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968A -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968A
KR20160122968A KR1020150052880A KR20150052880A KR20160122968A KR 20160122968 A KR20160122968 A KR 20160122968A KR 1020150052880 A KR1020150052880 A KR 1020150052880A KR 20150052880 A KR20150052880 A KR 20150052880A KR 20160122968 A KR20160122968 A KR 20160122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terminal
plate
fixing plate
magn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1751B1 (ko
Inventor
신웅수
Original Assignee
신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웅수 filed Critical 신웅수
Priority to KR102015005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751B1/ko
Priority to CN201680022058.3A priority patent/CN107534695B/zh
Priority to PCT/KR2016/003879 priority patent/WO2016167564A1/ko
Priority to EP16780287.5A priority patent/EP3285466A4/en
Priority to US15/566,641 priority patent/US20180146078A1/en
Priority to JP2018506063A priority patent/JP2018512828A/ja
Publication of KR2016012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는 단말기에 부착 가능한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고정판과 이격시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지지판,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고, 압축 가능한 탄성체 및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 상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을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자석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TERMINAL HOLDING DEVICE, TERMINAL CASE AND TERMINAL ASSEMBLY}
아래의 설명은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특정 장소에 위치시키거나 휴대폰이 지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대시보드 또는 정면 유리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운전 중에도 휴대폰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책상용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책상과 일정한 각도로 거치시켜 사용자가 휴대폰 화면을 쉽게 살펴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공개특허 제 2004-0096686호는 프레싱 부재를 포함하여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휴대폰 거치대를 개시하고, 국내공개특허 제 2013-0021163호는 다양한 사이즈나 형상을 가진 휴대폰의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휴대폰 거치대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간단한 동작으로 압축 상태를 해제하여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단말기의 종류 또는 크기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하기와 같은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는 단말기에 부착 가능한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고정판과 이격시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지지판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고, 압축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 상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을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자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자석체는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고정판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부가 가압되면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의 체결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자석체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고정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자석체는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는 제 1자석체와,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고 상기 제 1자석체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제 2자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 1자석체는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자석체는 상기 제 2자석체와 반대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 1자석체 및 상기 제 2자석체는 단일 개체 내에 복수 개의 극성을 포함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고 자력을 차폐 가능한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자석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자석체가 상기 단말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마련되는 외측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일부가 개방되는 누름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의 체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은, 상기 고정판 또는 지지판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 중 상기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돌기부를 수용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돌기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기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의 회전시 상기 돌기수용부의 경사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의 체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은 상기 탄성체의 일부가 권회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일측의 길이가 타측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회전 가능하고, 상기 지지판을 회전시켜 상기 단말기의 거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테이퍼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일 단면은, 타 단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는 단말기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단말기 커버, 상기 단말기 커버와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단말기 커버와 이격시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지지판 및 상기 단말기 커버와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고, 압축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 또는 상기 지지판 상에 부착되고, 상기 단말기 커버와 상기 지지판을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자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와과 상기 지지판을 힌지식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와 상기 탄성체는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조립체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이격시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지지판 및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고, 압축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 또는 상기 지지판 상에 부착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지지판을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자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부피를 최소화 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는 간단한 동작으로 압축 상태를 해제하여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는 단말기의 종류 또는 크기와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돌기부 및 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단말 거치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돌기부가 돌기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름 가이드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름 가이드를 포함하는 지지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의 형상들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판의 형태들을 도시한다.
도 13은 지지판의 배치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체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체가 복수 개의 극성을 포함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가 포함된 단말기 거치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지지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돌출부가 형성된 지지판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단말기 커버와 지지판이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탄성체(130)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 2(b)는 탄성체(130)가 압축되고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이 자석체(140)에 의하여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는 고정판(110), 지지판(120), 탄성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대(1)는 단말기(T)의 후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단말기(T)의 전면을 볼 수 있도록 단말기(T)를 거치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대(1)는 단말기(T)를 지면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거치하여, 사용자가 단말기(T)의 화면을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말기(T)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어학기, 전자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10)은 단말기(T)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단말기(T)를 커버하는 케이스에 부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10)의 일측에는 점착시트(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점착시트는 반복사용이 가능한 체결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고정판(110)은 단말기(T)와 흡착력으로 고정하는 흡착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1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말기(T)에 부착될 수 있는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단말기의 종류 또는 크기와 관계없이 단말기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판(120)은 고정판(110)과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이 체결된 상태는,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이 직접 접촉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지지판(120)과 고정판(110) 사이에 타 구성요소가 배치되고 이를 매개체로 하여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이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지지판(120)은 고정판(110)과 이격된 상태에서,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할 수 있다. 지지판(120)은 단말기(T)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탄성체(130)는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을 연결할 수 있다. 탄성체(130)의 일측은 고정판(110)과 연결되고, 탄성체(130)의 타측은 지지판(120)과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130)는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과 접착제로 부착되거나,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의 일부에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탄성체(130)는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에 인서트 사출되거나,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130)는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과 이중 사출로 성형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탄성체(130)가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과 연결되는 방법 또는 수단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탄성체(130)는 압축 가능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1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탄성체(130)는 압축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a)는 탄성체(1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탄성체(130)를 구성하는 소선의 단면은 원형 또는 각형일 수 있다.
탄성체(130)가 압축된 상태에서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은 인접하게 위치되고, 탄성체(130)의 압축이 해제된 상태에서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은 이격될 수 있다. 탄성체(130)는 경강선, 피아노선 또는 스프링용 스텐레스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탄성체(13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플라스틱 사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탄성체(130)의 재질 또는 성형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 거치대는 자석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체(140)는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자석체(140)는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을 선택적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자석체(140)가 고정판(110)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자석체(140)가 지지판(120)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지지판(120)은 자석에 부착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이 가압되어 스프링이 압축되면, 자석체(140)에 의하여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이 체결될 수 있다. 도 2(b)는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단말기 거치대(1)의 미사용시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을 체결시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대(1)를 사용할 때,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이 자석체(140)에 의하여 접촉된 상태를 해제시켜 단말기(T)를 거치할 수 있다.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의 접촉이 해제되면 탄성체(130)의 압축상태가 해제되고, 탄성체(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이 이격될 수 있다. 이격된 상태에서, 단말기 거치대(1)는 도 1과 같이 단말기(T)를 지면에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거치할 수 있다.
탄성체(130)와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은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판(110)과 탄성체(130)가 일체로 성형되고, 탄성체(130)의 단부에 지지체가 부착될 수 있다. 고정판(110)과 탄성체(130)가 플라스틱 사출될 수도 있다.
또는, 고정판(110), 탄성체(130) 및 지지판(120)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거나, 탄성체(130)와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은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석체(140)는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과 인서트 사출 또는 이중사출로 성형될 수 있다.
이상 탄성체(130), 고정판(110), 지지판(120) 또는 자석체(140)의 성형 방법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성형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의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3(b)는 지지판(120)이 가압되어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의 체결이 해제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자석체(140)는 지지판(120) 또는 고정판(11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자석체(140)가 고정판(110)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자석체(140)가 지지판(120)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은 자석체(140)에 의하여 접촉된 상태에서, 자석체(140)를 통하여 연결되는 중심부를 제외하고는, 다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격된 높이는 자석체(140)의 높이와 유사할 수 있다.
도 3(b)와 같이 지지판(120)의 일측이 가압되면, 지지판(120)의 타측은 회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판(110)과 다소 이격된 지지판(120)의 테두리부가 가압되면, 가압된 위치에서 지지판(120)과 고정판(1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이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지지판(120)의 타측은 고정판(110)과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테두리부는 지지판(120)의 외측과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지지판(120)의 타측이 회동되면서, 지지판(120)과 자석체(140)가 분리될 수 있다. 자석체(140)가 분리되면, 탄성체(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이 이격될 수 있다.
자석체(140)의 크기 또는 지지판(120)의 길이는 위와 같은 작동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체(140)는 지지판(120)의 타측이 회동되면 지지판(120)의 중심부와 분리될 수 있는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지지판(120) 및 고정판(110) 사이의 공간을 이격시켜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의 체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지지판(120) 및 고정판(110) 사이를 손으로 벌려서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을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탄성체(130)가 압축된 상태에서 지지판(120)의 측면을 누르면 탄성체(130)의 압축이 해제되고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이 이격되어, 단말기 거치대(1)는 단말기(T)를 거치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동작으로 단말기 거치대(1)를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돌기부 및 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단말 거치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돌기부가 돌기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지지판(120) 또는 고정판(110)은, 지지판(120) 또는 고정판(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돌기부(161)는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기부(161)가 고정판(110)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돌기부(161)가 지지판(120)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지지판(120) 또는 고정판(110) 중 돌기부(16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돌기부(161)를 수용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돌기수용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161)가 고정판(110)에 형성되면, 돌기수용부(162)는 지지판(120)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61)와 돌기수용부(162)는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돌기수용부(162)는 돌기부(16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이 체결된 상태에서 돌기부(161)는 돌기수용부(162)에 수용될 수 있다.
돌기수용부(162)는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수용부(162)의 일부는 돌기부(161)를 수용하고, 돌기수용부(162)의 일부는 경사로 인하여 돌기부(161)를 수용하기에 충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돌기부(161)가 돌기수용부(162)에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판(120) 또는 고정판(110)이 회전되면, 돌기부(161)는 돌기수용부(162)의 경사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돌기부(161)가 경사를 따라 이동되면 지지판(120)과 고정판(11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고,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이 자석체(140)로 체결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자석체(140)로 체결된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체(14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이 이격되어 단말기 거치대(1)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지지판(110)과 지지판(120)의 체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단말기 거치대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름 가이드(121)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1)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누름 가이드(121)를 포함하는 지지판(12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단말기 거치대(1)는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누름 가이드(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누름 가이드(121)가 지지판(120)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누름 가이드(121)가 고정판(110)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누름 가이드(121)는 지지판(1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판(120)의 테두리의 일부는 누름 가이드(121)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누름 가이드(12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개방부위(122)라 지칭한다.
누름 가이드(121)는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이 자석체(140)에 의하여 접촉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되, 누름 가이드(121)가 형성된 부분이 가압되어도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누름 가이드(121)는 고정판(110)과 지지판(120) 사이의 간격을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누름 가이드(121)가 형성된 일측을 가압하여도, 가압되지 않은 타측은 회동되지 않거나 자석체(140)로 인한 자석 접촉을 해제하기 충분하지 않은 정도로 회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개방부위(122)가 가압되어야, 자석에 의한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의 접촉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지지판(120)의 표면에는 개방부위(122)의 위치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단말기 거치대(1)를 사용하기 위하여 가압해야 하는 부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을 이격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가압해야 하는 부분이 제한되므로, 미사용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스프링의 압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의 형상들을 도시한다.
도 8 및 도 10을 참고하면, 탄성체(130)는 테이퍼형 스프링(taper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형 스프링은 일방향으로 점점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퍼형 스프링은 지지판(120)과 접하는 부분에서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고정판(110)과 접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단말기 거치대(1)가 단말기(T)를 견고하게 지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테이퍼형 스프링은 스프링이 압축될 때 스프링의 각 부분이 서로 간섭되지 않아, 평면에 가까운 형태로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거치대(1)를 압축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탄성체(130)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탄성체(130)는 전체적으로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탄성체(130)가 전체적으로 원형인 것을 도시하고, 도 10은 탄성체(130)가 전체적으로 사각형인 것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탄성체의 일 단면은 타 단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130a)는 양 단부의 단면이 가장 크고 중심부의 단면이 작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탄성체(130b)는 양 단부의 단면이 가장 작고 중심부의 단면이 가장 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 탄성체(130c)는 단면의 크기가 커지다가 작아지는 형태가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탄성체는 위에서 설명된 테이퍼드 스프링 이외에도, 단면의 크기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판(120)의 형태들을 도시하고, 도 13은 지지판(120)의 배치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3(a)는 단말기(T)가 지면과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거치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도 13(b)는 단말기(T)가 지면과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거치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판(120)은 일 측의 길이가(a, a', a'')이 타측의 길이(b, b', b'')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지지판(120)의 가능한 형태들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지지판 (120a)는 원형 부재에서 일측이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지지판 (120b)은 원형 부재에서 일측이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에 복수 개의 지지발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 지지판(120c)는 원형 부재에서 일측이 절단되어 수평면이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지지판(120)의 예시로서 지지판(12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지지판(120)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지지판(120)은 일측의 직경보다 타측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므로, 지지판(120)의 회전에 따라 단말기(T)의 거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판(120a)을, 지지판(120a)의 단축(b)이 지면과 수직하게 회전시키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T)는 지면과 작은 각도를 이루어 거치될 수 있다.
또는, 지지판(120a)을, 지지판(120a)의 장축(a)이 지면과 수직하게 회전시키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T)는 지면과 큰 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단말기(T)의 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발 또는 수평면을 포함되면 단말기(T)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체(140)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형태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고하면, 자석체(140)는 고정판(110)에 부착되는 제 1자석체(141a)와, 지지판(120)에 부착되는 제 2자석체(14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자석체(142a)는 제 1자석체(141a)와 반대 극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자석체(141a)와 제 2자석체(142a)가 자력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제 1자석체(141a)와 제 2자석체(142a)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의 체결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체(140)가 고정판(110) 및 지지판(120)에 마련되는 경우, 제 1자석체(141a)와 제 2자석체(142a)가 서로 체결되기 때문에, 제 1자석체(141a)와 제 2자석체(142a)의 위치를 기준으로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은 일정한 위치로 체결될 수 있다.
도 14는 자석체(140)가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형태를 예시한다. 사각형의 자석의 경우, 사각형의 모서리 부분의 자력이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자석체(141a)와 제 2자석체(142a)의 모서리 부분끼리 체결되므로, 고정판(110)과 지지판(120)의 체결 위치 및 체결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제 1자석체(141b)와 제 2자석체(142b)는 각각 복수 개의 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자석체(141b)와 제 2자석체(142b)는 지지판(120) 또는 고정판(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자석체(141b)와 제 2자석체(142b)는 각각 지지판(120) 및 고정판(110) 상에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는 자석체가 원형으로 구성되는 형태를 예시한다.
복수 개의 자석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타측의 복수 개의 자석과 체결되고, 이에 따라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의 체결 위치가 가이드 되므로, 지지판(120)의 고정판(110)이 일정한 위치에서 체결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체(140)가 복수 개의 극성을 포함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제 1자석체(141c) 및 제 2자석체(142c)는,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자석체(141c)는 번갈아가며 배치된 N극과 S극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제 2자석체(142c)는 제 1자석체(141c)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 1자석체(141c)와 반대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자석체(141c)와 제 2자석체(142c)의 체결시, 서로 반대되는 극성의 자석끼리 체결되므로,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의 체결 위치가 일정하게 가이드 될 수 있다.
특히, 자석의 극성이 제 1자석체(141c)와 제 2자석체(142c)의 체결을 결정하므로, 지지판(120) 및 고정판(110)의 체결시 회전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의 바람직한 체결 각도에, 서로 반대되는 자석을 배치하여 그 각도로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이 체결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제 1자석체(141d) 및 제 2자석체(142d)는 단일 개체 내에 복수 개의 극성을 포함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자석체(141d)는 원형 자석으로 구성되고, 원형 자석은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인접하는 조각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자석체(141d)는 두 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층은 서로 대응되는 극성으로 배치되어 자력을 상하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 2자석체(142d)는 제 1자석체(141d)와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반대되는 극성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단일 자석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지지판(120) 및 고정판(110)의 체결 각도 및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부재(150)가 포함된 단말기 거치대(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단말기 거치대(1)는 자력을 차폐 가능한 차폐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150)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판, 금속망, 도금막, 도전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150)는 고정판(11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석체(140)는 차폐부재(150)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차폐부재(150)는 고정판(110)과 자석체(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차폐부재(150)는 고정판(110)을 중심으로 자석체(14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고정판(110)이 차폐부재(150)와 자석체(1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차폐부재(150)는 자석체(140)의 자기력을 차단하여, 자석체(140)가 단말기(T)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외측차폐부재(미도시)는 지지판(120)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판(120)은 자석체(140)가 외부에 자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차페부재는 자석체(140)가 단말기와 함께 보관되는 신용카드, 통장 등에 자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123)가 형성된 지지판(120)을 도시하고, 도 20은 돌출부(123)가 형성된 지지판(120)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면, 돌출부(123)는 고정판(110) 또는 지지판(120)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출부(123)가 지지판(120)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돌출부(123)가 고정판(110)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돌출부(123)의 단면은, 탄성체(130)의 전체적인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130)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돌출부(123)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석체(140)는 중공으로 삽입되어,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이 자석으로 체결 가능할 수 있다.
돌출부(123)의 측면은 고정판(11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을 만입부(123a)라 지칭한다.
탄성체(130)는 만입부(123a)를 따라 권회될 수 있다. 돌출부(123)의 단부는 만입부(123a)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므로, 만입부(123a)를 따라 권회된 탄성체(130)가 돌출부(123)를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130)가 만입부(123a)에 권회됨으로써, 지지판(120)과 고정판(110)의 체결시 댐퍼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130)에서 돌출부(123)에 권회되는 부분은, 돌출부(123)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130)와 돌출부(123)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고, 이는 탄성체(130)가 돌출부(123)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단말기 지지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2)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상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실시 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을 참고하면, 단말기 케이스(2)는 단말기 커버(210), 지지판(220), 탄성체(230) 및 자석체(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커버(210)는, 단말기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단말기 거치대(1)는 단말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반면에, 단말기 케이스(2)는 단말기 커버(210)에 지지판(220)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판(220)은 자석체(240)를 통하여 단말기 커버(210)와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탄성체(230)는 단말기 커버(210)와 지지판(22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22는 단말기 커버(210)와 지지판(220)이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3은 이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단말기 케이스(2)는 단말기 커버(210)와 지지판(220)을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연결체(26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220)은 연결체(260)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체(260)는 지지판(220)의 일측과 단말기 커버(21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위는, 연결체(260)에 의하여 지지판(220)을 회동시켜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위치로서, 지지판(220)의 하측일 수 있다.
단말기 커버(210)의 일측에는 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홈(250)을 사용하여 지지판(220)을 단말기 커버(21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홈(250)에 손을 삽입하여 지지판(22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도 23을 참고하면, 단말기 커버(210)는 지지판(220)을 수용하는 수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T)를 거치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지지판(220)을 가압하여 탄성체(230)를 압축시키고, 자석체(240)가 케이스와 지지판(220)을 접촉시킴으로써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 때, 지지판(220)은 단말기 커버(21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수용부(211)에 수용되어, 지지판(220)이 단말기 커버(2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거나 적게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를 거치하지 않을 때 불필요하게 지지판(220)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판(220)와 단말기 커버(210)와 일체로 보이게 되어 시각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지지판(210) 및 탄성체(230)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단말기 커버(210)의 후측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단말기를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기 조립체(3)는 단말기 본체(310), 지지판(320), 탄성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320)은 단말기 본체(310)와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탄성체(230)는 단말기 본체(310)와 지지판(320)을 연결할 수 있다. 단말기 조립체(3)는 자석체(미도시)를 포함하여 단말기 본체(310)와 지지판(320)을 선택적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즉, 단말기 조립체(3)가 지지판(320)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조립체(3)는 위에서 설명된 단말기 거치대(1) 또는 단말기 케이스(2)와 유사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고정판
120 지지판
130 탄성체
140 자석체
T 단말기

Claims (24)

  1. 단말기에 부착 가능한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고정판과 이격시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지지판; 및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고, 압축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 상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을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자석체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체는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고정판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부가 가압되면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의 체결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체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고정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단말기 거치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체는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는 제 1자석체와,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고 상기 제 1자석체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제 2자석체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자석체는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자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자석체는 상기 제 2자석체와 반대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는 단말기 거치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자석체 및 상기 제 2자석체는 단일 개체 내에 복수 개의 극성을 포함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 부착되고 자력을 차폐 가능한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자석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자석체가 상기 단말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마련되는 외측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일부가 개방되는 누름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의 체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은, 상기 고정판 또는 지지판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 중 상기 돌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돌기부를 수용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돌기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돌기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의 회전시 상기 돌기수용부의 경사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고정판과 상기 지지판의 체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은 상기 탄성체의 일부가 권회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단말기 거치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 또는 상기 지지판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일측의 길이가 타측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단말기 거치대.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회전 가능하고, 상기 지지판을 회전시켜 상기 단말기의 거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테이퍼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일 단면은, 타 단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단말기 거치대.
  18. 단말기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단말기 커버;
    상기 단말기 커버와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단말기 커버와 이격시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지지판; 및
    상기 단말기 커버와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고, 압축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하는 단말기 케이스.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 또는 상기 지지판 상에 부착되고, 상기 단말기 커버와 상기 지지판을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자석체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케이스.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케이스.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와 상기 지지판을 힌지식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체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케이스.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와 상기 탄성체는 일체로 사출 형성되는 단말기 케이스.
  23.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와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이격시 지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하는 지지판; 및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지지판을 연결하고, 압축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하는 단말기 조립체.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 또는 상기 지지판 상에 부착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지지판을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자석체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조립체.
KR1020150052880A 2015-04-15 2015-04-15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101721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880A KR101721751B1 (ko) 2015-04-15 2015-04-15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CN201680022058.3A CN107534695B (zh) 2015-04-15 2016-04-14 终端支架、终端壳体及终端组装体
PCT/KR2016/003879 WO2016167564A1 (ko) 2015-04-15 2016-04-14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EP16780287.5A EP3285466A4 (en) 2015-04-15 2016-04-14 Terminal support stand, terminal case, and terminal assembly
US15/566,641 US20180146078A1 (en) 2015-04-15 2016-04-14 Terminal support stand, terminal case, and terminal assembly
JP2018506063A JP2018512828A (ja) 2015-04-15 2016-04-14 端末スタンド、端末ケース及び端末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880A KR101721751B1 (ko) 2015-04-15 2015-04-15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320A Division KR20160140546A (ko) 2016-11-28 2016-11-28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968A true KR20160122968A (ko) 2016-10-25
KR101721751B1 KR101721751B1 (ko) 2017-04-10

Family

ID=5744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880A KR101721751B1 (ko) 2015-04-15 2015-04-15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7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338A1 (ko) * 2017-11-24 2019-05-31 주식회사 마이팝 휴대기기용 홀더
KR20220000871U (ko) * 2020-10-14 2022-04-21 임창수 모바일기기용 그립톡
WO2023003371A1 (ko) * 2021-07-21 2023-01-26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WO2023022360A1 (ko) * 2021-08-19 2023-02-23 남동훈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253A (ko) 2022-06-15 2023-12-22 주식회사 올로 휴대 단말기용 핑거 홀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749A (ko) * 2005-06-23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140007050A (ko) * 2012-07-06 2014-01-16 박요섭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472994Y1 (ko) * 2014-03-12 2014-06-03 김호철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KR20140112764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749A (ko) * 2005-06-23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140007050A (ko) * 2012-07-06 2014-01-16 박요섭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40112764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케이스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0472994Y1 (ko) * 2014-03-12 2014-06-03 김호철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3338A1 (ko) * 2017-11-24 2019-05-31 주식회사 마이팝 휴대기기용 홀더
KR20220000871U (ko) * 2020-10-14 2022-04-21 임창수 모바일기기용 그립톡
WO2023003371A1 (ko) * 2021-07-21 2023-01-26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KR20230000225U (ko) * 2021-07-21 2023-01-30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WO2023022360A1 (ko) * 2021-08-19 2023-02-23 남동훈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KR20230000417U (ko) * 2021-08-19 2023-02-28 남동훈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자성 기반 착탈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751B1 (ko) 201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751B1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JP2018512828A (ja) 端末スタンド、端末ケース及び端末組立体
KR101566660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CN108886544B (zh) 设置有具有防止发生气泡的结构的柔性显示面板的移动通信装置
KR200472994Y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거치대
US8902609B2 (en) Chip card hol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752802B1 (en) Clamping device adapted to electronic product of different dimensions
CN212697981U (zh) 终端托架及终端外壳
US20120304432A1 (en) Mounting mechenism for touch screen
US2010014217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226840A1 (en) Sound reflector and electronic device with speaker, including sound reflector
JP6650952B2 (ja) 携帯電話ケース
KR20160140546A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101230182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60122971A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10173182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KR101618002B1 (ko) 핸드폰 거치용 지갑
CN107508935B (zh) 壳体结构及其拆解治具和拆解方法、移动终端
KR200497298Y1 (ko) 단말기 거치대
KR101738616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KR20170024511A (ko) 휴대전화 케이스
US800074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IM card retention assembly
CN111212169B (zh) 便携式终端用配件
KR20140116993A (ko) 탄성 받침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60140547A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