08-24 배진우 자석 거치대
KR20170132511A (ko) * 2016-05-24 2017-12-04 최상효 물품 부착용 다기능 자석 거치대
KR20180002013U (ko) * 2016-12-26 2018-07-04 백창균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90903Y1 (ko) * 2018-08-28 2020-01-20 남동훈 거울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200001753U (ko) * 2019-01-29 2020-08-06 남동훈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US20200329133A1 (en) * 2019-01-24 2020-10-15 Sharjeel Surani Accessory for Attachment to a Portable Interactive Programmable Device
KR20210087794A (ko) * 2020-01-03 2021-07-13 백승호 탈부착 가능한 휴대용단말기의 고리형 손잡이 구조체
KR102382177B1 (ko) * 2020-10-08 2022-04-05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3818B2 (ja) 1993-12-08 2001-07-30 シャープ株式会社 防水処理されたセラミックヒータ
US20180198900A1 (en) * 2017-01-11 2018-07-12 Signifi Mobile Inc. Mobile device cradl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669Y1 (ko) * 2002-05-03 2002-08-13 전소은 휴대폰 액세서리
JP3193818U (ja) * 2014-08-07 2014-10-23 裕雄 范 ミラーを具えたホルダ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KR20160090986A (ko) * 2015-01-22 2016-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피커 및 마이크 일체형 표시패널
KR20160122968A (ko) * 2015-04-15 2016-10-25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20170002976U (ko) * 2016-02-16 2017-08-24 배진우 자석 거치대
KR20170132511A (ko) * 2016-05-24 2017-12-04 최상효 물품 부착용 다기능 자석 거치대
KR20180002013U (ko) * 2016-12-26 2018-07-04 백창균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90903Y1 (ko) * 2018-08-28 2020-01-20 남동훈 거울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US20200329133A1 (en) * 2019-01-24 2020-10-15 Sharjeel Surani Accessory for Attachment to a Portable Interactive Programmable Device
KR20200001753U (ko) * 2019-01-29 2020-08-06 남동훈 금속판이 구비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KR20210087794A (ko) * 2020-01-03 2021-07-13 백승호 탈부착 가능한 휴대용단말기의 고리형 손잡이 구조체
KR102382177B1 (ko) * 2020-10-08 2022-04-05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기통신회선 https://us.amazon.com/PopMagnetz-Magnetic-Add-Pop-Grips/dp/B0893PYXDV을 통해 공중이 이용가능하게 된 고안(2020.05.2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017Y1 (ko) 2023-07-04
WO2023022360A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015B1 (ko)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KR101629434B1 (ko) 매직 스트랩
TW201622536A (zh) 保護裝置及固定架組件
WO2018086432A1 (zh) 一种复合转轴组件、多功能键盘及平板电脑套件
KR20150081213A (ko) 보호 커버
WO2020103731A1 (zh) 耳塞
US20220345560A1 (en) Magnetically connectable grip and connector for electronics
US20150172798A1 (en) Waterproof gate having speaker mesh film
US20100008531A1 (en) Fabricating Method for Earphone
CN211630640U (zh) 固定组件及电子设备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0497017Y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KR20180060460A (ko) 자전거 거치기능을 갖는 셀카봉
CN214177359U (zh) 电子设备支架
KR20210087794A (ko) 탈부착 가능한 휴대용단말기의 고리형 손잡이 구조체
CN214412797U (zh) 手机支架
US9918153B2 (en) Mobile terminal
EP2947782A1 (en) Holder for mobile terminal
KR101506572B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조립체
CN219938396U (zh) 一种手机壳
CN218041461U (zh) 手机保护壳
KR101489095B1 (ko) 이어폰 수납 및 정리가 가능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CN219145567U (zh) 一种耳挂式耳机及耳机组件
CN213661696U (zh) 带磁铁组件的保护壳
CN218783854U (zh) 一种摄像头装饰结构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