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03338A1 - 휴대기기용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03338A1
WO2019103338A1 PCT/KR2018/012978 KR2018012978W WO2019103338A1 WO 2019103338 A1 WO2019103338 A1 WO 2019103338A1 KR 2018012978 W KR2018012978 W KR 2018012978W WO 2019103338 A1 WO2019103338 A1 WO 20191033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folded
numbered
folded portions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29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장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팝
Priority to CN201880087628.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670570B/zh
Priority to EP18881924.7A priority patent/EP3716590A4/en
Priority to US16/766,950 priority patent/US20210037127A1/en
Publication of WO20191033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033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3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folding, e.g. pivoting or scissors to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4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means of coilable or bendable legs or spiral shaped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a portab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To a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 the portable device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is used only for gripping, resulting in poor efficienc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which can be stably fixed on a user's hand or can be mounted on a floor, because the support part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is formed to be stretchable through a folded part,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olded part is formed into a hexagonal shape And a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for preventing the elevation angle from changing due to the weight of the portable device when the portable device is mounted.
  • a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includes a fixing part and a supporting part.
  • the fixing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portable device.
  • the supporting par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and has a hollow inside, and a plurality of folding parts are formed around the supporting part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Each of the folded portions is formed as a polygon having at least three inclined angles, and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in at least three directions.
  • the folded portion has a hexagonal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edges of the odd folded portions and the edges of the even folde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folded portions are arranged so as to cross each other.
  • the size of the odd-number folde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folded portions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even-numbered folded portions.
  • the odd-numbered folded portion and the even-numbered folded portion are formed to be larg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is disposed from the fixed portion.
  •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mounting surface to be attach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a connecting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 the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nd a folding member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connecting member and having a fold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 th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having one opening, the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from a part of the connecting surface is formed at the fix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ortion,
  • the projecting member and the opening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olded portion.
  •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 a seating member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lik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
  • the seating member is formed with a seat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of the support portion therein.
  • a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includes a fixing portion and a supporting portion.
  • the fixing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portable device.
  • the supporting par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xing part, and has a hollow inside, and a plurality of folding parts are formed around the supporting part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Each of the folded portions has a hexagonal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in at least six directions.
  • the edges of the odd-number folded portions and the edges of the even-numbered folde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folded portions are arranged so as to cross each other, and the size of the odd-numbered folded portions among the plurality of folded portions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even-
  • the odd-numbered folded portion and the even-numbered folded portion are formed to be larg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is disposed from the fixed portion.
  •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mounting surface to be attach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a connecting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 the support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nd a folding member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connecting member and having a fold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 th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portion having one side opened, and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from a part of the connecting surface is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ortion and coupled to each other.
  • a seating member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lik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
  • the seating member is formed with a seat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of the support portion therein.
  • the holder for the portable device is formed so that the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through the folded portion, if the support portion is held after the holding portion is fixed in the state that the fixing portion is fixed to the portable device, It can be used in a state in which it is stably fixed to the h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arry the portable device stably, so there is no fear of loss of the portable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portable device is dropped on the floor because it does not slip easily from the hand.
  • the fixing part when the fixing part is fixed to the portable device and the supporting part is stretched on the floor, it can be used not only for holding the holder for the portable device but also for mounting on the floor.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moving picture or news while the portable device is placed on the floor,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 the folded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hexagonal shape or the like,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ircular folded portion and the seating member, .
  • the folded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are polygonal and are rotatable in at least three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mpressed portion from being easily loosened when the portable device is placed on the floo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shown in FIG. 1 is bent in one direc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shown in FIG. 1 is bent in one direc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shown in FIG. 1 is compressed.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shown in Fig. 1 is installed in a portable device; Fig.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shown in Fig. 6 is compress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shown in FIG. 1 bent in one direction, to be
  •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shown in Fig. 1 is compressed.
  • the portable device holder 100 includes a fixing portion 110 and a supporting portion 120.
  • the portable device 1 is exemplified as a smartphone, but it may be various mobile devices in addition to a smart phone.
  • the fixing portion 11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ortable device 1.
  • the fixing portion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having an attachment surface 111 for attachment to the portable device 1 and a connection surface 112 for connection with the support portion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Accordingly, the fixing portion 110 can be fixed to one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 through the attachment surface 111.
  • the attachment surface 111 can be attached to the portable device 1 by an adsorption method or an adhesive method.
  • the supporting part 120 is hollow and has a hollow shape.
  • the supporting part 1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art 110 and has a plurality of folded parts 121a and 121b formed around the supporting part 120 and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formed around the support 120 may be formed in polygonal shapes having at least three inclined angles and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in at least three directions. That is, each of the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may hav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ular shape, a square shape, or the lik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may be hexagonal.
  • the folding portions 121a and 121b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ding portions 121a and 121b will be described in the form of a hexagonal column having a hexagon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support 12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resin to facilitate rotation.
  • the supporting part 120 is formed as a hollow column and the hexagonal folding parts 121a and 121b are formed around the supporting part 120, the supporting part 120 can be bent and moved in six directions. That is, each of the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determines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20.
  • the supporting portion 120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122 and a folding member 121.
  • the connecting member 122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10 an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olumn having one side open and an opening 122a.
  • a protruding member 113 protruding from a part of the coupling surface 112 may be formed on the coupling surface 112 of the fixed portion 110 for coupling the coupling member 122 and the fixed portion 110.
  • the protruding member 113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opening 122a, so that the fixing portion 110 and the supporting portion 120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fixing portion 110 and the supporting portion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rotruding member 113 and the connecting member 122.
  • the protruding member 113 and the connecting member 12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n adhesive.
  • the protruding member 113 may have a polygonal outer peripheral surface like the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That is, when the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are formed in a hexagonal shape, the projecting member 113 is also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gonal column having a hexagonal outer peripheral surface. Since the protruding member 113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22a, the opening 122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member 113. [
  • the folding member 121 extends in one direction from the connecting member 122, and a plurality of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size of the odd folded portion 121a of the plurality of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even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121b.
  • the odd folded portion 121a and the even folded portion 121b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siz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120 is disposed from the fixing portion 110. [ Due to such a structure, when the support 120 is compressed, the odd-number folded portion 121a protrudes outward and the even-numbered folded portion 121b is recessed inward as shown in FIG. 4 So that the folding member 121 can be stretched or compressed.
  • the corners of the odd folded portions 121a and the corners of the even folded portions 121b of the plurality of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That is, when the odd-numbered folded portions 121a are formed in a hexagonal shape, the corners of the odd-numbered folded portions 121a and the odd-numbered folded portions 121b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nd facing each other.
  • the odd-number folded portion 121a and the even-numbered folded portion 121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triangular joint 123.
  • the supporting portion 120 may further include a columnar seating member 124 hav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cross section of the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That is, the seating member 124 may be formed in a hexagonal column shap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folded portion 121a located at the lowermost portion.
  • the seating member 124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t one side so that the portable device 1 is not moved when the portable device 1 is mounted on the floor. As a result,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floor increases compared to the cylindrical seating member, and the portable device 1 can be stably placed on the floor because it is not swayed from side to side.
  •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holder 100 shown in Fig. 1 is installed in the portable device 1.
  • Fig. An example of use of the portable device holde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s follows.
  • the attachment surface 111 of the fixing portion 110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portable device 1.
  • a reusable gel pad or an absorbent member is formed on the attachment surface 111, so that even if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portable device 1 is set incorrectly, .
  • the shape and the material of the gel pad or the adsorption member are already known and will not be described here.
  • the seating member 124 is gripped and pulled, the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of the folding member 121 are stretched, and the supporting portion 120 is stretched.
  • the support part 120 is extended, the user grasps the extended support part 120, and the portable device 1 can be used.
  • the hexagonal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may be arranged around the folded member 121 such that the corners thereof cross each other.
  • the size of the even-numbered folded portions 121b disposed between the odd-numbered folded portions 121a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dd-numbered folded portions 121a.
  • the even-numbered folded portion 121b is recess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20, so that when the concave portion is gripped, the grip portion 121b does not slip and the gripping force can be increased.
  • the portable device holder 100 may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of mounting the portable device 1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 the upper portion of the folding member 121 is contract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olding member 121 is further stretched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1 is rotated downward while the support portion 120 is extended, 100).
  • the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and the seating member 124 are formed in a hexagonal shape,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floor increases compared to the circular folded portion and the seat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vice 1 from tilting sideways by the weight of the device 1.
  • the portable device 1 As the portable device 1 is mounted on the floor by the portable device holder 100, the user can check the moving image or the news without holding the portable device 1,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mpressed state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device shown in FIG.
  •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 a coupling protrusion 110a and a coupling groove 120a for increasing a coupling force between the protruding member 113 and the coupling member 122 are formed in the holder 200 for the portable device .
  •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110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member 113 and a coupling groove 120a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110a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122.
  • a seating member 124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0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dentical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s 121a and 121b may be formed.
  • a seat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of the support 120 may be formed. 7
  • the folding member 121 of the supporting portion 120 is compressed and the seating of the seating member 124 is compressed, as shown in FIG. 7, when the supporting member 120 is held and pressed by the holding member 124 in the extended state, Can be disposed in the space.
  • the folding member 12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the compression of the folding member 121,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folding member 121 and reducing the area exposed to the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기기의 일면에 설치되어 휴대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동시에, 바닥 등에 휴대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휴대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용 홀더는 고정부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휴대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지지부는 고정부의 일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복수의 접힘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접힘부는 적어도 3개의 끼인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3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홀더
본 발명은 휴대기기의 일면에 설치되는 휴대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부에 신축 가능한 부위를 형성하여 휴대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거나 바닥 등에 휴대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휴대기기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통신 산업 및 관련 기기 분야의 급진적인 발전에 발맞추어 전자제품 등이 소형화되어 개인이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기기가 기하급수적으로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기기를 들고 다닐 경우에는 분실의 우려가 있고, 휴대기기를 주머니나 가방 등에 넣고 다닐 경우에는 휴대의 불편함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고가의 스마트 폰이 출시되면서 스마트 폰을 휴대할 경우나 사용시 발생되는 외관의 스크래치 또는 손상으로 인하여 경제적인 부담 등 사용 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휴대기기를 편리하게 들고 다니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휴대기기용 홀더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기기용 홀더의 경우에는 크기가 커 휴대가 불편하고, 파지용으로만 사용되어 효율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휴대기기의 일면에 연결된 지지부가 접힘부를 통해 신축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휴대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거나 바닥 에 거치시킬 수 있으며, 접힘부의 외주면을 육각 형태로 형성하여 휴대기기의 거치시 휴대기기의 무게에 의해 거치각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휴대기기용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는 고정부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휴대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지지부는 고정부의 일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복수의 접힘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접힘부는 적어도 3개의 끼인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3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힘부는 외주면이 육각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와 짝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는 짝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수 번째 접힘부 및 짝수 번째 접힘부는 고정부로부터 지지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는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는 휴대기기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 면과, 지지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면을 구비한 판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는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접힘부가 형성된 절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재에는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에는 연결 면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돌출부재는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재 및 개구부는 접힘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재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연결부재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이 접힘부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안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부재는 내부에 지지부의 중공과 연통되는 안착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는 고정부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고정부는 휴대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지지부는 고정부의 일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복수의 접힘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접힘부는 접힘부는 외주면이 육각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6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와 짝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는 짝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수 번째 접힘부 및 짝수 번째 접힘부는 고정부로부터 지지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는 휴대기기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 면과, 지지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면을 구비한 판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는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접힘부가 형성된 절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재에는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에는 연결 면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돌출부재는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이 접힘부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안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부재는 내부에 지지부의 중공과 연통되는 안착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기기용 홀더는 휴대기기의 일면에 연결된 지지부가 접힘부를 통해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고정부가 휴대기기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를 신장시킨 후 지지부를 파지하면 휴대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들고 다닐 수 있어 휴대기기에 대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손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아 휴대기기가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가 휴대기기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를 신장시킨 후 바닥에 안착시키면, 휴대기기용 홀더를 파지하기 위한 용도뿐 아니라 바닥에 거치하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기기를 바닥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동영상이나 뉴스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접힘부 및 안착부재의 외주면을 육각형과 등과 같이 다각형으로 형성하므로, 원형의 접힘부 및 안착부재에 비하여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휴대기기용 홀더가 휴대기기의 무게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힘부 및 안착부재의 외주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적어도 3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함에 따라, 휴대기기를 바닥에 거치시켰을 때 압축된 부분이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일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휴대기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일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용 홀더(100)는 고정부(11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기기(1)를 스마트 폰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스마트 폰 이외에 각종 모바일 기기일 수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110)는 휴대기기(1)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10)는 휴대기기(1)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 면(111)과, 후술되는 지지부(12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면(112)을 구비한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 면(111)을 통해 고정부(110)를 휴대기기(1)의 일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부착 면(111)은 흡착방식이나 접착방식으로 휴대기기(1)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부(110)의 일면에 설치되고, 둘레에 복수의 접힘부(121a, 121b)가 형성되어 있어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20)의 둘레에 형성된 각각의 접힘부(121a, 121b)는 적어도 3개의 끼인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3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접힘부(121a, 121b)는 외주면이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주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접힘부(121a, 121b)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외주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된 육각 기둥 형태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부(120)는 회동이 용이하도록 수지와 같이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지지부(120)가 중공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에 육각 형태의 접힘부(121a, 121b)가 형성됨에 따라, 지지부(120)는 6방향으로 휘어지며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각각의 접힘부(121a, 121b)는 지지부(120)의 회동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20)는 연결부재(122)와, 절첩부재(121)를 포함한다.
연결부재(122)는 고정부(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개구부(122a)가 형성된 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22)와 고정부(110)의 결합을 위하여 고정부(110)의 연결 면(112)에는 연결 면(112)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재(113)가 개구부(122a)에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고정부(110)와 지지부(120)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부(110)와 지지부(120)는 돌출부재(113)와 연결부재(122)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돌출부재(113)와 연결부재(122)는 접착제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돌출부재(113)는 접힘부(121a, 121b)와 마찬가지로 외주면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접힘부(121a, 121b)가 육각형으로 형성되면 돌출부재(113) 또한 육각형의 외주면을 갖는 육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개구부(122a)에는 돌출부재(113)가 삽입되므로, 개구부(122a)는 돌출부재(113)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첩부재(121)는 연결부재(122)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접힘부(121a, 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절첩부재(121)는 접힘부(121a, 121b)를 통해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접힘부(121a, 121b) 중 홀수 번째 접힘부(121a)의 크기는 짝수 번째 접힘부(121b)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홀수 번째 접힘부(121a) 및 짝수 번째 접힘부(121b)는 고정부(110)로부터 지지부(120)가 배치된 방향으로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지지부(120)는 압축되었을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 번째 접힘부(121a)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짝수 번째 접힘부(121b)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절첩부재(121)가 신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접힘부(121a, 121b) 중 홀수 번째 접힘부(121a)의 모서리와 짝수 번째 접힘부(121b)의 모서리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홀수 번째 접힘부(121a)가 육각형으로 형성된 경우, 홀수 번째 접힘부(121a)의 모서리와 짝수 번째 접힘부(121b)의 선분 중앙은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홀수 번째 접힘부(121a)와 짝수 번째 접힘부(121b)는 삼각 형태의 이음부재(123)를 통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절첩부재(121)는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이 접힘부(121a, 121b)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각 기둥 형태의 안착부재(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안착부재(124)는 최하부에 위치한 접힘부(121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재(124)는 휴대기기(1)를 바닥에 거치시킬 때 휴대기기(1)가 움직이지 않도록 일면이 바닥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기둥 형태의 안착부재와 비교하여 바닥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고, 좌우로 흔들리지 않아 휴대기기(1)를 안정적으로 바닥에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100)가 휴대기기(1)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휴대기기용 홀더(100)의 사용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휴대기기(1)의 일면에 고정부(110)의 부착 면(111)을 부착시킨다. 이때, 부착 면(111)에는 재사용 가능한 겔 패드(Gel Pad) 또는 흡착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휴대기기(1)의 부착 위치를 잘못 설정하더라도 고정부(110)를 탈착한 후 다시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겔 패트 또는 흡착부재의 형상 및 소재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 상태에서, 안착부재(124)를 파지하여 당기면 절첩부재(121)의 접힘부(121a, 121b)가 펴지게 되어 지지부(120)는 신장된다. 이렇게 지지부(120)가 신장되면, 사용자는 신장된 지지부(120)를 파지하여 휴대기기(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절첩부재(121)의 둘레에는 육각 형태의 접힘부(121a, 121b) 모서리가 상호 교차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홀수 번째 접힘부(121a) 사이마다 배치된 짝수 번째 접힘부(121b)의 크기는 홀수 번째 접힘부(121a)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짝수 번째 접힘부(121b)는 지지부(120)의 외주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태가 되므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을 파지하면 미끄러지지 않아 파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만약, 휴대기기용 홀더(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를 수축시키면 되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줄어들어 사용성이 향상된다.
한편, 휴대기기용 홀더(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1)를 바닥에 거치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20)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휴대기기(1)의 상부를 하방으로 회동시키면 절첩부재(121)의 상부는 수축하고 하부는 더 신장됨으로써 휴대기기(1)가 휴대기기용 홀더(100)에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된다. 이때, 접힘부(121a, 121b) 및 안착부재(124)의 둘레는 육각 형태로 형성되므로, 원형의 접힘부 및 안착부재에 비하여 바닥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휴대기기용 홀더(100)가 휴대기기(1)의 무게에 의해 옆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휴대기기(1)가 휴대기기용 홀더(100)에 의해 바닥에 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기기(1)를 파지하지 않고도 동영상이나 뉴스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홀더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용 홀더(200)에는 돌출부재(113)와 연결부재(122)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결합돌기(110a) 및 결합 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재(113)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110a)가 형성되고, 연결부재(122)에는 결합돌기(110a)가 삽입되는 결합 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110a)를 결합 홈(120a)에 삽입시킨 후 접착제를 통해 돌출부재(113)와 연결부재(122)를 부착시키면, 돌출부재(113)와 연결부재(122)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120)의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이 접힘부(121a, 121b)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안착부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재(124)의 내부에는 지지부(120)의 중공과 연통되는 안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20)가 신장된 상태에서 안착부재(124)를 파지하여 가압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의 절첩부재(121)는 압축되며 안착부재(124)의 안착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첩부재(121)의 압축시 절첩부재(1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향상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휴대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설치되고, 둘레에 복수의 접힘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중공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접힘부는 적어도 3개의 끼인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3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외주면이 육각 형태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와 짝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휴대기기용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는 짝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 접힘부 및 짝수 번째 접힘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지지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 면과,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면을 구비한 판 형태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접힘부가 형성된 절첩부재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홀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연결 면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휴대기기용 홀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 및 개구부는 상기 접힘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홈이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접힘부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안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홀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내부에 상기 지지부의 중공과 연통되는 안착 공간이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14. 휴대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설치되고, 둘레에 복수의 접힘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 중공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접힘부는 외주면이 육각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6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와 짝수 번째 접힘부의 모서리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접힘부 중 홀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는 짝수 번째 접힘부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 접힘부 및 짝수 번째 접힘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지지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휴대기기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 면과,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면을 구비한 판 형태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상기 접힘부가 형성된 절첩부재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홀더.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연결 면 일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휴대기기용 홀더.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끝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이 상기 접힘부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안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홀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내부에 상기 지지부의 중공과 연통되는 안착 공간이 형성된 휴대기기용 홀더.
PCT/KR2018/012978 2017-11-24 2018-10-30 휴대기기용 홀더 WO201910333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87628.6A CN111670570B (zh) 2017-11-24 2018-10-30 便携设备支架
EP18881924.7A EP3716590A4 (en) 2017-11-24 2018-10-30 HOLDER FOR PORTABLE DEVICE
US16/766,950 US20210037127A1 (en) 2017-11-24 2018-10-30 Portable device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8777 2017-11-24
KR10-2017-0158777 2017-11-24
KR10-2018-0028490 2018-03-12
KR1020180028490A KR101885820B1 (ko) 2017-11-24 2018-03-12 휴대기기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338A1 true WO2019103338A1 (ko) 2019-05-31

Family

ID=6325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2978 WO2019103338A1 (ko) 2017-11-24 2018-10-30 휴대기기용 홀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037127A1 (ko)
EP (1) EP3716590A4 (ko)
KR (1) KR101885820B1 (ko)
CN (1) CN111670570B (ko)
WO (1) WO20191033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2517A4 (en) * 2019-08-14 2022-08-24 Shenzhen Lemore Marketing Consultancy Co., Ltd SUPPORT DEVICE FOR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925B1 (ko) * 2019-07-02 2022-11-11 권용현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USD1001793S1 (en) * 2020-10-02 2023-10-17 Fourstar Group Inc. Phone grip
USD1012077S1 (en) * 2020-11-03 2024-01-23 Fourstar Group Inc. Phone grip
US20220191314A1 (en) * 2020-12-11 2022-06-16 Beren McKay Implement Holder
CN113050126A (zh) * 2021-03-04 2021-06-29 重庆城市管理职业学院 一种地理位置定位装置
KR102512762B1 (ko) * 2022-11-10 2023-03-23 이종수 휴대 단말용 액세서리 디바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749A (ko) * 2005-06-23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US20120267402A1 (en) * 2011-04-25 2012-10-25 Steve Beatty Grip and hands-free support for multimedia devices
KR20130035510A (ko) * 2011-09-30 2013-04-09 (주)트레이드월드 벨로우즈형 거치대 장착 케이스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KR20160122968A (ko) * 2015-04-15 2016-10-25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20180028490A (ko) 2015-07-07 2018-03-16 바르체 이노파티온스테히노로기엔 게엠베하 해충을 퇴치 또는 박멸하기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16061U1 (de) * 2003-10-20 2003-12-18 Yeh, Ta-Kuang Flexibler Halter
KR100687199B1 (ko) * 2005-08-09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정지지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9307817B1 (en) * 2010-05-17 2016-04-12 Jeffrey Joesph Kaiser Conformable computer holder
CN204273518U (zh) * 2014-07-15 2015-04-22 郑良红 具有折叠和扩音功能的数码产品护套
JP2017017403A (ja) * 2015-06-29 2017-01-19 有限会社エイペックス スマートフォン用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749A (ko) * 2005-06-23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US20120267402A1 (en) * 2011-04-25 2012-10-25 Steve Beatty Grip and hands-free support for multimedia devices
KR20130035510A (ko) * 2011-09-30 2013-04-09 (주)트레이드월드 벨로우즈형 거치대 장착 케이스
KR101502738B1 (ko) * 2014-11-06 2015-03-13 주식회사 이피텍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
KR20160122968A (ko) * 2015-04-15 2016-10-25 신웅수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20180028490A (ko) 2015-07-07 2018-03-16 바르체 이노파티온스테히노로기엔 게엠베하 해충을 퇴치 또는 박멸하기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716590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2517A4 (en) * 2019-08-14 2022-08-24 Shenzhen Lemore Marketing Consultancy Co., Ltd SUPPORT DEVICE FOR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70570A (zh) 2020-09-15
KR101885820B1 (ko) 2018-08-06
CN111670570B (zh) 2021-10-08
EP3716590A4 (en) 2021-12-01
EP3716590A1 (en) 2020-09-30
US20210037127A1 (en) 202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3338A1 (ko) 휴대기기용 홀더
WO2015053424A1 (ko) 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WO2016137288A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WO2009088245A2 (ko) 휴대용 컴퓨터의 접이식 키보드
WO2017043765A1 (ko)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WO2019135609A1 (ko) 모바일기기용 펜홀더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기기 케이스
WO2015113066A1 (en) Keyboard cover for a table computer
WO2016013841A1 (ko) 화면확장형 휴대용 단말기
WO2013133461A1 (ko) 휴대용기기의 다단 다관절 지지대
WO2017069326A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14208853A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케이스
WO2020184765A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WO2022045600A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접는 방법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
WO2017135725A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용 지지대
WO2013172532A1 (ko) 스마트폰용 보조 카메라 장치
WO2015034184A1 (ko) 태블릿 컴퓨터
WO2023003371A1 (ko) 단말기 거치대
WO2016068399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18147523A1 (ko) 차량용 사용자 단말의 거치대
KR101486068B1 (ko) 청각 장애인용 휴대폰 거치장치
WO2020122508A1 (ko)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보관함
WO2014042396A1 (ko) 스마트폰 거치장치
WO2014112667A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22010019A1 (ko) 태블릿 pc 커버
CN209949345U (zh) 一种迷你型智能台灯音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19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819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624